KR100215414B1 -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414B1
KR100215414B1 KR1019960078346A KR19960078346A KR100215414B1 KR 100215414 B1 KR100215414 B1 KR 100215414B1 KR 1019960078346 A KR1019960078346 A KR 1019960078346A KR 19960078346 A KR19960078346 A KR 19960078346A KR 100215414 B1 KR100215414 B1 KR 10021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roller
sleeve
self
oilless bearing
roll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010A (ko
Inventor
구연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4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02Sliding-contact bearings
    • F16C23/04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일리스베어링을 사용하는 핀치롤러의 슬리브와 베어링과 홀더의 구조 및 조립순서를 변경시키므로서 자동조심고무의 조립을 용이하게함과 동시에 소형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테이프 레코터의 핀치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고무층(102a)을 갖고 내주면 소정위치에 소정폭을 갖고 내주면을 따라 고정부착되는 자동조심고무(106)를 갖는 슬리브(102)와, 일단부에 플랜지를 갖고 지지축(101)에 끼움조립되는 오일리스베어링(103)과, 일단부에 플랜지부를 상기 슬리브(102)와 오일리스베어링(103) 사이에 오일리스베어링(103)과 대향되게 끼움조립되는 홀더(10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의 핀지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일리스베어링을 사용하는 핀치롤러의 슬리브와 베어링과 홀더의 구조 및 조립순서를 변경시키므로서 자동조심고무의 조립을 용이하게함과 동시에 소형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테이프 레코터의 핀치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레코더는 자기기록테이프상에 영상 및 음성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것으로서, 도 1은 이러한 테이프 레코더의 통상적인 주행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의 주행메카니즘을 간략히 설명하면, 공급릴(1)로부터 인출된 테이프(T)는 수식포스트(2), 텐션포울(3), 공급측 가이드포스트(4), 접촉소거헤드(5), 공급측 가이드롤러(6) 및 공급측 경사포울(7)을 거쳐 헤드드럼(8)과 접촉한다. 계속하면, 헤드드럼(8)을 통과한 테이프(T)는 귄취측 경사포울(9), 귑취측 가이드롤러(10), 오디오 콘트롤헤드(11) 및 캡스턴축(13)과 핀치롤러(14) 사이를 지나 귄취릴(15)에 감겨진다.
상기와 같은 주행경로를 갖는 테이프(T)는 귄취릴(15)에 감겨지기 전에 핀치롤러(14)와 캡스턴축(1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캡스턴축(13)의 회전에 의해 테이프(T)에 적절한 장력을 유지시키며 테이프(T)를 정속으로 이송시킨다.
핀치롤러(14)는 테이프(T)를 캡스턴축(13)으로 밀착하여 테이프(T)를 귄취릴(15)로 이송시킨다. 핀치롤러(14)는 핀치레버(15)의 일측에 축설되어 있으며, 핀치레버(16)는 메인 베이스에 고정되는 축(17)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메인 베이스에 대해 고정된 스프링(1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일단에 고정된 핀(19)이 캡기어(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캠홈을 따라 이동하여 핀치레버(16)가 작동적으로 회동함으로써 핀치롤러(14)와 캡스턴축(13)은 선택모드에 따라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된다.
도 2는 상술된 테이프(T)의 주행경로중에서 상기 핀치롤러조립체(14)에 대한 종래의 구조를 도시하는 결합상태 단면도이이며, 도 3은 홀더와 자동조심고무의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종래의 핀치롤러 조립체(14)는 지지축(20)과 슬리브(21)와 홀더(22)와 커버(23)와 오일리스베어링(24)와 자동조심고무(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20)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환봉으로서 핀치레버(16)의 일단부 소정위치에 수직으로 하단부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오일리스베어링(24)과 홀더(22)와 커버(23)가 상기 지지축(20)에 끼움조립되어 있다.
상기 홀더(22)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양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 사이의 외주면에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튜브형상의 자동조심고무(25)가 끼움조립된다.
상기 자동조심고무(25)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횔더(22)의 외주면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슬리브(21)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슬리브의 조심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슬리브(2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그무층(21a)이 캡스턴축(13)과 수평으로 밀착되어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일리스베어링(24)은 지지축(20)의 에 끼움조립되고 상기 홀더(22)는 상기 오일리스베어링(24)의 외주면에 끼움조립된다.
상기 커버(23)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통형상으로서 상면은 폐쇄되고 하면은 개방되어 상기 오일리스베어링(24)과 홀더(22)가 상기 지지축(20)의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축(20)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21)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외주면에는 고무층(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22)의 외주면에 상기 오일리스베어링(24)에 의해서 지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압입조립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상기 핀치레버(16)의 작동에 따라 캡스턴축(13)와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오일리스베어링(24)을 적용한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14)는 상기 오일리스베어링(24)과 슬리브(21)의 내주면사이에 끼움조립되는 홀더(22)의 외주면에 상기 자동조심고무(25)를 끼움조립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자동조심고무(25)의 길이가 길며 짧게 형성시키기가 곤란하여 슬리브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넓어 조립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홀더(22)의 조립시 편심으로 진입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어 핀치롤러의 불량율이 높고, 핀치롤러의 자동조심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홀더의 외주면에 자동조심고무를 조립하는 별도의 고정을 삭제하므로서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일리스베어링와 홀더의 조립시 편심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므로서 편심에 의한 불량율을 최소화하고, 자동조심고무와 슬리브의 접촉면적을 촤소화시켜 핀치롤러의 자동조심작동이 원활하게 자동될 수 있는 테이프 레코더의 핀지롤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테이프 레코더의 일반적인 주행메카니즘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핀치롤러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홀더와 자동조심고무의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핀치롤러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핀치롤러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핀치롤러 조립체 101: 지지축
102: 슬리브 103: 오일리스베어링
104: 캡 105: 홀더
106: 자동조심고무 200: 핀치레버
300: 캡스턴축 T: 테이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외주면에 고무층을 갖고 내주면 소정위치에 소정폭을 갖고 내주면을 따라 고정부착되는 자동조심고무를 갖는 슬리브와, 일단부에 플랜지를 갖고 지지축에 끼움조립되는 오일리스베어링과, 일단부에 플랜지부를 상기 슬리브와 오일리스베어링 사이에 오일리스베어링과 대향되게 끼움조립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의 구성 및 겨합상태와 요부의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100)는 지지축(101)과 슬리브(102)와 오일리스베어링(103)과 캡(104)과 홀더(105)와 자동조심고무(106)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101)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환봉으로서 핀치레버(200)의 일단부 소정위치에 하단부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슬리브(102)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외주면에는 고으층(102a)이 소정두께를 갖고 형성되고, 내주면 소정위치에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자동조심고무(106)가 고정부착된다.
상기 자동조심고무(106)는 길이가 짧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오일리스베이링(103)은 소정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일단부에 소정폭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101)에 끼움조립된다.
상기 홀더(105)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일단부에 소정폭의 플랜지를 갖고, 내경이 상기 오일리스베어링(103)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일리스베어링(103)의 외주면에 압입조립된다.
상기 캡(104)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합성수지제로서 상면은 폐쇄되고 하면은 개방되어 상기 지지축(101)의 상단부에 끼움조립된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300은 캡스턴축이며, 200은 핀치레버, T는 테이프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100)는 먼저 상기 지지축(101)의 외주면에 상기 오일리스베어링(103)을 끼움조립한 후 상기 슬리브(102)을 상기 오일리스베어링(103)의 외주면에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슬리브(102)의 내주면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자동조심고무(106)의 일단면이 상기 오일리스베어링(103)의 플랜지 내측면과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102)가 배치되면, 상기 오일리스베어링(103)의 외주면과 상기 자동조심고무(106)의 내주면사이에는 소정폭의 틈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틈에 상기 홀더(105)가 끼움조립되도록 홀더(105)를 오일리스베어링(103)의 외주면에 오일리스베어링(103)과 대향되게 끼움조립하므로서 핀지롤러(100)는 간단히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홀러(105)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이 내측면은 상기 자동조심고무(106)의 타단면과 밀착되게 되므로서 상기 자동조심고무(106)가 오일리스베어링(103)의 플랜지와 홀더(105)의 플랜지 사이에 고정되어 슬리브(102)는 용이하게 지지축(101)을 중심으로 오일리스베어링(103)에 의해 회전작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핀치롤러(100)는 슬리브(102)의 고무층(102a)의 외주면이 캡스턴축(300)과의 사이에 테이프(T)를 압착하면서 캡스턴축(300)과 평행하게 밀착되며, 상기 캡스턴축(300)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게되고, 만일 작동중 핀치롤러(100)의 편심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슬리브(102)의 내주면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폭이 좁은 링형상의 자동조심고무(106)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매우 신속하고 원활하고 확실하게 조심작동이 이루어지므로서 오작동없이 연속적으로 주행되는 테이프(T)을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100)는 상기 오일리스베어링(103)과 홀더(105)의 일단부에만 각각 플랜지를 형성시키고, 자동조심고무(106)의 폭을 좁게형성시켜 슬리브(102)의 내주면에 고정부착되도록 형성시켜 조립시 구성요소에 의한 간섭없이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게 하므로서 조립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시 슬리브(102)의 편심이 발생되지 않아 슬리브(102) 편심에 의한 불량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자동조심고무(16)의 폭을 쫍게 형성시키 핀치롤러(100)의 회전작동중 발생되는 슬리브(102)의 편심시 자동조심고무(10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조심작동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테이프 레코터의 핀치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외주면에 고무층(102a)을 갖고 내주면 소정위치에 소정폭을 갖고 내주면을 따라 고정부착되는 자동조심고무(106)를 갖는 슬리브(102)와, 일단부에 플랜지를 갖고 지지축(101)에 끼움조립되는 오일리스베어링(103)과, 일단부에 플랜지부를 상기 슬리브(102)와 오일리스베어링(103) 사이에 오일리스베어링(103)과 대향되게 끼움조립되는 홀더(10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터의 핀치롤러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심고무(106)는 폭이 좁은 링헝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터의 핀치롤러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5)의 내경은 상기 오일리스베어링(103)의 외경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터의 핀치롤러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심고무(106)는 상기 오일리스베어링(103)의 플랜지 내측면과 홀더(105)의 플랜지 내측면 사이에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터의 핀치롤러 조립체.
KR1019960078346A 1996-12-30 1996-12-30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KR10021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346A KR100215414B1 (ko) 1996-12-30 1996-12-30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346A KR100215414B1 (ko) 1996-12-30 1996-12-30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010A KR19980059010A (ko) 1998-10-07
KR100215414B1 true KR100215414B1 (ko) 1999-08-16

Family

ID=1949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346A KR100215414B1 (ko) 1996-12-30 1996-12-30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4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010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9040A (en) Collapsing pin roller for tape cassette
KR100215414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US3957219A (en) Endless tape traveling device
JPH0619136U (ja) 磁気テープ装置
US3443039A (en) Tape transport system with stationary heads mounted within a rotating structure
US3863853A (en) Endless magnetic tape cartridge
JPH09180314A (ja)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KR0179247B1 (ko) 비디오기기의 핀치롤러 장치
KR20015485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US6149044A (en) Supporting mechanism for pinch roller unit for use i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24927Y2 (ko)
KR013673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로울러 조립체
US4017904A (en) Tape driving device including pinch roller and tape guide mounting means
KR940001599B1 (ko) 릴 구동장치
KR19980059030A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US4467377A (en) Cassette type-tape recorder
KR200154793Y1 (ko) 가압롤러 부재를 구비한 자기 테이프 장치
KR930012166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KR10019739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JP3218609B2 (ja) テーププレーヤ
US5737143A (en) Apparatus for movably mounting a full erase head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KR0113203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고속 주행장치
KR200186242Y1 (ko) 브이씨알용 캡스턴모터의 스톱퍼 장치
KR200187678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가이드롤러장치
GB2308221A (en) A pinch roller type tape driv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