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3299A -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 Google Patents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3299A
KR20060013299A KR1020040062204A KR20040062204A KR20060013299A KR 20060013299 A KR20060013299 A KR 20060013299A KR 1020040062204 A KR1020040062204 A KR 1020040062204A KR 20040062204 A KR20040062204 A KR 20040062204A KR 20060013299 A KR20060013299 A KR 20060013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gear
knife
barb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222B1 (ko
Inventor
조성욱
Original Assignee
조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욱 filed Critical 조성욱
Priority to KR102004006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2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1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10Modifying the surface by ind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4Su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에 정밀하고 정교한 미늘을 내는 장치로, 본장비로 봉합사에 특수한 미늘을 발생시켜 사용하면 수술후 봉합시 간편하게 봉합할 수 있으며 시간이 절약되고 환자 또한 빨리 회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신개념의 봉합사를 가공하는 장비이다
본 제품은 구성은 봉합사를 일정하게 장력을 지닌 채 봉합사를 잡아 주는 실잡이 노브와, 이와 같이 팽팽하게 유지시킨 봉합사를 이동시키는, 볼스크류를 장착한 실 가이드, 실 가이드를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타이밍 기어를 장착한 기어박스.
또한 봉합사에 정확하게 미늘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캠 박스와 이 캠박스와 함께 장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미늘의 간격이나 깊이를 조정할 수 있는 나이프 뭉치로 구성되며, 미늘의 간격이나 깊이 등 가공 후의 상태나 가공시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X, Y, Z축의 몸체와 X-Y축 스케일 눈금이 내장된 비디오 마이크로스코프와 이 모든 것을 구축하고 있는 장비 지지대와 비디오 마이크로스코프의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모니터, 그리고 위에 나열한 모든 것을 부착할 수 있는 테이블로 구성되어있다.
봉합사, 미늘, 실잡이 노브, 실 가이드, 나이프, 캠박스, 타이밍 기어, 전자석 크러치

Description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Barb Machine for Suture}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미늘 발생기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미늘발생기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캠박스 나이프 뭉치 배치도
제4도는 제3도의 나이프뭉치의 세부도로, 나이프의 이동 조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어박스의 기어 분포도로, 타이밍기어를 사용하여 나이프 동작 멈춤을 설명 하기위한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타이밍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마그네틱 크러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잡이 노브의 상세도로, 실잡는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캠박스의 가상도로 캠박스의 나이프의 방향전환이나 회전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캠의 분활 구성도로 타이밍 기어나 마그네틱 크러치의 나이프뭉치의 운동이나 휴식 등을 사용시 설명하기위한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캠박스 회전후 정지고정의 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봉합사 가공후의 봉합사 확대 사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칼날의 거리 간격에 대한 설명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실잡이 노브 2. 실 가이드 3. 비디오 마이크로스코프 뭉치 4. 나이프 뭉치 5. 캠박스 6. 캠 7. 1번 기어 8. 베벨 기어 9. 볼스크류 10. 지지대(받침) 11. 캠박스 방향 전환 고정 노브 12. 기어 박스 13. 손잡이 14. 타이밍 기어 15. 2번 기어 16. 3번 기어 17. 스코프 y축 노브 18. 스코프 x축 노브 19. 비디오 마이크로스코프 20. 스코프 z축 노브 21. 1번 나이프 22. 2번 나이프 23. 3번 나이프 24. 4번 나이프 25. 베어링 26. 나이프 바디 피스톤 27. 나이프 바디 실린더 28. 나이프 바디(상) 슬라이드 고정핀 29. 나이프 바디(상) 30. 나이프 바디(상) 조절 나사 부위 31. 나이프 상하 조절 노브 32. 나이프 바디(하) 나사 33. 나이프 바디(하) 34. 나이프 바디 가이드 35. 나이프 36. 나이프 고정 노브 37. 나이프 바디 슬라이드 고정핀 38. 스프링 39. 피스톤 방향 고정핀 40. 전류 접지 뭉치의 +극 41. 전류 접지 뭉치의 -극 42. 전자석의 접지판 43. 전류 접지 뭉치 44. 전자석 45. 기어 46. 베어링 47. 기어 48. 전자석 기어 캠 동심축 고정대 49. 봉합사 50. 실잡이 구멍 51. 실잡이 링 52. 실잡이 노브 고정 나사 53. 실잡이 노브 바디 54. 실잡이 링 고정대 55. 실잡이 노브 동심축 56. 캠박스 고정 바디 57. 캠박스 방향 전환 고정 노브 58. 방향 전환 캠박스 59. 캠박스 회전후 정지시 정면도의 수직면 60. 캠박스 회전후 정지시 측면도의 수평면 61. 캠박스 회전후 정지시 측면도의 수직면
본 발명품은 봉합사에 미세한 미늘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봉합사는 수술 후 봉합 시 한 바늘 한 바늘 꿰매어 절단하고 다시 꿰매고 절단을 하여 사용하고 있어 구조가 난해한 기관들의 봉합시 시간과 고도의 의료기술이 필요하였으나 본 장비로 봉합사 가공후 시술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보통 바느질과 같이 연속으로 꿰맬 수 있어 시간과 고도의 기술을 절약할 수 있으며 환자의 회복상태도 좋아진다.
이러한 장점들 때문에 본 장비를 고안하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봉합사 미늘 발생기를 제조할 경우에는 고도의 정밀가공 기술이 필요하며 여러 가지 첨단장비로 가공하여야만 된다는 점과 각종 금속처리 과정 등이 포함되어있다. 수준은 반도체 장비 수준이어서 상당히 힘든 공정과 작업이다. 예를 들면 봉합사의 종류가 여러 가지여서(굵고 가는 것), 미늘을 10㎛ 단위까지 가공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봉합사 역시 금속물이 아니므로 (나일론 등) 탄성이나 인장력, 복원력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봉합사 미늘 발생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 소한 한 개의 봉합사를 일정하게 장력을 지닌 채 잡아 주는 실잡이 노브 및 실 가이드와 미늘의 간격이나 깊이를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나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미늘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잡이 노브(1)와 실 가이드(2)에 설치된 봉합사에 캠박스(5)에 설치된 선택된 나이프뭉치(4)의 나이프(35)가 정확한 간격과 깊이로 미늘을 형성시키기 의해서 제2도의 손잡이(13)를 돌려서 가공한다
위에서 말한 봉합사의 미늘의 깊이는 제4도의 나이프(35)의 상하 조절 노브(31)로 조정하는데 360도 회전시 일정한 거리가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이에 대한 예로, 제4도의 나이프바디(하) 나사(32)산은 0.5mm산이며 나이프바디(상)의 나사(30)산은 0.75mm산이어서 나이프 상하 조절 노브(31) 오른쪽 회전시 나이프바디(하) 나사(32)는 왼나사, 나이프바디(상) 나사(30)는 정나사가 되어 나이프 상하 조절 노브(31)는 올라가고(360도 회전에 0.75mm), 나이프바디(하)(33)는 0.5mm 내려온다
그러므로 0.75-0.5=0.25mm로, 결국 현재 기존의 공작 기계로는 할 수 없는 0.25mm 나사산이 형성되어 미세 조정이 가능하며, 이를 조정 시는 비디오 마이크로스코프(19) 모니터에 형성된 그림을 보면서 제어한다
제4도의 나이프(35)가 내려올 시, 즉 봉합사에 더 깊게 미늘을 발생시킬 시는 나이프 상하 조절 노브(31)를 왼쪽으로 회전시킨다.
봉합사의 간격은 제3도의 나이프 중 선별하여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1번 나이프(21)의 두께는 0.353mm로, 나이프 사이 사이 간격이 0.5mm, 2번 나이프(22)의 두께는 0.4mm로, 나이프 사이의 간격은 0.566mm이며, 3.4번 나이프(23.24)의 두께가 0.6mm이면 간격은 0.848mm, 0.2mm면 0.283mm가 된다. 이때 나이프 숫자는 나이프 두께가 0.353mm일 때 8개, 0.4mm일 때 7개, 0.6mm일 때 5개, 0.2mm일 때는 14개 등인데, 이것은 제1도, 제5도의 볼스크류(9)가 리드 16mm이기 때문으로, 이 볼스크류(9)는 제2도의 손잡이(13) 1회전당 수치로, 즉 360도 회전시 16mm 이동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손잡이 1회전시 제1도의 나이프 뭉치(4)의 칼날이 4번 왕복운동으로 16mm 봉합사에 미늘을 발생시킨다. 하여 위에서 기술한 나이프 수가 형성된 것이다. 다시금 예를 들어 설명하면 나이프 두께가 0.353mm일 때 나이프 숫자는 8개, 나이프 사이의 간격은 0.5mm, 즉 0.5mm x 7=3.5mm로, 봉합사에 미늘이 0.5mm 간격으로 8개 형성되면 그 거리는 3.5mm이다. 하지만 리드 16mm인 볼 스크류는 90도 회전시 4mm 이동하므로 다음 미늘을 형성시킬 시 0.5mm 건너 뛰어서 다시 형성되므로 빈틈없이 봉합사에 미늘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고자 할 시에는 제2도의 손잡이(13)를 계속 돌려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 제1도의 나이프 뭉치(4)의 나이프가 봉합사에 미늘을 발생시킬 때는 볼스크류(9)가 동작을 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기능에 대해서는 제5도와 제9도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9도의 캠의 산은 45도에 하나씩 모두 4개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제5도의 타이밍기어(14)도 기어 산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 아니며 제5도의 기어(7,15,16)에 비례해 기어 산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5도의 기어(7,15,16)는 기어 산 수가 같은 기어다(즉 1:1 기어). 제5도의 타이밍 기어(14)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는 360도 회전시 1번,2번,3번 기어(7,15,16)를 360도 회전하게 하는 기어 산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 산이 없는 부분은 결국 볼스크류(9)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기어 산이 있는 부분은 볼스크류를 회전시켜 제1도의 실 가이드(2)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즉 제1도의 실 가이드(2)가 이동시 나이프 뭉치(4)의 나이프가 동작을 하지않고, 실 가이드(2) 고정시 즉 제5도의 볼스크류(9)가 회전을 멈춘 상태에서 제1도의 나이프 뭉치(4)가 동작하여 봉합사에 미늘을 발생시킨다.
위에 기술한 상황을 만들려면 제9도의 캠의 산과 제5도의 타이밍 기어(14)의 기어 산이 있는 부분이 동축 동열에 배설되어야 한다.
즉, 동축에 제9도의 캠과 제5도의 타이밍 기어(14) 그리고 제2도의 손잡이(13)가 함께 배설된다.
제6도는 제5도의 기어형태를 변형시킨 것으로, 즉 타이밍 기어(14)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석 크러치를 사용한 상태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기어(45)는 제5도의 타이밍 기어(14)와 달리 기어 산이 전부 형성된 것으로, 제5도의 1번,2번,3번 기어(7,15,16)에 비해 두배수로 산이 형성된 기어로, 만약 제6도의 47번 기어의 기어산이 32개일 경우 제6도의 45번 기어의 기어산은 64개가 형성된다.
제6도의 40,41은 전극+, 전극 -극 접지로, 전류 접지 뭉치(43)의 안쪽이며, 그 넓이나 길이는 43,44번 전체 직경의 각각 1/16이다.
제6도의 42번은 전자석(44)의 바깥쪽으로, 42번 등도 전류의 접지이며 또한 각각의 길이나 넓이는 43,44번 전체 직경에 각각 1/16씩이다. 이에 따라 접지부분이 접지할 시 44번은 전자석이 되어 45번 기어가 당겨 붙게 만든다 이때 전자석(44)과 동축에 모든 것이 전달되어 캠, 전자석 기어 등이 함께 회전한다. 단 이때 전류접지 뭉치(43)는 48번 기어 동축과는 별개이다.
접지면이 각각 1/16 씩인 것은 접지면이 처음 만나서 전류가 끊어 질 때까지의 거리로, 1/16+1/16=1/8, 즉 45번 기어를 1/8바퀴 회전시킨다는 것으로, 47번 기어는 1/4바퀴 회전한다
즉 손잡이를 360도 회전시 47번 기어 이하 모두 360도 회전한다. 또한 접지되지 않는 부분은 실 가이드가 움직임을 멈추는 것으로, 이때 나이프가 봉합사에 미늘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 모두 형성될 때 봉합사의 간격이나 미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제8도의 그림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8도의 캠박스(5)에는 제3도의 나이프 뭉치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장비를 회전 시 제3도의 21,22,23,24와 같이 나이프 뭉치가 설치되었으므로 제1도의 실 가이드(2)에 제3도의 원형 점선 부분이 접촉하게 되므로 제8도의 캠박스 방향전환 고정 노브(11)의 노브를 풀어 캠박스(5)를 왼쪽으로 당겨 방향 전환을 한 뒤 다시 밀어 넣은 후 캠박스 방향 전환 고정 노브(11)의 노브를 잠궈 고정시켜 세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나이프를 교체하여 쓴다.
이때 제8도의 11번 노브는 제10도의 59,60,61번과 같이 직각에 수직 수평으로 가공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제8도의 캠박스 고정 바디(56)에 캠박스(5)가 90도씩 회전하면서 세팅할 수 있다.
제7도는 실잡이 노브의 가상도로, 봉합사(49)를 실잡이 구멍(50)에 그림과 같이 삽입한 다음 실잡이 노브(1)를 당기면 봉합사(49)가 실잡이 링(51)속으로 삽입되어 실을 잡아 주는데 실잡이 링(51)은 탄성도가 좋은 플라스틱으로 가공되어있고 그림과 같이 한쪽 단면은 커팅하여 굵거나 얇은 봉합사를 적절이 잡아주는 작용을 한다.
실잡이 노브 고정 나사(52)는 실잡이 노브(1)를 당길 경우 실잡이 노브 동심축(55)이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용이 끝난 뒤 봉합사(49)를 풀 때 실잡이 노브(1)를 왼쪽 방향으로 민다. 이때 실잡이 링 고정대(54)가 실잡이 링(51)을 잡아 주어 봉합사(49)를 그림과 같이 실잡이 링 고정대(54) 밖으로 돌출되어 원활히 빼낼 수가 있다.
이러한 상태로 봉합사의 굵고 가늠에 상관없이 실을 고정시키거나 풀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같은 구조를 가지는 미늘 발생기는 봉합사의 미늘 발생시 봉합사의 종류에 관계없이 자유자재로 미늘을 발생 생성시킬 수 있어 수술 후 수술 부위를 봉합하는데 적은 시간이 들고 간단히 시술할 수 있으며, 또한 시술 후 빠른 회복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수술시 일방향으로 미늘이 발생한 봉합사 로 수술 부위를 꿰맬 경우 그 반대 방향으로는 미늘 때문에 봉합사 실이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Claims (6)

  1. 최소한 한 개의 봉합사를 일정하게 장력을 지닌 채 잡아주는 실잡이 노브(1)및 실 가이드(2)와 실 가이드(2)에 놓여 있는 봉합사에 미늘의 간격이나 깊이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최소 1개 이상의 나이프(35)와 이 나이프(35)를 구동시켜 주는 최소한 1개 이상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는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봉합사(49)를 실잡이 구멍(50)에 삽입한 다음 실잡이 노브(1)를 당기면 봉합사(49)가 실잡이 링(51) 속으로 삽입되어 봉합사(49)를 간편하게 잡아주고 풀어줄 수 있는 실잡이 노브(1)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타이밍기어(14)의 기어 산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연동하는 최소 1개 이상의 기어(7)에 비례해 기어 산이 형성되어 있고 타이밍 기어(14)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가 360도 회전시 최소 1개 이상의 기어를 360도 회전하게 하는 기어 산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 산이 없는 부분은 볼스크류(9)의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나이프(35)를 동작시키고, 기어 산이 있는 부분은 볼스크류(9)를 회전시켜 실 가이드(2)를 이동시키면서 나이프(35)의 동작이 정지되는 타이밍 기어(14)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4. 제1항에 있어서 타이밍 기어(14)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석 크러치를 사용하여 기어 산이 전체에 형성되어, 연동하는 최소 1개 이상의 기어(47)에 비해 두배수로 산이 형성된 기어(45)로, 전극 +극(40), 전극 -극(41) 접지가 전류 접지 뭉치(43)의 안쪽에 형성되고 그 넓이나 길이는 전류 접지 뭉치(43)나 전자석(44)의 전체 직경의 각각 1/16이고, 전자석의 접지판(42) 또한 각각의 길이나 넓이가 전류 접지 뭉치(43)나 전자석(44)의 전체 직경에 각각 1/16씩으로, 접지부분이 접지할 시 전자석(44)이 기어(45)를 당겨 붙게 만들면서 전류 접지 뭉치 동축에 모든 것이 전달되어 캠, 전자석 기어 등이 함께 회전하는 전자석 크러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5. 제1항에 있어서, 나이프바디(하) 나사(32) 산과 나이프바디(상)의 나사(30) 산의 피치간의 간격을 달리 해서, 나이프 상하 조절 노브(31)를 360도 회전할 경우 나이프(35)의 높이 조절 제어시 1회전 당 0.25mm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6. 제1항에 있어서 캠박스(5)에 나이프 뭉치(4)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전후로 회전할 수 있어 캠박스 방향전환 고정 노브(11)의 노브를 풀고 조이면서 나이프를 교환하거나 교체시켜 주는 리벌버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KR1020040062204A 2004-08-06 2004-08-06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KR100573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204A KR100573222B1 (ko) 2004-08-06 2004-08-06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204A KR100573222B1 (ko) 2004-08-06 2004-08-06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299A true KR20060013299A (ko) 2006-02-09
KR100573222B1 KR100573222B1 (ko) 2006-04-24

Family

ID=3712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204A KR100573222B1 (ko) 2004-08-06 2004-08-06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22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561B1 (ko) * 2008-09-11 2011-01-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봉합기
US9675341B2 (en) 2010-11-09 2017-06-13 Ethicon Inc. Emergency self-retaining sutures and packaging
US10420546B2 (en) 2010-05-04 2019-09-24 Ethicon, Inc. Self-retaining systems having laser-cut retainers
US10441270B2 (en) 2008-11-03 2019-10-15 Ethicon, Inc. Length of self-retaining su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using the same
US10548592B2 (en) 2004-05-14 2020-02-04 Ethicon, Inc. Suture methods and devices
US11007296B2 (en) 2010-11-03 2021-05-18 Ethicon, Inc. Drug-eluting self-retaining sutur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11690614B2 (en) 2011-03-23 2023-07-04 Ethicon, Inc. Self-retaining variable loop sutur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3251B1 (fr) 1989-02-20 1994-03-04 Ethnor Suture chirurgicale, notamment pour fermeture de sternotomie
US6056778A (en) 1997-10-29 2000-05-02 Arthrex, Inc. Meniscal repair device
KR200320005Y1 (ko) 2003-03-10 2003-07-16 이원석 실의 표면에 가시돌기를 만든 의료용 실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8592B2 (en) 2004-05-14 2020-02-04 Ethicon, Inc. Suture methods and devices
US11723654B2 (en) 2004-05-14 2023-08-15 Ethicon, Inc. Suture methods and devices
US10779815B2 (en) 2004-05-14 2020-09-22 Ethicon, Inc. Suture methods and devices
US8172858B2 (en) 2008-09-11 2012-05-08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Suture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KR101006561B1 (ko) * 2008-09-11 2011-01-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봉합기
US11234689B2 (en) 2008-11-03 2022-02-01 Ethicon, Inc. Length of self-retaining su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using the same
US10441270B2 (en) 2008-11-03 2019-10-15 Ethicon, Inc. Length of self-retaining su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using the same
US10952721B2 (en) 2010-05-04 2021-03-23 Ethicon, Inc. Laser cutting system and methods for creating self-retaining sutures
US10420546B2 (en) 2010-05-04 2019-09-24 Ethicon, Inc. Self-retaining systems having laser-cut retainers
US11234692B2 (en) 2010-05-04 2022-02-01 Cilag Gmbh International Self-retaining system having laser-cut retainers
US11007296B2 (en) 2010-11-03 2021-05-18 Ethicon, Inc. Drug-eluting self-retaining sutur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9675341B2 (en) 2010-11-09 2017-06-13 Ethicon Inc. Emergency self-retaining sutures and packaging
US11690614B2 (en) 2011-03-23 2023-07-04 Ethicon, Inc. Self-retaining variable loop su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222B1 (ko) 200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222B1 (ko) 봉합사용 미늘 발생기
DE102007056132A1 (de) Nähmaschine
JP2007229444A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形成方法及びミシン
US9279204B2 (en) Embroidery cloth presser
DE112013000437B4 (de) Ladungsteilchenstrahl-Mikroskop, Probenhalter für ein Ladungsteilchenstrahl-Mikroskop und Ladungsteilchenstrahl-Mikroskopie
DE60214635T2 (de) Regeleinrichtung zur Behandlung eines Nadelfadens in einer Mehrnadeldoppelkettenstichnähmaschine
KR20160138351A (ko) 편성포의 인하장치
KR20100102072A (ko) 자수기, 누비기 및 재봉틀용 개별 피스 피드 장치와 이를 구비한 자수기, 누비기 또는 재봉틀, 및 자수될 개별 피스를 준비하여 개별 피스를 자수하는 방법
KR101541507B1 (ko) 봉합장치
DE102005026349B4 (de) Öffner für ein horizontal umlaufendes Schiffchen einer Nähmaschine und Reguliermethode hierfür
KR101364557B1 (ko) 환봉 재봉기의 재봉땀 건너뜀 장치
DE4228741A1 (de) Nadelstangen-antriebsvorrichtung
US5425320A (en) Needle guide components for a sewing machine
KR20020075716A (ko) 평편지의 링킹방법 및 평편지 링킹장치
DE202005010077U1 (de) Nähmaschine oder Antrieb-System für Nähmaschinen
US20050263054A1 (en) Flocking machine
WO2007010711A1 (ja) 刺繍ミシン
JP2004216018A (ja) ミシンの針板
JP5086730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2019017666A (ja) ミシン
EP1616982B1 (de) Maschinenbildungssystem und Platine für ein solches
DE2259059A1 (de) Gruppenstichnaehmaschine mit fadenabschneider und fadenfuehrung
DE2953743A1 (de)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rate reduction
DE105760C (ko)
JP2003320186A (ja) リンキングマ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