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861A -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861A
KR20060012861A KR1020040061561A KR20040061561A KR20060012861A KR 20060012861 A KR20060012861 A KR 20060012861A KR 1020040061561 A KR1020040061561 A KR 1020040061561A KR 20040061561 A KR20040061561 A KR 20040061561A KR 20060012861 A KR20060012861 A KR 20060012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slag
powder
agent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444B1 (ko
Inventor
김효수
강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석
Priority to KR102004006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44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4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applied in a physical form other than a solution or a grout, e.g. as granules or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슬래그와 석고를 투입하여 적정크기로 파쇄하는 원료파쇄단계와; 슬래그저장사이로(11), 석고저장사이로(12), 보조사이로(13), 언더사이즈사이로(14), 저장탱크(16)를 각각 구비하여, 이에 파쇄된 슬래그분말 및 파쇄된 석고분말, 원료 첨가제인 보조제, 발효부산물인 조립제를 각각 수납,구비하는 원료준비단계와; 저장탱크(16) 내의 조립제를 조절탱크(17)로 이송시키고 이에 물, 황산, 염산, 질산, 인산, 암모니아 등과 혼합하여 조립제의 수분, 점도, pH 등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슬래그분말 중량 5-95%와 석고분말 5-95%를 혼합기(15)에 투입한 후 이에 물, 희석된 조립제를 스프레이시키면서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기(15)에서 혼합된 원료를 조립기(18)에 투입하고, 이에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마그네사이트, 붕사 등의 보조제를 투입하며, 구형의 입자 형성을 위해 희석된 조립제를 원료분말에 스프레이시키는 단계와; 상기 조립기(18)에서 입상화된 토양개량제를 건조기(19)에 투입하여 100-350℃의 온도로 함수율 10% 이내로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토양개량제를 선별기에 투입하여 1-5㎜ 크기의 입자만 선별하고, 1㎜ 미만의 입자는 언더사이즈사이로(14)로 공급되며, 5㎜ 초과의 오버 사이즈(over size)는 파쇄기(25)에서 파쇄된 후 언더사이즈사이로(14)로 이송되어 조립기(18)로 재투입되는 단계와; 선별된 1-5㎜의 입자를 냉각기(21)로 이송시켜 5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토양개량제를 선별기(22)를 통과시켜 구매자가 요구하는 입자 크기로 선별하여 단위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을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슬래그와 석고를 일정비율 혼합하여 규산질 비료 효과와 석고 비료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간척지 논에서 규산을 추가로 공급할 필요가 없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발효부산물을 이용하여 입상화하여 취급과 살포가 매우 용이하며, 매립되거나 폐기되는 자원을 재활용하도록 하였다.
슬래그, 석고, 토양개량제, 보조제, 조립제, 혼합기, 조립기, 건조기, 선별기, 냉각기

Description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The method of granular a soil conditioner making from the by-product of slag and a gypsum}
도1 및 도2는 본 발명 슬래그 및 석고 파쇄공정을 보이는 개략적 도면들
도3 및 도4는 파쇄된 슬래그 및 석고를 이용하여 본 발명 입상 토양개량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보이는 개략적 도면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슬래그저장사이로 12 : 석고저장사이로
15 : 혼합기 18 : 조립기
19 : 건조기 20,22 : 선별기
21 : 냉각기
본 발명은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당한 크기로 분쇄된 슬래그와 건조된 석고를 분말 원료에 적정 비율의 발효부산물을 직접 스프레이하여 조립기의 회전력으로 응집을 촉진시켜 핵을 형성하며, 이러한 핵이 형성되어 그 표면에 분말이 접착되면서 혼합(Mixing)과 굴림현 상(Tumbling)으로 성장하여 구형의 Pellet을 만들어 건조, 냉각시켜 적당한 강도를 가진 입상형의 토양개량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서해안 간척지 토양은 pH가 7.0~9.0 정도로 높으며, 치환성 나트륨(Na+)함량이 9.0~15.0 cmol+ kg-1이고 마그네슘(Mg2+) 함량이 10 cmol+ kg-1 내외로서 그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아무런 조치 없이 작물을 재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이를 농경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토양에 존재하는 과다한 염을 제거하여야 한다(하호성 외5명. 2000. 석고??석탄회의 농업적 대량활용기술개발. 남해화학용역과제보고서). 비료 제조 공정의 부산물인 석고는 Ca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새로이 간척된 토양이나 알카리 토양에 대한 개량효과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또한, 간척지 논에 석고를 시용하고 충분한 제염을 하면 석고중의 Ca 이온이 물속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관개수중의 Na 이온과 치환하여 토양입자의 분산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황선웅 외4명. 1990. 볏짚 및 석고시용이 간척답 직파벼의 초기생육 장해에 미치는 영향. 한토비지 23(1):34~39).
간척논을 개량하기 위하여 ha 당 2~3톤의 석고 시용을 권장하고 있는데, 석고를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2003년에 신규로 석고비료로 등록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판매되는 석고비료는 분상형태이며 살포시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이 20%정도 함유하고 있어 기존의 살포기에 적합하지 않아 별도의 살포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석고비료 분말은 농민들이 사용 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쇄된 슬래그와 석고에 발효부산물인 조립제를 스프레이시켜 입상형의 토양개량제를 제조하도록 한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은, 슬래그와 석고를 투입하여 적정크기로 파쇄하는 원료파쇄단계와; 슬래그저장사이로, 석고저장사이로, 보조사이로, 언더사이즈사이로, 저장탱크를 각각 구비하여, 이에 파쇄된 슬래그분말 및 파쇄된 석고분말, 보조제, 조립제를 각각 수납,구비하는 원료준비단계와; 저장탱크 내의 조립제를 조절탱크로 이송시키고 이에 물, 황산, 염산, 질산, 인산, 암모니아 등과 혼합하여 조립제의 수분, 점도, pH 등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슬래그분말 중량 5-95%와 석고분말 5-95%를 혼합기에 투입한 후 이에 물, 희석된 조립제를 스프레이시키면서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기에서 혼합된 원료를 조립기에 투입하고, 이에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마그네사이트, 붕사 등의 보조제를 투입하며, 구형의 입자 형성을 위해 희석된 조립제를 원료분말에 스프레이시키는 단계와; 상기 조립기에서 입상화된 토양개량제를 건조기에 투입하여 100-350℃의 온도로 함수율 10% 이내로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토양개량제를 선별기에 투입하여 1-5㎜ 크기의 입자만 선별하고, 1㎜ 미만의 입자는 언더사이즈사이로로 공급되며, 5㎜ 초과의 오버 사이즈(over size)는 파쇄기에서 파쇄된 후 언더사이즈사이로로 이송되어 조립기로 재투입되는 단계와; 선별된 1-5㎜의 입자를 냉각기로 이송시켜 5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토양개량제를 선별기를 통과시켜 구매자가 요구하는 입자 크기로 선별하여 단위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원료파쇄단계가, 슬래그 또는 석고를 건조기에 별도로 투입하여 100-350℃로 가열하여 함수율 15% 이하로 유지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슬래그 또는 석고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4㎜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된 상기 슬래그 또는 석고를 선별기에 투입하여 4㎜ 이하의 원료는 저장사이로에 수납,저장하고, 4㎜ 초과의 큰 입자는 다시 분쇄기로 투입하며, 각 공정에서 발생된 미세분말은 포집하여 미분저장사이로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조립제가, 당밀 발효부산물, 제지슬러지, 셀룰로스, 식품공장오니류, 주정, 식물성 검(Gum), 젤라틴, 폴리비닐알코, 리그닌술폰산염류, 고분자 폴리머 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슬래그와 석고를 일정비율 혼합하여 규산질 비료 효과와 석고 비료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간척지 논에서 규산을 추가로 공급할 필요가 없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발효부산물을 이용하여 입상화하여 취급과 살포가 매우 용이하며, 매립되거나 폐기되는 자원을 이용함으로 재활용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슬래그 및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은, 슬래그와 석고를 투입하여 적정크기로 파쇄하는 원료파쇄단계와; 슬래그저장사이로(11), 석고저장사이로(12), 보조사이로(13), 언더사이즈사이로(14), 저장탱크(16)를 각각 구비하여, 이에 파쇄된 슬래그분말 및 파쇄된 석고분말, 원료 첨가제인 보조제, 발효부산물인 조립제를 각각 수납,구비하는 원료준비단계와; 저장탱크(16) 내의 조립제를 조절탱크(17)로 이송시키고 이에 물, 황산, 염산, 질산, 인산, 암모니아 등과 혼합하여 조립제의 수분, 점도, pH 등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슬래그분말 중량 5-95%와 석고분말 5-95%를 혼합기(15)에 투입한 후 이에 물, 희석된 조립제를 스프레이시키면서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기(15)에서 혼합된 원료를 조립기(18)에 투입하고, 이에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마그네사이트, 붕사 등의 보조제를 투입하며, 구형의 입자 형성을 위해 희석된 조립제를 원료분말에 스프레이시키는 단계와; 상기 조립기(18)에서 입상화된 토양개량제를 건조기(19)에 투입하여 100-350℃의 온도로 함수율 10% 이내로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토양개량제를 선별기에 투입하여 1-5㎜ 크기의 입자만 선별하고, 1㎜ 미만의 입자는 언더사이즈사이로(14)로 공급되며, 5㎜ 초과의 오버 사이즈(over size)는 파쇄기(25)에서 파쇄된 후 언더사이즈사이로(14)로 이송되어 조립기(18)로 재투입되는 단계와; 선별된 1-5㎜의 입자를 냉각기(21)로 이송시켜 5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토양개량제를 선별기(22)를 통과시켜 구매자가 요구하는 입자 크기로 선별하여 단위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바,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 슬래그 및 석고 파쇄공정을 보이는 개략적 도면들이고, 도3 및 도4는 파쇄된 슬래그 및 석고를 이용하여 본 발명 입상 토양개량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보이는 개략적 도면들이다.
이러한 슬래그 및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은, 원료 파쇄공정과 입상화 공정으로 대분된다.
먼저, 원료 파쇄 공정은 다음과 같다.
적재된 석고 또는 슬래그를 운반하여 원료투입구(11)에 투입하여 CONVEYOR BELT로 운반하여 건조기(12)에서 내부온도 100~350℃ 조건으로 함수율 15% 이내로 건조시킨다.
건조공정에는 회전식건조기(Rotary dryer), 밸트건조기(band dryer), 유동층건조기(Fluidized bed dryer)등 통상의 건조기로 건조할 수 있으나 회전식 건조기를 사용하면 대량 건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원료의 수분함량이 15% 이하 일 경우 건조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건조기(12)에서 함수율 15% 이내로 건조된 원료는 CONVEYOR BELT로 분쇄기(13)로 이송하여 분쇄한다.
분쇄과정은 로드밀, 핀밀, 함마밀 등 통상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4.0mm이하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며, 분쇄된 원료는 CONVEYOR BELT를 이용하여 선별기(14)로 이송되어 4.0mm 이상의 큰 입자는 다시 분쇄기(13)에 재투입하여 분쇄한다.
선별기(14)를 통과한 분말은 SCREW BELT를 이용하여 저장 SILO(15)에 저장한다. 이때 각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분말은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포집하여 선별기 를 통과한 분말과 혼합하여 저장 SILO(15)에 저장하거나 별도의 미분 저장 SILO(16)에 저장한다.
다음, 파쇄공정에서 적당하게 분쇄된 슬래그와 석고를 적당하게 혼합하여 입상화 시키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적당한 크기로 파쇄된 슬래그분말과 석고분말을 입상화 원료 슬래그 저장 SILO(11)와 석고 저장 SILO(12)에 이송한다. 이때 이송하는 방법은 통상의 CONVEYOR BELT, SCREW BELT 및 압축공기 등으로 이송할 수 있으나 미세먼지의 발생이 적고 경제적인 SCREW BELT를 이용한다.
원료 저장 SILO에 이송된 슬래그분말과 석고분말을 정량공급이 가능한 SCREW BELT를 이용하여 슬래그분말 5~95 중량% 및 석고분말 5~95% 비율로 혼합기(15)에 투입한다.
혼합기에서는 원료의 공극을 줄이기 위하여 물이나 조립제를 스프레이 시키면서 혼합 할 수 있다. 혼합기(15)에서 골고루 혼합 시킨 원료를 조립기(18)에 투입한다. 이때 제품의 성분을 보증할 경우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보조제를 혼합할 경우는 보조 SILO(13)에 별도로 저장한 후 조립기(18)에 투입한다.
여기서 보조제로는, 입상 토양개량제의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올라이트나 벤토나이트가 있으며, 입상 토양개량제에 마그네슘을 보조로 첨가하기 위한 마그네사이트, 붕소를 보조로 첨가하기 위한 붕사 등이 있으며, 제품의 성분을 적절히 조절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보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하게 조절된 발효부산물을 원료분말에 직접 스프레이시켜 조립기(18)를 회전시키면 조립제의 점결력과 굴림현상으로 인해 구형의 입자를 형성시킨다. 입상화 시킬 수 있는 조립장치로는 팬조립기, 교반조립기, 압출식 조립기, 역류식 강력믹서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입상 토양개량제의 조립제로 사용되는 발효부산물은 탱크롤리 차량으로 운송하여 저장탱크(16)에 저장하였다가 조절탱크(17)로 이송하여 물, 황산, 염산, 질산, 인산, 암모니아 등을 일정비율 혼합하여 수분, 점도, pH등을 조절한다. 특히 pH를 조절하기 위한 산성 물질로는 황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슬래그와 석고의 알카리 성분은 대부분 칼슘이기 때문에 염산이나 질산 등으로 중화시키면 가용성 염이 생겨 완제품의 수용성 염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황산이나 인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우리나라 토양이 인산 과다인 것을 고려하면, 황산으로 pH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제로 사용되는 발효부산물은 입상화 제품의 제조비용 및 붕괴성의 요구도에 따라 당밀 발효부산물, 제지슬러지, 셀룰로스, 식품공장오니류, 주정, 식물성 검(Gum), 젤라틴, 폴리비닐알콜 및 리그닌술폰산염류, 고분자 폴리머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조절탱크(17)에는 교반기(Agitator)가 장착되어 조립제가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조립기(18)에서 입상화 된 토양개량제는 건조기(19)로 이송되어 내부온도 100~350℃로 하여 함수율 10% 이내로 건조 시킨다. 건조공정에는 회전식건조기(Rotary dryer), 밸트건조기(band dryer), 유동층건조기(Fluidized bed dryer), 등 통상의 건조기로 건조할 수 있으나 회전식 건조기를 사용하면 회전하는 동안 입자 가 윤기가 있고 단단해지며 대량건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건조된 입상 토양개량제는 선별기(20)로 이송하여 1~5mm의 크기를 선별한다.
선별기에서 1mm이하 크기는 UNDER SIZE SILO(14)에 이송되고, 5mm 이상의 OVER SIZE는 파쇄기(25)에서 파쇄된 후 UNDER SIZE SILO에 이송되어 조립기에 재투입된다. 5mm이상 크기의 OVER SIZE를 파쇄하는 파쇄기(25)는 로드밀, 함마밀, 핀밀 등 통상의 파쇄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입자의 크기가 소형이므로 핀밀을 사용하여 파쇄하는것이 적당하다.
선별된 1~5mm의 입자는 냉각기(21)로 이송하여 50℃ 이하로 냉각시킨다. 냉각기(21)는 회전원통이나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하면서 냉수 또는 냉기와 접촉시키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회전원통식 냉각기를 사용하면 회전하는 동안 입자가 윤기가 있고 대량냉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온으로 냉각된 토양개량제는 선별기(22)를 이용하여 구매자가 요구하는 입자 크기로 선별하여 제품저장SILO(23,24)에 보관하여 20kg 단위로 포장하여 출하거나 포장하지 않고 출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적당하게 파쇄된 슬래그 분말 20 중량%, 석고 분말 중량 50%를 혼합기에서 골고루 혼합시킨 후 조립기에 투입하여 발효부산물 30 중량%를 스프레이시켜 입상화하고 건조기에 200℃ 로 건조한 후 1~5mm 의 입자를 선별하여 냉각시킨 후 비료 관리법에 의한 비료의 이화학적 검사방법으로 검사한 결과를 표4 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비료관리법상의 석고비료 공정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4> 입상 토양개량제 성분 함량
가용성규산 가용성석회 알카리분 구용성고토 pH 수분
9.1% 29.4% 39.1% 0.8% 5.8 5.8%
[실시예 2]
적당하게 파쇄된 슬래그 분말 60 중량%, 석고 분말 중량 10%를 혼합기에서 골고루 혼합시킨 후 조립기에 투입하여 발효부산물 30 중량%를 스프레이 시켜 입상화하고 건조기에 200℃ 로 건조한 후 1~5mm 의 입자를 선별하여 냉각시킨 후 비료관리법에 의한 비료의 이화학적 검사방법으로 검사한 결과를 표5 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비료관리법상의 규산질비료 공정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5> 입상 토양개량제 성분 함량
가용성규산 가용성석회 알카리분 구용성고토 pH 수분
25.3% 32.2% 40.7% 2.3% 8.8 2.8%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에 의하면, 슬래그와 석고를 일정비율 혼합하여 규산질 비료 효과와 석고 비료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간척지 논에서 규산을 추가로 공급할 필요가 없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발효부산물을 이용하여 입상화하여 취급과 살포가 매우 용이하며, 매립되거나 폐기되는 자원을 이용함으로 재활용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슬래그와 석고를 투입하여 적정크기로 파쇄하는 원료파쇄단계와;
    슬래그저장사이로(11), 석고저장사이로(12), 보조사이로(13), 언더사이즈사이로(14), 저장탱크(16)를 각각 구비하여, 이에 파쇄된 슬래그분말 및 파쇄된 석고분말, 원료 첨가제인 보조제, 발효부산물인 조립제를 각각 수납,구비하는 원료준비단계와;
    저장탱크(16) 내의 조립제를 조절탱크(17)로 이송시키고 이에 물, 황산, 염산, 질산, 인산, 암모니아 등과 혼합하여 조립제의 수분, 점도, pH 등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슬래그분말 중량 5-95%와 석고분말 5-95%를 혼합기(15)에 투입한 후 이에 물, 희석된 조립제를 스프레이시키면서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기(15)에서 혼합된 원료를 조립기(18)에 투입하고, 이에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마그네사이트, 붕사 등의 보조제를 투입하며, 구형의 입자 형성을 위해 희석된 조립제를 원료분말에 스프레이시키는 단계와;
    상기 조립기(18)에서 입상화된 토양개량제를 건조기(19)에 투입하여 100-350℃의 온도로 함수율 10% 이내로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상기 토양개량제를 선별기에 투입하여 1-5㎜ 크기의 입자만 선별하고, 1㎜ 미만의 입자는 언더사이즈사이로(14)로 공급되며, 5㎜ 초과의 오버 사이즈(over size)는 파쇄기()에서 파쇄된 후 언더사이즈사이로(14)로 이송되어 조립기 (18)로 재투입되는 단계와;
    선별된 1-5㎜의 입자를 냉각기로 이송시켜 5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토양개량제를 선별기(22)를 통과시켜 구매자가 요구하는 입자 크기로 선별하여 단위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파쇄단계가,
    슬래그 또는 석고를 건조기(2)에 별도로 투입하여 100-350℃로 가열하여 함수율 15% 이하로 유지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슬래그 또는 석고를 분쇄기(3)에 투입하여 4㎜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된 상기 슬래그 또는 석고를 선별기(4)에 투입하여 4㎜ 이하의 원료는 저장사이로(5)에 수납,저장하고, 4㎜ 초과의 큰 입자는 다시 분쇄기(3)로 투입하며, 각 공정에서 발생된 미세분말은 포집하여 미분저장사이로(6)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제가,
    제지슬러지, 셀룰로스, 식품공장오니류, 주정, 식물성 검(Gum), 젤라틴, 폴 리비닐알코, 리그닌술폰산염류, 고분자 폴리머 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KR1020040061561A 2004-08-05 2004-08-05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KR100608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561A KR100608444B1 (ko) 2004-08-05 2004-08-05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561A KR100608444B1 (ko) 2004-08-05 2004-08-05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861A true KR20060012861A (ko) 2006-02-09
KR100608444B1 KR100608444B1 (ko) 2006-08-02

Family

ID=3712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561A KR100608444B1 (ko) 2004-08-05 2004-08-05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4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38B1 (ko) * 2007-01-30 2008-05-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에서 메탄가스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토양에서 메탄가스 발생을저감하는 방법
CN101781564B (zh) * 2009-01-21 2011-06-08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利用菱镁尾矿的设施菜田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KR101214897B1 (ko) * 2011-11-24 2013-01-09 주식회사 부농 퇴비, 토양개량 및 비료 효과가 동시에 있는 종합 토양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6210A (ko) 2017-12-22 2019-07-02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케나프를 이용한 간척지의 개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781B1 (ko) * 2009-08-25 2012-03-30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규산 칼륨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220B1 (ko) * 1993-12-01 1996-05-11 쌍용양회공업주식회사 분말상 시멘트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6413291B1 (en) 1995-03-03 2002-07-02 Magic Green Corporation Soil conditioning agglomerates containing calcium
KR100301698B1 (ko) * 1999-03-03 2001-09-22 구자월 구형의 입상미량요소복합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38B1 (ko) * 2007-01-30 2008-05-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에서 메탄가스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토양에서 메탄가스 발생을저감하는 방법
CN101781564B (zh) * 2009-01-21 2011-06-08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利用菱镁尾矿的设施菜田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KR101214897B1 (ko) * 2011-11-24 2013-01-09 주식회사 부농 퇴비, 토양개량 및 비료 효과가 동시에 있는 종합 토양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6210A (ko) 2017-12-22 2019-07-02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케나프를 이용한 간척지의 개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444B1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8641B1 (en) Compacted polyhalite and potash mixture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3148685B1 (en) Pelletising a polyhalite mineral
US20220162133A1 (en) Polyhalite and potash granules
US4015973A (en) Limestone-expanding clay granules and method of making them
CA1124040A (en) Granulating
US20180237356A1 (en) Granular fertilizers comprising macronutrients and micronutrient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thereof
KR100608444B1 (ko) 슬래그와 석고를 이용한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Kibret et al. Pan pelletization of bone char fertilizer: An evaluation of process parameters and their effect on granule strength
RU2804199C1 (ru) Способ гранулирования высокоэффективного органоминерального удобрения биогумус
JP2019172561A (ja) 粒状肥料および粒状肥料の製造方法
PL236953B1 (pl) Sposób otrzymywania kompozycji nawozu wapnującego
JP2018100210A (ja) 粗粒畜ふん燃焼灰、その製造方法、粒状肥料の製造方法および混合肥料の製造方法
CN211226961U (zh) 一种聚谷氨酸复合肥生产系统
JP5057541B2 (ja) 粒状塩加の製造方法
KR20050105357A (ko) 발효부산물을 이용한 입상 석고비료 제조방법
CA3155332A1 (en) Composite fertiliser systems
RU227134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добрения
JP2024501044A (ja) 複合肥料ペレットの製造
PL236496B1 (pl) Sposób wytwarzania granulowanego nawozu gipsowego
CA3149116A1 (en) Polyhalite composite fertiliser pellet
GB2616186A (en) Composite fertiliser systems
JPH04317486A (ja) 有機質肥料の造粒方法
JPH04317485A (ja) 粒状肥料の造粒方法
PL241178B1 (pl) Kompozycja nawozu wieloskładnikowego w postaci granulek oraz sposób jej granulowania
EA044470B1 (ru) Гранулы полигалита и поташ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