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733A - 시트형 발열체 - Google Patents

시트형 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733A
KR20060012733A KR1020040061358A KR20040061358A KR20060012733A KR 20060012733 A KR20060012733 A KR 20060012733A KR 1020040061358 A KR1020040061358 A KR 1020040061358A KR 20040061358 A KR20040061358 A KR 20040061358A KR 20060012733 A KR20060012733 A KR 20060012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heating element
attached
breathabl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연
엄기안
김정태
안편노
최원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2733A/ko
Publication of KR2006001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241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hot packs, hot compresses, cooling pads, e.g. heaters or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44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being filled with a heat carrier
    • A61F2007/0269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being filled with a heat carrier with separable compartments, e.g. reconnec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트형 발열체는 발열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격자홈이 형성된 통기성시트와, 격자홈에 수용되는 발열조성물, 통기성시트의 하면에 부착되는 배면층과, 배면층의 하면에 부착되며 점착성을 갖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통기성시트와 배면층은 신축성을 갖는다.
발열체, 신축성, 굴절, 통기성, 점착제, 격자홈, 발열조성물

Description

시트형 발열체{Sheet typed heating e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 발열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시트형 발열체의 통기성시트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3은 종래기술의 시트형 발열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트형 발열체 110 : 통기성시트
111 : 격자홈 120 : 발열조성물
130 : 배면층 140 : 점착층
150 : 이형지 160 : 공기투과막
본 발명은 시트형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과 굴절성이 뛰어나고 발열조성물이 안정되게 유지되는 시트형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발열체는 상기 열에너지를 이용한 화학적 팩의 일종으로, 산화성 금속분말이 통기성 시트에 함유되어 공기와 접촉하면 열이 발생되어 적용 부위 및 목적에 다라 약 40 내지 80℃의 온도를 수 시간 동안 유지하기 때문에 의복 또는 피부에 부착하여 보온의 목적으로 몸의 일부분을 따뜻하게 유지하거나 통증 완화, 혈행 개선, 근육 이완, 찜질 등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자기발열체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조성물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기공을 갖는 통기성시트(3)와 배면층(4)의 사이에 삽입되어 밀봉되고, 이 시트는 공기가 통하지 않는 포장봉투(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진공상태로 밀봉된 구조를 갖는다. 필요에 따라서 배면층(4)의 외측에는 자기발열체(1)를 의복이나 신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 조성물(5)이 부착되고, 상기 점착 조성물(5)의 점착력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층(5) 위에 박리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포장봉투를 개봉하여 발열조성물이 내장된 시트를 꺼내면, 시트에 형성된 기공을 통해 투과되는 공기가 발열조성물과 접촉되면서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시트형 발열체는 사용이 간단하나, 발열이 진행될수록 발열조성물이 딱딱하게 경화됨과 아울러 자중에 의해 수시로 이동함으로써 의복에 대한 착용감이 감소하고 신체에 부착할 경우 신체가 움직이면서 발열체가 신체의 굴곡에 따라 늘어나거나 굴절되지 못하므로 부착 부위에서 쉽게 떨어지기 때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44351호, 제1991-0010137호, 미국특허 제6,146,732호, 제5,984,995호, 제5,975,074호, 제5,879,378호, 제5,366,492호 등에 서는 자기발열체를 제조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자기발열체의 제조에만 기술적 중심을 두고 있으며 인체나 의복에 적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82347호에서는 다수개의 셀을 형성하고 셀내에 발열조성물을 충진시켜 밀봉하며 저면에는 감압성 점착제가 부착됨으로써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 자기발열체를 제조함으로써 자기발열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피부에 대한 부착력을 개선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조성물을 감싸는 시트를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인체의 굴곡에 따라 굴절이 가능하여 구부림이 잦은 부위 등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는 시트형 발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에 발열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격자홈을 형성함으로써 발열조성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형 발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열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격자홈이 형성된 통기성시트와, 산화성 금속성 분말을 함유하고 격자홈에 수용되는 발열조성물, 상기 통기성시트의 하면에 부착되는 배면층과, 상기 배면층의 하면에 부착되며 점착성을 갖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발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기성시트와 배면층은 반드시 신축성을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 발열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형 발열체(100)는 통기성시트(110)를 포함한다.
상기 통기성시트(110)는 부직포, 직포, 천연 또는 합성고무, EVA폼, PE폼, 다공질 폴리우레탄, 라텍스, PET, PP, PVC, PS, PC, PET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통기성시트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미국공업규격(ASTM)방법으로 측정할 경우 신율은 70% 이상, M20은 50kgf/㎠이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율은 80% 이상, 인장강도는 30kgf/㎠이하인 것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약 신율이 70% 이하일 경우 시트형 발열체가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지 않고 굴곡부위에서 굴절이 불가능하여 구부림이 잦은 부위 등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부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인장강도가 50kgf/㎠을 초과할 경우 신율이 70% 이상이더라도 통기성시트가 늘어나는 데 소요되는 힘이 지나치게 크므로 인체에 부착하더라도 피부를 따라서 신장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통기성시트(110)는 시트의 제조공정 또는 시트 제조 후 가열, 진공, 또 는 형틀로 압착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격자홈(111)을 갖는다. 상기 격자홈(111)의 모양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 그 형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격자홈의 높이는 0.1 내지 50mm이고, 폭은 1 내지 100mm이며, 간격은 0.1 내지 50mm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수와 비율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된다.
또한, 상기 통기성시트에 통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시트를 형성할 때 연신하여 통기공을 형성하는 방법, 상기 시트로부터 특정 성분을 추출하여 통기공을 형성하는 방법, 시트를 형성한 후 펀칭이나 미세침 등에 의한 천공에 의해 기계적으로 통기공을 형성하는 방법, 추가적인 통기성 조절 필름이나 시트를 적층하는 방법, 격자홈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통기도를 조절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투과되는 양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며 투습도는 200g/㎡24hr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홈(111)에 소정량의 발열조성물(120)을 투여한다.
상기 발열조성물(120)은 그 원료로 통상적으로 알려진 모든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산화성 금속분말, 활성탄, 무기전해질 및 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산화성 금속분말로, 철분말, 아연분말, 알루미늄분말 또는 마그네슘뷴말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금속분말로 이루어지는 합금의 분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금속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안전성, 취급성, 가격, 보전성 및 안정성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때 철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원된 철분말, 분쇄된 철분말 및 전해된 철분말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피산화성 금속분말의 입도는 통상 60메시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메시 이하의 것이 50% 이상 포함된다.
상기 발열조성물의 배합비율은 시트(110)의 성상과 얻고자 하는 발열성능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예를 들어 피산화성 금속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의 활성탄과, 1.5~10중량부의 무기전해질과, 10~60중량부의 물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조성물(120)에는 시트형 발열체의 용도에 따라 진주암분말, 버미큐라이트, 고급수성수지 등의 보수제 또는 수소발생억제제 및 고결방지제 등을 적당히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성시트(110) 및 통기성시트의 격자홈에 투여된 발열조성물의 하면에는 배면층(130)을 부착한다.
상기 배면층(130)은 부직포, 직포, 천연 또는 합성고무, EVA폼, PE폼, 다공질 폴리우레탄, 라텍스, PET, PP, PVC, PS, PC, PET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열압착하거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통기성시트(110)에 부착한다.
상기 배면층도 통기성시트와 마찬가지로 미국공업규격(ASTM)방법으로 측정할 경우 신율은 70% 이상, M20은 50kgf/㎠ 이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율은 80% 이상, 인장강도는 30kgf/㎠ 이하인 것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배면층(130)의 하면에는 사용자의 의복이나 신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점착제(140)를 부착한다.
상기 점착제(140)로는 용제형 점착제, 유탁액형 점착제, 또는 핫멜트형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계 점착제, 아세트산비닐계 점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점착제, 폴리비닐아세틸계 점착제, 염화비닐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폴리에틸렌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폴리설파이드점착제 또는 핫멜트형 고분자물질을 함유하는 점착제를 그 사용 가능한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인체에 적용할 경우에는 피부점착성이 양호하고, 피부자극이 적으며, 온열이 인가되더라도 점착력의 저하가 적은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핫멜트형 고분자물질을 함유하는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140)는 습포제를 함유하거나 경피흡수성 약물을 함유 또는 담지하도록 하여, 온열이 인가될 때 신체에 습포효과나 약물에 의한 치료 또는 약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착제(140)에 경피흡수성의 약물을 배합함으로써, 신체의 국소 또는 전신치료효과를 향상시키거나 온열효과에 따른 활발한 혈액순환을 통해 약물을 신체 각 부위에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신체 각 부위의 약물 투여효과를 높인다.
상기 경피흡수성 약물로는, 예를 들어 피부자극제, 진통소염제, 중추신경작제(수면진정제, 항간질제, 정신신경용 약제), 이뇨제, 혈압강하제, 혈관확장제, 진 해거담제, 항히스타민제, 부정맥용약, 강심제, 부신피질 호르몬제, 국소마취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약물은 1종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140)의 하면에는 상기 시트형 발열체(100)를 사용할 때 제거되는 이형지(150)를 부착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발열체(100)는 공기가 통하지 않는 포장봉투(미도시)에 진공상태로 저장된다.
상기 시트형 발열체(10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포장봉투를 개봉하여 상기 시트형 발열체(100)를 꺼낸 후, 상기 이형지(150)를 떼어 낸 다음, 원하는 위치에 상기 시트형 발열체(100)를 붙힌다.
상기 시트형 발열체(100)는 포장봉투에서 꺼내질 때, 외부공기가 상기 통기성시트(110)를 통과하여 격자홈에 저장된 상기 발열조성물(120)과 접촉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시트형 발열체(100)는 상기 발열조성물(120)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통기성시트(110)와 배면층(130)이 적당한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굴곡이 있고 움직임이 잦은 신체부위에 부착하더라도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시트형(100)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통기성시트(110)가 다수의 격자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홈(111)에 상기 발열조성물(120)이 저장되기 때문에 상기 발열조성물(120)을 흐트러짐 없이 유지시킬 수 있다.
제조예 1
철분 50중량%, 활성탄 10중량%, 규조토 8중량%, 목분 5중량%, 염화나트륨 2중량%를 칭량하여 잘 혼합하고 물 25중량%를 가하여 혼합하여 공기 접촉으로 열이 발생하는 발열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통기성 시트(폴리우레탄 폼, 신율 100±7.5%, M20 0.52±0.03kgf/㎠, 두께 4mm)를 형틀로 열압착하여 깊이 3mm, 폭 20mm, 간격 3mm로 이루어진 20개의 정사각형의 격자홈을 형성한 다음, 제조예 1로부터 얻은 발열조성물을 충진한 후 배면층(폴리우레탄 폼, 신율 158±8.9%, M20 15.6±1.8kgf/㎠, 두께 0.3mm)으로 밀봉함으로써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통기성 시트(폴리우레탄 폼, 신율 189±9.6%, M20 15.3±0.88kgf/㎠, 두께 4mm)를 형틀로 열압착하여 깊이 3mm, 폭 20mm, 간격 3mm로 이루어진 20개의 정사각형의 격자홈을 형성한 다음, 제조예 1로부터 얻은 발열조성물을 충진한 후 배면층(폴리우레탄 폼, 신율 158±8.9%, M20 15.6±1.8kgf/㎠, 두께 0.3mm)으로 밀봉함으로써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통기성 시트(고무, 신율 188±5.9%, M20 3.58±0.09kgf/㎠, 두께 4mm)를 형틀로 열압착하여 깊이 3mm, 폭 20mm, 간격 3mm로 이루어진 20개의 정사각형의 격자홈을 형성한 다음, 제조예 1로부터 얻은 발열조성물을 충진한 후 배면층(고무, 신율 129±4.7%, M20 19.5±2.1kgf/㎠, 두께 0.3mm)으로 밀봉함으로써 시트형 발열체 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통기성 시트(EVA 폼, 신율 123±6.1%, M20 11.8±0.15kgf/㎠, 두께 5mm)를 형틀로 열압착하여 깊이 4mm, 지름 20mm, 간격 3mm로 이루어진 20개의 원형의 격자홈을 형성한 다음, 제조예 1로부터 얻은 발열조성물을 충진한 후 배면층(EVA, 신율 168±7.3%, M20 5.9±0.65kgf/㎠, 두께 0.3mm)으로 밀봉함으로써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통기성 시트(부직포, 신율 152±6.1%, M20 8.1±0.82kgf/㎠, 두께 3.5mm)를 형틀로 열압착하여 깊이 3mm, 가로 18mm, 세로 22mm, 간격 4mm로 이루어진 16개의 직사각형의 격자홈을 형성한 다음, 제조예 1로부터 얻은 발열조성물을 충진한 후 배면층(부직포, 신율 175±9.3%, M20 6.9±0.28kgf/㎠, 두께 0.3mm)으로 밀봉함으로써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및 7
미리 감압성 점착제인 폴리이소부틸렌 점착제 용액(National Starch사, Duro-Tak87-6430)을 이형지 위에 300㎛로 도포하여 70℃에서 10분간 건조시켜 만든 점착제를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시트형 발열체의 배면층의 저면에 전사하고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부착가능한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미리 피록시캄 0.4g을 1.8g의 디메틸술폭시드와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 테르 1.5g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에 0.3g의 라우르디에탄올아미드, 0.5g의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모노라우레이트를 가하고 잘 혼합한 후 이 혼합용액을 감압성 점착제인 폴리이소부틸렌 점착제 용액(National Starch사, Duro-Tak87-2852) 11g과 잘 혼합시키고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이형지 위에 400㎛로 도포하여 70℃에서 10분간 건조시켜 만든 점착제를 실시예 3으로부터 제조된 시트형 발열체의 배면층의 저면에 전사하고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피부에 부착가능한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미리 케토프로펜 0.8g을 1.0g의 에틸알콜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에 프로필렌글리콜 1.0g,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0.8g을 가하고 잘 혼합한 후 감압성 점착제인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Monsanto사, Gelva 1430) 12g과 잘 혼합시키고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이형지 위에 300㎛로 도포하여 70℃에서 10분간 건조시켜 만든 점착제를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시트형 발열체의 배면층의 저면에 전사하고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피부에 부착가능한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미리 케토롤락 0.5g을 2.0g의 에틸알콜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에 프로필렌글리콜 1.0g,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0.8g을 가하고 잘 혼합한 후 감압성 점착제인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Monsanto사, Gelva 730±Gelva 1430, 1:1혼합) 12g과 잘 혼합시키고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박리지 위에 350㎛로 도포하여 70℃에서 10분간 건조시켜 만든 점착제를 실시예 5로부터 제조된 시트형 발열체의 배면층의 저면에 전사하고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피부에 부착가능한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통기성 시트(폴리우레탄 폼, 신율 23±2.9%, M20 65.38±0.05kgf/㎠, 두께 4mm)를 형틀로 열압착하여 깊이 3mm, 폭 20mm, 간격 3mm로 이루어진 20개의 정사각형의 격자홈을 형성한 다음, 제조예 1로부터 얻은 발열조성물을 충진한 후 배면층(폴리우레탄 폼, 신율 28±5.6%, M20 57.8±11.2kgf/㎠, 두께 0.3mm)으로 밀봉함으로써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한 후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점착제를 배면층에 전사하여 비교예 1에 해당하는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통기성 시트(폴리우레탄 폼, 신율 189±9.6%, M20 15.3±0.88kgf/㎠, 두께 4mm)를 형틀로 열압착하여 깊이 3mm, 폭 100mm로 이루어진 1개의 정사각형의 격자홈을 형성한 다음, 제조예 1로부터 얻은 발열조성물을 충진한 후 배면층(폴리우레탄 폼, 신율 158±8.9%, M20 15.6±1.8kgf/㎠, 두께 0.3mm)으로 밀봉함으로써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한 후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점착제를 배면층에 전사하여 비교예 2에 해당하는 시트형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와 실시예 6 내지 10으로부터 제조한 시트형 발열체를 상대적으로 굴곡이 큰 부위로서 하박(팔뚝)과 상대적으로 평평한 배면(등)에 부착한 후 발열 중 부착성, 발열종료 후 유연성, 발열조성물의 치움침 그리고 피험자의 순응 도를 비교하였다.
Figure 112004034930254-PAT00001
1) 부착성
◎ : 잘 붙어 있음
O : 자기발열체 면적의 10% 미만 떨어짐
△ : 자기발열체 면적의 10% 이상 내지 30% 미만 떨어짐
× : 자기발열체 면적의 30% 이상 떨어짐
2) 치우침
◎ : 발열조성물의 중력에도 본래의 형태를 유지함
△ : 발열조성물의 일부가 중력으로 치우침
× : 발열조성물의 대부분이 중력으로 한쪽으로 치우침
3) 순응도
◎ : 거부감이 없고 움직임이 자연스러움
O : 거부감이 일부 느껴지고, 움직임이 약간 부자연스러움
△ : 거부감이 많이 느껴지고, 움직이면 일부분이 떨어짐
× : 거부감이 매우 심하며, 움직이면 30% 이상 떨어짐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시트형 발열체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시트형 발열체는 발열조성물을 담고 있는 시트가 적당한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굴곡이 있고 움직임이 잦은 신체 부위에 부착하더라도 쉽게 탈락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불편함을 덜 느끼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형 발열체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통기성시트가 다수의 격자홈을 형성하고, 발열조성물이 독립된 다수의 격자홈에 저장되기 때문에 발열체가 인체의 굴곡에 따라 굴절이 가능하고 발열조성물을 흐트러짐 없이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형 발열체는 점착제에 약물을 함유함으로써 신체의 일부나 전체에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격자홈이 형성된 통기성시트;
    상기 통기성시트의 격자홈에 격리되어 수용되며 산화성 금속성분말을 함유하는 발열조성물; 및
    상기 통기성시트의 하면에 부착되는 배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발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시트 또는 배면층의 신율이 70% 이상이고 M20이 50kgf/㎠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발열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조성물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격자홈의 높이는 0.1~50mm이고, 폭은 1~100mm이며, 간격은 0.1~50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발열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시트의 투습도는 200g/㎡24hr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발열체.
  5. 제1항에 있어서, 배면층의 저면에는 감압성 점착제가 부착되거나 약리활성물질이 함유된 점착성 매트릭스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발열체.
  6. 통기성시트를 가열, 진공 또는 압착하여 높이는 0.1~50mm이고, 폭은 1~100mm이며, 간격은 0.1~50mm로 이루어진 격자홈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홈에 산화성 금속분말이 함유된 발열조성물을 충진시켜 배면층으로 밀봉한 다음, 배면층의 저면에는 감압성 점착제 또는 약리활성물질이 함유된 점착성 매트릭스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발열체.
KR1020040061358A 2004-08-04 2004-08-04 시트형 발열체 KR20060012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358A KR20060012733A (ko) 2004-08-04 2004-08-04 시트형 발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358A KR20060012733A (ko) 2004-08-04 2004-08-04 시트형 발열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733A true KR20060012733A (ko) 2006-02-09

Family

ID=3712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358A KR20060012733A (ko) 2004-08-04 2004-08-04 시트형 발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27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2865A (zh) * 2018-12-27 2021-02-02 小林制药株式会社 鼻通气改善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2865A (zh) * 2018-12-27 2021-02-02 小林制药株式会社 鼻通气改善器具
CN112312865B (zh) * 2018-12-27 2023-12-05 小林制药株式会社 鼻通气改善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347B1 (ko) 시트상 자기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2392300B1 (en) Skin patch laminate body
JP4490971B2 (ja) 発熱体
WO2014003096A1 (ja) 発熱具
JP6750007B2 (ja) 発熱具
JPWO2006006664A1 (ja) 可撓性発熱体
JP2017523850A5 (ko)
JP2017523850A (ja) 自己発熱保温型フィルム並びに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フェイスマスク及びアイシート
WO2006006661A1 (ja) 発熱体、これを用いた保温方法及び型成形発熱用包材
JP2010214014A (ja) 皮膚貼付積層体
KR200478158Y1 (ko)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JP2826667B2 (ja) 吸汗性温熱体構造物
JP2007319359A (ja) 発熱体
WO2020137769A1 (ja) 発熱具
KR20060012733A (ko) 시트형 발열체
JP2011010877A (ja) 痔の予防または治療具、及び痔の予防または治療方法
US10993833B2 (en) Heat generator
WO2017042947A1 (ja) 発熱具
CN103232819B (zh) 粘贴制剂
JP3204312U (ja) 温熱体
WO2017191681A1 (ja) 発熱具
JP5354488B2 (ja) 発熱組成物の余剰水値の規定方法
CN208447921U (zh) 一种膏药外覆层
JP4636482B2 (ja) 温熱材
JP2568835Y2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