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318A -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318A
KR20060012318A KR1020057022547A KR20057022547A KR20060012318A KR 20060012318 A KR20060012318 A KR 20060012318A KR 1020057022547 A KR1020057022547 A KR 1020057022547A KR 20057022547 A KR20057022547 A KR 20057022547A KR 20060012318 A KR20060012318 A KR 2006001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electrical receptacle
pai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236B1 (ko
Inventor
마크 엠. 데이터
아빈드 파텔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1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정합 단자 핀을 수용하기 위한 전기 리셉터클 단자가 제공된다. 상기 단자는 전방 정합 단부와, 후방 종결 단부와, 상기 단부들 사이의 대체로 U형의 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부는 기부 벽과, 기부 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연속하는 중실 측벽과, 각각의 측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접촉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아암은, 접촉 아암의 쌍들 사이에 삽입된 단자 핀과 결합하는 U형 기부의 각각의 측부 상에 다수의 접점을 형성하는 대향 접점부를 갖는다.
전기 리셉터클 단자, 전방 정합 단부, 후방 종결 단부, 기부, 접촉 아암

Description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 {ELECTRICAL RECEPTACLE-TYPE TERMINAL}
본 발명은 대체로 전기 커넥터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정합 단자 핀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보통 금속 재료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도전성 단자를 장착하는 임의 형태의 절연성 또는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넥터는 그 자체가 플러그나 수형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리셉터클 또는 암형 커넥터일 수 있다. 단자는 매우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두 커넥터들이 결합될 때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단한 예로서, 커넥터들 중 하나는 다른 커넥터의 단자 핀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형 단자를 장착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가 계속적으로 점점 더 소형화됨에 따라, 커넥터의 단자는 더욱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자가 삽입될 때 상당한 좌굴 힘을 견딜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단자 핀 상에 충분한 수직 접촉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함이 여전히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단자에 사용되는 금속의 양도 상당하게 줄어들고 있다. 또한, 단자는 저항열의 다량 발생을 방지하도록 충분한 금속을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요구 조건들이 단자 크기의 계속 심화되는 소형화라는 상황하에서 리셉터 클형 단자 등의 전기 단자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당한 금속 부분을 갖는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매우 작지만 단자 핀에 양호한 수직 접촉력을 제공할 수 있는 리셉터클형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러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합 단자 핀을 수용하기 위한 새로운 그리고 개선된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단자는 긴 형상이며 전방 정합 단부와, 후방 종결 단부와, 이 단부들 사이에 대체로 U자형인 기부를 포함한다. 기부는 기부 벽과, 기부 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연속적이고 중실의 측벽을 갖는다. 접촉 아암은, 한 쌍의 접촉 아암 사이에 삽입된 단자 핀을 결합시키기 위해 U자형 기부의 각 면에 다중 접촉점을 형성하는 대향 접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U자형 기부의 각 측면 상의 각 쌍의 접촉 아암은 각각의 중실 측벽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에 의해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희생 접촉부가 접촉 아암보다 단자의 정합 단부에 더 가깝게 각각의 측벽 위에 배치된다. 핀이 접촉 아암에 도달하기 전에, 희생 접촉부가 삽입된 단자 핀과 결합된다. 접촉 아암들 사이에 단자 핀을 안내하기 위해, 확개된 마우쓰(flared mouth)가 희생 접촉부의 전방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단자의 전방 정합 단부는, 대체로 U자형인 기부의 기부 벽과 동일 공간에 있는 하부 벽과, 기부의 측벽과 동일 공간에 있는 한 쌍의 측벽과, 접촉 아암들 사이의 단자 핀을 안내하기 위한 플랫폼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상부 벽에 의해 형성되는 박스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르면, 박스형 지지 섹션이 접촉 아암 뒤에 위치되며, 대체로 U자형인 기부의 하부 벽과 동일 공간에 있는 하부 벽과, 기부의 측벽들과 동일 공간에 있는 한 쌍의 측벽과, 상부벽에 의해 형성된다. 지지 섹션의 측벽들은 기부의 각각의 대향 측면 상의 각 쌍의 접촉 아암들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 벽은 박스형 지지 섹션의 측벽의 상부 에지에서 내측으로 굴곡된 탭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된 도면과 연계한 이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신규한 것으로 믿어지는 본 발명의 특징이 특히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개시되어 있다. 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은,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연계한 이하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상을 구체화한 전기 리셉터클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2는 단자 핀이 삽입된 상태로, 적절한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된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안으로 삽입되어 단자의 희생 접촉부와 결합하는 단자 핀과 함께,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단자 핀을 리셉터클 단자 안에 완전 삽입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3과 유사한 도면이다.
더 상세하게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도1에서, 본 발명이 대체로 10으로 표시한 긴 형상의 전기 리셉터클 단자 내에 구체화되었다. 통상, 복수의 이러한 단자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단자 핀을 수용하기 위한 유전성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될 것이다. 더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의 그리고 청구범위에서의 "상향으로", "하향으로", "상부", "하부" 등은 사실상 어떤식으로든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도시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명료하고 간결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명백하게, 단자가 장착되는 커넥터 뿐만 아니라 단자 자체는 기능 및 용도 면에서 전방향성이다.
이를 이해하면서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단자(10)는 전방 정합 단부(12)와, 후방 종결 단부(14)와, 전방 정합 단부와 후방 종결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대체로 16으로 나타낸 대체로 U자형인 기부를 포함한다. 후방 종결 단부(14)는 외측 절연 커버 또는 피복에 의해 에워싸이는 중심 도체 또는 코어를 갖는 전기 배선을 종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따라서, 후방 종결 단부(14)는 전도체 또는 전기 와이어의 코어 상에 클램핑하기 위해 한 쌍의 크림프 아암(14a)을 포함한다. 크림프 아암(14b)의 두 번째 쌍은 변형을 줄이기 위해 와이어의 외부 절연부 상에 클램핑되도록 제공된다. 물론, 리셉터클 단자(10)는 단자가 접속될 적절한 전도체에 접속하도록 다양한 종결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U자형인 단자(10)의 기부(16)는 평평한 기부 벽(18) 및 평평한 기부 벽의 대향 에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측벽(20)을 포함한다. 측벽(20)은 강성 지지 구조물과 큰 금속 영역 모두를 제공하도록 중단되지 않거나, 연속적인 중실형이다. 한 쌍의 접촉 아암(22)은 각각의 측벽(20)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다. 접촉 아암은 각각의 쌍에서 슬롯(24)에 의해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자(10)는 전도성 시트 금속 재료로 스탬핑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돌출하는 접촉부(26)는 각각의 접촉 아암(22)으로부터 스탬핑되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접촉부(26)는 한 쌍의 접촉 아암(22) 사이에 삽입된 단자 핀을 결합하기 위해 U자형 기부(16)의 각각의 측면 상에 다수의 접점을 형성한다. 특히, 기부의 각각의 대향 측면 상에 2개의 접점을 제공하여 4개의 접점이 제공된다.
내향으로 돌출하는 희생 접점(28)은 접촉 아암(22)보다 정합 단부(12)에 더 인접한 각각의 측벽(20) 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희생 접점은 핀이 접촉 아암(22) 및 각각의 접촉부(26)에 도달하기 전에 삽입된 단자 핀과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단자 핀과 단자(10) 사이의 임의의 전기 아크는 희생 접점(28)에서 발생하여 단자에 생성된 임의의 코팅이 전기 전도성을 감소시키는 희생 접점(28)에 위치되거나, 아크 및 코팅이 접촉 아암(22)의 접점(26)에서 발생한다. 외향으로 확개된 부분(30)은 희생 접점(28) 사이의 단자 핀을 안내하도록 확개된 마우쓰(32)를 형성한다.
단자(10)의 전방 정합 단부(12)는 기부(16)의 측벽(20)과 동일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36)은 물론, 일반적으로 U자형인 기부(16)의 기부 벽(18)과 동일하게 연장되는 평평한 하부 벽(34)에 의해 형성된 박스형이다. 박스형 전방 정합 단부는 시임(38b)에서 접합하는 내향 굴곡 탭(38a)에 의해 형성된 상부 벽(38)을 포함한다. 상부 벽(38)은 희생 접점(28)들 사이, 그 후에 접촉 아암(22)의 접점(26)들 사이의 단자 핀을 안내하기 위한 플랫폼을 한정하도록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40으로 표시된 박스형 지지 섹션은 U자형 기부(16) 뒤에 위치된다. 지지 섹션(26)은 기부의 측벽(20)과 동일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44)은 물론, 일반적으로 U자형인 기부(16)의 기부 벽(18)과 동일하게 연장되는 평평한 하부 벽(32)을 포함한다. 지지 섹션(40)은 시임(46b)에서 만나는 한 쌍의 내향 굴곡 탭(46a)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벽(46)을 포함한다.
도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16)의 기부 벽(18), 정합 단부(12)의 하부 벽(34) 및 지지 섹션(40)의 하부 벽(42)은 동일하게 연장되거나, 단자(10)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일 벽으로 연속하여 진행한다. 유사하게, 기부(16)의 측벽(20), 정합 단부(12)의 측벽(36) 및 지지 섹션(40)의 측벽(44)은 단자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는 연속된 벽이다.
도2는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52로 표시된 유전성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50)에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삽입되는 단자(10)를 도시한다. 단자 핀(54)은 단자 핀이 희생 접촉부(28)를 관통하여 희생 접촉부(28) 내에 결합된 후에,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하우징 내의 확개된 개구를 통해 단자의 접촉 아암(22)의 접촉부(26)들 사이에 결합된다. 스탬핑되어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58)는 공동 내의 단자를 안정화시키도록 공동(50)의 측벽(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접촉한다. 경사진 탄성 래치 설 부(tongue)(60)는 U자형 기부(16)의 기부 벽(18)의 외부에 스탬핑되어 형성된다. 단자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공동 내에 삽입될 때, 탄성 래치 설부(60)는 눌려지고, 그 후에 단자의 전방 정합 단부(12)가 하우징의 내부 견부(64)에 대해 접촉하는 곳에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삽입된 위치로 단자를 로킹하도록 하우징(52) 상의 래치 견부(62)와 결합하도록 "스냅식으로" 분리된다.
도3은 단자 핀(54)이 초기에 리셉터클 단자(10)에 삽입되어, 단자 핀의 팁이 먼저 희생 접점(28)과 결합한다. 임의의 전기 아크가 단자 핀과 단자(10) 사이에서 발생될 경우, 아크는 이러한 희생 접점과의 초기 결합에 응답하여 발생할 것이다. 이때, 아크에 의해 발생하는 단자의 임의의 코팅은 이러한 희생 접점에서 절연되고, 주 접촉점(26)에 악영향은 주지 않을 것이다. 도4는 도2의 위치에 대응하는 단자(10) 내로 완전히 삽입된 단자 핀(54)을 도시한다. 단자 핀은 이제 희생 접점(28)은 물론, 접촉 아암(22)의 모든 다수의 접점(26)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이 설명될 것이다. 특히, 접촉 아암(28)들 사이의 슬롯(24)은 접촉 아암의 독립적인 이동을 위해 제공되고, 접점의 단자 핀(54)과의 독립적인 결합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추가의 제공은 단자 핀(54)과 단자(10) 사이의 우수한 전기 접속을 보장한다. 길고 연속적인 벽 수단은 기부(16), 정합 단부(12) 및 지지 섹션(40) 각각의 측벽(20, 36, 44)에 의해 슬롯(24) 아래에 제공된다. 이러한 크고 연속적인 측벽은 커넥터 하우징(52) 내에 삽입될 때 단자의 버클링을 방지하는 중요한 금속 및 구조물 지지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중요한 영역은 또한 전류 저항에 의한 과도한 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큰 전류를 흐를 수 있게 한 다. 이는 단자(10)가 전원 단자로 사용될 때 중요하다. 중요한 금속 영역 때문에 열은 쉽게 발산된다. 일반적으로 U자형인 기부(16)의 대향 단부의 박스형 정합 단부(12) 및 박스형 지지 섹션(40)은 단자에 큰 구조적 강성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기술 사상이나 주요 특징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 및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9)

  1. 정합 단자 핀을 수용하기 위한 전기 리셉터클 단자이며,
    전방 정합 단부와,
    후방 종결 단부와,
    상기 단부들 사이의 대체로 U형의 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는 기부 벽과, 기부 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연속하는 중실 측벽들과, 각각의 측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접촉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아암은, 접촉 아암의 쌍들 사이에 삽입된 단자 핀과 결합하기 위해 U형 기부의 각각의 측부 상에 다수의 접점을 형성한 대향 접점부를 구비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U형 기부의 각각의 측부 상의 각각의 쌍의 접촉 아암들은 각각의 중실 측벽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에 의해 분리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삽입된 단자 핀이 상기 접촉 아암에 도달하기 전에 삽입된 단자 핀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접촉 아암보다 단자의 정합 단부에 더 가까운 각각의 측벽 위의 희생 접점부를 포함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4. 제3항에 있어서, 그 사이로 단자 핀을 안내하기 위해 희생 접점부의 전방에 확개된 마우쓰를 포함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단자의 상기 전방 정합 단부는 상부 벽, 하부 벽 및 한 쌍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 박스 형상을 갖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정합 단부의 하부 벽은 상기 대체로 U형의 기부의 기부 벽과 동일한 공간에 있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정합 단부의 측벽들은 상기 대체로 U형의 기부의 측벽들과 동일한 공간에 있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정합 단부의 상부 벽은 상기 접촉 아암들 사이에 단자 핀을 안내하기 위한 플랫폼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아암의 뒤에 위치되고 상부 벽, 하부 벽 및 한 쌍의 측벽들을 형성하는 박스형 지지 섹션을 포함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지지 섹션의 하부 벽은 상기 대체로 U형의 기 부의 기부 벽과 동일한 공간에 있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지지 섹션의 측벽들은 상기 대체로 U형의 기부의 측벽들과 동일한 공간에 있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지지 섹션의 측벽들은 대체로 U형 기부의 각각의 대향 측부 상의 각각의 쌍의 접촉 아암들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지지 섹션의 상부 벽은 박스형 지지 섹션의 측벽의 상부 에지에서 내향으로 굴곡된 탭들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14. 정합 단자 핀을 수용하기 위한 전기 리셉터클 단자이며,
    전방 정합 단부와,
    후방 종결 단부와,
    상기 단부들 사이의 대체로 U형의 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는 기부 벽과, 기부 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연속하는 중실 측벽들과, 각각의 측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접촉 아암을 포함하고,
    U형 기부의 각각의 측부 상의 각각의 쌍의 접촉 아암들은 각각의 중실 측벽 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에 의해 분리되고,
    접촉 아암은 접촉 아암들의 쌍들 사이에 삽입된 단자 핀과 결합하기 위해 U형 기부의 각각의 측부 상에 다수의 접점을 형성하는 대향 접점부를 갖고,
    단자의 상기 전방 정합 단부는 상기 기부의 기부 벽과 동일 공간에 있는 하부 벽에 의해 형성되는 박스 형상부와, 상기 기부의 측벽들과 동일 공간에 있는 한 쌍의 측벽들과, 접촉 아암들 사이에 단자 핀을 안내하기 위한 플랫폼을 형성하도록 위치된 상부 벽을 구비하고,
    상기 기부는,
    기부의 기부 벽과 동일 공간에 있는 하부 벽과, 기부의 측벽들과 동일 공간에 있는 한 쌍의 측벽과, 상부 벽에 의해 형성되고 접촉 아암들의 뒤에 위치하는 박스형 지지 섹션을 더 포함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지지 섹션의 측벽들은 대체로 U형 기부의 각각의 대향 측부 상의 각각의 쌍의 접촉 아암들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16. 제14항에 있어서, 삽입된 단자 핀이 상기 접촉 아암에 도달하기 전에 삽입된 단자 핀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접촉 아암들보다 단자의 전방 정합 단부에 더 가까운 U형 기부의 각각의 측벽 위의 희생 접점부를 포함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17. 제16항에 있어서, 그 사이로 단자 핀을 안내하기 위해 희생 접점부의 전방에 확개된 마우쓰를 포함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18. 제14항에 있어서, 단자는 스템프 가공되고 도전성 시트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종결 단부는 전기 와이어 상으로 클램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크림프 아암의 쌍을 포함하는 전기 리셉터클 단자.
KR1020057022547A 2003-05-27 2004-05-25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 KR100689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45,864 2003-05-27
US10/445,864 US6811450B1 (en) 2003-05-27 2003-05-27 Electrical receptacle-typ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318A true KR20060012318A (ko) 2006-02-07
KR100689236B1 KR100689236B1 (ko) 2007-03-08

Family

ID=3329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547A KR100689236B1 (ko) 2003-05-27 2004-05-25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11450B1 (ko)
EP (1) EP1632010A1 (ko)
KR (1) KR100689236B1 (ko)
CN (1) CN100481627C (ko)
TW (1) TWI260828B (ko)
WO (1) WO20041075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798B1 (ko) * 2011-12-26 2014-08-06 주식회사 만도 전기 접속 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1591A1 (en) * 2006-03-24 2007-09-27 Yang-Yuan Hsu Wedged sliding trough structure
US7347738B2 (en) * 2006-04-13 2008-03-25 Delphi Technologies, Inc.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terminal therefor
CN2932717Y (zh) * 2006-08-01 2007-08-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550924B1 (ko) * 2009-05-19 2015-09-0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엘피퓨즈의 고정단자
CN102790308B (zh) * 2011-05-20 2015-08-1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
WO2013012887A2 (en) * 2011-07-19 2013-01-24 Molex Incorporated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with same
DE102012203990A1 (de) * 2012-03-14 2013-09-19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Kontaktelement, Steckergehäuse und Steckverbinder
JP2014049375A (ja) * 2012-09-03 2014-03-17 Yazaki Corp 接続端子
DE102014118688A1 (de) 2014-08-21 2016-02-25 Erni Production Gmbh & Co. Kg Kontaktelement und Steckverbinder
US9876292B1 (en) * 2016-03-14 2018-01-23 Etco, Inc. Bidirectional female quick disconnect electrical terminal
DE102016106717B4 (de) * 2016-04-12 2021-02-1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und Kontakteinrichtung mit solch einem Kontaktelement
JP7065061B2 (ja) * 2019-08-29 2022-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付き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TWI710178B (zh) * 2019-11-04 2020-11-11 大陸商東莞訊滔電子有限公司 電連接器
US11201427B2 (en) * 2020-01-28 2021-12-14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Socket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3351A (en) * 1961-04-10 1963-03-26 Jr Auker J Nielsen Electrical receptacle
NL127033C (ko) * 1964-10-08
DE8207036U1 (de) * 1982-03-12 1984-02-16 Ramel, Elisabeth, 8190 Wolfratshause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EP0121637B1 (fr) * 1983-04-12 1986-10-08 Société à Responsabilité Limitée L'ELECTRICFIL INDUSTRIE Embout droit de raccordement électrique
US4947115A (en) 1988-06-06 1990-08-07 The Siemon Company Test probe adapter
US5145422A (en) 1991-12-30 1992-09-08 Molex Incorporated Female electrical terminal with improved contact force
JP2723432B2 (ja) * 1992-11-12 1998-03-09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金具
GB9313652D0 (en) * 1993-07-02 1993-08-18 Amp Gmbh Electrical terminal with lead strain relief means
US5645459A (en) * 1994-03-16 1997-07-08 Burnd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female contact section having dual contact areas and stationary housing mounts
US6280250B1 (en) 1998-12-07 2001-08-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ing means
US6120333A (en) 1998-12-07 2000-09-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ing means
US6183309B1 (en) * 1999-04-26 2001-02-06 Thomas Shiaw-Cherng Chiang Molded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US6066007A (en) 1999-06-01 2000-05-23 Cvilux Corporation Terminal that can be positively secured in position and permits good electric conduction
US6464547B2 (en) 2000-02-18 2002-10-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pin contact and housing
FR2812130B1 (fr) * 2000-07-18 2003-01-24 Proner Comatel Sa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798B1 (ko) * 2011-12-26 2014-08-06 주식회사 만도 전기 접속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11450B1 (en) 2004-11-02
CN100481627C (zh) 2009-04-22
KR100689236B1 (ko) 2007-03-08
TWI260828B (en) 2006-08-21
EP1632010A1 (en) 2006-03-08
CN1795588A (zh) 2006-06-28
TW200511655A (en) 2005-03-16
WO2004107505A1 (en)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4907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ow profile
US6171126B1 (en) Battery receptacle connector
US11101602B2 (en) Connector system for accommodating either UTP or STP connection terminals
KR100689236B1 (ko)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
US20070161300A1 (en) Female terminal with guiding piece
KR20190108069A (ko) 연결 단자
US20060258212A1 (en) Power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CN101442159A (zh) 电连接器组件
US6319040B1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JP2602481B2 (ja) 端子ラッチ手段付き電気コネクタ−
CN106716728A (zh) 用于电连接器的端子
US8162679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JP3144830U (ja) 電気コネクタ
JPH04218274A (ja) 電気コネクターのターミナル
US6971923B1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organizer
US6508677B1 (en) Low profile modular jack
NO844310L (no) Elektrisk kontaktanordning.
KR20190108070A (ko) 연결 단자
JP3118719U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装置
US20050095902A1 (en) Connector assembly
US2009016307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lic shell
US6881092B2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 mechanism
CN113517584A (zh) 连接端子和连接器
KR100780735B1 (ko) 저가형 커넥터
CN220368176U (zh) 线缆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