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851A - 버스의 모듈식 공기 조화기용 증발기 섹션 - Google Patents

버스의 모듈식 공기 조화기용 증발기 섹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851A
KR20060011851A KR1020057020985A KR20057020985A KR20060011851A KR 20060011851 A KR20060011851 A KR 20060011851A KR 1020057020985 A KR1020057020985 A KR 1020057020985A KR 20057020985 A KR20057020985 A KR 20057020985A KR 20060011851 A KR20060011851 A KR 20060011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conditioning module
air conditioning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627B1 (ko
Inventor
페터 알. 부시넬
Original Assignee
캐리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34348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1185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캐리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1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버스 지붕에 부착되기 위한 모듈이 제공되며, 상기 모듈은 여객 공간으로부터의 복귀 공기를 조화시키고, 조화된 공기를 여객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모든 필요한 부품을 포함한다. 복수의 모듈은 버스에서 요구하는 총 용량을 종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관계로 지붕에 올려질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증발기 섹션, 응축기 섹션 및 압축기와 인버터를 포함하는 전원 섹션을 포함한다. 증발기 섹션은 다양한 형태의 버스에서 다양한 복귀 공기 덕트 설치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단일 설계물이 되도록 버스 지붕을 사실상 가로지르는 거리로 연장되는 복귀 공기 구획을 갖는다.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향된 축을 갖는 원심형 팬은 복귀 공기 유동을 수용하고 이를 공기 조화되어질 코일을 통해 송풍시킨다. 이러한 장치는 외기에 복귀 공기를 선택적으로 혼합하고, 혼합물은 증발기 코일을 통해 증발 송풍기에 의해 공급 공기 덕트를 통과하여 얻어진다.
버스 지붕, 공기 조화기, 복귀 공기, 외기, 증발기, 응축기

Description

버스의 모듈식 공기 조화기용 증발기 섹션{EVAPORATOR SECTION FOR A MODULAR BUS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공기 조화 시스템, 특히 버스 지붕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버스의 공기 조화에 대한 가장 통상적인 접근 방법은 그 지붕에 공기 조화부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동력에 관해서는 버스를 구동하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구동 엔진이 압축기와 구동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동 엔진 근처에 공기 조화 압축기를 위치시키는 것이 통상적인 실시이며, 이러한 압축기는 버스 지붕의 공기 조화 시스템과 상호 유체 연통된다. 물론, 이는 엔진 구획과 공기 조화 유닛 사이에 확장된 배관을 요구하여, 이에 따라 설치 및 유지비용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현존하는 시스템이 갖는 다른 문제는 압축기 구동 속도는 엔진이 구동되는 회전수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로써, 구동 엔진이 주차 구역에서 공회전 중에 있을 때, 압축기는 소정 온도의 공기 조화를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할 수도 있는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에서 필요한 성능을 얻기 위해 압축기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모터 구동식 압축기 시스템과 관련된 다른 문제는 개방 구동 압축기가, 모두 유지 보수에 대해 문제가 있는 샤프트 밀봉 및 기계적 클러치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또한, 버스에서는 DC 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DC 모터가 공기 조화 시스템에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DC 모터는 마모되어지는 브러쉬를 갖고, 브러쉬 없는 모터는 비교적 비싸기 때문에, AC 모터만큼 신뢰성이 없다.
상기한 문제 외에도, 다양한 버스 타입 및 적용례의 요구조건으로 인해, 다양한 요구 조건 및 차량 인터페이스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타입의 다양한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제조 및 설치비용과, 이러한 유닛들을 적절하게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한 유지비용이 비교적 높아진다.
통상적으로, 응축기 코일 및 팬은 버스 지붕의 중심선 근처에 위치되어 왔던 반면, 증발기 코일 및 팬은 지붕의 측면에 가까이 위치된다. 또한, 증발기 팬은 증발기 팬이 코일의 하류에 배치되며, 코일로부터 조화된(conditioned) 공기를 흡인하도록 작동되는 흡인-관통형(draw-through type)이다. 이것은 코일에서의 균일한 속도 분포를 제공하지만, 팬을 떠나서 이후 버스 덕트 시스템으로 밀려지게 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높은 제트 유동을 이끈다. 또한, 코일의 외측으로의 팬을 가질 것에 대한 요구로 인해, 코일을 다른 소정의 장소보다는 버스의 중심선에 더욱 향하게 위치시키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버스 지붕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의 모든 엔진 작동 속도에서 효과적이며, 동시에 큰 압축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버스 공기 조화 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조,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의 측방향 에지를 더욱 향하는 증발기 코일을 위치시키기 위한 버스 지붕 공기 조화 시스템의 증발기 섹션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사용에 있어서 효과적인 버스 지붕 공기 조화 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 다른 특성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결된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공기 조화 모듈은 모듈 내에 각각 위치된 응축기 코일, 증발기 코일 및 각각의 송풍기들과 조립되어, 표준화된 모듈이 버스의 복귀 공기 및 공급 덕트의 다양한 타입 및 위치와의 다양한 설치 인터페이스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복수의 모듈 각각은 버스의 종방향 중심선에 대해 중심에 있을 수 있는 관계로 설치되며, 버스의 폭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모듈의 개수 및 길이는 버스에서 요구되는 총 공기 조화 능력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각각의 모듈은 엔진 구동 발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인버터/제어기에 의해 전기 부품으로 제공되는 전력을 갖는 모든 필요한 부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증발 송풍기는, 복귀 공기 덕트로부터의 공기를 냉각되어질 코일을 통해 송풍시키도록, 증발기 코일의 내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모듈의 증발기 섹션은 버스의 폭 만큼 연장되어 복귀 공기 인터페이스 요구 조건의 다양한 크기 및 타입을 수용하는 복귀 공기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각각 모듈의 증발기 섹션은 각각 복귀 공기의 유입과 외기(fresh air)의 재보충을 수용하기 위해 두 가지 상이한 높이를 갖고, 팬을 통과하여 증발기 코일로 이동하는 각각의 양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혼합기를 포함한다.
이후 설명된 바와 같은 도면에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지만, 변경 또는 수정 구조물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에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버스 지붕에 설치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2는 상부 커버가 제거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내에 전기 및 냉매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4는 상기 모듈의 응축기 섹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5는 상기 모듈의 증발기 섹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6은 버스 지붕의 다른 타입에 적용된 증발기 섹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7은 버스 지붕의 다른 타입에 적용된 증발기 섹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8은 버스 지붕의 다른 타입에 적용된 증발기 섹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9는 다른 증발기 섹션의 상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라인 10-10을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11은 도9의 라인 11-11을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12는 증발기 섹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13은 도12의 라인 13-13을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2의 라인 14-14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
본 신규한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지붕(11)에 적용된 것으로 도1에 도면부호 10으로 도시된다. 전력은 라인(12)에 의해 모듈(10)에 제공되며, 상기 라인(12)은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은 버스 엔진(14)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13)로부터의 전력을 수용한다.
모듈(10) 내의 팬이 여객 공간(passenger compartment)으로부터의 복귀 공기를 공기 조화되고 있는 모듈(10) 내로 상승시키도록 유동시키고, 이후 조화된 공기를 여객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공급 공기 덕트로 유동하도록 하향 유동시킨다. 이들이 버스 지붕(11)과 인터페이스되는 다양한 구조물 및 방식이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2에서, 모듈(10)은 그 일단부에 부착된 증발기 섹션(17)과 타단부에 부착된 응축기 섹션(18)을 갖는 프레임(16)을 포함하도록 커버가 제거된 채로 도시된 다. 응축기 섹션(18) 근처에 있는 것은 압축기(21)와 인버터/제어기(22)를 포함한 전원 섹션(19)이다. 모듈(10)의 냉매 회로에 기동력을 제공하고 전기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은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증발기 섹션(17)은 증발기의 송풍 모터(24)를 갖는 증발 송풍기(23)와 증발기 코일(26)을 포함하는 각각의 유닛과 인접한 관계에 있는 한 쌍의 동일한 유닛을 포함한다. 요약하면, 증발 송풍기(23)는 버스의 여객 공간으로부터의 복귀 공기와 외부의 외기를 흡인하여, 조화되어질 증발기 코일(26)을 통해 상기 두 가지 공기를 혼합하고, 이후 공기는 공급 공기 덕트에 의해 여객 공간으로 되돌린다.
응축기 섹션(18) 내에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응축기 팬(27)과, 한 쌍의 응축기 코일(28, 29)이 제공된다. 요약하면, 응축기 팬은 진공 이하를 만들도록 공기를 상향으로 흡인하여, 외기가 코일(28, 29)을 통해 유동하는 냉매를 응축하도록 응축기 코일(28, 29)을 통해 유입시킨다. 이후, 이에 따른 데워진 공기는 팬(27)에 의해 대기로 상향 방출된다.
도3에서, 모듈(10)은 발전기(10) 및 구동 모터(14)와 라인(12)에 의해 전기 접속된 것이 도시된다. 인버터/제어기(22)는 발전기 또는 교류 발전기로부터의 AC 전력을 수용하고, 증발기의 송풍기 모터(24), 응축기 팬(27)의 구동 모터(31) 및 압축기(21)의 구동 모터(32)에 분리 제어된 AC 전력을 제공한다.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33으로 도시된 복수의 제어 센서는 다양한 구동 모터에 전달되는 AC 전력을 제어할 때 필요한 인버터/제어기(22)로의 피드백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회로는 냉매가 압축기(21)로부터 응축기(29), 팽창 밸브(34), 증발기(26) 및 최종적으로 압축기(21)로 되돌아오는 유동을 하는 폐쇄된 회로이다. 이는 종래의 방식으로 달성된다.
모듈(10)은 전기 라인(12)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외한, 모든 부품이 내장된 자급식(self-contained)이다. 도면부호 2 내지 6으로 도시된 다른 모듈은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한 방식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제어된다.
도4에 도시된 응축기 섹션(18)에서, 응축기 팬(27)에 의해 야기된 공기 유동이 화살표로 도시된다. 외기는 외기 입구 개구(36, 37)를 통해 흡인되어 각각의 응축기 코일(28, 29)을 통과하며, 도시된 바와 같은 응축기 팬(27)과 응축기 출구 공기 개구(38)를 통해 상향 유동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증발기 섹션(17) 내에, 상대적으로 데워진 복귀 공기가 여객 공간과 연통하는 복귀 공기 개구(도시 생략)로부터 상향 유동하여,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 섹션(17)의 복귀 공기실(39)로 유입한다. 증발 송풍기(23)는 복귀 공기를 상부에 있는 그 입구로 상향 유동시키고, 동시에, 외기는 이후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외기 플랩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공기 유동 흐름의 혼합은 증발 송풍기(23)의 입구로 들어가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이 증발기 코일(26)의 하류 및 상류로 유동하게 된다. 증발기 코일(26)을 통과한 후, 이는 만곡된 엔진 덮개(41)에 의해 유동을 여객 공간에 이르는 공기 공급 덕트로 하향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모듈이 작동 중 일 때, 여객 공간으로부터의 복귀 공기와, 여객 공간으로 되돌아오는 조화된 공기의 일정하고 연속적인 유동이 있게 된다. 외부로 방출되는 복귀 공기량과 외부로부터 순환되어지는 외기 량은 이후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외기 플랩의 선택적 이동에 의해 제어된다.
도6 내지 도8에는, 다양한 타입의 버스와, 그에 연결된 복귀 공기 및 공급 공기 개구를 갖는 합체된 모듈(10)의 설치물이 도시된다. 예로써, 도6에서, 버스 내에 존재하는 덕트 배관(ductwork)이 버스의 측면 근처에서 공기 공급 덕트(43, 44)와, 버스의 중심선 근처에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격된 복귀 공기 개구(46, 47)를 포함하는, 버스의 폭 방향 설치물이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복귀 공기 개구(46, 47)는 모듈(10)의 복귀 공기실(39)과 직접, 그러나 그 외단부 근처의 이 위치에서 연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7에, 공기 공급 덕트(48, 49)가 버스의 횡단방향 측면 근처에 있는 협소한 버스 설치물이 반복하여 도시된다. 그러나, 복귀 공기 덕트(48, 49)는 버스의 중심선에서 서로 접하고 있다. 또한, 복귀 공기 개구(51, 52)는 복귀 공기실(39)에서, 그러나 그 타단부에서 유체 연통한다.
마지막으로, 도8에, 공기 공급 덕트(53, 54)가 버스의 횡단 방향 측면들 근처에 있지만, 복귀 공기 개구(56, 57)는 중심선에 비교적 근접하게, 그러나 사실상 이격된 중간 위치에 있는 버스의 만곡된 상부가 다시 도시된다. 또한, 복귀 공기 개구(56, 57)는 복귀 공기실(39)과 유체 연통하지만, 그 두 개의 단부들 사이에 있다.
따라서, 모듈 자체의 변경 없이 다양한 설치 요건을 수용할 수 있는 동일한 모듈이 구성 및 설계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조화된 공기 방출 개구(40)는 다양한 공기 공급 덕트 배향을 수용하도록 충분히 크고 횡단 방향으로도 크며, 특히 중 요하게는 복귀 공기실(39)은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타입의 복귀 공기 개구 구성을 수용하도록 상대적으로 횡단 방향이 크다.
도9 내지 도11에, 버스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 관계에 있는 한 쌍의 동일한 유닛(62, 63)을 포함하는 다른 증발기 섹션이 도면부호 61로 도시된다. 각각 모터(67, 68)에 의해 구동되는 원심형 팬(64, 66)은 버스의 중심선 근처에 그리고 그 축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팬(64, 66)은 각각 증발기 코일(74, 76)에 이르는 비교적 짧은 디퓨저(72, 73)를 갖는 각각의 스크롤(69, 71)에 의해 둘러싸여 진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64, 66)은 각각 그 아래에 복귀 공기실(77, 78)을 제공하도록 상승되어 있다. 공기실(39)의 종방향 길이(L1)[즉, 공기실(39)이 버스의 폭 절반을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거리)는 복귀 공기 덕트(도6 내지 도8 참조)의 폭과, 유닛의 총 측방향 길이(L2)와 비교된다. 현재의 설계는 L1=595 mm 이다. 치수 L2는 특정 설치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점에 있어서, 치수, x는 복귀 공기실과 공급 공기 방출 개구 사이의 구조물의 측방향 단위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치수는 최소 130 mm로부터 최대 230 mm 까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공급 공기 방출 개구의 측방향 치수는 최소 60 mm로부터 최대 120 mm 까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측방향 길이(L2)는 785 mm로부터 945 mm 까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L1/L2 의 비율는 0.629 내지 0.758 mm 범위에 있다. 이러한 비교적 큰 비율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지붕 설치 요구에 대해 고유한 유닛을 사용하게 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복귀 공기실의 측방향 길이와 복귀 공기 개구의 측방향 폭의 비교에 있어서는 측방향 길이(L1)가 폭(w)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복귀 공기 개구의 폭(w)은 약 120 내지 450 mm이다. 상기 두 개의 비를 고려하면, 길이 595 mm는 복귀 공기 개구의 폭(w)에 대해 1.322 내지 1.983 배이다.
마지막으로, 길이(L1)와 버스의 폭 절반의 길이 비교하면, 전형적인 버스의 폭은 2150 mm의 폭이 되어, 전형적인 버스의 폭 절반에 대한 유닛 길이(L1)의 비는 약 0.553이 된다. 따라서, 길이(L1)는 버스의 폭 절반에 대해 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높이의 접근에서, 즉 복귀 공기실(77, 78)이 하나의 높이가되고, 팬(64, 68)이 높은 높이가 될 때, 복귀 공기는 복귀 공기실(77, 78)로 흡인되고, 각각 입구(79, 81)에 의해 팬(64, 66)에 유입된다. 이후, 공기는 두 번째 높이에 유지되고, 각각 코일(74, 76)을 향해 반경 방향의 외향으로 송풍된다.
원심형 팬(64, 66)은 수직 방향에서는 비교적 얕게 있으나, 지름은 비교적 크다. 구동 모터(67, 68)는 팬 위에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나, 팬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팬 로터는 후방으로 만곡되고, 반경방향 또는 전방으로 만곡된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다. 증발기 코일(74, 76) 외측에 위치된 것은 각각 만곡된 엔진 덮개(84, 86)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압력실(82, 83)이다. 압력실(82, 83)의 하류에는 각각 공급 공기 방출 개구(87, 88)가 있다.
도11에서, 복귀 공기는 우측에 화살표로 도시된다. 팬의 각각의 측면에서, 플랩과 연결된 외기 개구가 팬(66)으로 유입되기 전에 복귀 공기와 혼합되어지도록 복귀 공기실(78) 내로 대기의 외기를 도입하기 위해 제공된다. 외기 개구는 도면부호 89 및 91로, 플랩은 도면부호 92 및 93으로 각각 도시된다. 개구(89, 91)는 공기실(78)로의 복귀 공기 개구에 비해 비교적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는 흡인되어져서 팬을 통과하는 복귀 공기와 혼합되어지는 외기의 분량(fractional quantity)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플랩(92, 93)이 개방될 때, 복귀 공기 유동에 소량의 폐색이 있으나, 심지어 완전히 개방될 때에도 플랩(92, 93)은 복귀 공기 유동에 큰 폐색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작동에 있어서, 복귀 공기는 소정하는 만큼, 개구(89, 91)로 유입되어지는 외기의 분량이 공기실(78)로 유동한다. 이후, 공기의 혼합물은 팬(66)을 통과하며, 각각 스크롤(69, 71) 및 디퓨저(72, 73)를 통해 외향 유동된다. 증발기 코일(74, 76)을 통과한 후, 조화된 공기는 각각 압력실(82, 83)로 유동하고, 이후 여객 공간으로 방출되어지도록 공급 공기 방출 개구(87, 88)를 통해 유동한다.
고속 젯트 유동이 버스 공급 공기 덕트를 타격할 때, 냉각된 공기가 팬을 떠나는 종래의 흡인-관통(drawn-through)형 팬 시스템과 달리, 본 발명은 저속이지만 고압 유동을 압력실(82, 83)에 제공한다. 개구(87, 88)는 저속 유동과 낮은 손실의 이점을 취하기 위해 흡인-관통 팬용의 통상 개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협소하지만 공기가 통과되어 방출되는 비교적 장형 슬롯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12 내지 도14에서, 증발기 섹션의 다른 실시예는 유사한 관통 송풍 장치를 포함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판에 배치된 축을 구비한 팬을 갖는다. 스크롤 각각의 도면부호는 99 및 101이고, 디퓨저의 도면부호는 102 및 103이다. 증발기 코일(74, 76)의 배치는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하고, 압력실(82, 83)의 구조 및 기능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증발기 유닛의 높이 제한으로 인해, 팬(94, 96)의 지름은 수직 축 배향을 갖는 팬의 지름보다는 작아야 한다. 따라서, 전방으로 만곡된 송풍기 휠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은 공기가 팬의 양쪽 단부 모두로부터 유입할 수 있는 이중 입구 타입이다. 디퓨저(102, 103)는 수직 축 팬 사용에서 설명된 디퓨저와 비교할 때 비교적 길다.
또한, 복귀 공기실(104, 106)은 유닛의 낮은 높이에 제공되며, 팬(94, 96)은 공기를 수용하고 코일(74, 76)로 이를 외향 송풍하기 위한 제2 높이에 제공된다. 앞서 설명된 설계와 유사하게, 복귀 공기실(104, 106)은 종방향으로 확장되며, 수직 축 팬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은 사실상 동일한 상대 치수를 갖는다.
도14에서, 복귀 공기 유동은 모터(98)가 구동될 때 팬(96)의 각각의 단부에 유입되도록 유동할 때 우측의 화살표로 도시된다. 복귀 공기의 유동과 혼합되어질 외기 유입이 원활하도록, 외기 개구(107)와 그에 연결된 플랩(10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에 제공된다. 플랩(108)의 위치는 외기가 상기한 시스템 내로 들어오도록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다. 상기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플랩(108)이 완전 히 개방된 위치를 향해 이동될 때, 이는 외기 개구(107)를 모두 개방하며 시스템으로 들어오는 복귀 공기의 유동을 감소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그러나,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에도, 폐색되어진 복귀 공기 유동의 비유릉 비교적 적다.
작동에 있어서, 복귀 공기 및 외기는 두 개의 혼합물이 팬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는 두 개의 입구 개구로 상향 유동한 후, 낮은 복귀 공기실(106)로 들어간다. 이후, 팬(96)은 공기가 압력실(83)로 유입하여 방출된 후, 여객 공간으로 공기를 이송시키는 공급 공기 덕트로 비교적 고압과 저속의 냉각된 공기를 스크롤(101)과 디퓨저(103)로부터 증발기 코일(76)로 송풍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에서 구체적인 다양한 변화가 발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33)

  1. 여객 공간으로부터의 복귀 공기 유동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복귀 공기 개구와, 상기 여객 공간으로 조화된 공기 유동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급 공기 개구를 포함하는 타입의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이며,
    응축기 섹션과,
    증발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 섹션은 하나 이상의 응축기 코일과 그를 통해 주위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응축기 팬을 갖고,
    상기 증발기 섹션은 증발기 팬과 증발기 코일을 통해 복귀 공기 개구로부터 하나 이상의 공급 공기 개구에 복귀 공기를 연속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증발기 코일 및 하나 이상의 증발기 팬을 갖는 공기 조화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섹션은 증발기 섹션의 하부에 배치되고, 복귀 공기 개구로부터의 복귀 공기 유동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귀 공기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귀 공기실은 증발기 팬과 유체 연통되는 공기 조화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복귀 공기실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공기 조화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원심형인 공기 조화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수직 배향된 축을 갖는 공기 조화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형 팬은 하향으로 향한 입구를 갖고, 복귀 공기 구획에 인접한 공기 조화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팬과 증발기 코일 사이에 배치된 스크롤 및 디퓨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모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형 팬은 수평 배향된 축을 갖는 공기 조화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형 팬은 그 각각의 단부에 입구를 갖는 공기 조화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형 팬은 전방으로 만곡된 송풍기 휠을 갖는 공기 조화 모듈.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후방 만곡형인 공기 조화 모듈.
  12. 제5항에 있어서, 구동 모터가 팬 상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공기 조화 모듈.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공기실로 외기를 유체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외기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기 개구는 외기 입구 개구를 통해 유동하는 외기의 체적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합체된 플랩을 갖는 공기 조화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기 입구 개구는 각각 연결된 플랩을 갖고, 상기 팬의 대향측 상에 배치된 한 쌍의 외기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모듈.
  16. 프레임과,
    응축기 섹션과,
    증발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 섹션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한 쌍의 응축기 코일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인하고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응축기 코일 사이에 배치된 팬을 갖는 한 쌍의 응축기 코일을 갖고,
    상기 증발기 섹션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송풍기와 증발기 코일을 통해 버스의 여객 공간으로부터 공급 공기 덕트로, 그리고 여객 공간으로 복귀 공기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팬을 갖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섹션의 하부에 배치되고, 복귀 공기 개구로부터의 복귀 공기 유동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 팬과 유체 연통하는 복귀 공기실을 포함하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복귀 공기실 상에 직접 배치되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원심형인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형 팬은 수직 배향된 축을 갖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하향으로 향한 입구를 갖고, 상기 복귀 공기실에 인접한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팬과 코일 사이에 배치된 스크롤 및 디퓨저를 포함하 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형 팬은 수평 배향된 축을 갖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형 팬은 각각의 단부에 입구를 갖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형 팬은 전방 만곡된 송풍기 휠을 갖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후방으로 만곡된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팬 상에 배치되며, 팬을 구동하기 위해 작동식으로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공기실로 외기를 유체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외기 입구를 갖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기 입구를 통해 유동의 체적을 선택적 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결합식 플랩을 포함하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기 입구 개구는 각각이 합체된 플랩을 갖고, 상기 팬의 대향측 상에 배치된 한 쌍의 외기 입구 개구를 포함하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3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코일, 증발기 코일, 압축기 및 팽창 밸브 중 하나를 포함하는 냉매 회로를 포함하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 팬을 위해 압축기에 그리고 구동 모터에 전기 접속된 인버터를 포함하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3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팬 및 증발기 코일의 각각 절반이 서로 인접 연결된 두 개의 동일한 반쪽을 포함하는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KR1020057020985A 2003-05-05 2004-04-26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KR100718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942303A 2003-05-05 2003-05-05
US10/429,423 2003-05-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851A true KR20060011851A (ko) 2006-02-03
KR100718627B1 KR100718627B1 (ko) 2007-05-16

Family

ID=3343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985A KR100718627B1 (ko) 2003-05-05 2004-04-26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1620278B2 (ko)
JP (1) JP2006525182A (ko)
KR (1) KR100718627B1 (ko)
CN (1) CN1819931A (ko)
AT (1) ATE364517T1 (ko)
BR (1) BRPI0410001B1 (ko)
CA (1) CA2524202C (ko)
DE (1) DE602004006988T3 (ko)
ES (1) ES2286653T5 (ko)
HK (1) HK1079740A1 (ko)
MX (1) MXPA05011906A (ko)
MY (1) MY137074A (ko)
WO (1) WO20040989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47B1 (ko) * 2007-10-12 2009-06-04 두원중공업(주) 버스에어컨용 응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8890C5 (de) * 2005-06-22 2013-09-19 Spheros Gmbh Klimatisierungs-Dachmodul
CN102159411A (zh) 2008-09-17 2011-08-17 开利公司 电动运输制冷单元
CN102126410A (zh) * 2011-01-13 2011-07-20 珠海银通新动力科技有限公司 车用空调系统
CN102848998A (zh) * 2011-06-30 2013-01-02 珠海银通新能源有限公司 车载空调系统
CN102980286B (zh) * 2011-09-05 2015-03-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空调器及其壳体
DE102015118557A1 (de) 2015-10-30 2017-05-04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Aufdachklimaanlage
DE202015105776U1 (de) 2015-10-30 2015-11-12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Aufdachklimaanlage
JP2017140911A (ja) * 2016-02-09 2017-08-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616A (en) * 1983-12-20 1987-07-14 Suetrak U.S.A., Inc. Roof-mounted air conditioner system having modular evaporator and condensor units
DE4435292C5 (de) 1994-10-01 2005-06-23 Carrier Sütrak GmbH Klimagerät
CA2215458A1 (en) * 1997-09-15 1999-03-15 Gunnar Mannerheim Air conditioner unit for mounting within the roof of a vehicle
DE19913776A1 (de) * 1999-03-26 2000-09-28 Hagenuk Faiveley Gmbh & Co Klimaanlage für umbaute Räume
DE10062686B4 (de) * 2000-12-15 2004-08-12 Konvekta Ag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Omnibus
KR100391469B1 (ko) * 2001-07-04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장진단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히터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47B1 (ko) * 2007-10-12 2009-06-04 두원중공업(주) 버스에어컨용 응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4202A1 (en) 2004-11-18
EP1620278B1 (en) 2007-06-13
JP2006525182A (ja) 2006-11-09
MY137074A (en) 2008-12-31
HK1079740A1 (en) 2006-04-13
MXPA05011906A (es) 2006-02-17
DE602004006988T2 (de) 2008-02-21
ES2286653T5 (es) 2011-10-20
BRPI0410001A (pt) 2006-04-25
EP1620278B2 (en) 2011-05-11
CN1819931A (zh) 2006-08-16
WO2004098928A1 (en) 2004-11-18
KR100718627B1 (ko) 2007-05-16
DE602004006988D1 (de) 2007-07-26
DE602004006988T3 (de) 2012-03-15
BRPI0410001B1 (pt) 2013-04-02
ES2286653T3 (es) 2007-12-01
ATE364517T1 (de) 2007-07-15
CA2524202C (en) 2012-08-14
EP1620278A1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3669B1 (en) Modular air conditioner for a bus rooftop
JP2006525181A (ja) バス空調機用の給気ダクト装置
KR100718630B1 (ko) 버스 공기 조화 시스템 및 버스 공기 조화 모듈 제공 방법
US6761038B1 (en) Modular air conditioner for a bus
KR100718627B1 (ko) 버스 지붕 공기 조화 모듈
US6925827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ing module for a bus
US6745587B1 (en) Integrated air conditioning module for a bus
IL126229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