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205A - 키 인식장치 및 키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키 인식장치 및 키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205A
KR20060011205A KR1020040059909A KR20040059909A KR20060011205A KR 20060011205 A KR20060011205 A KR 20060011205A KR 1020040059909 A KR1020040059909 A KR 1020040059909A KR 20040059909 A KR20040059909 A KR 20040059909A KR 20060011205 A KR20060011205 A KR 20060011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ush
recognition
key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1205A/ko
Publication of KR2006001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입력 키를 가지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레벨을 통해 키 입력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키 인식장치는,
각각의 키 스위치 누름시 마다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키 전압 발생부와; 상기 키 전압 레벨을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와; 클럭 펄스를 하나의 범용핀(GPIO)을 통해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로 출력하고 그 클럭 출력에 동기하여 순차 출력되는 상기 누름 키 데이터를 입력하여 누름 키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범용핀, 키 인식, 키 전압.

Description

키 인식장치 및 키 인식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 INPUT KEY}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매트릭스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키 인식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어부(300)의 키 인식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키 인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예시도.
본 발명은 전자식 입력 키를 가지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레벨을 통해 키 입력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 매트릭스 회로를 가지는 단말기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통화키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지원 기능에 따라 다수의 기능키들이 부가되어 있는 키패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패드에 구비된 각종 키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키 매트릭스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키 매트릭스 회로를 구성하는 열 급전선과 행 급전선은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제어부(MSM 칩)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과 범용(GPIO)핀(KEY_SEN6∼KEY_SEN11)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키 매트릭스 구조에서 키의 수가 늘면 그에 따라 범용(GPIO)핀의 수를 늘려 키 입력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는 카메라 기능, TV 수신 기능, 캠코더 기능과 같은 여러 가지의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이 새로이 부가될수록 각 기능을 선택 실행시키기 위한 키가 필요함에 따라 그 키 인식을 위한 범용핀(GPIO)의 사용도 늘어나야 한다.
그러나 MSM칩에 구비된 범용핀(GPIO)의 자원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기능 추가에 따라 새로운 범용핀을 무작정 할당하여 줄 수만은 없다. 이에 기존에 키 인식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범용핀(KEY_SEN6∼KEY_SEN11)의 수를 줄이고서도 모든 키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면 그 만큼 여유분의 범용핀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핀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범용핀(GPIO) 활용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하나의 범용핀(GPIO)만을 할당하여 모든 키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키 인식장치 및 그 방 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키 스위치 누름시 마다 서로 다른 레벨의 키전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모든 키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키 인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 장치는,
각각의 키 스위치 누름시 마다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키 전압 발생부와;
상기 키 전압 레벨을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와;
클럭 펄스를 하나의 범용핀(GPIO)을 통해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로 출력하고 그 클럭 출력에 동기하여 순차 출력되는 상기 누름 키 데이터를 입력하여 누름 키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키 인식장치에서 상기 키 전압 발생부는 동작전원(V_DD ) 공급단과 일측이 접속되어지는 다수의 키 스위치들과;
상기 키 스위치 각각의 타측과 접지저항(R_s)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전원을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으로 분압하기 위한 저항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키 전압 레벨을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와, 상기 누름 키 데이터를 상기 입력 클럭에 동기시 켜 순차적으로 쉬프트 출력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키 인식장치에서는 키 스위치 누름시 마다 서로 다른 레벨로 발생되는 키 전압이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누름 키 데이터가 제어부의 범용핀(GPIO)으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펄스에 동기되어 상기 제어부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어부는 하나의 범용핀(GPIO)과 소수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만을 이용하여 입력 키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 인식장치는 소수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과 하나의 범용핀(GPIO)만을 키 인식에 활용하기 때문에 종전의 키 매트릭스 회로를 이용하는 단말기에 비해 범용핀(GPIO)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키 인식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장치는 크게 키 전압 발생부(100)와,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키 전압 발생부(100)는 각각의 키 스위치 누름시 마다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을 발생한다. 이러한 키 전압 발생부(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전원(
Figure 112004034102918-PAT00001
) 공급단과 일측이 접속되어지는 다수의 키 스위치들(S1∼Sn)과, 상기 키 스위치(S1∼Sn) 각각의 타측과 접지저항(
Figure 112004034102918-PAT00002
)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전원(
Figure 112004034102918-PAT00003
)을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으로 분압하기 위한 저항들(R1∼Rn)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들 R1∼Rn은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서로 다른 저항치를 갖는다.
한편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는 상기 키 전압 발생부(100)에서 발생된 키 전압 레벨을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 전압 레벨을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210)와, 상기 누름 키 데이터를 입력 클럭(CLK)에 동기시켜 순차적으로 쉬프트 출력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220)로 구현 가능하다.
즉,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는 상기 키 전압 발생부(100)에서 발생된 키 전압 레벨에 대응하는 누름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이를 후술하는 제어부(300)에서 출력되는 클럭 펄스에 동기시켜 출력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300)는 키 인터럽트 신호 입력시에 클럭 펄스를 발생하여 하나의 범용핀(GPIO)을 통해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로 출력한다. 그리고 클럭(CLK) 입력에 따라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로부터 순차 출력되는 누름 키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를 인식한다. 인식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누름 키 데이터에 누름 키 비트 정보("0")의 포함여부를 체크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한 제어부(300)에서 실행 가능한 키 인식 흐름도를 도시한 도 4,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예시도를 도시한 도 5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 키 인식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인식장치인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도 3에 도시한 키 스위치 1을 눌렀다고 가정하면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에는 저항 R1과 접지저항 R_S에 의해 분압된 키 전압(
Figure 112004034102918-PAT00004
)이 인가된다. 이러한 키 전압은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의 A/D 컨버터(210)에 의해서 약정된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되어 쉬프트 레지스터(220)로 인가된다. 키 입력 이전에 하이 임피던스 출력을 유지하던 쉬프트 레지스터(220)는 상기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 입력으로 "로우" 레벨의 키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A/D 컨버터(210)로부터 출력되는 누름 키 데이터의 비트 수는 앞단에 접속되는 키 스위치와 동수로서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와 같이 앞단에 접속되는 키 스위치(S1∼Sn)가 n개이면 n비트로 누름 키 데이터를 구성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앞단에 접속되는 키 스위치가 3개이면 3비트로 누름 키 데이터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앞단에 접속되는 키 스위치와 동수로서 누름 키 데이터의 총 비트수를 설정하면, 키 스위치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키 전압 레벨로서 눌려진 키의 위 치를 구분하고, 단순히 그 눌려진 키 스위치에 대응하는 자릿수의 비트정보만을 타 자릿수의 비트정보와 차별화 출력함으로서 용이하게 누름 키의 위치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눌려진 키 스위치에 대응하는 자릿수의 비트정보를 "0"으로 설정하고 이를 누름 키 비트정보로 명명하기로 하며, 나머지 자릿수의 비트정보는 "1"을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정에 따를 경우 키 스위치 1(S1)이 눌려지면 A/D 컨버터(210)에서는 "0111...1"과 같은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가 발생되며, 키 스위치 2(S2)를 누르면 "1011...1"의 누름 키 데이터가, 키 스위치 n(Sn)을 누르면 "1111...0"의 누름 키 데이터가 각각 발생되어 쉬프트 레지스터(220)로 인가된다. 이와 같은 누름 키 데이터의 펄스 타이밍도가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a),(b),(c) 각각은 예시한 키 스위치 1,2,n이 눌려진 경우의 펄스 타이밍도로서, 예시한 각각의 펄스 타이밍도는 후술하는 클럭(CLK) 펄스에 동기되어 제어부(300)로 인가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에서 발생된 키 인터럽트 신호는 제어부(300)로 인가된다.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400단계), 제어부(300)는 키 인식구간 동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기(T)의 클럭(CLK) 펄스를 범용핀(GPIO)을 통해 출력(410단계)한다. 상기 키 인식구간은 키 스위치와 동수의 클럭 펄스 주기로 설정된다. 이는 상기 키 인식구간동안 키 스위치와 동수의 클럭 펄스가 출력되는 것으로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나의 범용핀(GPIO)을 통해 출력되는 클럭(CLK) 펄스는 누름 키 데이터 변 환부(200)의 쉬프트 레지스터(220)에 인가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220)는 입력되는 클럭(CLK) 펄스에 동기시켜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를 시리얼하게 순차 출력함으로서, 제어부(300)는 하나의 키 인식핀(Key_Sense0/ ∼ Key_Sense4/중 어느 하나)을 통해 입력되는 누름 키 데이터를 검색하여 누름 키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키 인식구간 동안 하나의 키 인식핀을 통해 입력되는 누름 키 데이터에 누름 키 비트정보("0")가 입력되는가를 검사(420단계)한다. 검사결과 논리 레벨 "0"인 누름 키 비트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300)는 그 누름 키 비트정보가 몇 번째 클럭 펄스에 동기되어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함으로서 눌려진 키 스위치를 인식(430단계)할 수 있다. 키 스위치 인식결과로서 제어부(300)는 표시부상에 소정의 키 넘버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키 인식구간 동안 키 인식이 완료되면 제어부(300)는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의 쉬프트 레지스터(220) 출력을 클리어시키기 위한 클리어 펄스를 출력(450단계)하고 460단계로 진행한다. 46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키 인식 종료 상태로 판명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 루틴을 종료하지만, 키 인식 종료 상태가 아니면 다시 400단계로 진행하여 또 다른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키 인식 종료 상태라 함은 폴더를 닫힘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키 입력 없이 설정 시간이 초과된 경우, 파워 오프 상태 등을 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 스위치 누름시 마다 서로 다른 레벨로 발생되는 키 전압이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200)에 의해 n비트의 누름 키 데 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누름 키 데이터가 제어부(300)의 범용핀(GPIO)으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펄스에 동기되어 상기 제어부(300)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어부(300)는 하나의 범용핀(GPIO)과 소수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만을 이용하여 입력 키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 인식장치는 소수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과 하나의 범용핀(GPIO)만을 키 인식에 활용하기 때문에 종전의 키 매트릭스 회로를 이용하는 단말기에 비해 범용핀(GPIO)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장치의 구성이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러한 키 인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펄스 타이밍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인식장치에는 다수의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 출력이 제어부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누름키 데이터 변환부 앞단에 위치하는 키 전압 발생부 역시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의 수와 동수로 존재하며, 각각의 키 전압 발생부에는 3개의 키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키 인식장치에서도 역시 키 전압 발생부들 각각은 접속되어 있는 각 키 스위치(S1∼S15) 누름시 마다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을 발생하며, 각각의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는 대응하는 키 전압 발생부 각각에서 발생된 키 전압 레벨을 3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MSM으로 구현 가능한 제어부는 하나의 범용핀(GPIO)을 통해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 각각으로 클럭 펄스를 출력하고, 그 클럭 출력에 동기하여 각각의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순차 출력되는 누름 키 데이터를 서로 다른 경로(KEY_SEN0/∼KEY_SEN4/)로 입력받아 누름 키를 인식한다.
이러한 제어부의 누름 키 인식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이미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키 스위치가 눌려져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그에 응답하여 클럭(CLK) 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클럭 펄스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인식구간 동안 3개의 펄스로 출력되며, 모든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 1∼5의 쉬프트 레지스터로 인가된다.
만약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키 스위치 1(S1)을 눌렀다고 가정한다면 누름키 데이터 변환부 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011"의 누름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되고, 이러한 누름 키 데이터는 키 인식핀 KEY_SEN0/를 통해 제어부에 인가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키 인식핀 KEY_SEN0/를 통해 입력되는 누름 키 비트정보("0")가 몇 번째 클럭 펄스 출력에 동기되어 입력되는가를 체크해 봄으로서, 키 스위치 S1,S2,S3중 어느 것이 눌려졌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 역시 키 인식이 완료되면 클리어 펄스를 해당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 혹은 전체 변환부로 출력하여 각 쉬프트 레지스터를 클리어시킬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7에는 키 스위치 S1과 키 스위치 S11이 눌려진 경우의 펄스 타이밍도가 예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도,
키 스위치 누름시 마다 서로 다른 레벨로 발생되는 키 전압이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3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누름 키 데이터가 제어부의 범용핀(GPIO)으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펄스에 동기되어 제어부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어부는 하나의 범용핀(GPIO)과 소수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만을 이용하여 입력 키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키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범용핀(GPIO)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서, 결과적으로는 제어부에 구비되는 범용핀(GPIO)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SM 칩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범용핀중 하나의 범용핀(GPIO)과 소수의 키 인식핀(KEY_SEN0/∼KEY_SEN4/)만을 이용하여 입력 키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핀(GPIO)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범용핀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각각의 키 스위치 누름시 마다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키 전압 발생부와;
    상기 키 전압 레벨을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와;
    클럭 펄스를 하나의 범용핀(GPIO)을 통해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로 출력하고 그 클럭 출력에 동기하여 순차 출력되는 상기 누름 키 데이터를 입력하여 누름 키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 전압 발생부는,
    동작전원(
    Figure 112004034102918-PAT00005
    ) 공급단과 일측이 접속되어지는 다수의 키 스위치들과;
    상기 키 스위치 각각의 타측과 접지저항(
    Figure 112004034102918-PAT00006
    )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전원을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으로 분압하기 위한 저항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키 전압 레벨을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와;
    상기 누름 키 데이터를 상기 입력 클럭에 동기시켜 순차적으로 쉬프트 출력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정해진 주기를 가지는 키 인식구간 동안 상기 클럭 펄스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누름 키 인식 완료되면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의 출력을 클리어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인식구간동안 상기 키 스위치와 동수의 클럭 펄스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7. 휴대 단말기의 키 인식장치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는 각 키 스위치 누름시 마다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키 전압 발생부들과;
    대응하는 상기 키 전압 발생부 각각에서 발생된 키 전압 레벨을 그에 대응하는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들과;
    클럭 펄스를 하나의 범용핀(GPIO)을 통해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 각각으로 동시 출력하고, 그 클럭 출력에 동기하여 각각의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순차 출력되는 누름 키 데이터를 서로 다른 경로로 입력받아 누름 키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키 전압 발생부 각각은,
    동작전원(
    Figure 112004034102918-PAT00007
    ) 공급단과 일측이 접속되어지는 다수의 키 스위치들과;
    상기 키 스위치 각각의 타측과 접지저항(
    Figure 112004034102918-PAT00008
    )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동작전원을 서로 다른 레벨의 키 전압으로 분압하기 위한 저항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 각각은
    상기 키 전압 레벨을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와;
    상기 누름 키 데이터를 입력 클럭에 동기시켜 순차적으로 쉬프트 출력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 각각으로 부터 키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될 때마 다 정해진 주기를 가지는 키 인식구간 동안 상기 클럭을 발생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인식구간 내에서 누름 키 인식 완료되면 각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의 출력을 클리어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인식구간동안 상기 키 전압 발생부내에 포함되는 키 스위치와 동수의 클럭 펄스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장치.
  13. 각각의 키 스위치 누름시에 서로 다른 레벨로서 발생되는 키 전압을 그에 대응하는 n비트의 누름 키 데이터로 변환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인식방법에 있어서,
    키 인터럽트 신호 입력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로 클럭 펄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클럭 펄스 출력에 동기하여 각각의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누름 키 데이터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중인 누름 키 데이터에 누름 키 비트정보의 포함여부를 검색하여 누름 키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인식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키 인식구간 내에서 누름 키 인식 완료되면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의 출력을 클리어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인식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키 인식구간동안 상기 키 스위치와 동수의 클럭 펄스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인식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키 인식구간동안 상기 누름 키 데이터 변환부와 접속되는 키 스위치와 동수의 클럭 펄스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인식방법.
KR1020040059909A 2004-07-29 2004-07-29 키 인식장치 및 키 인식방법 KR20060011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909A KR20060011205A (ko) 2004-07-29 2004-07-29 키 인식장치 및 키 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909A KR20060011205A (ko) 2004-07-29 2004-07-29 키 인식장치 및 키 인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205A true KR20060011205A (ko) 2006-02-03

Family

ID=3712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909A KR20060011205A (ko) 2004-07-29 2004-07-29 키 인식장치 및 키 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12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271B1 (ko) * 2004-10-13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90128354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이지테크 키패드 제어 장치 및 키패드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271B1 (ko) * 2004-10-13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90128354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이지테크 키패드 제어 장치 및 키패드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066B1 (ko)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EP1594273A3 (en) Removal of a common mode voltage in a differential receiver
CN101414828B (zh) 源极驱动器及其数字/模拟转换器
CN108449109A (zh) 一种射频前端器件从控接口装置
US7308104B1 (en) Forward multiple scrambling cod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US8207877B2 (en) Serial interfa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106304B2 (en) Keypad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03058861A1 (en) Digital-to-phase converter with extended frequency range
CN101888250A (zh) 按键系统及其方法
KR20060011205A (ko) 키 인식장치 및 키 인식방법
US11132974B2 (en) Data transmission circuit, display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CN101617301A (zh) 集成电路和电子器件
US6980135B2 (en) Logic circuit using hardware to process keyboard scanning
US5208582A (en) Multiplexing input device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integrated computer mouse control circuit
US7015852B1 (en) Cyclic analog-to-digital converter
CN101751772B (zh) 用于控制家用电器的红外遥控系统及其遥控方法
US6831583B1 (e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a microprocessor and an analogue to digital converter which is selectively operable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and independently of the microprocessor,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integrated circuit
TW200633364A (en) Clock data recovery circuit with phase decision circuit
JP2007094789A (ja) スイッチマトリクス入力装置
CN103558975A (zh) 输入系统
JPH11288330A (ja) 設定機能付き集積回路
CN101945160A (zh) 手持式移动电话及重置该手持式移动电话的方法
JPH08228143A (ja) レベル変換回路
KR1007222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동작방법
CN214544336U (zh) 用于量子通信设备的apd偏置电压输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