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076A -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076A
KR20060011076A KR1020040059748A KR20040059748A KR20060011076A KR 20060011076 A KR20060011076 A KR 20060011076A KR 1020040059748 A KR1020040059748 A KR 1020040059748A KR 20040059748 A KR20040059748 A KR 20040059748A KR 20060011076 A KR20060011076 A KR 20060011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broadcast
learning
multimedia data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봉
Original Assignee
(주)컴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온테크 filed Critical (주)컴온테크
Priority to KR102004005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1076A/ko
Publication of KR2006001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은, 교재로부터 학습 유형별로 마련된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기; 인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단말기; 및 네트워크 망을 통해 단말기와 통신하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인터넷 방송국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원하는 강의를 신속하게 수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Quick jumping and instant play education system using tag on the book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의 일실시예.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가 도시된 교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발명에 따른 태그 인식에 따른 선택 메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본 발명은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VOD(video on demand, VOD) 기 반의 스트리밍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용 서버와, 운용 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진 인터넷 방송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교재상의 태그를 인식 시키는 단일 조작을 통해 원하는 강의의 수강이 가능한,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육방송 시스템은,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을 이용하여 교육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TV 방송국과, 교육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단말기로 구성되며, TV 방송국은 기 공지된 스케쥴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학습자는 방송 스케쥴을 미리 숙지하여 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방송 스케줄을 잘못 인지하고 있거나, 또는 방송 시간대에 시청하지 못하는 경우, 방송 시청을 통한 학습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학습 능률 향상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의 반복 시청 역시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망을 이용한 실시간 교육 방송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인터넷망을 이용한 실시간 교육 시스템은 방송 강의 동영상 또는 강의 자료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인증을 통해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억세스하여, 원하는 강의 프로그램을 원하는 시간에 반복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인터넷망을 이용한 교육 방송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방송강의가 저장된 경로를 지정하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방송 강의 시청이 번거롭고, 따라서 학습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재에 마련된 태그를 인식하는 단일 조작을 통해 원하는 강의를 즉시 수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은, 교재로부터 학습 유형별로 마련된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기; 인식된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단말기; 및 네트워크 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인터넷 방송국을 구비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 망을 통해 상기 인터넷 방송국과 통신하는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 상기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영상/음성출력부; 및 상기 태그 인식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 요청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영상 및 음성 출력되도록 상기 영상/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넷 방송국은, 상기 태그 각각에 대응하는 멀 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방송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운용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용 서버는, 스트리밍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유형은, 학습 내용에 따른 유형 및 학습 형태에 따른 유형이며, 상기 태그는, 바코드, 컬러코드, 전자 태그, OMR 코드, 및 OCR 코드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은 TV 방송을 통해 상기 교재의 학습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TV 방송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TV 방송의 채널을 선국하여, 소정의 방송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영상 및 음성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방법은, (a)태그 인식기를 통해 교재로 부터 학습 유형별로 마련된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b)인식된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소정 인터넷 방송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c)상기 네트워크 망을 통해 통신하는 상기 인터넷 방송국으로부터,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 및 (d)수신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수신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 기 인터넷방송국에 의해 소정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검출된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방법은, (e)인터넷 방송 시청 및 TV 방송 시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f)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a) 내지 (d)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TV 방송이 선택되는 경우, TV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학습용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시스템은, 교재(100), 태그 인식기(200), 단말기(300), 인터넷 망(400), TV 망(500), 및 교육 방송 시스템(600)을 구비한다. 그리고 교육 방송 시스템(600)은 TV 방송국(650) 및 인터넷 방송국(640)을 포함하며, 인터넷 방송국(640)은 데이터베이스(643)와 운용서버(645)를 포함한다.
우선, 교재(100)는 방송 학습을 위한 것으로, 학습 내용 및 유형별로, 후술하는 인터넷 방송국(640)으로 부터 대응하는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베이스(643)상의 경로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가 구비된다. 이때 학습 내용이라 함은 학습 교재의 내용에 따른 단원 또는 소단원 별 분류인 것이 가능하며, 학습 유형은 학습 내용에 대한 설명, 또는 부가 설명, 질의응답, 문제 풀이 등의 다양한 학습 형식인 것이 가능하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태그는 바코드(1, 2), 컬러코드(3, 4), 및 전자 태그(5)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 광학 마크인 OMR(optical mark reader) 코드(미도시), 및 광학 문자인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코드(미도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가 표시된 교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교재의 목차 부분에 각 단원별로 태그가 마련되어 있으며, 학습자는 원하는 단원의 태그를 인식 시킴으로써, 원하는 학습에 대응하는 방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한편, 태그 인식기(200)는 교재로부터 태그를 인식하여, 후술하는 단말기(300)로 인식된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인식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태그 인식기(200)는 상술한 바코드, 컬러코드, 전자태그, OMR 코드, 및 OCR 코드와 같은 태그 형태에 대응하여, 이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 컬러코드 스캐너, 전자태그 인식 안테나, 광학 마크 인식기, 광학 문자 인식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단말기(300)는 인터넷 망(400)을 통해 외부 장치들과 통신한다. 특히 태그 인식기(200)로 부터 태그 인식 메시지가 수신되면, 태그 정보를 분석하여, 인터넷 방송 강의 요청에 대응하는 태그인 것으로 판단되면, 후술하는 교육 방송 시스템(600)의 인터넷 방송국(640)으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강의, 지난출제문제 분석, 예상 출제문제 분석, FAQ, Q&A, MyQ) 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욕구에 더욱 부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송 요청 메시지 송신에 대응하여, 인터넷 방송국(640)으로 부터 스트리밍 전송 방식에 따른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소정의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태그를 인식시키는 단일 조작을 통해 후술하는 교육방송 시스템(600)의 데이터 베이스(643)에 마련된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직접 접근하는 방법을 퀵점핑(Quick Jumping)이라 한다.
한편, 단말기(300)는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지상파 방송과 같은 TV 방송 수신기능을 더 포함하여, 인터넷 망을 통한 방송 강의와 연동하여 학습할 수 있게끔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말기(300)로는 컴퓨터, 모바일 폰이나 PDA, 및 이동식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TV 방송 수신과 인터넷 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인터넷 셋톱박스 등과 같은 장치가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기(3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300)는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310), TV 수신 모듈(320), 영상/음성출력부(330), 메모리(340), 조작패널(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310)은 인터넷 망을 통해 후술하는 인터넷 방송국과 통신한다. 즉, 인터넷 방송국(640)으로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송신한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데이터처리를 수행한다.
TV 수신 모듈(320)은 TV 망(500)을 통해 수신되는 TV 방송의 채널을 선국하여, TV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TV 방송 신호에 대해 복조, 채널 디코딩, 및 소정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TV 수신 모듈(320)은 후술하는 교육 방송 시스템(600)의 구성에 따라, 위성 방송 수신 모듈, 케이블 방송 수신 모듈, 및 지상파 방송 수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음성출력부(330)는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310)을 통해 수신 및 처리된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TV 수신 모듈(320)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며, 본 단말기(300) 본체와 분리되어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340)는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각종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조작패널(350)은 본 단말기(300)를 조작할 수 있는 키패널(미도시) 및 본 단말기(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때 키패널은 마우스인 것이 가능하며, 상술한 태그 인식기(2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단말기 구동 프로그램에 따라, 인터넷 망(400) 및 TV 망(500)을 통한 방송 강의 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특히, 태그 인식기(200)로 부터 태그 인식 메시지가 수신되면,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310)을 제어하여, 인터넷 망(400)을 통해, 교육 방송 시스템(600)의 인터넷 방송국(640)으로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태그정보 송신에 대응하여,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310)을 제어하여 소정의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 후, 영상/음성출력부(330)에 영상 및 음성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조작 패널을 통한 사용자의 케이블 TV 시청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TV 방송이 수신되도록 TV 수신 모듈(320)을 제어한다.
한편, 교육 방송 시스템(600)은 단말기(300)로 방송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터넷 방송국(640) 및 TV 방송국(650)를 포함한다.
인터넷 방송국(640)은 단말기로 인터넷 방송 강의를 제공하며, 방송 학습용 교재(100)에 표시된 각 태그에 대응하여 마련된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및 방송 요청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데이터 베이스(643)로 부터 대응하는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여 스트리밍 전송 기술에 따라 단말기(300)로 송신하는 운용 서버(645)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운용서버(645)는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 서버로서, 데이터를 실시간 소량씩 분할하여 전송하는 스트리밍 전송 기술 방식에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상술한 단말기(300) 역시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퀵점핑 기능에 대응하여, 운용서버는 실시간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기는 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일련의 동작을 인스턴트플레이(Instant Play)라 한다.
그리고 TV 방송국(650)은 기 공지한 스케줄에 따른 방송 강의를 TV 방송 전송 방식에 따라 방송한다. 이때 TV 방송국(650)은 지상파 방송국, 위성 방송국, 및 케이블 방송국인 것이 가능하며, 단말기(300)의 TV 수신 모듈(320)은 TV 방송국의 방송 방식에 대응되게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학습자는 방송 교재(100)를 이용하여 학습한다. 학습 도중 의문사항이 발생하여 인터넷 방송 강의를 수강하기 원하는 경우, 원하는 방송 강의에 해당하는 태그가 인식되도록 태그 인식기(200)를 조작한다.
태그인식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교재(100)에 마련된 태그를 인식한다(S715). 그리고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인식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720).
단말기(300)는 태그 인식 메시지가 수신되면, 태그정보를 분석한다(S725). 그리고, 분석 결과 태그 정보가 인터넷을 통한 방송 강의를 요청하는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인터넷 망을 통해 인터넷 방송국(640)으로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730).
인터넷 방송국(640)의 운용서버(645)는 방송 요청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태그 정보를 비롯한 방송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고(S735), 정상적인 방송 요청 메시지로 판단되는 경우, 데이터 베이스(643)로부터 수신된 태그에 대응하는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출한다(S740). 상술한 S710 단계 내지 S735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퀵점핑 기능에 해당한다. 한편, 인터넷 방송국(640)은 검출된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단말기(300)로 송신하기 위한 스트리밍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S745). 그리고 스트리밍 전송 처리된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한다(S750).
단말기(300)는 스트리밍 전송 기술에 의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방송 강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 후 영상/음성출력부(330)에 방송강의에 해당하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S755). 상술한 S740 단계 내지 S755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플레이 기능에 해당한다.
한편, 단말기(300)는 학습자에 의해 TV 방송 시청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여(S760), 만약 TV 방송 시청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TV 방송 채널을 선국하여(S765), 선국된 채널의 TV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S770), 수신된 방송신호를 영상/음성출력부(330)를 통해 출력한다(S775).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학습자는 원하는 강의를 신속하게 시청할수 있기 때문에 학습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는 단일 조작을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강의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교재로부터 학습 유형별로 마련된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인식기;
    인식된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단말기; 및
    네트워크 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인터넷 방송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 망을 통해 상기 인터넷 방송국과 통신하는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
    상기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영상/음성출력부; 및
    상기 태그 인식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 요청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인터넷 방송 수신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영상 및 음성 출력되도록 상기 영상/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방송국은,
    상기 태그 각각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방송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운용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서버는,
    스트리밍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점핑 앤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유형은,
    학습 내용에 따른 유형 및 학습 형태에 따른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바코드, 컬러코드, 전자 태그, OMR 코드, 및 OCR 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TV 방송을 통해 상기 교재의 학습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TV 방송 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TV 방송의 채널을 선국하여, 소정의 방송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8. (a)태그 인식기를 통해 교재로 부터 학습 유형별로 마련된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b)인식된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소정 인터넷 방송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c)상기 네트워크 망을 통해 통신하는 상기 인터넷 방송국으로부터, 상기 방송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 및
    (d)수신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수신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인터넷방송국에 의해 소정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검출된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유형은,
    학습 내용에 따른 유형 및 학습 형태에 따른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바코드, 컬러코드, 전자 태그, OMR 코드, 및 OCR 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e)인터넷 방송 시청 및 TV 방송 시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f)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a) 내지 (d)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TV 방송이 선택되는 경우, TV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학습용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 시스템.
KR1020040059748A 2004-07-29 2004-07-29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11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748A KR20060011076A (ko) 2004-07-29 2004-07-29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748A KR20060011076A (ko) 2004-07-29 2004-07-29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076A true KR20060011076A (ko) 2006-02-03

Family

ID=3712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748A KR20060011076A (ko) 2004-07-29 2004-07-29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10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337B1 (ko) * 2007-05-16 2007-08-29 (주)셈투유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WO2008072926A1 (en) * 2006-12-15 2008-06-19 Nam-Kyo Park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neding lecture tailored to person, and connection terminal thereof
KR100972413B1 (ko) * 2006-12-05 2010-07-26 박남교 개인 맞춤형 강의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접속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413B1 (ko) * 2006-12-05 2010-07-26 박남교 개인 맞춤형 강의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의 접속단말기
WO2008072926A1 (en) * 2006-12-15 2008-06-19 Nam-Kyo Park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neding lecture tailored to person, and connection terminal thereof
KR100752337B1 (ko) * 2007-05-16 2007-08-29 (주)셈투유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WO2008140187A1 (en) * 2007-05-16 2008-11-20 Semtoyou Co Education system using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80508U (zh) 一种智慧黑板,及智慧教室的教学系统
KR100727072B1 (ko) 방송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A2823301C (en) Network media device with code recognition
KR20090101479A (ko) 질문 저작/편집 기능을 갖춘 참여자 응답 시스템
WO2003088655A1 (en) Handheld device that integrate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ith audio/video control
CN101272469A (zh) 用于教学与会场的录制系统及方法
US6836296B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electr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apparatus, electric apparatus system,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apparatus system, and transmission medium
CN103606310A (zh) 教学方法及系统
US20110283324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using automatic keyword generation
US118002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 program content stream
CN103607457A (zh) 笔记处理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系统
CN109492087A (zh) 一种在线课程学习的自动问题解答系统及方法
US9414118B2 (en) Content provision device, content provision method,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broadcasting station device, and data structure
Aarreniemi-Jokipelto Modelling and content production of distance learning concept for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KR20060011076A (ko) 교재상의 태그를 이용한 퀵점핑 엔드 인스턴트플레이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6639B1 (ko)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표시 방법
KR100425668B1 (ko) 데이터방송의 데이터컨텐츠 전송장치 및 그 방법
JP4654438B2 (ja) 教育用コンテンツ生成装置
US20130198791A1 (en) E-book-based on-line broadcasting study system and method
TW201023646A (en) Televis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1464861B (zh) 一种交互方法及交互系统
KR101909461B1 (ko) 증강현실이 적용된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CN107291758A (zh) 资源获取方法、装置及终端
KR100617125B1 (ko) 교육방송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909462B1 (ko) 콘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