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512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512A
KR20060010512A KR1020040059240A KR20040059240A KR20060010512A KR 20060010512 A KR20060010512 A KR 20060010512A KR 1020040059240 A KR1020040059240 A KR 1020040059240A KR 20040059240 A KR20040059240 A KR 20040059240A KR 20060010512 A KR20060010512 A KR 20060010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ata
terminal
multimedia broadcast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5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0512A/ko
Publication of KR2006001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04N21/42638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involving a hybrid front-end, e.g. analog and digital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드에서 수신된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저장 용량을 확인하면서 상기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서비스 공유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이 있으면 해당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데이터의 재생 경로와 다른 전송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성 혹은 지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재생 중인 방송 데이터를 하나 혹은 다수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다른 단말기와 컨텐츠를 공유하여 별도의 비용없이 여러 명이 동시에 각자의 단말기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BROADICASTING DATA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I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도1은 본 발명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2는 본 발명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을 구현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에서,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이 있어 해당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완료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4는 본 발명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5는 본 발명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에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간의 무선망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테나 20 : 튜터
30 : DMB 처리부 40 : 스테레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0 : LCD 구동부 60 : 블루투스용 안테나
70 : 블루투스 모듈 80 : 주제어부
90 : 데이터 저장부 100 : 버퍼링 카운터부
110 : 방송 데이터 저장부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성 혹은 지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재생 중인 방송 데이터를 하나 혹은 다수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다른 단말기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이라 함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고정용 수신기, 휴대용 수신기, 혹은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이동 중에도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해 CD급 혹은 DVD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액정화면의 크기가 제한적인 관계로, DBM 수신기가 장착되고 해 당 방송 서비스에 가입한 특정의 사용자만 해당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 하나의 단말기로 여러 명이 동시에 해당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려면 시야각이 좁은 액정화면을 여러 명이 머리를 맞데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위성 혹은 지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재생 중인 방송 데이터를 하나 혹은 다수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드에서 수신된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저장 용량을 확인하면서 상기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서비스 공유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이 있으면 해당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데이터의 재생 경로와 다른 전송 경로 를 설정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성 혹은 지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을 갖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드 동작 중 서비스 공유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의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에 따라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완료한 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의 방송 데이터의 재생 경로와 다른 전송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를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수신하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0,S11)와; DMB 모드인 경우, 상기 수신된 RF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S12)와; 메모리의 저장 용량을 확인하면서 상기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S13∼S15)와; 서비스 공유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이 있으면 해당 단말기 와 무선 접속을 완료하는 단계(S16∼S18)와; DMB 모드에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과 별도의 전송 경로를 설정하여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슬레이브 단말기를 폴링(Polling)하여 상기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19∼S21)로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한 장치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10), 튜터(Tuner)(20),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처리부(30), 스테레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Stereo Analog/Digital Convertor)(40), LCD(Liquid Crystal Display) 구동부(50), 블루투스용 안테나(60), 블루투스 모듈(70), 주제어부(80), 데이터 저장부(90), 버퍼링 카운터부(100) 및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위성 혹은 지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적용된 통신 단말기는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재생 중인 방송 데이터를 하나 혹은 다수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다른 단말기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통신 단말기와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간에 무선망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 단말기에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무선랜 등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무선통신 모듈을 장착하여야 하며, 이때 상기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통신 단말기와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공유하게 되고, 블루투스, 무선랜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통신 단말기와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데이터의 가공 및 전송 품질, 보안성 등을 고려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구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10∼50)과 하나 혹은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 수단(60∼1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여기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를 마스터 단말기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슬레이브 단말기로 정의한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10∼50)에서, 튜너(Tuner)(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채널별로 선택하고,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처리부(30)에서 상기 선택된 채널의 RF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기저대역의 변환, 디코딩 및 오류 정정 등의 처리를 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다.
그러면, 스테레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Stereo Analog/Digital Converter)(40)에서 상기 DMB 처리부(3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미도시)로 출력하고, LCD(Liquid Crystal Display) 구동부(50)에서 상기 DMB 처리부(30)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 여 액정화면(미도시)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DMB 처리부(30)는 하나의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수신된 RF 방송신호로부터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신호의 검출, 기저대역으로의 주파수 변환, 역확산, 오류 정정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CDM/FEC(Code Division Multiplexing/Forward Error Correction)부(31)와, 사용자의 시청권한을 판단하여 디스크램블(De-scramble)된 신호를 출력하면서 내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제어부(32)와, 상기 CAS/제어부(32)를 통해 출력된 디스크램블된 방송 데이터를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로부터 입력받아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역다중화 및 압축해제하여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33) 및 비디오 디코더(34)와, 상기 CDM/FEC부(31)에서 신호처리를 위한 코드 및 신호처리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3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하나 혹은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 수단(60∼110)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무선랜 등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처리된 방송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로 블루투스 모듈(70)을 사용하므로, 상기 블루투스 모듈(70)에서 블루투스용 안테나(60)를 통해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고 처리하여 방송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복원하면, 단말기 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주제어부(80)에서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 기 블루투스 모듈(70) 및 상기 DMB 처리부(3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통신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10∼50)에서 행해지는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액정화면(미도시)으로 출력하는 일련의 신호 처리에 대하여 주제어부(80)는 관여하지 않으나, 다수의 다른 단말기로 재생 중인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10∼50) 중 DMB 처리부(30)의 CAS/제어부(32)에서 출력되는 디스크램블된 신호를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로 분리하여 임시로 버퍼링하면서 전송하거나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에 임시로 버퍼링하면서 재생함으로써, DMB 모드에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과 별도의 전송 경로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전송 또는 재생하게 된다.
즉, 주제어부(80)에서 DMB 모드 동작 중 서비스 공유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의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에 따라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하고, 전송 경로를 설정하여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데, 해당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에서 상기 DMB 처리부(30)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한 디스크램블(De-scramble)된 신호를 CAS/제어부(32)로부터 전달받아 임시로 버퍼링하면서 블루투스 모듈(70)로 전달하게 되고,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작시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70)로부터 전달받아 버퍼링하면서 상기 DMB 처리부 (30)의 CAS/제어부(32)로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지상 혹은 위성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에서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임시로 버퍼링하면서 상기 CAS/제어부(32)로 전달하여 각 디코더(33,34)를 통해 재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는 듀얼 포트 메모리로 이루어져, CAS/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받으면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임시로 버퍼링할 뿐만 아니라, 주제어부(80) 및 블루투스 모듈(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버퍼링된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버퍼링 카운터부(100)는 슬레이브 단말기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 혹은 재생할 시, 방송 데이터가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에 버퍼링되는 량을 카운팅하여 주제어부(80)로 보고한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90)는 단말기 내 각종 코드 프로그램,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첨부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서, 안테나(10)를 통해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수신하면(S10), 주제어부(80)에서 단말기가 현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
여기서, DMB 모드라 함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10∼50)이 구 동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모드를 말하며, 상기 확인 결과 DMB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DMB 처리부(30)가 활성화되어 수신되는 RF 방송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DMB 처리부(30)가 구동되어 상기 수신된 RF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방송 데이터, 즉 디스크램블된 신호를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에 저장한다(S12).
상기 DMB 처리부(30)에서 버퍼링 카운터부(100)를 통해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의 저장 용량을 확인하면서(S13,S15), 오디오 디코더(33) 및 비디오 디코더(34)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한다(S14).
한편, DMB 모드 동작 중 서비스 공유 모드가 설정된 경우, 주제어부(80)에서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16,S17),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이 있으면 해당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완료한 후(S18), 상기 DMB 모드에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과 별도로, CAS/제어부(32),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 버퍼링 카운터부(100), 주제어부(80) 및 블루투스 모듈(70)로 연결되는 전송 경로를 설정하여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면서(S19), 슬레이브 단말기를 폴링(Polling)하여 상기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S20,S21).
즉, 방송 데이터 저장부(10)는 듀얼 포트 메모리로 이루어져, CAS/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받으면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임시로 버퍼링할 뿐만 아니라, 주제어부(80) 및 블루투스 모듈(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버퍼링된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단계(S1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이 있어 해당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완료하는 과정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서 무선통신 프로토콜, 즉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폴링(Polling) 방식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단말기를 조회하여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조회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30,S31).
그 다음,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이징(paging)을 수행하는 절차를 거쳐,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와의 통화로를 연결하게 된다(S32∼S34).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통화로를 연결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폴링신호가 수신되면 페이징을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한 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40∼S42).
이때,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의 버퍼가 가용한 경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에 저장하는데, 버퍼링 카운터부(100)에서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110)의 버퍼 용량을 카운팅하면서 전송이 완료되기까지 버퍼 용량을 관리하게 된다(S44∼S47).
본 발명에서, 마스터 단말기와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 간에는 도5와 같은 무선망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폴링 방식으로 각 단말기의 이상 유무 및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따라서, 무선망 내에서 각 슬레이브 단말기는, 폴링 후 통화로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있는 '활성화(active) 상태'에 있거나, 통화로 연결만 연결되고 데이터의 송수신은 없는 '휴지(parked) 상태'에 있거나, 통화로가 연결되지 않은 '대기(stand-by) 상태'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성 혹은 지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재생 중인 방송 데이터를 하나 혹은 다수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다른 단말기와 컨텐츠를 공유하여 별도의 비용없이 여러 명이 동시에 각자의 단말기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드에서 수신된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저장 용량을 확인하면서 상기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서비스 공유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이 있으면 해당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데이터의 재생 경로와 다른 전송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듀얼 포트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완료하는 단계는, 마스터 단말기에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폴링(Polling) 방식을 이용하여 슬레이브 단말기를 조회한 후,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조회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이징(paging)을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을 통해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에서 재생함과 동시에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방법.
  6. 위성 혹은 지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을 갖는 통 신 단말기에 있어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드 동작 중 서비스 공유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의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에 따라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완료한 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의 방송 데이터의 재생 경로와 다른 전송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를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수단은, 블루투스용 안테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가공하여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복원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DMB 모드 동작 중 서비스 공유 모드가 설정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의 방송 서비스 공유 요청에 따라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하고, 전송 경로를 설정하여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마스터 단말기로 동작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단 내 DMB 처리부로부터 디스크램블(De-scramble)된 신호를 전달받아 버퍼링하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출력하거나,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작시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버퍼링하면서 상기 DMB 처리부로 전달하는 방송 데이터 저장부와; DMB 모드 동작 중 서비스 공유 모드가 설정된 경우 방송 데이터가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에 버퍼링되는 량을 카운팅하여 상기 주제어부로 보고하는 버퍼링 카운터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 간 방송 데이터 공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 저장부는, 듀얼 포트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 데이터 공유 장치.
KR1020040059240A 2004-07-28 2004-07-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060010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240A KR20060010512A (ko) 2004-07-28 2004-07-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240A KR20060010512A (ko) 2004-07-28 2004-07-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512A true KR20060010512A (ko) 2006-02-02

Family

ID=3712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240A KR20060010512A (ko) 2004-07-28 2004-07-2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051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206B1 (ko) * 2005-09-12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 버퍼를 공유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버퍼 공유방법
KR100730722B1 (ko) * 2005-07-29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dmb패키지와 이동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수신 방법
KR100756133B1 (ko) * 2006-01-13 200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신호 저장 기능을 갖는 리모콘과, 그를 이용한방송신호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0762215B1 (ko) * 2006-05-03 2007-10-01 주식회사 코발트테크놀로지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KR100771513B1 (ko) * 2005-03-21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단말기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2099B1 (ko) * 2011-03-18 2013-07-04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Isdb-t 기반의 차량용 dmb 단말기간 협력수신 방법 및 그 mimo 시스템에서의 최대 채널용량 획득방법
KR101494460B1 (ko) * 2008-07-09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기기 간 데이터 공유 장치및 방법
KR101649854B1 (ko) * 2016-05-23 2016-08-25 배용주 이동통신망과 로컬 무선 네트워크가 연동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513B1 (ko) * 2005-03-21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단말기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0722B1 (ko) * 2005-07-29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dmb패키지와 이동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수신 방법
KR100695206B1 (ko) * 2005-09-12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 버퍼를 공유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버퍼 공유방법
KR100756133B1 (ko) * 2006-01-13 200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신호 저장 기능을 갖는 리모콘과, 그를 이용한방송신호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0762215B1 (ko) * 2006-05-03 2007-10-01 주식회사 코발트테크놀로지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KR101494460B1 (ko) * 2008-07-09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기기 간 데이터 공유 장치및 방법
KR101282099B1 (ko) * 2011-03-18 2013-07-04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Isdb-t 기반의 차량용 dmb 단말기간 협력수신 방법 및 그 mimo 시스템에서의 최대 채널용량 획득방법
KR101649854B1 (ko) * 2016-05-23 2016-08-25 배용주 이동통신망과 로컬 무선 네트워크가 연동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2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streaming service between terminals
JP200304709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音響再生システム
US7336924B2 (en) Broadcast type service system using bluetooth type radio network
US7603079B2 (en) Mobile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nd method for stor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CN101658029A (zh) 用于从手持设备向计算机系统传送多媒体信号以进行显示的方法和装置
US20060161957A1 (en)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150322A (zh) 广播接收系统
KR20060010512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110037680A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멀티 채널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0658899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동작제어방법
JP3981012B2 (ja) ビデオデータ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
KR100751859B1 (ko)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장치 및 방법
EP1032147A2 (en) Broadcast system and terminal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broadcast signals
KR1006302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티브이 시청 방법
KR10074324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및 그 휴대용단말기
WO2003019935A1 (fr) Syntoniseur d'emission, systeme d'emission, programme, et support d'enregistrement
KR20010047882A (ko) 차량용 티브이폰 시스템 및 티브이방송 음성신호 출력방법
JP2003087704A (ja) 車載用光ディスク再生システム、車載用光ディスク再生装置、変換装置、及び情報通信端末装置
KR100888032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방송채널 전환 장치및 방법
US20030036402A1 (en) Cellular broadcast receiver
KR200402071Y1 (ko) 디엠비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JP2008294594A (ja) 放送受信機能付携帯電話装置
KR100626516B1 (ko) 디엠비 단말기의 실시간 방송 저장 방법
KR100677957B1 (ko) Dmb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외부장치와의 dmb 방송 신호 공유 방법
CN100366076C (zh) 无线图像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