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215B1 -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215B1
KR100762215B1 KR1020060039768A KR20060039768A KR100762215B1 KR 100762215 B1 KR100762215 B1 KR 100762215B1 KR 1020060039768 A KR1020060039768 A KR 1020060039768A KR 20060039768 A KR20060039768 A KR 20060039768A KR 100762215 B1 KR100762215 B1 KR 10076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unit
broadcas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발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발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발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6003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처리 및 복조한 후,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복조된 신호를 전송하는 방송 수신 AP 단말; 및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에 원하는 방송 수신을 요청하고,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이 제공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으로 수신 및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PAN, 방송 수신 AP단말, 디스플레이 단말, 방송 신호, 복조, 복호화

Description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장치{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DISPLAY USING TH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이동 방송 수신 단말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ISDB-T 원세그 서비스에서 전송 패킷의 분할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T-DMB 방송 수신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복수의 단말들과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AP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AP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AP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과 각종 기기와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안테나 320 : RF 수신부
330 : DAB 수신 모듈 331 : A/D 변환부
332 : OFDM 복조부 333 : 채널 복호화부
334 : 음성 복호화부 335 : 데이터 복호화부
340 : 음성 신호 처리부 350, 370, 614 : 스피커
360 : DMB-T 수신 모듈 361 : 외부 복호화부
362 : DMB 복호화부 380 : 모니터
400 : 방송 수신 AP 단말 410 : 디스플레이 단말
500 : WPAN 통신 영역 601 : RF 튜너부
602 : 기저대역 처리부 603 : PAN 무선 송신부
604 : 제어부 611 : PAN 무선 수신부
612 : 복호화부 613 : 음성 처리부
615 : 영상 처리부 616 : LCD
617 : 제어부 618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701 : 디지털 신호 처리부 702 : PC 인터페이스부
710 : PC 801 : 파일 관리부
802 : 외부 인터페이스부 810 : 외부 저장 매체
901 : 패킷 처리부 902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910 : 인터넷 920 : CP
1000 : RF 튜너부 1001 : 기저대역 처리부
1101 : 노트북 1102 : PDA
1103 : 휴대폰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이동 방송이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시청/청취할 수 있는 디지털 TV/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이동 방송 수신 단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휴대용 단말에 의한 수신(portable reception), 이동용 단말에 의한 수신(mobile reception), 고정용 단말에 의한 수신(fixed reception) 등이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은 보행자가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며, 상기 이동용 단말은 차량 등에 설치하여 차량의 이동 중에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며, 상기 고정용 단말은 주택 등의 고정된 장소에 설치하여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이동 방송 수신 단말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 또는 이동용 단말이 해당된다.
한편, 상기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종류로는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지상파 DMB(Terrestrial-DMB; 이하, 'T-DMB'라 한다.),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및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원세그(1 Segment) 등이 있다.
상기 위성 DMB 서비스는 2005년 일본과 한국 등에서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위성을 통해 송신된 방송 신호가 상기 위성 DMB 전용 수신 단말을 통해 수신됨으로써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상기 위성 DMB 서비스는 수신 단말과 위성이 직접 통신하여야 하므로 실내에서는 수신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T-DMB 서비스는 2005년 12월 한국에서 최초로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방송의 서브 채널(Sub channel)에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시켜 모바일 TV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량한 규격이다. 이때, 상기 DAB는 'Eureka-147'이라고 칭하는 유럽에서 제정된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위한 방송 규격 또는 상기 규격으로 방송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DVB-H 서비스는 유럽과 미국에서 채택이 유력시되고 있는 휴대 방송 규 격이다. 상기 ISDB-T 원세그 서비스는 DVB-T에 사용된 전송 기술을 개량하여 일본이 개발한 독자 규격인 ISDB-T 규격에 포함된 것으로 VHF 대역에서는 1 또는 3 세그먼트로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하며, UHF 대역에서는 1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모바일 TV 방송을 시행한다.
도 2는 종래의 ISDB-T 원세그 서비스에서 전송 패킷의 분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지상파 방송 규격인 상기 ISDB-T는 HDTV와 모바일 멀티미디어(Mobile Multimedia) 서비스 제공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개발되었다. 상기 ISDB-T 서비스는 유럽 DVB-T의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처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기초한 BST-OFDM(Band Segmented Transmission-OFDM)이라는 전송방식을 이용한다. 1997년 9월 일본 방송 규격 표준화 단체인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는 상기 ISDB-T 규격을 만들었으며, 2003년부터 본방송이 시작되었다.
상기 ISDB-T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방송으로 HDTV, SDTV, 사운드(sound), 그래픽(graphics), 텍스트(text)등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디지털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통합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HDTV/SDTV와 같은 채널에서 전송되는 1 세그먼트는 주로 모바일 TV를 위해 사용되며, ISDB-TSB(ISDB-T Sound Broadcasting)라는 디지털 오디오와 데이터 전용 방송 규격에 의해서는 1 세그먼트 또는 3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이동 방송 수신 단말에서 휴대용 방송 수신 단말로는 휴대폰, 노트북, PMP, PDA 등이 있으며, 각 기기마다 방송 신호 수신을 위한 로드(Rod) 안 테나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이동용 방송 수신 단말로는 'Car AV/Navigation', 셋톱박스, 'Car PC' 등이 있으며, 차량에서의 방송 신호 수신을 위해 차량 안테나 등이 함께 설치된다.
도 3은 종래의 T-DMB 방송 수신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T-DMB 방송 수신 단말은 안테나(310), RF 수신부(320), DAB 수신 모듈(330), 음성 신호 처리부(Audio Processing DAC; 340), 스피커(350, 370), DMB-T 수신 모듈(360), 모니터(380)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DAB 수신 모듈(330)은 A/D 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er; 331), OFDM 복조부(DAB OFDM Demodulator; 332), 채널 복호화부(DAB Channel Decoder; 333), 음성 복호화부(Audio Source Decoder; 334) 및 데이터 복호화부(Data/Packet Decoder; 335)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DMB-T 수신 모듈(360)은 외부 복호화부(Outer Decoder; 361) 및 DMB 복호화부(DMB Decoder; 3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10)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무선 방송 수신 데이터는 상기 RF 수신부(320)에서 무선 신호 처리된 후, 상기 DAB 수신 모듈(330)에서 복조 및 복호화되고, 음성 신호 처리부(340)에서 음성 신호 처리된 후 스피커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DAB 수신 모듈(330)의 A/D 변환부(331)에서는 상기 RF 수신부(320)에서 무선 신호 처리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IQ Generation 필터링(filter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 다음, OFDM 복조부(332)에서 FFT(Fast Fourier Transform) 등의 변환 과정을 통해 OFDM 복조 처리를 수행한 후, 채널 복호화부(333)에서 채널 복호화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음성 복호화부(334)에서 음성 복호화된 신호는 음성 신호 처리부(340)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음성 신호 처리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며, 데이터 복호화부(335)에서 데이터 및 패킷 복호화된 데이터는 수신 데이터로서 최종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DAB 수신 모듈(330)에서 DMB-T 수신 모듈(360)을 추가함으로써 DMB-T 방송 신호를 복원하게 된다. 즉, 상기 DAB 수신 모듈(330)의 OFDM 복조부(330)에서 OFDM 복조 처리된 신호는 상기 DMB-T 수신 모듈(360)의 외부 복호화부(361)에서 채널 복호화된 후, DMB 복호화부(362)에서 DMB 복호화 처리되어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가 스피커(370) 및 모니터(380)로 출력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방송 신호 수신 및 재생을 위한 단말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의 휴대폰, PDA, 노트북, PMP 등의 기기들에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방송 수신 단말들은 양방향 콘텐츠를 위한 리턴 채널이 없으며, 단말에 광대역(Broadband) 접속 기능을 포함시킬 경우에는 보다 고성능의 하드웨어 플랫폼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단말의 가격 상승과 함께 넷스팟(Nespot),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서비스에 가입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사용자의 추가 비용 부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각 단말에는 디스플레이(LCD)나 AV 디코더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야 하고 전체 가격 중에서 상기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단순 방송 수신 기능으로는 효용 가치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에 저장 장치(예컨대, 하드 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추가 하고 AV 디코더의 지원 범위를 넓혀 다양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PMP류의 제품을 만든다고 하더라도 비정상적인 경로를 통한 콘텐츠가 많이 유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부분과 복조된 신호를 복호화하여 최종 출력시키는 부분을 각각 방송 수신 AP 단말 및 디스플레이 단말이라는 별도의 장치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두 장치 간에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서의 원격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에 PC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PC와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PC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을 통해 원격 디스플레이시키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에 외부 저장 매체와 연결되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별도의 외부 저장 매체와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을 통해 원격 디스플레이시키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에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인터넷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인터넷 접속 기능이 없더라도 상기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에 의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별도의 방송 수신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에 의해 또는 상기 방송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출력시키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이 가능한 각종 전자 기기들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 간에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각 전자 기기들에 대한 원격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처리 및 복조한 후,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복조된 신호를 전송하는 방송 수신 AP 단말; 및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에 원하는 신호를 요청하고,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이 제공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으로 수신 및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은, UWB, ZigBee, Wireless USB, 블루투스, RFID, 및 비표준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RF 튜너; 상기 무선 처리된 신호를 베이스밴드 복조 처리하는 복조부; 및 상기 복조 처리된 신호를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으로 전송 처리하는 PAN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은, PC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PC의 영상/음성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PC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PC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PC에서 출력되는 영상/음성 신호를 입력된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PAN 무선 송신부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PAN 무선 송신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은, 외부 저장 매체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파일을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파일에 대한 종류를 확인하고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해당 파일을 상기 PAN 무선 송신부로 전송하는 파일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은, 각종 재생 가능한 파일들을 저장하는 내부 저장 매체; 및 상기 내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종류를 확인하고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해당 파일을 상기 PAN 무선 송신부로 전송하는 파일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은, 인터넷 연결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인터넷 패킷을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패킷을 상기 PAN 무선 송신부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패킷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터넷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무선 통신 설정과 신호 선택 요청을 제공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신호 처리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신호 처리된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신호를 음성 신호 처리한 후 스피커로 전송하여 음성 출력시키는 음성 처리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한 후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여 영상 출력시키는 영상 처리부; 상기 무선 통신부 및 각 처리부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신호 선택 요청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호화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무선상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 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RF 튜너; 및 상기 무선 처리된 신호를 베이스밴드 복조 처리하여 상기 복호화부로 전송하는 복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 통신 설정과 방송 신호 선택 요청을 제공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신호 처리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신호 처리된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신호를 음성 신호 처리한 후 스피커로 전송하여 음성 출력시키는 음성 처리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한 후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여 영상 출력시키는 영상 처리부; 상기 무선 통신부 및 각 처리부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방송 신호 선택 요청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호화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선상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RF 튜너; 및 상기 무선 처리된 신호를 베이스밴드 복조 처리하여 상기 복호화부로 전송하는 복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은, UWB, ZigBee, Wireless USB, 블루투스, RFID, 및 비표준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PAN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를 안테나, RF 튜너, 베이스밴드 복조부 등으로 구성되는 방송 수신 AP(Access Point) 단말과, 복호부 및 출력부 등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단말로 분리하여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고, 상기 분리된 두 장치들 간에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이하, 'WPAN'이라 한다.)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가 상기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원격 출력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AP 단말(400) 및 디스플레이 단말(41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WPAN 통신을 통해 복조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로 전송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는 상기 전송된 신호를 수신, 복호화하여 출력(즉, 영상 및 음성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는 무선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및 RF 튜너와, 베이스밴드 복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복조부와 WPAN 송신을 할 수 있는 PAN 전송부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는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로부터 전송된 WPAN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PAN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부와, 상기 복호된 신호를 최종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은 상기 WPAN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 원하는 방송 수신을 요청하여 제공되는 방송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WPAN은 IEEE 802.15 표준에서 제정된 WPAN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통신 방식이라도 가능하다. 따라서, 표준 PAN 기술(예컨대, UWB, ZigBee, Wireless USB, 블루투스, RFID 등)과 비표준 PAN 기술(즉, 특정칩에서 구현한 전용 프로토콜 기술) 중 전력 소모와 구현시의 비용(cost)을 고려하여 송수신 단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분과 분리하여 구성된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거나 PC 같은 광대역(Broadband) 접속 기능을 가진 하드웨어 장치와 연결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의 다양한 기능 구현이 가능해지게 된다.
즉,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 저장 장치 기능을 추가하고, 상기 저장 장치에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의 요구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AV 데이터가 아닌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해 놓은 사용자의 콘텐츠를 전송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 방송 내용에 대한 저장 기능을 추가로 부여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 내장된 방송 수신 모듈에서 상기 저장 장치로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 서 시청을 원할 때 데이터 전송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 PC를 연결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저장된 스토리지(storage)를 연결할 경우,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 이외의 다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 의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 인터넷을 연결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단말(410) 측에 WLAN 이나 WiBro 같은 인터넷 접속 기능이 없어도 PAN 통신 방식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 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구현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 별도의 방송 수신부가 추가되어 독립적으로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듀얼 모드(dual mode)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이 수신 상태가 좋은 곳이나 실외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 구비된 방송 수신부를 이용하여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이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은 곳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을 수신 가능한 위치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을 PAN 통신 영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수신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목욕탕 등 구조상 실내에서도 방송 전파가 잘 도달하지 않는 구역에 TV를 설치하는 경우 이러한 듀얼 모드 수신 기능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경우 차량 내에 이동 방송 수신기를 설치할 때,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즉, 실내 수신과 유사한 개념으로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을 전파 수신이 잘 되는 곳에 위치시키고, PAN 기능이 들어간 DMB 셋톱 박스나 네비게이션에서 무선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연결선이 불필요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지상파 이동 방송은 한국, 중국 및 유럽의 T-DMB 방식, 일본의 ISDB-T 원세그 방식, 미국 및 유럽의 DVB-H 방식으로서 지역별로 나뉘어 서비스하게 된다. 이때, 모바일 방송의 특성상 작은 화면에서도 일정 정도의 화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비디오 코덱 중 압축률이 높은 H.264를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한 MPEG-2 TS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Bit rate)는 약 400~600kbps 정도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정도의 속도이면, WPAN에서 충분히 처리가 가능하며, 상술한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서 다른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WPAN의 대역폭(Bandwidth)과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 처리가 가능한 코덱으로 콘텐츠를 전송 부호화(Transcoding)하여 보내주게 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의 코덱 이슈도 용이하게 해결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에서의 WPAN은 주로 10m 내외를 반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경은 프로토콜의 종류 및 구현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복수의 단말들과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서 WPAN 방식을 통해 전송된 신호는 특정 반경(예컨대, 10m) 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단말(410)들에서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을 기준으로 하는 WPAN 수신 영역 내에 속한 각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는 동일한 전송 신호를 수신하여 동일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시킬 수가 있게 된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방송 수신 AP 단말(400)만을 구비하더라도 근거리 지역에 있는 다수의 위치에서 방송 영상을 수신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고,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각 장치(즉, 방송 수신 AP 단말(400) 또는 디스플레이 단말(410))의 변형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AP 단말(400) 및 디스플레이 단말(4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은 RF 튜너부(RF Tuner; 601), 기저대역(Baseband) 처리부(602), PAN 무선(PAN RF) 송신부(603) 및 제어부(Processor; 60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은 PAN 무선(PAN RF) 수신부(611), 복호화부(AV Decoder; 612), 음성 처리부(Audio Decoder; 613), 스피커(Speaker; 614), 영상 처리부(Video Decoder; 615), LCD(616), 제어부(Processor; 617)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61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WPAN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은 본 발명에 따라 WPAN으로 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한 후 최종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복조된 후 PAN 송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 단말(41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는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서 전송된 방송 신호를 PAN 수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여 복호화한 후,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RF 튜너부(601)에서 무선 신호 처리된다. 그런 다음, 상기 RF 튜너부(601)로부터 무선 신호 처리된 신호는 상기 기저 대역 처리부(602)에서 기저 대역 처리된 후, 상기 PAN 무선 송신부(603)를 통해 WPAN 방식에 의한 무선 전송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각 처리 블록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RF 튜너부(601)를 조절하여 수신할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 가능한 신호는 Band-III/L-Band, VHF/UHF 등 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튜너부(601)에서 무선 처리되는 신호는 T-DMB 또는 ISDB-T 원세그 방식의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 대역 처리부(602)로는 T-DMB/DAB 채널 복호기(Channel Decoder) 또는 ISDB-T 원세그 복조기(Demodulator)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의 PAN 무선 수신부(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WPAN 방식에 의해 무선 신호 처리된 후, 복호화부(612)로 전송된다. 상기 복호화부(612)에서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및 영상/음성 복호(AV Decod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복호화부(612)에서 복호화된 신호는 음성 처리부(613) 및 영상 처리부(615)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음성 처리부(613)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음성 신호 처리한 후 스피커(614)로 전송하여 음성 출력시키게 되며, 상기 영상 처리부(615)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한 후 LCD(616)로 전송하여 영상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617)는 상기 각 블록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8)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호화부(612)에 CPU를 내장함으로써 별도의 프로세서(즉, 제어부(617))가 필요 없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호화부(612)는 디멀티플렉싱을 위하여 T-DMB MPEG-2 TS/MPEG-4 SL Demux 또는 ISDB-T 원세그 Demux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영상 복호를 위해서 H.264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복호를 위하여 T-DMB 방식에서는 MPEG-4 AAC/BSAC/AAC+ 방식의 디코더를 적용할 수 있으며, ISDB-T 원세그 방식에서는 MPEG-2 AAC 방식의 디코더를 적용할 수 있 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방송 수신 AP 단말(400) 또는 디스플레이 단말(410))의 변형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방송 수신 AP 단말(400)의 변형된 실시 예들을 설명하며, 도 10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단말(410))의 변형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AP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에서 상술한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서 PC(Personal Computer)와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PC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 출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6에서는 방송 수신 AP 단말(400)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가 본 발명에 따라 WPAN을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410)로 전송되어 출력되도록 구현하였으나, 상기 도 7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방송 수신 AP 단말(400)과 연결된 PC(71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WPAN을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410)로 전송되어 출력되도록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AP 단말(400)은 상기 도 6의 구성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1), PC 인터페이스부(702)가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PC 인터페이스부(702)는 PC(71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PC(710)의 모니터로 출력되는 영상 출력 단자(예컨대, AV 단자, D-SUB, DVI 등)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C 인터페이스부(702)를 통해 입력 된 PC(7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음성 신호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701)로 전송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ing; 701)에서는 상기 PC(710)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PAN 무선 송신부(603)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701)에서 변환된 영상/음성 신호는 상기 PAN 무선 송신부(603)에서 WPAN 전송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서 전송된 PC(701)의 영상/음성 신호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 출력될 수가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AP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에서 상술한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서 외부 저장 매체(Storage)와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음성 파일을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 출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6에서는 방송 수신 AP 단말(400)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가 본 발명에 따라 WPAN을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410)로 전송되어 출력되도록 구현하였으나, 상기 도 8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방송 수신 AP 단말(400)과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8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또는 음성 파일이 WPAN을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410)로 전송되어 출력되도록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AP 단말(400)은 상기 도 6의 구성에서 파일 관리부(801), 외부 인터페이스부(802)가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802)는 상기 외부 저장 매체(810)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저장 매체(810)와 직렬(Serial) 또는 병렬(Parellel) 전송 라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 및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802)를 통해 수신된 파일 정보는 상기 파일 관리부(801)로 전송되고, 상기 파일 관리부(801)에서는 수신된 파일에 대한 종류를 확인하고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파일 관리부(801)에서 재생 가능한 파일로 판단되면, 상기 해당 파일을 상기 PAN 무선 송신부(603)를 통해 WPAN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단말(41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서 수신된 외부 저장 매체(810)로부터의 영상/음성 파일을 상술한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 출력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외부 저장 매체(810)와의 파일 송수신이 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802)를 제어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604)에서 상기 외부 저장 매체(810)에 저장된 파일들 중 재생 가능한 파일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단말(410)에 의한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부 저장 매체(810)는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 내에 내부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 내에 스토리지를 추가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AP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 6에서 상술한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서 인터넷(Internet; 910)과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90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방송 수신 AP 단말(400)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902)를 통해 인터넷(910)과 연결되고,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은 WPAN을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41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은 WPAN을 통해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은 인터넷 연결을 통해 CP(920)와 통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AP 단말(400)은 상기 도 6의 구성에서 패킷 처리부(9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902)가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902)는 상기 인터넷(910) 연결을 통해 CP(920)와 통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902)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패킷(즉, TCP/IP 패킷)은 상기 패킷 처리부(901)로 전송되고, 상기 패킷 처리부(901)에서는 수신된 패킷을 상기 PAN 무선 송신부(603)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패킷 처리부(701)에서 변환된 인터넷 패킷 정보는 상기 PAN 무 선 송신부(603)에서 WPAN 전송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서 수신된 인터넷 패킷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서 추가로 구비되는 웹브라우저(미도시)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방송 수신 AP 단말(400)의 변형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단말(410)의 변형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410)은 상기 도 6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단말(410)의 구조에 방송 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부분이 추가된다. 따라서, 상술한 도 6의 디스플레이 단말(410) 구조에서 안테나(1000), RF 튜너부(1001) 및 기저 대역 처리부(1002)가 추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의 안테나(100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RF 튜너부(1001)에서 무선 신호 처리된다. 그런 다음, 상기 RF 튜너부(1001)로부터 무선 신호 처리된 신호는 상기 기저 대역 처리부(1002)에서 기저 대역 처리된 후, 복호화부(612)로 전송되어 복호화 처리된다. 이후의 처리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617)는 상기 각 블록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8)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할 수도 있 다. 이때, 상기 제어부(61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8)로부터의 제어 신호 또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른 판단에 의해 PAN 무선 수신부(611)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 RF 튜너부(1001)로부터 직접 수신된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제어하게 된다.
상기 도 10에 따른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410)에 별도의 방송 수신부가 추가되어 독립적으로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듀얼 모드(dual mode)로 구현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이 수신 상태가 좋은 곳이나 실외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에 구비된 방송 수신부를 이용하여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이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은 곳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400)을 수신 가능한 위치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410)을 PAN 통신 영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수신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과 각종 기기와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410)은 WPAN 통신이 가능한 각종 전자 기기들과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기능의 확장이 가능해지게 된다. 예컨대, 노트북(1101), PDA(1102), 휴대폰(1103) 등의 전자 기기와 WPAN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 및 원격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용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에서도 WPAN을 통해 원격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DMB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DMB 방송 서비스와 함께 PC 또는 방송 수신 AP 단말의 스토리지와 연동함으로써 저장된 영상 및 음성 등의 콘텐츠를 무선으로 실내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 스트리밍 재생할 수가 있게 되며, 수신기에 별도의 콘텐츠 저장 공간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송 수신 AP 단말(400)에 인터넷을 연결할 경우 디스플레이 단말에 WLAN이나 WiBro와 같은 인터넷 접속 기능이 없더라도 PAN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선택하여 무선 처리 및 복조한 후,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복조된 신호를 전송하는 방송 수신 AP 단말; 및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에 원하는 신호를 요청하고,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이 제공하는 신호를 상기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으로 수신 및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신호 처리하는 PAN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신호 처리된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신호를 음성 신호 처리한 후 스피커로 전송하여 음성 출력시키는 음성 처리부; 및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한 후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여 영상 출력시키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은,
    UWB, ZigBee, Wireless USB, 블루투스, RFID, 및 비표준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RF 튜너;
    상기 무선 처리된 신호를 베이스밴드 복조 처리하는 복조부; 및
    상기 복조 처리된 신호를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으로 전송 처리하는 PAN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은,
    PC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PC의 영상/음성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PC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PC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PC에서 출력되는 영상/음성 신호를 입력된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PAN 무선 통신부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PAN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은,
    외부 저장 매체와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파일을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파일에 대한 종류를 확인하고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해당 파일을 상기 PAN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파일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은,
    각종 재생 가능한 파일들을 저장하는 내부 저장 매체; 및
    상기 내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종류를 확인하고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해당 파일을 상기 PAN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파일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은,
    인터넷 연결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하여 인터넷 패킷을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패킷을 상기 PAN 무선 통신부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패킷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상기 방송 수신 AP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터넷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상기 각 처리부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상기 복호화부에 CPU를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무선상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RF 튜너; 및
    상기 무선 처리된 신호를 베이스밴드 복조 처리하여 상기 복호화부로 전송하는 복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무선 통신 설정과 신호 선택 요청을 제공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신호 처리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의 PAN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신호 처리된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신호를 음성 신호 처리한 후 스피커로 전송하여 음성 출력시키는 음성 처리부;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한 후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여 영상 출력시키는 영상 처리부;
    상기 무선 통신부 및 각 처리부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신호 선택 요청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호화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선상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RF 튜너; 및
    상기 무선 처리된 신호를 베이스밴드 복조 처리하여 상기 복호화부로 전송하 는 복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은,
    UWB, ZigBee, Wireless USB, 블루투스, RFID, 및 비표준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PAN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39768A 2006-05-03 2006-05-03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KR10076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768A KR100762215B1 (ko) 2006-05-03 2006-05-03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768A KR100762215B1 (ko) 2006-05-03 2006-05-03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215B1 true KR100762215B1 (ko) 2007-10-01

Family

ID=3941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768A KR100762215B1 (ko) 2006-05-03 2006-05-03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2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898B1 (ko) 2006-11-20 2009-12-15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무선 억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미디어 브로드캐스트
WO2013035924A1 (ko) * 2011-09-11 2013-03-14 (주)정직한기술 모바일기기 및 내부연결 외부연결기능이 포함된 영상 및 음향 송수신장치
KR101624309B1 (ko) * 2009-10-14 2016-05-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영역 내의 엑세스 포인트에 의해 주도되는 방송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의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109A (ko) * 2001-09-05 2003-03-12 주식회사 오프너스 블루투스 랜 접속장치 및 그 부팅방법
KR200404176Y1 (ko) 2005-08-30 2005-12-19 (주)메리테크 Dmb 수신 단말
KR20060010512A (ko) * 2004-07-28 2006-02-02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060031194A (ko) * 2004-10-07 2006-04-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109A (ko) * 2001-09-05 2003-03-12 주식회사 오프너스 블루투스 랜 접속장치 및 그 부팅방법
KR20060010512A (ko) * 2004-07-28 2006-02-02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 통신 단말기간 방송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060031194A (ko) * 2004-10-07 2006-04-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4176Y1 (ko) 2005-08-30 2005-12-19 (주)메리테크 Dmb 수신 단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898B1 (ko) 2006-11-20 2009-12-15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무선 억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미디어 브로드캐스트
KR101624309B1 (ko) * 2009-10-14 2016-05-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영역 내의 엑세스 포인트에 의해 주도되는 방송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의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13035924A1 (ko) * 2011-09-11 2013-03-14 (주)정직한기술 모바일기기 및 내부연결 외부연결기능이 포함된 영상 및 음향 송수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2434B (zh) 用于连续回放多媒体的方法和设备
KR10082615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US7769341B2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in a weak electric field area
EP3059947A1 (en) Receiver and distribution unit for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CN101658029A (zh) 用于从手持设备向计算机系统传送多媒体信号以进行显示的方法和装置
EP2418791A1 (en) Method of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tandards and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US20070116427A1 (en) Broadcasting recording
US83462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s using a mobile device
KR100762215B1 (ko)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US20070089123A1 (en)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US20070200948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broadcasting service
KR1007356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KR20050033304A (ko) Dmb 수신기
JP2005311435A (ja) 移動体用放送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87054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integrated radio function, and integrated radio system using same
KR100772652B1 (ko)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속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825958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577202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의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 방법
US20070113253A1 (en) On-demand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by applying broadcasting
KR101776690B1 (ko) 제한 수신 기능 기반 t-dmb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중계 방법
KR100857520B1 (ko) 복합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20060064277A (ko)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 방송 재생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
KR100633984B1 (ko) 화면의 부분 확대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타송출 및 수신 방법
KR2004010017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GB2438916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strea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