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619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619A
KR20060008619A KR1020040057320A KR20040057320A KR20060008619A KR 20060008619 A KR20060008619 A KR 20060008619A KR 1020040057320 A KR1020040057320 A KR 1020040057320A KR 20040057320 A KR20040057320 A KR 20040057320A KR 20060008619 A KR20060008619 A KR 2006000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internet
digital multimedia
mobile communication
satellite
multimedia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3550B1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Priority to KR102004005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5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이동통신단말기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디코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뎀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디코더를 제어하여 위성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위성방송 수신중에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를 제어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을 연동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전자 상거래 등의 유용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MB, 무선, 인터넷, 멀티미디어, 제어부, 이동통신, 모뎀, 연동.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Method for utiliz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n connection with wireless internet,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이동통신 모뎀부 160: 멀티미디어 코덱
170: DMB용 디코더 180: DMB 수신부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방송 수신중에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무선 인터넷 접속중에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한다.) 서비스는 2002년 4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산, 학, 연, 방송사로 구성된 '위성 DMB 표준화 추진위원회'에서 ITU 국제표준방식인 시스템 A, B, D, E 방식에 대하여 전문가회의와 공청회 등을 통한 표준화 작업을 거쳐 시스템 E 방식을 채택하고, 정보통신부에서 2003년 4월 8일 시스템 E 방식의 국내 단일 표준으로 확정하였으며, 2004년 상반기에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위성 DMB란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해 이동 중에도 수십 개 채널의 고화질 TV와 음악 등을 시청할 수 있는 단방향 방송으로, 위성에서만 전파를 발사하는 스카이라이프와 달리 지상 곳곳에 중계기를 설치, 시속 150Km 로 고속 주행 시에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다. 이는 개인 이동 위성 서비스(PMSB: Personal Mobile Satellite Broadcasting)라고도 하며, 초기에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의 개념으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정지 화상 및 동영상 방송을 지원하는 기술로 발전하였다.
DMB 위성은 지상의 DMB 센터로부터 약 13GHz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면, Gap filler(지상 중계국)를 위한 약 12GHz의 신호와, 단말기가 직접 수신하기 위한 약 2.6GHz 의 신호를 송출한다. Gap filler는 위성신호가 도달하지 못하는 지역에 단말기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시스템으로써, 주로 다중 경로 페이딩 현상이 나타나는 도심지역에 설치되며,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약 12GHz의 신호를 변조하여 약 2.6GHz의 신호로 송출한다.
한편,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위성 DMB와 무선 인터넷을 연동하는 기술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위성 DMB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위성 DMB와 무선 인터넷을 연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원 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디코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뎀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디코더를 제어하여 위성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위성방송 수신중에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를 제어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하는 제어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위성방송 수신중에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자 상거래를 위한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를 위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인터넷 주소는 위성방송을 통해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구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디코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뎀부, 상 기 이동통신 모뎀부를 제어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중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디코더를 제어하여 위성방송을 수신하도록 하는 제어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중에 수신한 제어코드에 따라 위성방송의 특정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과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중에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하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과정은, 상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중에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모뎀부를 활성화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에서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시도하고,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면 상기 제어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 통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는 무선 인터넷과의 연동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위성방송 중에 필요한 데이터 를 주고 받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무선 인터넷에 관한 기능이 종료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모뎀부에서 무선 인터넷을 종료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의 상기 데이터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을 연동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과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모뎀부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중에 위성방송 수신이 필요하면 위성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중에 위성방송 수신이 필요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를 활성화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는 위성방송 수신을 시도하고, 위성방송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위성방송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이동통신 모뎀부에 통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에서는 위성방송과의 연동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위성방송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에서 위성방송을 종료하고자 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위성방송을 종 료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의 상기 데이터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이동통신 모뎀부(150), 멀티미디어 코덱(160), DMB용 디코더(170), DMB수신부(180), 채널변환기(190)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 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DMB용 디코더(170)를 제어하여 위성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위성방송 수신중에 필요에 따라서 이동통신 모뎀부(150)를 제어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위성방송 수신중에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자 상거래를 위한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전자상거래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인터넷 주소는 위성방송을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미리 지정된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이동통신 모뎀부(150)를 제어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중에 DMB용 디코더(170)를 제어하여 위성방송을 수신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무선 인터넷 접속중에 수신한 제어코드에 따라 위성방송의 특정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뎀부(150)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한다. 신호를 송신할 때는, 송신IF(152)와 송신RF(154)를 통해 기저대역의 신호를 중간주파수와 고주파로 차례로 올린 후, 듀플렉서(195)를 거쳐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 반대로 신호를 수신할 때는 안테나 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듀플렉서(195)를 거쳐 수신RF(158)와 수신IF(156)를 통해 고주파신호를 중간주파수와 기저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이때, 채널변환기(190)는 각 시스템별 또는 이동통신 사업자별 무선구간의 정해진 주파수에 동조되어 사용자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부분을 동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모뎀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시도한다.
멀티미디어 코덱(160)은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의 동작을 위한 코덱(Codec)으로서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이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코덱으로는 MPEG4, 오디오 코덱으로는 AAC Codec 등이 있다. 또한, DMB를 위해서는 H.264, AAC Plus 등의 코덱이 필요하다. 멀티미디어 코덱(160)은 이러한 다양한 코덱을 하나 또는 그 이상 포함할 수 있다.
DMB용 디코더(170)는 DMB 수신부(18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을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과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중에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하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여기서 위성 디 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는 DMB용 디코더(170), DMB 수신부(180)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위성방송을 수신한다(S205).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중에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한지 확인한다(S210).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고, 제어부(140)는 이동통신 모뎀부(150)를 활성화한다(S215).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치 않으면 위성방송을 계속 수신한다(S270).
이동통신 모뎀부(150)에서는 무선 인터넷에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S220). 통화 연결이 성공하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게 된다(S225).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게 되면 제어부(14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 통보한다(S230).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는 무선 인터넷과의 연동 서비스를 수행한다(S235). 연동 서비스 중에 제어부(140)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위성방송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한다(S240). 이때, 주고받는 데이터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무선 인터넷에 관한 기능이 종료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송한다(S245). 제어부(140)는 이동통신 모뎀부(150)에 무선 인터넷의 종료를 명령한다(S250). 명령을 받은 이동통신 모뎀부 (S260)는 무선 인터넷을 종료한다(S26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인 위성방송 수신중에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과는 달리 무선 인터넷 접속 중에 위성방송을 수신하여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과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모뎀부(150)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중에 위성방송 수신이 필요하면 위성방송을 수신한다. 이러한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통신 모뎀부(150)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다(S305). 무선 인터넷 접속중에 위성방송 수신이 필요한지 확인한다(S310). 위성방송 수신이 필요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고, 제어부(140)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를 활성화한다(S315). 위성방송 수신이 필요치 않으면 무선 인터넷의 접속을 계속한다(S360).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는 위성방송신호의 수신을 시도한다(S320). 위성방송신호의 수신이 성공하면 위성방송을 수신하게 된다(S325). 위성방송을 수신하면 제어부(140)는 위성방송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이동통신 모뎀부(150)에 통보한다(S330).
이동통신 모뎀부(150)에서는 위성방송과의 연동 서비스를 수행한다(S335). 제어부(140)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위성방송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한다(S340). 이때, 주고받는 데이터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동통신 모뎀부(150)에서 위성방송을 종료하고자 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S345). 제어부(140)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게 위성방송을 종료하도록 명령한다(S350). 명령을 받은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는 위성방송 신호의 수신을 종료한다(S355).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을 연동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전자 상거래 등의 유용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사용자에게 이동전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방송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디코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뎀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디코더를 제어하여 위성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위성방송 수신중에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를 제어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하는 제어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위성방송 수신중에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자 상거래를 위 한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전자 상거래를 위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인터넷 주소는 위성방송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디코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뎀부;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를 제어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중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디코더를 제어하여 위성방송을 수신하도록 하는 제어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중에 수신한 제어코드에 따라 위성방송의 특정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과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중에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하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중에 무선 인터넷 접속이 필요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 신 모뎀부를 활성화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에서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시도하고,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면 상기 제어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 통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는 무선 인터넷과의 연동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위성방송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무선 인터넷에 관한 기능이 종료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모뎀부에서 무선 인터넷을 종료하도록 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의 상기 데이터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9.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과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단 말기에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모뎀부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중에 위성방송 수신이 필요하면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중에 위성방송 수신이 필요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를 활성화하는 제1단계와,
    상기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는 위성방송 수신을 시도하고, 위성방송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위성방송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이동통신 모뎀부에 통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에서는 위성방송과의 연동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위성방송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모뎀부에서 위성방송을 종료하고자 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부에서 위성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 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의 상기 데이터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KR1020040057320A 2004-07-22 2004-07-2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59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320A KR100593550B1 (ko) 2004-07-22 2004-07-2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320A KR100593550B1 (ko) 2004-07-22 2004-07-2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619A true KR20060008619A (ko) 2006-01-27
KR100593550B1 KR100593550B1 (ko) 2006-06-28

Family

ID=3711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320A KR100593550B1 (ko) 2004-07-22 2004-07-2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5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83B1 (ko) * 2006-02-22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듀얼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35354B1 (ko) * 2005-08-13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KR100842671B1 (ko) * 2006-07-13 2008-06-30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인터넷망의 리턴 링크를 이용한 양방향 tdmb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3179425A (zh) * 2020-11-16 2021-07-27 北京路安世纪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高速数字电视信号传输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54B1 (ko) * 2005-08-13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KR100681583B1 (ko) * 2006-02-22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듀얼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42671B1 (ko) * 2006-07-13 2008-06-30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인터넷망의 리턴 링크를 이용한 양방향 tdmb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3179425A (zh) * 2020-11-16 2021-07-27 北京路安世纪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高速数字电视信号传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3550B1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5079B2 (ja) 無線端末機におけるディ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を受信する装置及び方法
US20100066918A1 (en) Mobile television control logic and method for improved channel switching time
JP4650570B2 (ja) 送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送信方法
JP2008283406A (ja) 携帯機器
KR10059355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무선 인터넷의 연동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1051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위성 방송 수신 다이버시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0249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시청 방법
KR20090015439A (ko)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US201000239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roadcast Reception Requirements Based on Location
KR1007133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
EP19298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on a voice channel and broadcast channel
US7425923B2 (en) Combined DMB and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155308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50059717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2497B1 (ko) Dmb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수신처리 방법
KR20060039503A (ko)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위성 dmb 방송을디스플레이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및 위성 dmb 방송디스플레이 방법
KR200402071Y1 (ko) 디엠비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KR100829224B1 (ko) 멀티미디어 신호수신부가 내장된 정보 단말 시스템
US20070047496A1 (en) Intenna of wireless terminal
US20070043460A1 (en) Apparatus for audiocasting and method thereof
KR20050021799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H11112376A (ja) 衛星放送受信システム
US8521219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reception method to receive content data being broadcast via radio waves
KR10077087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데이터 처리 방법
KR100842235B1 (ko) 직접 인터넷에 연결되는 복합형 dmb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