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391A - 악취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악취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391A
KR20060008391A KR1020040057077A KR20040057077A KR20060008391A KR 20060008391 A KR20060008391 A KR 20060008391A KR 1020040057077 A KR1020040057077 A KR 1020040057077A KR 20040057077 A KR20040057077 A KR 20040057077A KR 20060008391 A KR20060008391 A KR 20060008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air
incineration
burner
pre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석
Original Assignee
조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석 filed Critical 조형석
Priority to KR1020040057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8391A/ko
Publication of KR2006000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전처리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악취가 제거된 후처리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출덕트를 갖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투입되되 소각시 발생하는 소각연기로써 상기 전처리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후처리공기를 형성하는 소각재료와; 상기 장치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각재료를 소각시키는 버너와; 상기 배출덕트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후처리공기에 대한 악취의 농도를 감지하는 악취농도감지센서와; 상기 악취농도감지센서로부터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하수종말처리장이나 각종 음식물쓰레기처리장 등을 포함하여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곳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방지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 bad sme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방지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치본체 12 : 중간격벽
15a,15b : 유입덕트 17 : 배출덕트
20 : 악취농도감지센서 22 : 메인송풍기
23 : 소각재료 26 : 버너
30 : 유도송풍기
본 발명은, 악취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종말처리장이나 각종 음식물쓰레기처리장 등을 포함하여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곳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악취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냄새의 종류에 상관없이 싫거나 불쾌한 냄새를 악취라 한다. 악취로 인한 피해는 호흡리듬의 이상, 기침, 혈압상승, 구역질, 구토, 후각감퇴 등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악취는 불면증, 안면방해, 불안, 짜증, 히스테리 등을 포함하여 알레르기 증후, 아토피성 피부염, 비염도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악취로 인한 진정이나 피해는 대부분 제한된 일정 지역에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악취를 배출하는 발생원은 공장이라고 말하기에는 어려운 작은 규모에서부터 상대적으로 큰 화학공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실제로 우리 생활과 매우 밀접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기환경보호법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물질의 규제와 함께 주민의 주거 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생활 악취의 규제를 별도로 명시하여 농수산물 도매시장 또는 공판장, 도축장, 축산업, 출판사 및 인쇄소, 고물상 등에 대하여 규제기준과 내용을 따로 명시함으로서 악취에 대한 피해를 줄이도록 규정하고 있다.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수세법, 냉각법, 흡착법 및 연소법을 포함하는 물리적방법과, 산알카리세정법, 은폐법, 액상촉매법 및 오존산화법을 포함하는 화학적방법과, 토양탈취법을 포함하는 생물학적방법이 존재한다.
이들 방법들은 각기 그 나름대로의 효과를 가지고 다양하게 활용되는데,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20-2003-0027949로써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출원번호 20-1997-0039459로써 배수구 악취방지장치, 출원번호 10-1998-0048292로 써 집수정용 악취방지장치 등에 적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본 출원인 역시, 하수종말처리장이나 각종 음식물쓰레기처리장 등을 포함하여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곳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법으로써의 악취방지장치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종말처리장이나 각종 음식물쓰레기처리장 등을 포함하여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곳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악취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생하는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감각적인 불쾌감뿐만 아니라 악취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호흡리듬의 이상, 기침, 혈압상승, 구역질, 구토, 후각감퇴, 불면증, 안면방해, 불안, 짜증, 히스테리, 알레르기 증후, 아토피성 피부염, 비염도 등의 각종 폐해로부터 탈피할 수 있도록 한 악취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소정의 전처리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악취가 제거된 후처리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출덕트를 갖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투입되되 소각시 발생하는 소각연기로써 상기 전처리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후처리공기를 형성하는 소각재료와; 상기 장치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각재료를 소각시키는 버너와; 상기 배출덕트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후처리공기에 대한 악취의 농도를 감지하는 악취농도감지센서와; 상기 악취농도감지센서로부터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악취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치본체 내에는 횡방향을 따라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중간격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덕트에 인접한 상기 중간격벽의 상부에는 상기 전처리공기 및 상기 소각연기를 혼합하여 상기 배출덕트로 송풍하는 메인송풍기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입덕트는 적어도 한개 이상 마련되되 상기 중간격벽을 사이에 두고 일측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타측 공간에는 상기 소각재료 및 상기 버너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중간격벽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덕트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전처리공기를 상기 소각재료 및 상기 버너 측으로 유도하는 유도송풍기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유도송풍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된다.
상기 소각재료는 소각시 추가의 오염물질을 형성하지 않는 쑥, 녹차잎 등의 식물성재료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방지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방지장치는 장치본체(10)를 갖는다. 통형상을 이루는 장치본체(10)의 내부 중앙영역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중간격벽(12)이 마련되어 있다. 중간격벽(12)으로 인해 장치본체(10)의 내부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중간격벽(12)을 기준으로 좌측의 공간을 제1공간(10a)이라 하고 우측의 공간을 제2공간(10b)이라 한다.
제1공간(10a)의 측면과 하면에는 각각 유입덕트(15a,15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유입덕트(15a,15b)를 통해서는 소정의 전처리공기가 제1공간(10a) 내로 유입된다. 전처리공기란 앞서 기술한 다양한 악취제거 방법 등이 적용되어 이미 1차로 처리된 공기를 말한다. 종래 기술의 경우, 이러한 전처리공기를 그냥 대기중으로 배출하고 있지만 전처리공기는 악취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래의 기술로써 전처리공기에 잔존하는 악취를 제거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고 있는 것이다.
장치본체(10)의 상부에는 배출덕트(17)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배출덕트(17)로는 악취가 없는 전처리공기를 비롯하여 전처리공기에 소각연기가 혼합되어 악취가 제거된 후처리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출덕트(17)의 내부에는 배출덕트(17)를 통해 배출되는 후처리공기에 대한 악취의 농도를 감지하는 악취농도감지센서(20)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덕트(17)에 인접한 중간격벽(12)의 상부에는 메인송풍기(22)가 배치되어 있다. 메인송풍기(22)가 가동함으로써 각 유입덕트(15a,15b)를 통해서 제1공간(10a) 내로 유입된 전처리공기가 배출덕트(17)를 경유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전처리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악취농도감지센서(20)가 전처리공기의 악취농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소정의 기준조건 이상이면 제어부(미도시)가 후술할 버너(26)와 유도송풍기(30)를 동작(ON)시키고 기준조건 이하이면 버너(26)와 유도송풍기(30)를 동작을 해제(OFF)하게 된다.
한편, 제2공간(10b) 내에는 소각시 발생하는 소각연기로써 전처리공기와 혼합되어 후처리공기를 형성하는 소각재료(23)가 마련되어 있다. 소각재료(23)로는 소각시 추가의 오염물질을 형성하지 않는 쑥, 녹차잎 등의 식물성재료가 함유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쑥을 주원료로 제조한 쑥탄을 이용하고 있다. 소각재료(23)인 쑥탄은 하부가 개구된 별도의 용기(24)에 담겨져 있다. 장치본체(10)로 쑥탄을 쉽게 집어넣거나 뺄 수 있도록 쑥탄이 위치하는 장치본체(10)의 측부에는 제1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소각재료(23)인 쑥탄의 하부에는 쑥탄을 소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제2관통공(14)을 통해 삽입된 버너(26)가 위치하고 있다. 버너(26)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ON/OFF)된다.
한편, 중간격벽(12)의 하부에는 각 유입덕트(15a,15b)를 통해 제1공간(10a)으로 유입된 전처리공기를 소각재료(23) 및 버너(26)가 위치한 제2공간(10b)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송풍기(30)가 장착되어 있다. 유도송풍기(30) 역시 버너(26)와 마찬가지로 악취농도감지센서(20)의 센싱신호에 기초한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ON/OFF)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악취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송풍기(22)가 가동하면, 다양한 악취제거 방법 등이 적용되어 이미 1차로 처리된 전처기공기가 해당하는 유입덕트(15a,15b)를 통해서 장치본체(10)의 제1공간(10a) 하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전처리공기는 메인송풍기(22)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하여 배출덕트(17)를 통해 배출된다.
전처리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악취농도감지센서(20)가 전처리공기 내의 악취농도를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전처리공기 내의 악취농도가 소정 기준조건 이상일 경우, 제어부는 유도송풍기(30)와 버너(26)를 동작(ON)시킨다.
유도송풍기(30)가 동작하면 유입덕트(15a,15b)를 통해서 제1공간(10a) 내로 유입된 전처리공기는 유도송풍기(30)를 통해 제2공간(10b)으로 향한 후, 상측으로 부상한다. 이 때, 버너(26)의 동작(ON)에 의해 소각재료(23)가 소각되면서 소정의 소각연기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유도송풍기(30)를 통해서 제2공간(10b)으로 향한 전처리공기는 소각재료(23)인 쑥탄의 소각연기와 혼합된다. 따라서 전처리공기 내에 잔존하는 악취가 소각연기에 의해 소멸될 수 있다.
소각연기가 혼합되어 악취가 제거된 전처리공기는 메인송풍기(22)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하여 배출덕트(17)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감각적인 불쾌감뿐만 아니라 악취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호흡리듬의 이상, 기침, 혈압상승, 구 역질, 구토, 후각감퇴, 불면증, 안면방해, 불안, 짜증, 히스테리, 알레르기 증후, 아토피성 피부염, 비염도 등의 각종 폐해로부터 탈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악취제거장치는, 하수종말처리장이나 각종 음식물쓰레기처리장 등을 포함하여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곳에 적용됨으로써 해당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입덕트(15a,15b)가 두개 마련되어 있지만 하나가 마련되거나 혹은 두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장치본체(10) 내에 중간격벽(12)이 형성되어 있지만 중간격벽(12)을 형성하지 않고 장치본체(10) 내에 직접 소각재료(23)인 쑥탄과 버너(26)를 배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소각재료(23)인 쑥탄이 별도의 용기(24)에 담겨 소각되고 있으나 용기(24) 없이 그 자체로 소각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으나 버너(26)가 동작하여 소각재료(23)인 쑥탄을 소각시키면 쑥탄으로부터의 소각연기가 일정시간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버너(26)의 동작은 오프(OFF)될 수도 있다. 물론, 일정시간 후에는 다시 동작(ON)하여 소각재료(23)인 쑥탄을 소각시켜야 할 것인데, 이는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종말처리장이나 각종 음식물쓰레기처리장 등을 포함하여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곳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대상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생하는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감각적인 불쾌감뿐만 아니라 악취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호흡리듬의 이상, 기침, 혈압상승, 구역질, 구토, 후각감퇴, 불면증, 안면방해, 불안, 짜증, 히스테리, 알레르기 증후, 아토피성 피부염, 비염도 등의 각종 폐해로부터 탈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의 전처리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악취가 제거된 후처리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배출덕트를 갖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투입되되 소각시 발생하는 소각연기로써 상기 전처리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후처리공기를 형성하는 소각재료와;
    상기 장치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각재료를 소각시키는 버너와;
    상기 배출덕트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후처리공기에 대한 악취의 농도를 감지하는 악취농도감지센서와;
    상기 악취농도감지센서로부터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악취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 내에는 횡방향을 따라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중간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덕트에 인접한 상기 중간격벽의 상부에는 상기 전처리공기 및 상기 소각연기를 혼합하여 상기 배출덕트로 송풍하는 메인송풍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덕트는 적어도 한개 이상 마련되되 상기 중간격벽을 사이에 두고 일측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타측 공간에는 상기 소각재료 및 상기 버너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격벽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덕트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전처리공기를 상기 소각재료 및 상기 버너 측으로 유도하는 유도송풍기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유도송풍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재료는 소각시 추가의 오염물질을 형성하지 않는 쑥, 녹차잎 등의 식물성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장치.
KR1020040057077A 2004-07-22 2004-07-22 악취방지장치 KR20060008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077A KR20060008391A (ko) 2004-07-22 2004-07-22 악취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077A KR20060008391A (ko) 2004-07-22 2004-07-22 악취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391A true KR20060008391A (ko) 2006-01-26

Family

ID=3711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077A KR20060008391A (ko) 2004-07-22 2004-07-22 악취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83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219B1 (ko) * 2007-01-02 2008-02-21 김영기 음식물 쓰레기 소각기
KR102387992B1 (ko) * 2021-09-16 2022-04-18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내 친환경 상하수도 맨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219B1 (ko) * 2007-01-02 2008-02-21 김영기 음식물 쓰레기 소각기
KR102387992B1 (ko) * 2021-09-16 2022-04-18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내 친환경 상하수도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491B1 (ko) 공기 정화 장치
KR200407830Y1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101382611B1 (ko) 비접촉식 와류형 광복합 촉매 산화 탈취 장치
JP2007006956A (ja) 除菌及び脱臭機能を備えた空気清浄機
KR102562516B1 (ko) 악취농도에 따라 가변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 절전형 복합탈취기 및 그 제어시스템
KR20060008391A (ko) 악취방지장치
KR1020147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655767B1 (ko)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KR102388987B1 (ko) 오물 처리용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573980B1 (ko) 탈취 및 살균의 기능을 갖는 유기물 처리시스템
KR101806404B1 (ko) 공기정화 및 악취제거 시스템
KR20110127373A (ko) 습한 오존과 공기 와류 생성을 이용한 공기살균장치 및 공기살균방법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WO2005049502A1 (ja) バイオガス発生後の排水処理システム
CN207805352U (zh) 一种膜洗涤吸收除臭装置
KR102471649B1 (ko) 연소가스 정화장치
KR20110038220A (ko) 음식물 처리기 하이브리드 살균 탈취 장치
CN105413419A (zh) 垃圾填埋场臭气处理装置
KR100556338B1 (ko) 하/폐수종말처리장에서의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0497987Y1 (ko) 탈취 유니트
KR102605773B1 (ko) 유해 바이오 에어로졸 제거용 라디칼 융합 공조 시스템
KR102385878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190061184A (ko)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1402691B1 (ko) 철염필터를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및 악취 저감 방법
KR101222938B1 (ko) 이동식 오염공기 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