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811A -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811A
KR20060006811A KR1020057019444A KR20057019444A KR20060006811A KR 20060006811 A KR20060006811 A KR 20060006811A KR 1020057019444 A KR1020057019444 A KR 1020057019444A KR 20057019444 A KR20057019444 A KR 20057019444A KR 20060006811 A KR20060006811 A KR 20060006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preventing
preventing device
jelly
injector
fluid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사 니시하라
Original Assignee
리사 니시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사 니시하라 filed Critical 리사 니시하라
Priority to KR102005701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6811A/ko
Publication of KR2006000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사체 주요부분의 체액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체액누출방지부재를 각각 구비한 것을 세트로 하여 준비하고, 이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사체 대부분의 체액누출을 전체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의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는, 사체의 인두부(B)에 삽입되는 고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젤리체(11)가 충전된 주입기(1)와, 콧구멍(A)에서 인두부(B)로 삽입되는 삽입관(20)과, 삽입관(20) 외부에 삽입되는 커버부재(30)와, 직장용 체액봉입부재(40)와, 구강용 목면체(60)를 구비한다.
사체, 시신, 체강, 체액, 누출방지, 목면체, 젤리체, 주입기, 봉입

Description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CORPSE BODY FLUID LEAKAGE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은, 사체로부터의 체액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체의 체강(體腔)에 장전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체의 인후부(咽喉部), 직장부(直腸部), 구강 내 체액(體液)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에 적합한 체액 누출 방지체를 세트로 준비한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체는 사망 후에 위액, 폐액, 배설물 등의 체액을 누출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병원에서는, 사망확인 후, 사체의 입, 코, 귀, 항문, 여성의 질 등의 체강에 거즈, 탈지면 등을 장전하여 체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처치가 이루어진다. 또 사고나 수술 후의 사체 개구부에도 마찬가지의 처치가 취해진다.
거즈, 탈지면 등 대신 고흡수성 수지분말을 입, 코, 귀, 인후 등에 장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평 08-133901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입, 코, 귀에 고흡수성 수지를 장전하는 예로는, 분말체가 아닌 젤리를 이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 2002-275001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흡수성 수지분말을 함유하는 젤리체를 인후부나 직장용으로 사용하는 체액누출방지장치가 알려져 있 다.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하는 체액누출방지장치는, 인후부, 직장(항문), 여성의 질, 귀, 코, 입안 등의 어느 부위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많으며, 직장용 체액누출방지장치로는, 인후부, 귀, 코에 사용하는 체액누출방지부재를 직장용으로도 사용하는 것으로 개시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 중에서 직장용 체액누출방지장치로는, 일본국 특개 2001-16173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풍선체(風船體)를 항문에 삽입한 후, 가스나 공기로 팽창시켜 밀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체의 입, 코, 귀 등의 체강에 거즈, 탈지면 등을 장전하는 방법에서 누출체액이 많은 경우에는, 거즈, 탈지면 등으로는 불충분하여 체외로 누출되거나 한다. 누출된 체액의 처리 시에 병원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어 작업자가 꺼려한다. 또 새로운 거즈, 탈지면 등과 교환할 필요가 있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사체체액을 통해 병원균이 감염될 위험성이 있으며, 교환 시에는 그 주변에 누출체액의 악취가 남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거즈를 대신하는 방법으로서, 고흡수성 미세 수지분말을 주사기(syringe)로 사체에 충전하는 방법은, 분말을 눌러도 분말 자체의 밀도가 높아질 뿐, 주사기 내를 유연하게 흐르지 못하므로 충전이 어렵다. 또 뿜어져 나오는 분말이 확산되므로, 분말을 뭉쳐 마개로 하고자 하는 곳에 분말을 멎게 하기가 어려우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체 밖으로 나와 사체 주변을 더럽힐 우려가 있다. 또한 분말을 그대로 사체에 장전할 경우에는, 체액이 적은 사체에 대해서는 미세분말이 흘러나오거나 또는 겔이 녹아서 새어나올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위해 분말체가 아닌, 젤리를 이용한 것이 알려졌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08-133901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소취제가 들어있는 분말폴리머를 적당량의 물에 녹여 혼합하고 젤리(A)로 하여, 사체의 비강 속, 구강 속, 귓속에 주사기 등으로 주입하여 충만시키며, 젤리(A)로 지혈하고 그 바깥쪽에 다시 위생면으로 마개(B)를 하는 것이다.
이 공보에서는, 젤리에 소취제를 혼합하여 악취를 방지하도록 하고, 젤리 자체로 마개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젤리만으로는 봉입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위생면 등으로 다시 봉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 공보와 같이, 분말폴리머를 물에 녹여 젤리상태로 하면 유동성이 양호해지므로, 콧속 등의 안쪽에도 주입이 수월해 주입기를 사용해 주입해도, 분말체와 같이 비산되는 일도 없이, 주입관을 통해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물에 녹인 상태이므로 본래 폴리머가 갖는 흡수성능은 거의 없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젤리는 콧구멍의 틈새를 메우는 마개로서의 기능으로밖에 사용할 수 없어, 체액누출을 충분히 봉입할 수 없다.
일본국 특개 2002-275001호 공보는, 젤리이면서 높은 흡수성을 갖는 체액누출방지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폴리머가 분말체의 상태로 젤리 중에 분산된 젤리형의 체액누출방지재료를 사용하여 체강을 봉입하는 것으로서, 인후부의 체액누출방지재료로서는 매우 우수하다. 인후부와 같은 곳에는 이 젤리체를 충전함으로써, 이 부분에 고정되어 체액을 흡수하고 인후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직장에 충전했을 때는, 직장의 출구(항문 출구) 부근에 멎지 않고 안쪽으로 들어 가버려, 직장의 봉입재료로서 기능하지 못한다. 직장용 봉입부재로서는, 고흡수성 수지의 미세분말이나 젤리체를 주입기로 그냥 충전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별도의 방법이 필요하다.
직장용으로, 풍선체를 항문에 삽입한 후, 가스나 공기로 팽창시켜 밀봉하는 것을 개시한 일본국 특개 2001-161733호 공보의 기술은, 공기로 팽창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며, 또 이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할 필요가 있다. 체액누출부재로는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누출방지기능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체액을 흡수하여 팽창시키는 것은 아니므로, 약간의 틈새라도 있다면 체액이 누출될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직장용 체액누출방지장치로서,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하여 체액을 흡수하고 팽창시켜 직장을 봉입하는 것이 여러 가지로 연구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성과가 없다.
그래서 우리는, 인후부용의 체액누출방지장치와는 달리, 직장용으로 적합한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연구 개발했다. 그러나 이 직장용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사체 각 부분의 체액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사체의 체액누출방지장치 전체적으로는 불충분하다.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사체 각 부분의 체액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체액누출방지부재를 각각 작성하여, 이들을 갖춘 세트로서 준비하고, 이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사체의 체액누출을 전체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사체의 체액누출 처리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인후부용으로는 인후부용의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사용하고, 직장용으로는 직장용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사용하며, 또 구강용 패킹(packing)을 준비하고 이들을 세트로 준비함으로써, 이 세트를 사용함에 따라 사체 대부분의 각 부 체액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젤리체로 된 인후부용 체액누출방지부재를 준비하며, 인후부용 체액누출방지부재와 다른 형식의 직장용 체액봉입부재를 준비하고, 또 구강용 패킹을 준비함으로써, 사체로부터의 체액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사체처치를 안전하면서 확실하고 간단히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체의 인후부에 삽입되는 고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젤리체가 충전된 주입기(syringe)와, 콧구멍으로부터 인후부로 삽입되는 가요성(flexible) 합성수지제의 삽입관 본체와, 이 삽입관 본체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기와 접속가능한 접속부와, 이 삽입관 본체 선단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갖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에 외부로 삽입되는 커버부재와, 고흡수성 다공질 섬유로 된 통형(筒形) 성형체와, 이 통형 성형체의 외주에 피복된 수용성 시트를 구비한 직장용 체액봉입부재와, 고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젤리체를 부착한 구강용 목면(cotton)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이다.
이 구성에서는, 삽입관을 콧구멍으로부터 인후부에 삽입하고, 삽입관을 통해 인후부에 주입기 내의 젤리체를 부드럽게 충전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인후부에서 젤리체가 흡액 팽창하여 인후부로부터 구강이나 콧구멍을 통해 체액이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직장에는, 직장용 체액봉입부재의 외표면에 글리세린 등의 윤활제를 도포하여 장전함으로써, 좌약 감각으로 장전할 수 있어 장전작업이 용이하다. 특히, 윤활제를 도포했을 때, 통형 성형체 위에 수용성 씰(seal)부재를 가지므로, 윤활제가 통형 성형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순조로운 장전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직장용 체액봉입부재 장전 후 체액에 의해 수용성 씰이 즉시 녹아, 통형 성형체가 체액에 의해 급속하게 팽창되므로, 항문의 출구를 신속하게 봉입할 수 있어 체액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목면체를 구강 내에 장전함으로써, 입 속의 타액 등의 액체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이 목면체를 양 볼에 위치시켰을 경우, 흡액 팽창된 목면체가 양 볼의 형태를 다듬어 주는 데도 도움이 되는 우수한 기능을 갖는다. 특히, 노인은 의치를 빼면 볼이 패여 들어가 초라한 모양으로 되나, 이 목면체를 볼 안쪽에 위치시킴으로써 목면체가 적당히 팽창성을 갖게 되어 볼을 적정한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체의 주된 체액누출부인 인후부, 직장 및 구강 내에서, 체액을 흡수함과 동시에 체액누출을 방지하므로, 이 체액누출방지장치를 1세트 준비하는 것만으로 사체 주요부분의 체액누출 방지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인후부용 주입기, 직장용 봉입장치는 삽입작업이 용이하여 취급성이 우수하다.
상기 주입기 내의 젤리체 100용량부에 대해,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를 40∼180용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젤리체를 사용하여, 사체의 인후부에 대해 체액누출방지에 사용하는 젤리체의 양을, 체격이 다른 사람이나 남녀의 차에 대해 여러 가지로 시험한 결과, 사체의 크기에 따라 인후부 젤리체의 양을 설정하면, 이에 따라 직장부의 봉입부재 크기도 소정 범위로 되는 것을 알았다. 즉 인후부의 젤리체 양을 통상의 사람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양으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직장용 봉입부재의 크기를 소정 범위로 설정하도록 한다. 이로써 통상의 사체에 대해 공통으로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여러 가지 크기의 인후부용 주입기나 여러 크기의 직장용 봉입부재를 다수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러므로 원가를 저감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잘못하여 다른 종류의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사용할 우려가 없어진다.
상기 주입기 내의 젤리체 100용량부에 대해,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를 40∼180용량부로 할 경우, 상기 주입기 내의 젤리체를 20∼30cc로 하고,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의 양을 상기 젤리체의 0.7∼1.3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젤리체를 사용하여, 사체의 인후부에 대해 체액누출방지에 사용하는 젤리체의 양을, 체격이 다른 사람이나 남녀의 차에 대해 여러 가지로 시험한 결과, 통상의 사람에 대해서는 소정 범위로 집약 가능하며, 본 발명의 직장용 체액봉입장치 크기를 상기 인후부 젤리체의 용량에 대해 소정 범위로 설정하면 됨을 알았다. 인후부의 젤리체 양과 이 젤리체 양에 대해 직장용의 크기를 소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통상의 사체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 각종 여러 가지 크기의 인후부용 주입기나 여러 크기의 직장용 봉입장치를 다수 준비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그러므로 원가를 저감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잘못하여 다른 종류의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사용할 우려가 없어진다.
상기 주입기 내의 상기 젤리체는, 용제, 증점제(增粘劑) 및 고흡수성 수지분말을 함유하며, 고흡수성 수지분말은 젤리체 중에 5000개 이상/mL 분산되고, 용제 100중량부에 대해 증점제가 0.02∼0.15중량부 포함되며, 점도가 8000∼40000cP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사체의 인후부에 장전되는 체액봉입부재로서의 젤리체 중에 고흡수성 분말체가 다수 분산되므로, 체액봉입부재의 유동성이 높아, 콧구멍의 좁은 틈새라도 흘러가기 쉬우며, 주입기로 주입해도 비산되는 일이 없다. 더욱이 인후부에 충전한 후는, 젤리체가 적정 점도를 갖고 있으므로, 인후부를 지나 식도 안쪽으로 흘러 들어가는 일없이 이 인후부에서 멎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인후부에서 젤리체에 분산된 폴리머가 체액을 흡수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젤리체에는, 추가로 중화제 및 윤활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젤리체의 점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어, 충전 시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인후부에 충전할 때 안쪽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고 이곳에 멎으므로, 인후부를 봉입하는 점성을 갖는 젤리체가 얻어진다.
상기 주입기의 토출통에는 분리 가능한 캡(cap)이 피복되며, 상기 삽입관 본체의 접속부에는, 상기 캡을 떼어낸 토출통을 받는 단차부와, 토출통이 외부 삽입되는 통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삽입관과 주입기의 접속이 용이해지며, 또 젤리체가 새는 일없이 접속할 수 있어 젤리체의 장전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주입기의 토출통에는 파괴 가능한 캡이 피복되며, 상기 삽입관 본체의 접속부에는, 상기 캡을 파괴하여 떼어낸 토출통을 받는 단차부와, 토출통이 외부 삽입되는 통형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로써 캡으로 확실하게 마개를 한 상태에서 주입기의 젤리체를 유지할 수 있어, 이 젤리체가 새는 일없이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기의 토출통에는 캡이 피복되며, 상기 삽입관의 접속부에는, 상기 캡이 피복된 토출통에 접속됐을 때, 주입기 내의 젤리체가 이 접속부를 통해 상기 삽입관 본체로 도입되도록 상기 캡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캡으로 확실하게 마개를 한 상태로 주입기의 젤리체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젤리체가 새는 일없이 보관할 수 있다. 더불어, 캡이 구성된 주입기의 토출통을 접속부에 세팅함으로써, 접속부에 형성한 절단부에서 캡이 간단히 파괴될 수 있으므로, 젤리체가 새는 일없이 주입기와 삽입관을 간단히 연통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삽입관의 삽입관 본체에 외부 삽입된 상태에서, 이 커버부재의 선단부가 삽입관 선단부의 개구부보다 앞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관의 삽입관 본체는 콧구멍에 삽입됐을 때 콧구멍의 형상에 맞추어 휘어질 필요가 있으므로, 가요성(유연성)을 갖는 것이다. 때문에 주입기나 다른 것과 세트로 하여 장기간 보관하면, 구부러지거나 하여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삽입관 본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재를 이 삽입관 본체에 씌운다. 그렇게 하여 커버부재의 길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하므로 이 커버부재에 의해 삽입관 본체의 선단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어, 삽입관 본체의 선단이 변형되거나, 선단 개구부가 부서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삽입관 본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또 삽입관 외주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커버부재가 삽입관 본체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사용 시에는 간단히 커버부재를 삽입관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삽입관 접속부의 외주에 끼워짐으로써 이 삽입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커버부재가 삽입관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사용 시에는 간단히 커버부재를 삽입관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특히 간단한 구조로 상기 불시의 분리 방지 및 간단한 분리 양쪽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주입기 중의 젤리체에는 소취제 및 소독제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악취를 흡수하거나, 작업 중에 작업자가 병원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의 통형 성형체에는 소취제 및 소독제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악취를 흡수하거나, 작업 중에 작업자가 병원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입기 외면에는, 인후부에의 젤리 충전량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은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 시판되고 있는 주입기에는, 예를 들어 0.1cc 단위로 눈금이 부여되어 충전량을 알 수 있게 되어있다. 이 시판 주입기를 이용하여 젤리체를 충전하고 인후부용으로 하면 저원가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사체의 인후부에 젤리체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할 때, 상기 눈금이 있기 때문에, 이 눈금을 기준으로 사체의 크기에 대한 충전량을 함부로 판단하여, 도중에 충전을 중단해버리거나, 어느 정도 충전된 시점에서 충전저항이 커지면 충전을 중단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숙련된 간호사 등에게는 그럴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시판 주입기와 같은 눈금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기 외주에는, 소량주입용의 소량용 마크가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아 등의 특수한 양으로 충분한 경우에 대해서만 마크를 부여함으로써, 이를 기준으로 충전량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다.
상기 주입기는 밀봉 봉지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장기 보관하여도 주입기 중의 젤리체가 습기를 흡수하여 고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사고 등으로 캡이 파손되거나, 캡과 주입기의 토출통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겼을 때라도, 젤리체가 습기를 흡수하여 고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입기에는, 주입기 내의 젤리체를 압출시키는 피스톤이 구비되며, 상기 주입기 및 상기 피스톤의 적어도 한쪽에, 주입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색상 식별마크가 부여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체처리용 주입기와 다른 주입기를 구별할 수 있어 미연에 오용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는 추가로, 취급용 장갑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직장용 봉입부재를 사체의 직장에 장전할 때 별도로 장갑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 장갑은 특히 고무장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는 추가로, 수건용 종이시트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처치 후에 간단히 손을 닦을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수건용 종이시트에는 소독제가 침투돼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처치 후 간단히 손을 닦음으로써, 작업자가 병원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는 추가로, 귀마개 및 코마개용 봉입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귀 및 코로부터의 체액누출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귀마개 및 코마개용 봉입부재는, 면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간단히 귀 및 코의 구멍을 봉입할 수 있다.
상기 귀마개 및 코마개용 봉입부재는, 면 재료 중에 고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젤리체가 0∼1.5mg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귀 및 코로부터의 체액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이 높아진다.
상기 귀마개 및 코마개용 봉입부재는, 밀폐 플라스틱 봉지체에 수납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봉입부재가 오염되거나, 습기를 흡수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는 추가로 윤활제가 들어 있는 용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직장용 봉입부재의 표면이나, 삽입관의 선단 등 사체의 체강에 삽입될 부분에 윤활제를 도포함으로써 삽입하기 쉬워지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특히 윤활제로는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는, 고흡수성 다공질 섬유로 된 통형 성형체와, 이 통형 성형체의 외주에 피복된 수용성 시트를 구비한 여성의 질용 체액봉입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여성용으로서 사용할 때 적합하다.
상기 직장용과 여성의 질용 부재는 동일 구성의 체액봉입부재로 하여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원가저감에 유리하며, 또 잘못 구별하여 사용할 우려가 없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는 추가로, 사용이 끝난 주입기, 삽입관, 커버부재 등을 수납하는 수납용 봉지체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이 끝난 폐기재료가 제각기 흩어지는 일없이 수납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 상기 목면체에는 체적 16㎤당 젤리체가 0.5g∼2.0g 함유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입안의 체액을 흡수하여 체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당한 크기로 팽창되므로, 볼이 통통해진 형상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되어 효과적이다.
상기 목면체에 함유되는 젤리체로는, 상기 주입기 내의 젤리체와 동종의 흡습성이 우수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입안에 채울 목면체가 추가로 필요하게 될 경우가 발생했을 때는, 응급처치로서 시판 커트 면(綿)을 준비하여 이것에 주입기 내의 젤리체를 약간 부여함으로써, 동일한 목면체를 준비할 수 있어 비상용 응급처치로서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 상기 목면체는, 밀폐 플라스틱 봉지체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목면체가 부주의로 흡습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혹은 오염되는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 상기 목면체 및 상기 봉입부재는, 1 개의 밀폐 플라스틱 봉지체에 함께 수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부피 축소에 유리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는, 상기 삽입관 본체의 중간부에, 이 선단부가 인후부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기 위한 마크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당해 마크를 삽입관의 삽입 시 기준으로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 상기 주입기 내 젤리체의 고흡수성 수지는 미세분말체로 이루어지며, 젤리체 1mL 중에 17000개∼29000개 분산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젤리체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흡수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인후부를 보다 확실하게 봉입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분말체는 20∼150메시(mesh)의 분말체로 이루어지며, 젤리체 1mL 중에 18000개∼25000개 분산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젤리체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흡수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인후부의 봉입기능이 매우 높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 상기 젤리체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중 적어도 1 종류를 함유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젤리체 중에 분말체를 분산시켜 유지하기가 유리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 상기 주입기의 젤리체에는, 알콜계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산 중합체가 0.01∼1.0중량부, 중화제가 0.03∼0.7중량부 함유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분말체를, 그 흡수성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젤리체 중에 분산시켜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높이는 데 유리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는, 상기 주입기 젤리체의 점도를 8000∼40000cP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코에서 인후부로 젤리체를 충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후부에 젤리체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적정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는, 상기 주입기 젤리체의 pH를 6∼8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 수지를 젤리체 중에 분산시켜 유지할 수 있어, 인후부의 체액누출방지에 유리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는, 아크릴섬유로 형성된 심(芯) 재료인 내층과, 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고흡수성 외층을 갖는 2층 구조의 다공질 섬유체로 된 통형 성형체와, 이 통형 성형체의 외주에 피복된 수용성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체액에 접촉하면 수용성 시트가 빠르게 녹아 통형 성형체가 신속하게 지름방향으로 팽윤되므로, 체액이 직장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 가능하다.
특히, 알칼리섬유로 형성된 심 재료로 섬유물성을 유지할 수 있어, 고흡수성 외층이 체액을 흡수하여 팽윤되므로, 통형 성형체는 직장 내에서 삽입위치를 유지하고 직장 내벽에 밀착되도록 팽윤되므로 체액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이 우수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는, 길이가 20∼90mm이며, 지름이 10∼25mm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항문이나 여성의 질 등 하반신 체강에 대한 사용에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의 상기 수용성 시트는, 두께 200㎛ 이하이며, 체액과 접촉하면 신속하게 녹는 시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직장 내로 삽입하기 전에는 도포된 윤활제가 통형 성형체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직장 내로 삽입된 경우에는, 이 고흡수성 시트가 즉시 녹아 체액이 바로 통형 성형체에 접촉할 수 있어, 신속하게 통형 성형체가 팽윤될 수 있다.
상기 통형 성형체는, 체액과 접촉하면 신속하게 흡수하여 팽윤되며, 지름이 약 2.5배 이상으로 팽창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당해 통형 성형체를 직장 내벽에 밀착시킬 수 있어, 체액이 체강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형 성형체에는, 소취제 및 소독제 중 적어도 1 가지가 포함되므로, 악취를 흡수하거나 작업 중에 작업자가 병원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에서는, 상기 삽입관 본체의 선단면에 제 1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삽입관 본체의 선단 근방 측면에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삽입관 본체 내의 젤리체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다른 각도로 토출되므로, 삽입관 본체로부터 콧구멍 내로 도입되기 쉽다.
상기 주입기 내의 젤리체 100용량부에 대해,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가 40∼180용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주입기 내의 젤리체가 20∼30cc이며, 이 값에 대해,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가 0.7∼1.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후부의 젤리체 양과 직장용 크기를 소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통상의 사체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 각종 여러 가지 크기의 인후부용 주입기나 여러 크기의 직장용 봉입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주입기 내 젤리체 중의 고흡수성 폴리머는, 젤리체 중에 분말체로 분산 산재하는데, 체액을 흡수하여 확실하게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젤리체 중에 5000개 이상/mL 분산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흡수성 폴리머가 미세분말체이며, 젤리체 중에 15000개/mL∼30000개/mL 분산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고흡수성 분말체가 20∼150메시의 분말체이며, 젤리 중에 18000개/mL∼25000개/mL 분산되면 체액누출방지 효과가 매우 높다.
상기 젤리체의 점액매체(mucilage medium)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글리콜계는 아크릴산계 폴리머를 분말체 상태로 분산시켜 유지시킨 상태가 안정되어 바람직하다. 에틸렌글리콜이 취급이 용이하여 6개월 이상 방치해도 내부에 분산된 미세분말체가 녹는 일없이, 장기간 안정된 분말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젤리체로는, 점액매체로서의 알콜계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산 중합체가 0.01∼1.0중량부, 중화제가 0.03∼0.7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산은, 안정된 젤리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며, 0.01중량부 미만에서는 점도가 부족하다. 한편 1.0중량부보다 많아지면 점도가 포화점에 달하여, 그 이상 증가시켜도 점도는 높아지지 않는다.
중화제는 젤리체의 pH를 적정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며, 0.03중량부 미만에서는 pH가 내려가고, 그 결과 젤리의 점성이 부족해져 점도의 유효범위를 벗어난다. 한편 0.7중량부보다 많아지면 젤리의 점성이 불안정해져 조정이 어려워진다.
상기 젤리체의 점도는 8000∼40000cP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값보다 점도가 낮으면 점성이 없어져, 인후부 내로 주입하기는 쉬우나 소정 위치에 멎을 수 없게 되어 봉입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한편 40000cP보다 지나치게 많으면 점성이 지나치게 높아 인후부에 주입하기가 어려워진다.
젤리체의 pH는 6∼8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6보다 적어지면, 젤리의 점성이 부족하여 점도의 유효 범위를 벗어난다. 한편 pH가 8보다 높아지면 점도가 변동하여 불안정해져 장기 안정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체강에 주입하기가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pH는 젤리의 점도를 적정한 값으로 하는 바로미터로서 사용된다.
상기 체액봉입부재에는, 이산화안정염소, 소취제, 살균제, 방부제 등의 약액을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젤리체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교반기에 점액매체인 에틸렌글리콜을 넣는다. 이 에틸렌글리콜을 교반하면서, 아크릴산 중합체를 소량씩 추가한다. 2∼8시간 교반시켜 분산액을 생성한다. 이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중화제를 조금씩 적하시켜간다. 이로써 젤리가 생성된다.
이 젤리에 겔 분말인 고흡수성 폴리머를 추가하여 충분히 교반한다. 이로써 폴리머가 분산된 젤리가 생성된다.
직장용으로 사용되는 고흡수성 섬유로는, 외층이 친수성 가교중합체이고, 내층이 아크릴계 중합체 및/또는 다른 중합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5∼200cc/g의 수팽윤도(水膨潤度)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고흡수성 섬유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면, 암모니아의 흡착성을 가지므로 악취 등을 흡수해준다. 카르복실기 함량은 0.5∼4.0mmol/g이 바람직하다.
특히 섬유제 통형 성형체로는, 아크릴섬유로 형성된 심(芯)인 내층과, 이 내층을 둘러싸도록 배설된 고흡수성이며 흡수 후 팽윤되도록 가공처리된 외층을 갖는 2중구조의 수팽윤성 섬유(상품명:Lanseal F, Toyobo사(東洋紡績社)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수용성 시트로는, 통형 성형체의 주위에 피복할 수 있으며 또 윤활제가 피복 가능함과 더불어, 윤활제가 통형 성형체에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고, 체액에 접촉하면 빠르게 녹아 체액이 통형 성형체에 접촉하는 것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츠비시제지사(三菱製紙社)제의 수용성 시트로서 품번 30MDP, 60MDP, 120MD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윤활제로는, 인체의 항문에 봉입부재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성형체의 표면에 피복하는 것으로 글리세린 등을 사용한다.
구강용 목면체로는, 자주 사용되는 4cm×4cm 커트 면을 사용하면 되며, 이 커트 면에 소정량의 젤리체를 부착시킨다.
부착방법은, 커트 면을 두께방향 도중에서 분할시켜, 한쪽 분할면에 젤리체를 불규칙하게 도포한 후, 다시 원래 형상으로 되돌린다. 젤리체로 분할면이 접합되어, 외관상으로는 원래의 커트면 상태로 돌아온다.
구강용 목면체로는 4cm×4cm 목면체에 대해, 젤리체가 0.5g∼2.0g 함유하면, 구강 내의 체액을 흡수하여 체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흡습되어 볼이 통통한 형태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팽창되므로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체의 주된 체액누출부인 인후부, 직장 및 구강 내에서 체액을 흡수함과 더불어 체액누출을 방지하므로, 당해 체액누출방지장치를 1세트 준비하는 것만으로 사체 주요부분의 체액누출방지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주입기 내의 젤리체가 20∼30cc이고, 이 값에 대해 직장용 체액봉입부재를 0.7∼1.3배로 한 경우에는, 통상의 사체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 각종 여러 가지 크기의 인후부용 주입기나 여러 크기의 직장용 봉입장치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 제 1 실시형태의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주입기 부분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직장용 체액봉입부재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3의 직장용 체액봉입부재의 부분설명도.
도 5는 구강용 목면체를 분할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인후부용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사체에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직장용 봉입부재를 삽입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추가 사용하는 비품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추가 사용하는 다른 비품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추가 사용하는 또 다른 비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추가 사용하는 귀마개 및 코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주입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여성의 질용 체액봉입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최상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사체의 체액누출방지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기(1) 내에 젤리체(11)가 충전된다. 선단의 토출통(2)에는 캡(3)이 분리 가능하게 눌러 씌워진다. 이 젤리체(1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인두부(B)에 삽입되는 삽입관(21)을 준비한다. 삽입관(21)은 도 2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콧구멍(A)에 삽입될 때 콧구멍의 형상을 따라 휘어지는 가요성(유연성)을 갖는 수지제 삽입관 본체(21)를 가지며, 후단부에 접속부(22)를 구비한다. 이 접속부는 삽입관 본체(21)보다 강성을 갖는 동일한 종류의 수지로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그 내부 중간부에 단차부(23)가 형성되고, 한쪽 통형부(24a)에는 삽입관 본체(21)의 후단부가 삽입, 접합된다. 이 접합은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용착시키는 등으로 실시하며, 삽입관 본체(21)와 접속부(22)를 확실하게 일체화한다. 다른 쪽 통형부(24b)에는, 캡(3)을 벗긴 주입기(1)의 토출통(2)이 삽입되며, 토출통(2) 선단부가 단차부(23)에 닿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토출통(2)이 관통공(29)을 통해 삽입관 본체(21)의 중공부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삽입관 본체(21)의 선단은, 콧구멍(A)에 삽입되기 쉽도록 끝이 가늘게 형성되며, 이 선단면에 제 1 개구부(27a)가 개구되고, 또 선단 근방의 측면에 제 2 개구부(27b)가 개구된다.
삽입관 본체(21)의 외주(26)에 고리형의 마크(28)가 부여된다. 이 마크(28)는, 삽입관 본체(21)를 콧구멍(A)으로부터 인두부(B)를 향해 삽입할 때, 제 1 개구부(27a)가 인두부(B)에 도달하는 길이의 위치에 설정된다.
삽입관(20)의 삽입관 본체(21)에는, 커버부재(30)가 외부 삽입된다. 이 커버부재(30)는, 가요성을 갖는 삽입관 본체(21)가, 장기보관 중이나 수송 중 등의 경우에 꺾임, 파손 등의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 때문에 커버부재(30)는 삽입관 본체(21)보다 강한 강성의 수지로 된 것이 이용된다. 또 커버부재(30)는, 삽입관 본체(21)의 외경(H1)보다 큰 내경(H2)이며, 간단히 외부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이 커버부재(30)의 길이(L2)는, 삽 입관 본체(21)의 길이(L1)보다 길고, 삽입관 본체(21)에 커버부재(30)를 외부삽입 했을 때, 삽입관 본체(21)의 선단이 커버부재(30)의 선단으로부터 튀어나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부재(30)를 삽입관 본체(21)에 대해 헐겁게 외부삽입 하기만 한다. 상자 등의 패키지에 넣을 때, 삽입관 본체(21)가 커버부재(3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잡고 넣으면 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삽입관 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캡(3)을 토출통(2)에 눌러 씌우도록 하므로, 주입기(1) 내의 젤리체(11)가 장기 보관 중에 새어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젤리체(11)가 충전된 주입기(1)는 아무런 포장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더 오랜 장기보관 중이더라도 확실하게 젤리체(11)의 흡습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제 등의 밀폐봉지체(91)로 씌우도록 해도 된다.
직장용 체액봉입부재(4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형상이며 선단이 원추형으로, 항문에 삽입하기 쉬운 형상이다. 도 3은 직장용 체액봉입부재(40)의 부분확대도를 나타낸다. 직장용 체액봉입부재(40)는, 원주형의 고흡수성 섬유성형체(41)와, 그 위에 피복된 수용성 시트(44)로 구성되며, 사용 시에는 다시 그 위에 윤활제(51)가 피복되어 사용된다. 고흡수성 섬유성형체(41)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크릴섬유로 형성된 심인 내층(42)과, 그 내층(42)을 포위하도록 배설된 고흡수성이며 흡수 후 팽윤되도록 가공 처리된 외층(43)을 갖는 이중구조의 수팽윤성 섬유(상품명: Lanseal F, Toyobo사(東洋紡績社)제)를 사용한다. 이 성형 체(41)는 직경 22mm, 길이 80mm이며, 선단을 가늘게 성형한 것을 준비한다.
여기서 수용성 시트(44)가 파손되거나, 습기를 흡수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직장용 체액봉입부재(40)를 밀폐봉지체(92)(예를 들어 플라스틱제, 은박지 등)에 수납시켜두고, 사용 시에 이 밀폐봉지체(92)를 개봉하여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수용성 씰 재료로는 수용성 시트를 피복하는 수용성 씰제를 도포, 산포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손쉽고 균등하게 피복할 수 있으므로, 수용성 시트(44)를 사용한다. 특히, 수용성 시트(44)는, 얇아도 윤활제가 섬유성형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액에 빠르게 녹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용성 시트(44)로서, 미츠비시(三菱)제지사 제의 품번 60MDP를 사용한다. 이 시트(44)를 성형체(41) 외주에 둘러 감는다. 이 상태로 준비해두고, 사용 시에는 별도로 준비한 용기(50) 안의 윤활제(51)를 수용성 시트 외면에 도포하여 항문에 삽입하기 쉽게 한다. 이 윤활제로는, 용기(50)에 들어 있는 글리세린(51)을 사용한다. 이 글리세린은, 글리세린(51)이 수용성 시트(44)를 투과하여 성형체(41)에 침투할 가능성을 가능한 한 피하기 위해서도 사용 직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장용 체액봉입부재(40)의 크기는, 항문의 체강(직장) 내에 삽입할 때, 직경이 작을수록 삽입이 용이하나, 삽입 후에 팽윤되어 직장 벽에 밀착하는 크기로 확대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역으로 지나치게 크면 항문에 삽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직경을 10∼2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길이가 짧을수록 삽입이 용이하나, 지나치게 짧으면 팽윤될 때의 용적이 부족하여 봉입기능이 떨어 지므로, 길이는 20∼100mm, 특히 40∼8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형 성형체(41)는, 직경이 약 2.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 팽윤되며, 축방향으로는 그다지 팽윤되지 않는 것이, 신속하게 직장을 실링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섬유로 형성된 심 재료인 내층(42)과, 이를 포위하도록 형성된 고흡수성 외층(43)을 갖는 2층 구조의 다공질 섬유체로 이루어진 통형 성형체(41)로 형성된 것이, 섬유의 물성을 심 재료로 유지하고, 외층이 체액을 흡수하여 지름방향으로 신속하게 약 2.5배 이상으로 팽윤되므로, 이 섬유체가 다공질 통형 성형체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수용성 시트(44)는, 윤활제(51)가 섬유성형체(41)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섬유성형체(41)의 표면에 피복할 수 있다면, 가능한 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나, 실용적으로는 두께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형 성형체(41)의 선단을 가늘게 형성하는 것은, 직장용 체액봉입부재(40)를 항문 내에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선단의 가는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한쪽에만 경사면을 형성한 것이라도 된다. 또 원추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2면, 3면, 4면 등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경사면을 형성한 것이나, 각추형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된다. 또 선단을 단면 타원형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된다. 여기서 경사면을 형성한 경우에, 선단에 약간 평면이 남아도 된다. 또한 경사면을 형성한 선단에 가는 막대체가 남도록 형성한 것이라도 된다.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일단이라도 되며 또 다단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5는 구강용 목면체(60)를 분할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4㎝×4㎝의 목면체를 사용한다. 이 목면체의 분할면(60a)에, 주입기 등으로부터 짜낸 젤리체(61) 약 1g이 끈 형태로 부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다른 분할목면체(60)가 원래대로 붙여지고, 젤리체(61)가 양 분할목면체(60)에 부착되어, 원래대로 1개의 팩(pack)으로 된다. 이와 같은 팩은 양 볼에 넣기 위해 2개 준비된다. 2개의 팩은 따로따로 준비되어도 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겹쳐 하나로 해도 된다. 목면체(60)의 두께는 1개의 팩이 자연상태로 10mm인 것을 사용한다. 그러나 4㎝×4㎝의 크기, 10mm의 두께는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에 넣어 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 및 볼의 부풀음을 자연스런 부풀음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면, 상기 수치에 한정됨 없이 많거나 적어도 된다.
젤리체(11)를 목면체(60)에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면체(60) 속에 주입기의 토출통을 삽입하여 소정량 주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표면에 도포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젤리체가 노출되면 흡습될 가능성이 커, 수작업에 취급하기 어려운 점 등이 있으므로, 목면체(60) 내부에 젤리체(11)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습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목면체는 플라스틱제 유연봉지체 등의 밀폐봉지체에 수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인후부용 체액누출방지장치를 사체에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A는 콧구멍, B는 인두부, C는 혀, D는 기도, E는 식도, F는 경추이다. 사용 시에는, 패키지(도시 생략)로부터 주입기(1)를 꺼내, 주입기(1) 토출통(2)의 캡(3)을 벗긴다. 그리고 토출통(2)을 삽입관(20) 접속부(22)의 통형부(24)에 삽입하고, 토 출통(2) 선단을 단부(23)에 누른다. 삽입관(20)의 삽입본체(21)를 콧구멍(A)에서 인두부(B)를 향해 삽입하고, 제 1 개구부(27a)가 인두부(B)에 도달하는 길이의 지점에서 삽입을 중지한다. 이 상태에서 주입기(1)의 피스톤(4)을 밀어 내부의 젤리체(11)를 토출통(2)에서 삽입관(20) 내로 압출한다. 삽입관(20) 내의 젤리체(11)는 제 1 개구부(27a 및/또는 27b)로부터 인두부(B)로 압출된다. 삽입관(20)의 개구부(27a, 27b)는 삽입방향 선단만이 아닌 측면에도 개구되어 있으므로, 일부 개구부가 막혀도 인두부(B)로 도입된다. 인두부(B)로 압출된 젤리체(11)는 이 부분에서 체액을 흡수하고 팽창되어 인두부(B)를 봉입한다.
주입기(1) 내의 젤리체(11)를 거의 전부 주입한 후, 주입기(1)와 삽입관(20)을 콧구멍(A)으로부터 꺼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개구부로부터 인두부(B)로 집중적으로 젤리체(11)가 공급된다. 특히, 젤리상태로 유입되므로 유동성이 매우 좋아 힘들이지 않고 원활하게 충전 가능하다. 분말과 같이 확산되어 콧구멍(A)으로부터 비산되거나 하는 일없이, 이 젤리체(11)가 인두부(B)에서 멎어 인두부(B)가 봉입된다.
또 충전 시 소리가 비교적 조용하므로, 작업자는 주위 사람들을 신경쓰지 않고 작업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부재(30)를 삽입관 본체(21)에 대해, 헐겁게 외부 삽입만 한다. 상자 등의 패키지에 넣을 때 주의하면 되므로,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는 편리함을 갖는다.
삽입저항을 경감하기 위해 삽입관(20)에 윤활제(51)를 도포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삽입관(20)과 주입기(1)를 접속한 후, 삽입관을 콧구멍(A)에 삽입하나, 삽입관(20)을 먼저 콧구멍(A)에 삽입한 후, 삽입관(20)과 주입기(1)를 접속해도 되며, 삽입 도중에 접속해도 된다. 주입기와 삽입관을 함께 필름팩으로 포장해도 된다.
도 7은 직장용 봉입부재(40)를 항문으로부터 직장에 삽입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직장용 봉입부재(40)에 윤활제(51)를 도포하고, 끝이 가늘어진 선단으로부터 항문에 삽입한다. 삽입 후는 직장 내의 체액에 의해, 수용성 시트(44)가 곧바로 녹아 체액이 섬유성형체(41)에 흡수된다. 섬유성형체(41)의 고흡수성 외층(43)이 급속히 팽창되어, 섬유성형체의 외표면이 직장 벽에 도달한다. 이로써 직장이 봉입되어 체액누출이 방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주입기의 토출통(2)에 씌워지는 캡(103)이 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얇은 실(103a)이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관(20)의 접속부(22)에 절단부(25)가 형성된 것이다. 즉 절단부(25)는, 단차부(23)에 통형부(24b)와 평행으로 단면 원호형이며, 선단으로 갈수록 날카로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절단부(25)는, 주입기의 토출통(2)이 통형부(24b) 내로 삽입됐을 때 실(103a)을 뚫고 파단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캡(103)을 토출통(2)으로부터 벗길 필요 없이 토출통(2)을 접속부(22)에 접속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실이 찢겨 토출통(2)과 관통공(29)이 연통되도록 구성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커버부재(30)에 결합부(31)를 형성한 구조이다. 커버부재(30)의 선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무리하게 늘려져, 접속부(22) 둘레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결합부(31) 지름이 늘어나기 쉽게 하기 위해, 커버부재(30) 선단부에 절개부(도시 생략)를 1개소 내지 수 개소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결합부(31)는 이 구조에 한정됨 없이, 예를 들어 커버부재(30)의 안둘레에 1개소 내지 수 개소 돌기체를 형성하고, 이 돌기체가 삽입관 본체(21)의 외주에 강하게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또 마크(28)를 외부로 약간 돌출시키는 두께 정도로 형성하고, 상기 돌기체가 이 마크(28)를 넘어 커버부재(30)가 삽입관 본체(21) 외주에 씌워짐으로써, 커버부재(30)가 간단히 벗겨져 분리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사용 시에는, 역으로 상기 돌기체가 이 마크(28)를 넘어 벗겨짐으로써 커버부재(30)가 삽입관 본체(21)로부터 분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제 2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절단부(125)가 단차부(23) 주위로부터 관통공(29) 중심방향으로,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절단부(125)는, 주입기의 토출통(2)이 통형부(24b) 내로 삽입됐을 때, 실(103a)의 중앙부분에서 찢기도록 구성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캡(103)을 토출통(2)으로부터 벗길 필요 없이, 토출통(2)을 접속부(22)에 접속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실이 찢겨 토출통(2)과 관통공(29)이 연통되도록 구성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 더불어, 실(103a)이 중앙에서 찢기므로, 토출통(2) 내의 젤리체(11)가 원활하게 관통공 (29)을 통해 삽입관 본체(21)로 유도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6 실시형태에 관하며, 삽입관 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개구부(27b)를 대향하는 2 개의 원형공으로 하여 2열 형성한 것이다.
이 삽입관 본체(21)의 외경은 4mm∼8mm, 내경이 외경보다 0.5mm∼2.5mm 이하의 지름으로 이루어지며, 제 2 개구부(27b) 직경은 2mm∼6mm로, 제 1 열의 제 2 개구부 중심은 단면부에서 6mm∼10mm 범위이고, 제 2 열의 제 2 개구부와 제 1 열의 제 2 개구부 간격은 4mm∼10mm 범위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하면, 삽입관 본체(21)가 원활하게 콧구멍(A)으로 삽입되어 그 선단부가 인두부(B)에 도달하므로, 삽입관 본체(21) 내의 젤리체(11)가 인두부(B)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 2 개구부(27b)의 성형공정이 단순하여, 제조원가 저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1의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개구부(127a)를 원형공으로 하고, 제 2 개구부(127b)를 대향하는 2 개의 십자형 절개공으로 하여 2 열 형성한 것이다. 이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개구부(127a)가 개구되어, 유체가 제 1 개구부(127a)로부터 순조롭게 사체 내부로 흐를 때는, 제 2 개구부(127b)는 거의 개구되지 않으며, 제 2 개구부(127b)로부터는 젤리체(11)가 흘러나오지 않는다. 이에 반해 제 1 개구부(127a)가 막혔을 때, 혹은 개구면적이 매우 좁아졌을 경우에는, 삽입관 본체(21) 선단부의 내압이 상승하여 제 2 개구부(127b)의 절개부가 개구되고, 제 2 개 구부(127b)로부터 젤리체(11)가 콧구멍(A) 내로 공급된다. 이 젤리체(11)가 콧구멍(A) 내벽과 삽입관 본체(21)의 틈새를 통해 인두부(B)에 공급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개구부(127b)의 형상 변경에 의해, 젤리체(11)가 콧구멍(A)으로부터 사체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을 낮게 한다.
여기서 제 2 개구부는 상기한 도 10 및 도 11의 실시형태 구조에 한정됨 없이, 그 개구형상은 원형, 타원형, 슬릿형, 활모양 형상, 다각형 등 각종 형상이 적용 가능하다. 도 11과 같이 제 2 개구부가 절개부일 경우에도, 그 형상은 십자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가로선, 세로선의 직선형상이나 곡선형상이라도 된다. 제 2 개구부의 수량은 원주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2개 배치한 것에 한정됨 없이, 120도 간격으로 3개, 90도 간격으로 4개 배치한 것 등도 적용할 수 있다. 제 2 개구부는 개구와 절개부를 조합하는, 혹은 각종 형상과 수량을 조합하여 각종 개구부를 형성해도 된다. 제 2 개구부의 열 수는, 2열에 한정됨 없이 3열이라도 된다. 다만, 열 수를 지나치게 많이 하면, 삽입관 선단부분의 유연성이 증대되어, 삽입하기 어려워지므로 많이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제 6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의 마크(28) 대신 스토퍼(stopper, 128)를 부여한 것이다. 즉, 이 스토퍼(128)가 콧구멍(A)에 닿으면 삽입관 본체(21) 선단의 제 1 개구부(27a)가 알맞게 인두부(B)로 개구되는 위치로 되도록 설정된다.
스토퍼(128)는, 코끝에 닿는 탄성 실(128a)을 구비하므로, 탄성 실(128a)이 콧구멍(A)에 꼭 끼여 유체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스토퍼 (128)의 돌출부분을 커버부재(30)의 내경보다 약간 돌출되는 크기로 함으로써, 커버부재(30)를 삽입관 본체(21)에 외부 삽입할 때, 이 스토퍼(128)의 돌출부분이, 커버부재(30)가 간단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3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서 추가하면 좋은 비품을 나타낸다. 도 13은 고무장갑(81)을 나타내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40) 등을 취급할 때 사용하는 장갑으로서 사용한다.
도 14는 수건용 물티슈(82)이며, 소독제로서 이산화염소가 함유되어 있다. 작업자가 사체 처리를 할 때나 처치 후의 간단한 닦개용으로 사용한다. 수건용 물티슈(82)는 플라스틱제 밀폐봉지체에 수납된다.
도 15는 수납용 봉지체(83)이며, 사체처치 후의 밀봉 봉지체(91), 밀폐 플라스틱 봉지체(92, 93, 94)나 주입기(1), 캡(3), 삽입관(20), 커버부재(30), 용기(50) 등을 수납한다. 이들이 산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6은 귀마개 및 코마개용의 봉입부재(71)를 나타낸다. 봉입부재(71)는 귀마개 및 코마개용으로 각각 2개씩, 합계 4개이다. 각 봉입부재(71)는 구(球)형 목면체(72)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고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젤리체(73), 즉 주입기(1) 내의 젤리체(11)와 동일한 젤리체가 들어있다. 74는 덮개부재를 나타낸다.
봉입부재(71)는, 원통형의 밀폐 플라스틱 봉지체(94)에 수납된다.
여기서 귀는 체액의 누출이 적으며, 코는 전술한 인후부의 체액 누출방지처치를 하면, 누출되는 체액은 매우 적으므로, 간이형으로서, 단순히 면소재(73)로 된 봉입부재로 해도 된다.
또 봉입부재(71)는 원통형의 밀폐 플라스틱 봉지체(94)에 수납하지만, 구강용 목면체(60)와 함께 밀폐 플라스틱 봉지체(93)에 수납하도록 해도 된다.
도 17은 주입기의 별도 구조를 나타내며, 주입기(101)의 플랜지부(101a)를 컬러 색으로 하는 식별마크(6)를 부여하여, 사체용 주입기임을 명확히 나타낸다. 여기서 식별마크(6)는, 상기 플랜지부(101a)에 한정됨 없이, 주입기(101), 토출통(102), 피스톤(104)의 일부 및/또는 전부에 색깔을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또 주입기(101) 외주에 유아/소아용 사용량을 나타내는 소량용 마크(6)를 부여해도 된다. 또한 간이방법으로는, 캡(103)을 색구별 가능한 색으로 해도 된다.
도 18은 여성의 질용 체액봉입부재(40a)를 나타낸다. 이 체액봉입부재(40a)는, 직장용 체액봉입부재(40)와 동일한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여성의 질용 체액봉입부재(40a)와 직장용 체액봉입부재(40)의 크기(지름 및 길이) 및 형상을 동일하게 하므로, 각각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원가삭감이 가능하다. 더불어 형상이나 크기가 다르면, 잘못 사용할 우려가 있지만, 동일한 것이므로 그럴 염려가 없다.
지금까지 서술한 실시형태나, 주입기의 별도 구조, 추가비품 등은 적당히 조합시켜 실시해도 되는 것이다. 또 달리 추가할 것이 있다면, 예를 들어 여성용으로 요도용 봉입부재, 소취제, 사체의 안면덮개 거즈, 사체의 턱받침 밴드, 사체의 합장밴드 등을 추가로 넣어도 된다.
또한 귀마개 및 코마개용의 봉입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체 대부분의 체강을 봉입할 수 있으므로, 사체의 체액누출을 거의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4)

  1. 사체의 인후부에 삽입되는 고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젤리체가 충전된 주입기(syringe)와,
    콧구멍으로부터 인후부에 삽입되는 가요성(flexible) 합성수지제의 삽입관 본체와, 이 삽입관 본체의 후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주입기에 접속가능한 접속부와, 이 삽입관 본체 선단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갖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에 외부 삽입되는 커버부재와,
    고흡수성 다공질 섬유로 된 통형 성형체와, 이 통형 성형체의 외주에 피복된 수용성 시트를 구비한 직장용 체액봉입부재와,
    고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젤리체를 부착한 구강용 목면(cotton)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내의 젤리체 100용량부에 대해,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가 40∼180용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내의 젤리체가 20∼30cc이며,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의 양이 상기 젤리체의 0.7∼1.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내의 상기 젤리체는, 용제, 증점제 및 고흡수성 수지분말을 함유하며, 고흡수성 수지분말은 젤리체 1mL 중에 5000개 이상 분산되고, 용제 100중량부에 대해 증점제가 0.02∼0.15중량부 포함되며, 점도가 8000∼40000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체에는, 추가로 중화제 및 윤활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의 토출통에는 분리 가능한 캡이 피복되며, 상기 삽입관 본체의 접속부에는, 상기 캡을 떼어낸 토출통을 받는 단차부와, 토출통이 외부 삽입되는 통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의 토출통에는 파괴 가능한 캡이 피복되며, 상기 삽입관 본체의 접속부에는, 상기 캡을 파괴하여 떼어낸 토출통을 받는 단차부와, 토출통이 외부 삽입되는 통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의 토출통에는 캡이 피복되며, 상기 삽입관의 접속부에는, 상기 캡이 피복된 토출통에 접속됐을 때, 주입기 내의 젤리체가 이 접속부를 통해 상기 삽입관 본체로 도입되도록 상기 캡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삽입관의 삽입관 본체에 외부 삽입된 상태에서, 이 커버부재의 선단부가 삽입관 선단부의 개구부보다 앞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삽입관 본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또 삽입관 외주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삽입관 접속부의 외주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중의 젤리체에는 소취제 및 소독제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의 통형 성형체에는 소취제 및 소독제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외주에는, 소량주입용의 소량용 마크가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밀봉 봉지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에는, 주입기 내의 젤리체를 압출시키는 피스톤이 구비되며, 상기 주입기 및 상기 피스톤의 적어도 한쪽에, 주입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색상 식별마크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취급용 장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수건용 종이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수건용 종이시트에는 소독제가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귀마개 및 코마개용 봉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봉입부재는, 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입부재는, 면 소재 중에 고흡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젤리체가 0∼1.5mg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입부재는, 밀폐 플라스틱 봉지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윤활제가 들어 있는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다공질 섬유로 된 통형 성형체와, 이 통형 성형체의 외주에 피복된 수용성 시트를 구비한 여성의 질용 체액봉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직장용과 여성의 질용으로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2개의 동일구성 체액봉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7.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사용이 끝난 주입기, 삽입관, 커버부재 등을 수납하는 수납용 봉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면체에는, 체적 16㎤당 젤리체가 0.5g∼2.0g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목면체에 함유되는 젤리체는, 상기 주입기 내의 젤리체와 동종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면체는, 밀폐 플라스틱 봉지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면체 및 상기 봉입부재는, 1 개의 밀폐 플라스틱 봉지체에 함께 수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 본체의 중간부에, 이 선단부가 인후부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기 위한 마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내 젤리체의 고흡수성 수지는 미세분말체로 이루어지며, 젤리체 1mL 중에 17000개∼29000개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분말체는 20∼150메시(mesh)의 분말체로 이루어지며, 젤리체 1mL 중에 18000개∼25000개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체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중 적어도 1 종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6. 제 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의 젤리체에는, 알콜계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아크릴산 중합체가 0.01∼1.0중량부, 중화제가 0.03∼0.7중량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7.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젤리체의 점도가 8000∼40000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젤리체의 pH가 6∼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39. 제 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는, 아크릴섬유로 형성된 심 재료인 내층과, 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고흡수성 외층을 갖는 2 층 구조의 다공질 섬유체로 된 통형 성형체와, 이 통형 성형체의 외주에 피복된 수용성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40. 제 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는, 길이가 20∼90mm이며, 지름이 10∼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41. 제 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장용 체액봉입부재의 상기 수용성 시트는, 두께 200㎛ 이하이며, 체액과 접촉하면 신속하게 녹는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42. 제 39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성형체는, 체액과 접촉하면 신속하게 흡수하여 팽윤되며, 지름이 약 2.5배 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43. 제 39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성형체에는, 소취제 및 소독제 중 적어도 1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44. 제 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 본체의 선단면에 제 1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삽입관 본체의 선단 근방 측면에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KR1020057019444A 2005-10-13 2003-04-21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KR20060006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9444A KR20060006811A (ko) 2005-10-13 2003-04-21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9444A KR20060006811A (ko) 2005-10-13 2003-04-21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415A Division KR20100076019A (ko) 2003-04-21 2003-04-21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811A true KR20060006811A (ko) 2006-01-19

Family

ID=3711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444A KR20060006811A (ko) 2005-10-13 2003-04-21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68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15B1 (ko) * 2011-01-27 2012-05-31 남승현 사체의 체액누출방지용 흡수포 장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15B1 (ko) * 2011-01-27 2012-05-31 남승현 사체의 체액누출방지용 흡수포 장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0721B2 (en) Catheter wetting devices
KR20100076019A (ko)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US20080161752A1 (en) Delivery device
AU2005244685B2 (en) Corpse body cavity blocking device and corpse treatment device
JP5149504B2 (ja) 遺体の処置装置
JP4623796B2 (ja) 体液漏出防止方法
JP2007182445A (ja) 遺体体液漏出防止装置
KR20060006811A (ko) 사체체액 누출방지장치
JP3839465B2 (ja) 遺体の直腸閉塞装置及び遺体の処置装置
JP2007222558A (ja) 遺体用体液漏出防止装置
JP4602348B2 (ja) 体腔封止部材
JP5520667B2 (ja) 遺体の直腸閉塞装置及び遺体の直腸閉塞方法
JP5213550B2 (ja) 遺体の処置装置
JP5013837B2 (ja) 遺体の処置装置
JP2008255025A (ja) 遺体の処置装置
KR20070018999A (ko) 사체 체강밀폐장치 및 사체처치장치
JP4524292B2 (ja) 遺体の直腸閉塞装置及び直腸閉塞方法
JP2020193163A (ja) 遺体の体液漏出防止方法
JP5064366B2 (ja) 遺体の体液漏出防止方法及び体液漏出防止装置
JP3898214B2 (ja) 体液漏出防止方法
JP2007091765A (ja) 体液漏出防止方法及び体液漏出防止装置
JP2010180138A (ja) 遺体の処置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案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