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489A -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489A
KR20060006489A KR1020040055551A KR20040055551A KR20060006489A KR 20060006489 A KR20060006489 A KR 20060006489A KR 1020040055551 A KR1020040055551 A KR 1020040055551A KR 20040055551 A KR20040055551 A KR 20040055551A KR 20060006489 A KR20060006489 A KR 20060006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roadcast signal
digital
signal
v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6489A/ko
Publication of KR20060006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시 선택된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방송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채널을 스킵하고,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하여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을 찾는 단계와;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디코딩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채널 전환시 방송 신호가 없는 채널은 MPEG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스킵하고, 방송 신호가 있는 채널에 대해서만 MPEG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채널 전환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신속한 채널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티브이, VSB, MPEG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Control method of channel change for digital television }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에서 스킵한 채널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튜너 20: VSB 디코더
30: MPEG 디코더 40, 140: CPU
50: 램 60: 롬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시에 방송 신호가 없는 채널에 대해서는 MPEG 디코딩 과정을 거치지 않고 스킵(skip)함으로써 보다 빠른 채널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티브이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어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의 무선신호(RF:Radio Frequency)를 처리하여 중간주파수 신호(IF:Intermediate Frequency)를 출력하는 튜너(10)와, 상기 튜너(10)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 잔류측파대) 복조 방식으로 처리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출력하는 VSB 디코더(20)와, 상기 VSB 디코더(20)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MPEG-2 디코딩을 수행하여 디지털 오디오/비디오(AV) 신호를 출력하는 MPEG 디코더(30)와, 디지털 티브이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CPU(40)와, 시스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램(Random Access Memory:RAM)(50) 및 ROM(Read Only Memory:ROM)(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로컬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며, 상기 CPU(40)는 I2C 버스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지털 티브이의 동작, 특히 사용자가 디지털 티브이의 프론트패널(front panel)이나 리모콘의 채널 업/다운 키를 누른 경우의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CPU(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기 위하여 튜너(10)에 채널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튜너(1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고주파의 무선신호(RF) 중에서 상기 채널 데이터에 상응하는 채널의 무선신호를 선택한 후 다운 믹싱 처리과정을 통해 중간주파수 신호로 전환 출력한다.
또한, VSB 디코더(20)에서는 상기 튜너(10)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RF 전송단에서 이루어진 코딩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소정 비트 단위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VSB 디코더(20)에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추출하는 과정 중에서 VSB 동기(VSB Sync) 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튜닝한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현재 튜닝한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다면, 상기 VSB 디코더(20)에서는 트랜스포트 동기 록(TP Sync lock)이 걸리게 되고, 방송신호가 없다면 중심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채널을 리튜닝(retuning)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튜닝 과정은 초기 설정에 따라서 3~4번 정도 반복된 후, 계속 방송신호가 없는 경우라도 다음 단계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 분리과정에 들어가게 된다.
MPEG 디코더(30)는 상기 VSB 디코더(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파싱(parsing)작업을 수행하여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고, D/A 전환기를 통해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비디오 신호(AV OUT)로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과정에서는 현재 선택한 채널에 방송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VSB 디코더(20)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추출한 후, 상기 MPEG 디코더(30)에서 디코딩하는 과정을 모두 마친 후에야 화면에 '신호 없음'이라는 OSD 화면을 출력하였다.
즉, 종래의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과정에서는 채널의 업/다운시에, 현재 방송을 하지 않는 채널이라도 시간이 많이 걸리는 MPEG 디코딩 과정을 거친 후에야 사용자에게 '신호 없음' 등의 OSD 화면을 통해 현재 선택한 채널이 방송을 하지 않음을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OSD 화면 등을 보고 난 이후에야 다른 채널을 선택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을 전환할 때, 방송신호가 없는 채널에 대해서는 MPEG 디코딩 과정을 거치지 않고 스킵하고, 자동으로 다른 채널에 대한 검색을 하여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에 대해서만 MPEG 디코딩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은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시 선택된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방송신호가 없는 채널은 스킵하고,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하여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을 찾는 단계와;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디코딩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킵된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VSB 동기 신호의 유무를 통해 방송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티브이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어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의 무선신호(RF:Radio Frequency)를 처리하여 중간주파수 신호(IF:Intermediate Frequency)를 출력하는 튜너(10)와, 상기 튜너(10)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 잔류측파대) 복조 방식으로 처리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TP stream)을 출력하는 VSB 디코더(20)와, 상기 VSB 디코더(20)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MPEG-2 디코딩을 수행하여 디지털 오디오/비디오(AV) 신호를 출력하는 MPEG 디코더(30)와, 디지털 티브이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CPU(140)와, 시스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램(Random Access Memory:RAM)(50) 및 ROM(Read Only Memory:ROM)(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로컬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며, 상기 CPU(140)는 I2C 버스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지털 티브이의 동작, 특히 사용자가 디지털 티브이의 프론트패널(front panel)이나 리모콘의 채널 업/다운 키를 누른 경우의 디지 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CPU(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기 위하여 튜너(10)에 채널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튜너(1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고주파의 무선신호(RF) 중에서 상기 채널 데이터에 상응하는 채널의 무선신호를 선택한 후 다운 믹싱 처리과정을 통해 중간주파수 신호로 전환 출력한다.
또한, VSB 디코더(20)에서는 상기 튜너(10)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RF 전송단에서 이루어진 코딩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소정 비트 단위로 트랜스포트 스트림(TP stream)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VSB 디코더(20)에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추출하는 과정 중에서 VSB 동기(VSB Sync) 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튜닝한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현재 튜닝한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다면, 상기 VSB 디코더(20)에서는 트랜스포트 동기 록(TP Sync lock)이 걸리게 되고, 방송신호가 없다면 상기 CPU(140)는 현재 채널을 스킵하고, 채널을 단계적으로 업 또는 다운하면서 다른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는지를 검사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CPU(140)는 방송신호가 없는 현재의 채널은 스킵하고, 한단계 업 또는 다운된 채널에 대하여 상기 튜너(10)로 하여금 중간 주파수를 출력하게 하고, 상기 VSB 디코더(20)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추출하여 업 또는 다운된 채널에 VSB 동기 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을 검색하면, MPEG 디코더(30)는 상기 VSB 디코더(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파싱(parsing)작업을 수행하여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고, D/A 전환기를 통해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비디오 신호(AV OUT)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CPU(140)에서는 채널 전환을 시작하기 전의 채널로부터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까지의 변환과정 중에서 스킵한 채널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방송신호가 없는 채널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사용자가 채널을 전환하고자 디지털 티브이의 프론트 패널(front panel)이나 리모콘의 채널키를 이용하여 채널을 변환하면(S100), 튜너에서는 선택된 채널에 따른 채널 튜닝을 수행한다(S105).
여기서, 채널 튜닝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고주파의 무선신호(RF) 중에서 선택된 채널의 무선신호를 다운 믹싱(down-mixing)하는 과정을 통해 중간주파수 신호(IF)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채널 튜닝(S105)을 통해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는 VSB 디코더로 입력되고, 상기 VSB 디코더에서는 RF 전송단에서 이루어진 코딩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소정 비트 단위로 트랜스포트 스트림(TP stream)을 추출하는 디코딩 과정을 수행한다(S110).
또한, 상기 VSB 디코더에서는 VSB 동기(VSB sync)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S115).
여기서, VSB 동기 신호는 선택된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활용되며, VSB 동기 신호가 있다는 것은 현재 튜닝된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현재 튜닝된 채널에 방송신호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S115)의 판단 결과 VSB 동기 신호가 없는 경우, CPU 에서는 현재 선택된 채널을 스킵(skip)하고 자동으로 채널을 업(up) 또는 다운(down)하여(S120), 방송신호가 있는 최초의 채널을 찾을 때까지 상기 단계(S105 내지 S115)가 반복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으로 채널을 스킵하는 경우, CPU 에서는 스킵되는 채널을 기억하였다가, 방송화면을 출력할 때 스킵된 채널을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튜닝된 채널에 방송신호가 없는 경우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을 찾기위해 현재 채널을 중심으로 채널을 업(up) 시켜가며 찾을 것인가, 아니면 채널을 다운(down) 시켜가며 찾을 것인가는, 사용자가 디지털 티브이의 프론트 패널이나 리모콘의 채널업(channel up) 키를 이용하여 채널을 전환하는 과정이었다면, 자동으로 채널을 업(up) 해주고, 반대로 채널다운(channel down) 키를 이용하여 채널을 전환하는 과정이었다면, 자동으로 채널을 다운(down)시켜주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채널이 6번으로 설정되어 있고, 다음으로 10번 채널에 다른 방송신호가 들어오고 있으며, 그 사이의 7번 내지 9번 채널에는 방송신호가 입력되 지 않고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디지털 티브이의 프론트 패널이나 리모콘의 채널업 키를 누른 경우, 튜너에서는 먼저 7번 채널에 해당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튜닝을 하여 중간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VSB 디코더에서는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코딩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한다.
다음, 상기 VSB 디코더에서는 VSB 동기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현재의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가정에 의해, 현재 튜닝된 7번 채널에는 방송신호가 없기 때문에 CPU 에서는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하여 다음 8번 채널에 대해서 상기 단계(S105 내지 S115)가 반복되도록 한다. 8번 및 9번 채널에도 마찬가지로 방송신호가 없다고 가정하였으므로, CPU는 10번 채널에 이르기까지 상기 단계(S105 내지 S115)를 반복하게 된다. 10번 채널에 이르러, 상기 VSB 디코더는 VSB 동기 신호를 감지하고, 현재 튜닝된 10번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다음 단계인 MPEG 디코딩 과정(S125)으로 진행된다.
상기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시에 VSB 디코더에서 VSB 동기 신호의 유무를 통해 현재 채널에 방송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 후, 방송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CPU의 제어하에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하면서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을 검색한 이후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MPEG 디코딩 과정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신속한 채널 전환이 가능해진다.
한편, 초기 디지털 티브이의 전원을 온(on)시켰을 때, 최초 설정된 채널에 신호가 없는 경우를 대비해서, 자동으로 채널이 업 또는 다운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에 설정 항목을 넣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S105 내지 S115)을 거쳐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 즉 VSB 동기 신호가 있는 채널로 전환되면, MPEG 디코더에서는 상기 VSB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파싱(parsing) 작업을 수행하여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는 MPEG 디코딩을 수행하고(S125), D/A 전환기를 통해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방송화면을 출력한다(S130).
상기 방송화면을 출력한 후에는, 채널 전환시의 최초 채널로부터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까지의 채널 전환 과정 중에서 스킵한 채널을 OSD 등으로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S135).
즉, 디지털 티브이에서 스킵한 채널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전환 이전에 6번 채널로 설정되어 있었고 10번 채널에 다음 방송신호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채널업 키를 누르면 디지털 티브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채널 전환 과정을 통해 10번 채널을 통해 들어오는 방송신호를 출력하고, 6번과 10번 채널 사이에 스킵된 7,8,9 번 채널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은, 채널 전환시 방송 신호가 없는 채널은 MPEG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스킵하고, 방송 신호가 있는 채널에 대해서만 MPEG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채널 전환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스킵한 채널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어느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신호가 없는 채널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MPEG 디코딩을 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자동으로 신호가 있는 채널을 찾아냄으로써 신속한 채널 전환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시 선택된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방송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채널을 스킵하고, 자동으로 채널을 변경하여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을 찾는 단계와;
    방송신호가 있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디코딩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스킵된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에 방송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VSB 동기 신호의 유무를 통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KR1020040055551A 2004-07-16 2004-07-16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KR20060006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51A KR20060006489A (ko) 2004-07-16 2004-07-16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51A KR20060006489A (ko) 2004-07-16 2004-07-16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89A true KR20060006489A (ko) 2006-01-19

Family

ID=3711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551A KR20060006489A (ko) 2004-07-16 2004-07-16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64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53918B (zh) * 2008-12-03 2012-02-0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接收装置及其频道切换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53918B (zh) * 2008-12-03 2012-02-0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接收装置及其频道切换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217B1 (en) Channel selecting method and apparatus
US7158190B2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channel searching method in broadcasting receiver
US7322039B2 (en) Digital and analog broadcasting receiver
US7092044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JP200619749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2374466A (ja) 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機
US8059209B2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JP2004064590A (ja) 移動体用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60006489A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 제어 방법
JP2003037790A (ja) 放送受信装置
KR100768814B1 (ko) 디지탈 tv의 채널 전환 방법
KR10097109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JP4067468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197084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75288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검색 장치 및 방법
JP2004165862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0129257B1 (ko) 영상 기기의 자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20060030739A (ko) 디지털 다채널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간편한 채널 전환 방법
JP200619126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00046171A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선국장치 및 방법
KR100238681B1 (ko) 디지털 다채널 텔레비젼 방송 수상기의 채널선택방법
JP4557611B2 (ja) 映像放送/音声放送受信装置
JP3070497U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60007162A (ko) 케이블 디지털 텔레비전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KR101376812B1 (ko) 2입력 1출력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