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812B1 - 2입력 1출력 수신기 - Google Patents

2입력 1출력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812B1
KR101376812B1 KR1020120051660A KR20120051660A KR101376812B1 KR 101376812 B1 KR101376812 B1 KR 101376812B1 KR 1020120051660 A KR1020120051660 A KR 1020120051660A KR 20120051660 A KR20120051660 A KR 20120051660A KR 101376812 B1 KR101376812 B1 KR 101376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unit
analog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846A (ko
Inventor
이대유
이교상
한기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81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입력 1출력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제1 고주파 신호를 제1 아날로그 신호와 제1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튜닝하는 제1 튜너; 제2 고주파 신호를 제2 아날로그 신호와 제2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튜닝하는 제2 튜너;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아 각각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부; 및 상기 디코더부로부터 디코딩된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상기 제2 디지털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를 사용하여 2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출력 핀의 갯수를 줄이고, 이에 따라 두 신호의 혼신 및 간섭을 방지하여 수신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2입력 1출력 수신기{Receiver having Two-input One-output}
본 발명은 2입력 1출력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기능을 구비하고 있거나 또는 하나의 텔레비전 방송신호에 또 다른 하나의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삽입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2개의 튜너를 구비하고 있다.
즉, DVR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2개의 튜너를 구비하여 하나의 튜너가 수신하는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사용자가 시청하면서 다른 하나의 튜너가 수신하는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하드디스크에 녹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2개의 튜너를 구비하고 있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CVBS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핀 또한 2개가 필요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2개의 튜너를 구비하고 있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최근 IC 기능의 발달로 인해 RF IC와 아날로그 복조 IC 기능이 복합화되어 두 개의 RF 입력을 하나의 RF/아날로그 복조 IC로 각각 복조하여 두 개의 CVBS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나의 RF/아날로그 복조 IC로부터 출력된 두 개의 CVBS 신호는 혼신되거나 서로에 대해 간섭이 일어나 결국 전체 수신기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위칭부를 사용하여 2개의 입력 중 하나의 입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2입력 1출력 수신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입력 1출력 수신기는, 제1 고주파 신호를 제1 아날로그 신호와 제1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튜닝하는 제1 튜너; 제2 고주파 신호를 제2 아날로그 신호와 제2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튜닝하는 제2 튜너;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아 각각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부; 및 상기 디코더부로부터 디코딩된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상기 제2 디지털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는 CVBS(Composite Video Blanking Synchronous)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입력 1출력 수신기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아 각각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디코더부로부터 디코딩된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상기 제2 디지털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튜너는, 상기 제1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고주파 처리부;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제1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기저대역 처리부; 및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아날로그 신호와 제1 전송 스트림으로 복조하는 제1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제1 복조부는 아날로그/디지털 복합 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튜너는, 상기 제2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고주파 처리부;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제2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기저대역 처리부;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아날로그 신호와 제2 전송 스트림으로 복조하는 제2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제2 복조부는 아날로그/디지털 복합 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1 튜너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2 튜너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스위칭된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 및 상기 디코더부로부터 디코딩된 제1 또는 제2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스위칭된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 및 상기 디코더부로부터 디코딩된 제1 또는 제2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칭부를 사용하여 2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출력 핀의 갯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 신호의 혼신 및 간섭을 방지하여 수신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입력 1출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튜너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튜너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칭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출력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입력 1출력 수신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튜너의 상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튜너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칭부의 상세 회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출력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입력 1출력 수신기는 제1 튜너(10), 제2 튜너(20), 스위칭부(30), 디코더부(40), 출력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튜너(10)는 제1 고주파(RF) 신호를 수신하여 튜닝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주파 처리부(RF부)(12), 제1 기저대역 처리부(BB부)(14) 및 제1 복조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RF부(12)는 상기 제1 고주파(RF)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다.
상기 제1 BB부(14)는 상기 제1 RF부(12)로부터 출력된 제1 중간 주파수(IF) 신호를 입력받아 제1 기저대역(BB)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 복조부(16)는 상기 제1 BB부(14)로부터 출력된 제1 기저대역(BB)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아날로그 신호(예컨대, CVBS(Composite Video Blanking Synchronous) 신호)(CVBS1)와 제1 전송 스트림(TS; Transport Stream)(TS1)으로 복조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복조부(16)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저대역(BB) 신호를 제1 아날로그 신호(CVBS1)로 복조하는 아날로그 복조기와 상기 제1 기저대역(BB) 신호를 제1 전송 스트림(TS1)으로 복조하는 디지털 복조기로 구성된 아날로그/디지털 복합 복조기가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튜너(20)는 제2 고주파(RF) 신호를 수신하여 튜닝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주파 처리부(RF부)(22), 제2 기저대역 처리부(BB부)(24) 및 제2 복조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RF부(22)는 상기 제2 고주파(RF)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다.
상기 제2 BB부(24)는 상기 제2 RF부(22)로부터 출력된 제2 중간 주파수(IF) 신호를 입력받아 제2 기저대역(BB)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2 복조부(26)는 상기 제2 BB부(24)로부터 출력된 제2 기저대역(BB)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아날로그 신호(CVBS2)와 제2 전송 스트림(TS2)으로 복조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복조부(26)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저대역(BB) 신호를 제2 아날로그 신호(CVBS2)로 복조하는 아날로그 복조기와 상기 제2 기저대역(BB) 신호를 제2 전송 스트림(TS1)으로 복조하는 디지털 복조기로 구성된 아날로그/디지털 복합 복조기가 사용된다.
상기 스위칭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술될 제어부(60)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튜너(10)로부터 튜닝된 제1 아날로그 신호(CVBS1) 또는 상기 제2 튜너(20)로부터 튜닝된 제2 아날로그 신호(CVBS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스위칭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칭부(30)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튜너(10)와 상기 출력부(5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S1) 및 상기 제2 튜너(20)와 상기 출력부(5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S2)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부(30)는 상기 제어부(60)에서 생성된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CVBS1)가 상기 출력부(50)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S1)가 온(on)된다.
반대로, 상기 스위칭부(30)는 상기 제어부(60)에서 생성된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CVBS2)가 상기 출력부(50)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S2)가 온(on)된다.
상기 디코더부(40)는 상기 제1 및 제2 튜너(10, 20)로부터 튜닝된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TS1, TS2)을 각각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D1, D2)로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상기 디코더부(40)는 예를 들어 MPEG 디코더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50)는 상기 스위칭부(30)로부터 스위칭된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CVBS1, CVBS2), 및 상기 디코더부(40)로부터 디코딩된 제1 또는 제2 디지털 방송 신호(D1, D2)를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부(30)로부터 스위칭된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CVBS1, CVBS2), 및 상기 디코더부(40)로부터 디코딩된 제1 또는 제2 디지털 신호(D1, D2)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5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부(52)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상기 출력부(50)에 입력된 해당 신호(예컨대, 상기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CVBS1, CVBS2),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디지털 신호(D1, D2))를 소정의 코덱을 거쳐 상기 오디오 출력부(54), 비디오 출력부(56), 또는 둘 모두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52)는 사용자가 음성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50)에 입력된 해당 신호(예컨대, 상기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CVBS1, CVBS2),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디지털 신호(D1, D2))를 소정의 오디오 코덱을 거쳐 오디오 출력부(54)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오디오 출력부(54)를 통해 해당 신호의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52)는 사용자가 영상 및 자막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50)에 입력된 해당 신호(예컨대, 상기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CVBS1, CVBS2),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디지털 신호(D1, D2))를 소정의 비디오 코덱 및 텍스트 코덱을 거쳐 비디오 출력부(56)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비디오 출력부(56)를 통해 해당 신호의 비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54)는 예를 들어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디오 출력부(56)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입력 1출력 수신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60)는 제1 및 제2 고주파(RF)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해당 채널을 튜닝하도록 제1 및 제2 튜너(10, 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수신된 제1 고주파(RF) 신호를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CVBS1)와 제1 전송 스트림(TS1)으로 변환하여 튜닝하도록 상기 제1 튜너(10)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제2 고주파(RF) 신호를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CVBS2)와 제2 전송 스트림(TS2)으로 변환하여 튜닝하도록 상기 제2 튜너(20)를 제어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TS1, TS2)은 상기 디코더부(40)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CVBS1, CVBS2)는 상기 스위칭부(30)를 통해 어느 하나가 상기 출력부(50)에 바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및 제2 튜너(10, 20)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TS1, TS2)을 입력받아 각각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D1, D2)로 디코딩하도록 상기 디코더부(4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CVBS1, CVBS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부(50)에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3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널 신호 또는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고주파(RF)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널 신호가 제1 고주파(RF) 신호로 판단되거나 상기 제1 고주파(RF)의 세기가 상기 제2 고주파(RF) 신호의 세기보다 센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CVBS1)가 상기 출력부(50)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1 튜너(10)와 상기 출력부(50)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위칭 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칭부(30)의 제1 스위치(S1)를 온(on)시키고, 제2 스위치(S2)를 오프(off) 시키는 신호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널 신호가 제2 고주파(RF) 신호로 판단되거나 상기 제2 고주파(RF)의 세기가 상기 제1 고주파(RF) 신호의 세기보다 센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CVBS2)가 상기 출력부(50)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2 튜너(20)와 상기 출력부(50)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칭부(30)의 제2 스위치(S2)를 온(on)시키고, 제1 스위치(S1)를 오프(off) 시키는 신호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스위칭부(30)로부터 스위칭된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CVBS1, CVBS2), 및 상기 디코더부(40)로부터 디코딩된 제1 또는 제2 디지털 신호(D1, D2)를 입력받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5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출력부(50)에 입력된 상기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CVBS1, CVBS2),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디지털 신호(D1, D2)를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소정의 코덱을 거쳐 상기 오디오 출력부(54), 상기 비디오 출력부(56), 또는 둘 모두에 전송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부(52)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52)를 통해 전송된 해당 신호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54)를 제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52)를 통해 전송된 해당 신호의 비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비디오 출력부(56)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입력 1출력 수신기는 2개의 튜너(10, 20)를 통한 2개의 입력(즉, 제1 및 제2 고주파(RF) 신호)이 소정의 스위칭부(30)에 의해 스위칭된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즉,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CVBS1, CVBS1))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출력 핀(pin)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입력(즉, 제1 및 제2 고주파(RF) 신호)이 혼신되거나 서로에 대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수신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제1 튜너 12 : 제1 고주파 처리부
14 : 제1 기저대역 처리부 16 : 제1 복조부
20 : 제2 튜너 22 : 제2 고주파 처리부
24 : 제2 기저대역 처리부 26 : 제2 복조부
30 : 스위칭부 40 : 디코더부
50 : 출력부 52 : 어플리케이션부
54 : 오디오 출력부 56 : 비디오 출력부
60 : 제어부

Claims (10)

  1. 제1 고주파 신호를 제1 아날로그 신호와 제1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튜닝하는 제1 튜너;
    제2 고주파 신호를 제2 아날로그 신호와 제2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튜닝하는 제2 튜너;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아 각각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더부; 및
    상기 디코더부로부터 디코딩된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상기 제2 디지털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부에 출력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2입력 1출력 수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는 CVBS(Composite Video Blanking Synchronous)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입력 1출력 수신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너는,
    상기 제1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고주파 처리부;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제1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기저대역 처리부; 및
    상기 제1 기저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아날로그 신호와 제1 전송 스트림으로 복조하는 제1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입력 1출력 수신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조부는 아날로그/디지털 복합 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입력 1출력 수신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너는,
    상기 제2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고주파 처리부;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제2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기저대역 처리부; 및
    상기 제2 기저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아날로그 신호와 제2 전송 스트림으로 복조하는 제2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입력 1출력 수신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조부는 아날로그/디지털 복합 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입력 1출력 수신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1 튜너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2 튜너와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입력 1출력 수신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스위칭된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 및 상기 디코더부로부터 디코딩된 제1 또는 제2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스위칭된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신호, 및 상기 디코더부로부터 디코딩된 제1 또는 제2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입력 1출력 수신기.
KR1020120051660A 2012-05-15 2012-05-15 2입력 1출력 수신기 KR101376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660A KR101376812B1 (ko) 2012-05-15 2012-05-15 2입력 1출력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660A KR101376812B1 (ko) 2012-05-15 2012-05-15 2입력 1출력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846A KR20130127846A (ko) 2013-11-25
KR101376812B1 true KR101376812B1 (ko) 2014-03-20

Family

ID=4985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660A KR101376812B1 (ko) 2012-05-15 2012-05-15 2입력 1출력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8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846A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6488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switch thereof
KR100396674B1 (ko) 디지털 티브이
JP2002125158A (ja) デジタルテレビチャネルサーフィンシステム
US201601349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th Video and Network Channels
JP2007110425A (ja) 受信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376812B1 (ko) 2입력 1출력 수신기
US2006015263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analog/digital tuning with digital television tuner and analog/digital tuning method thereof
US8681272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8897732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KR100745287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90434B1 (ko)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간의 타임 딜레이를 해결한 무선송수신 시스템
KR20080056450A (ko) 듀얼 튜너
KR100970731B1 (ko)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동기 시키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및 그 방법
EP2050271A1 (en) Dual tuner module and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the same
KR20060094643A (ko) 셋탑 박스
KR2006003978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듀얼 튜너
JP5039829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7013820A (ja) チューナモジュール
JP4518823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715648B2 (ja) 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2080429A (ja) 放送受信装置
JP2014160937A (ja) 放送受信装置
KR20060070819A (ko) 디지털 티브이의 수신 성능 향상 장치 및 방법
JP2010114707A (ja) Rf変換装置、rf変換方法
KR20070048339A (ko) 복수의 방송을 수신하는 알에프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