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411A - 스크루버 및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루버 및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411A
KR20060006411A KR1020040055425A KR20040055425A KR20060006411A KR 20060006411 A KR20060006411 A KR 20060006411A KR 1020040055425 A KR1020040055425 A KR 1020040055425A KR 20040055425 A KR20040055425 A KR 20040055425A KR 20060006411 A KR20060006411 A KR 2006000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ultrasonic sensor
water
scrubber
sensor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7468B1 (ko
Inventor
허상록
Original Assignee
허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상록 filed Critical 허상록
Priority to KR1020040055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4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16Sonic or ultrasonic vib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스크루버에 유입되는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체크가 가능하여 문제 발생시 경보장치에 그 결과를 전송함으로 실시간으로 문제점에 대해 대처할 수 있고, 일정한 양의 물 공급이 가능하여 흡착효율이 향상되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스크루버 및 그를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쓰레기, 유해가스 및 분진을 강제 흡입시켜 충돌, 세정등의 과정을 거쳐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스크루버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버에 구비되며 산업현장에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에 포함된 독성가스, 분진, 질소, 인 등의 화학적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여과필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로와; 상기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유로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공급유로 상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체크하기 위한 초음파센서 수단과;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의 유량 체크에 의해 상기 공급유로 상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에 의해 체크된 유량체크값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유량설정값과 비교하여 유량설정값 범위 밖의 유량일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경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루버 및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THE DEVICE OF SCRUBBER CONTAIN ULTRASONIC WAVE SENSOR AND THE METHOD OF CHECK ON FLUX OVER SCRUBBER USING ULTRASONIC WAVE SENSOR}
도 1은 일반적인 스크루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센서 수단이 구비된 스크루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센서 수단이 구비된 스크루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스크루버 104; 여과필터
106; 저장탱크 108; 공급유로
110; 회수유로 112; 정화필터
114; 펌프 116; 초음파센서 수단
118; 제어부 120; 경보부
122; 모니터링 저장부
본 발명은 초음파센서 수단을 구비한 스크루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루버 내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의 흡착을 위해 구비되는 여과필터에 물을 공급함에 있어 균일한 양의 공급이 가능한 초음파센서 수단을 구비한 스크루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발전하면서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다양한 형태로 부각되어 개인, 기업 및 환경단체에서도 환경오염이 우리사회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식 및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 가정에 배출되는 생활 쓰레기의 경우 분리수거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것은 재활용을 통해 다시 사회로 환원되지만 기타 쓰레기의 경우 소각, 육상매립 및 해양투기 등을 통해 처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기업의 경우 국가 및 환경단체에서 규정한 기준에 부합되기 위해 각종 폐기물이나 산업폐수를 정제를 위해 여러 장치를 통해 공기중으로 방출하거나 방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산업현장에 발생되는 각종 폐기물의 구성된 독성 가스, 분진, 질소, 인 등을 정제과정 없이 공기중으로 방출하면 환경 및 인체에 치명적인 문제 점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많은 산업현장 및 기업에서는 각종 산업 폐기물을 스크루버 장치를 통해 정제후 해당 요소를 공기중으로 방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반적인 스크루버(102) 장치는 일반 공정실(90)의 공정내부에 발생하는 유해가스, 분진, 산업폐수를 상기 구동모터(90)를 가동하여 흡입노즐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스크루버(102)의 내부로 유입한다.
상기와 같이 흡입 저장된 유해가스, 분진 등은 스크루버(102) 밖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모터(100)를 가동하면 상기 저장탱크(106)에 저장된 물이 구동모터(102)와 연결된 공급유로(108)를 통해 공급되고 다수개의 여과필터(104)로 정제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분무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스크루버(102)내에 있는 유해가스, 분진등은 상기의 공급유로(108)를 통한 다수개의의 여과필터(104)에 의해 정제가 있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106)의 물은 구동모터(100)의 동작에 의해 물이 여과필터(104)로 분무되는데 인입되는 물의 양을 체크할 수 없어 상기의 구동모터(100)가 오작동을 하거나 작동을 하지 않아 스크루버(102)내에 있는 유해가스, 분진등이 여과과정 없이 공기중으로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구동모터(100)의 작동상 문제점이 발생할 때 해당 담당자가 일일이 확인을 하여야만 적절히 대처할 수 있어 스크루버(102) 운용상 시간 및 인력운용에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각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 등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고, 더욱이 필터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한 양의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유량의 체크가 가능한 초음파센서 수단을 구비한 스크루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유량을 파악하는 초음파센서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와 연결하여 제어부의 통해 공급유로에 의해 공급되는 유량을 점검 가능하여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문제 발생시 문제점에 대해 모니터링 저장부는 물의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된 데이터 자료는 스크루버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 수단을 구비한 스크루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각종 쓰레기, 유해가스 및 분진을 강제 흡입시켜 충돌, 세정등의 과정을 거쳐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스크루버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버에 구비되며 소각된 물질에서 발생한 분진 등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여과필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로와; 상기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유로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공급유로 상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체크하기 위한 초음파센서 수단과;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의 유량 체크에 의해 상기 공급유로 상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에 의해 체크된 유량체 크값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유량설정값과 비교하여 유량설정값 범위 밖의 유량일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경보부가 구비되는 스크루버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크루버와 상기 저장탱크에는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루버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루버에 잔존하는 물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유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은 상기 공급유로 상에 설치되는 초음파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에 의해 체크된 유량 체크값을 저장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모니터링 저장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스크루버 내에 구비된 여과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펌핑과정; 상기 저장탱크에서 상기 스크루버로 공급되는 유량을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하여 체크하고 그 체크된 유량값을 제어부로 전송하고 동시에 이를 저장하기 위한 모니터링 저장부로 전달하기 위한 유량체크과정; 및 상기 스크루버에 잔존하는 물을 상기 저장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유량회수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량체크단계는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량을 초음파센서 수단으로 체크하기 위한 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단계에 의한 유량체크값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유량설정값과 비교하여 유량 설정값 범위 밖의 유량값일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경보단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저장부에서는 초음파센서 수단에 의해 체크된 유량값의 유동사항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센서 수단이 구비된 스크루버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센서 수단이 구비된 스크루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기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스크루버의 구성을 살펴보면, 참조번호 102는 각종 쓰레기, 유해가스 및 분진을 강제 흡입시켜 충돌, 세정등의 과정을 거쳐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스크루버를 나타내고, 104는 상기 스크루버(102)에 구비되며 소각된 물질에서 발생한 분진 등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필터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06은 상기 여과필터(10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나타내고, 108은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106)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여 과필터(10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로를 나타내고, 110은 상기 스크루버(102)와 상기 저장탱크(106)에는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루버(102)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루버(102)에 잔존하는 물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유로를 나타내고, 114는 상기 저장탱크(106)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유로(108)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16은 상기 공급유로(108) 상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체크하기 위한 초음파센서 수단을 나타내고, 118은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116)의 유량 체크에 의해 상기 공급유로(108) 상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20은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116)에 의해 체크된 유량체크값을 상기 제어부(118)에 입력된 유량설정값과 비교하여 유량설정값 범위 밖의 유량일 경우 경고음 등을 전송하는 경보부를 나타내고, 122는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116)에 의해 체크된 유량 체크값을 상기 제어부(118)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모니터링 저장부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센서 수단을 구비한 스크루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버(102)의 내측 상부에는 스크루버(102) 내에서 소각이 실시될 경우 발생하는 분진 등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필터(104)가 구비된다.
그리고,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06)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장탱크(106)와 스크루버(102)와 저장탱크(106)에는 공급유로(108) 및 회수유로(110)가 연결된다.
공급유로(108)는 저장탱크(106)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스크루버(102)에 구비된 여과필터(104)에 분사에 의한 방법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인데, 물을 흡수한 상태의 여과필터(104)는 스크루버(102)에서 발생한 분진 등을 여과함에 있어 흡착력을 높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필터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흡착효율이 높은 활성탄을 부직포 등의 형태로 제작한 활성탄소섬유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유로(108)에 의해 주기적으로 물이 공급되면, 이 중에서 여과필터(104)에 사용되고 남은 물은 스크루버(102)의 내부 저면에 모이게 되는데, 회수유로(110)는 이렇게 스크루버(102)의 저면에 모여 있는 물을 다시 저장탱크(106)로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회수유로(110) 상에는 저장탱크(106)로 회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필터(1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물이 공급되는 공급유로(108) 상에는 공급유로(108)를 통해 스크루버(102)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체크하기 위한 초음파센서 수단(114)이 설치되며, 저장탱크(106)에는 공급유로(108) 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기능과 회수유로(110)를 통해 물을 회수하는 기능을 위한 펌프(114)가 구비된다.
유량을 체크하기 위한 초음파센서 수단(116)으로는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으나, 그 하나의 실시예로 본원 발명에서는 초음파센서를 사용한다.
유량을 체크하기 위한 수단으로 초음파센서를 사용하는 이유는, 공급유로(108) 상에 비파괴에 의한 방법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급 유로(108)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가 산성성분이 포함되거나 혹은 스크루버(102)가 설치되는 장소가 산성성분에 영향을 받는 장소라면 이러한 산성분에 저항력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주변온도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아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고장이 적은 이유에서다.
이러한 초음파센서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118)가 연결된다.
제어부(118)는 공급유로(108)를 통해 공급되는 유량을 체크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제어는 펌프(114)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데, 만약 제어부(118)에 입력된 초기 설정값과 유동하는 물의 유량 체크값을 비교하여 최초 설정된 설정값 이하 또는 이상으로 유량이 흐르게 될 경우 이를 인식하여 펌프(114)의 펌핑양을 조절하게 된다.
제어부(118)에는 경보부(120) 및 모니터링 저장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경보부(120)는 제어부(118)에 입력된 초기 설정 유량값을 기준으로 공급유로(108)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량을 비교하여 설정된 초기값보다 작거나 클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알람에 의한 방법이나 경고등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저장부(122)는 공급유로(108)로 상을 유동하는 물의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데이터화하기 위한 것인데, 이렇게 데이터화된 자료는 소각장치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또는 환경 단체 등에서 효과적으로 운용하게 하기 위한 자료가 된다.
이상과 같은 스크루버(102) 내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의 여과효율을 높이기 위해 공급되는 물의 공급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더욱이 공급되는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초기에 입력된 설정값 이상 또는 이하일 경우 이를 알릴 수 있고, 공급되는 유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스크루버(102)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102)에 공급되는 유량체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크루버(102)에 각종 쓰레기 등을 투입한 후 소각을 진행하게 되면, 저장탱크(106)에 구비된 펌프(114)를 작동시켜 여과필터(104)로 물을 고급하는 펌핑단계(S200)가 실시된다.
펌프(114)에 의해 물이 공급되면 공급유로(108) 상에 설치된 초음파센서(116)에 의해 공급량을 체크하는 유량체크단계(S210)가 실시되며, 이러한 유량체크단계(S210)에 수반되는 단계로는 감지단계(S220)와 경보단계(S230)가 있다.
감지단계(S220)에서는 공급유로(108)를 이동하여 초음파센서에 의해 체크된 유량값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경보단계(S230)에서는 최초 제어부(118)에 초기 입력된 설정값과 감지단계(S220)에서 감지한 유량값을 비교하여 초기 설정값 범위 밖의 값일 경우 이를 알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18)로 신호를 보내 펌프(114)를 작동시켜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공급유로(108)를 지나며 체크된 값은 모니터링 저장부(122)에 저장되어 데이터로 축적된다.
이후, 유량회수단계(S240)가 진행되는데, 유량회수단계(S240)에서는 공급유로(108)를 통해 공급된 물이 여과필터(104)로 전달되어 분진 등을 흡수한 후 스크루버(102)의 내부 저면으로 떨어진 물을 다시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스크루버(102)의 물은 회수유로(110)를 통해 저장탱크(106)로 회수 되는데, 회수유로(110) 상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정화하여 정화된 상태로 저장탱크(106)에 보내지도록 정화필터(112)를 거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초음파센서 수단을 구비한 스크루버 및 이를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에 의해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스크루버에 유입되는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체크가능하여 일정한 양의 물 공급이 가능하여 흡착효율이 향상되는 스크루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 수단을 이용하여 스크루버에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쉽게 파악하여 문제 발생시 경보장치 그 결과 전송함으로 실시간 문제점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급유로 상에 비파괴에 의한 방법으로 유량을 체크하기 위한 수단으로 초음파센서를 사용함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주변온도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아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고장이 적은 스크루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량을 파악하는 초음파센서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하여 제어부와 연결하여 제어부의 통해 공급유로에 의해 공급되는 유량을 점검 가능하여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음파센서를 이용함으로서 물의 흐름을 쉽게 파악가능하고 문제 발생시 문제점에 대해 모니터링 저장부는 물의 유량값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된 데이터 자료는 스크루버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지방자치단체 또는 환경단체등에서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각종 쓰레기, 유해가스 및 분진을 강제 흡입시켜 충돌, 세정등의 과정을 거쳐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스크루버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버에 구비되며 산업현장에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에 포함된 독성가스, 분진, 질소, 인 등의 화학적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여과필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로와;
    상기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유로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공급유로 상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체크하기 위한 초음파센서 수단과;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의 유량 체크에 의해 상기 공급유로 상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에 의해 체크된 유량체크값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유량설정값과 비교하여 유량설정값 범위 밖의 유량일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경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버와 상기 저장탱크에는 일단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루버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루버에 잔존하는 물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은 상기 공급유로 상에 설치되는 초음파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센서 수단에 의해 체크된 유량체크값을 저장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모니터링 저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버.
  5.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스크루버 내에 구비된 여과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펌핑과정;
    상기 저장탱크에서 상기 스크루버로 공급되는 유량을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하여 체크하고 그 체크된 유량값을 제어부로 전송하고 동시에 이를 저장하기 위한 모니터링 저장부로 전달하기 위한 유량체크과정; 및
    상기 스크루버에 잔존하는 물을 상기 저장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유량회수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방법.
  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체크단계는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량을 초음파센서 수단으로 체크하기 위한 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단계에 의한 유량체크값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유량설정값과 비교하여 유량설정값 범위 밖의 유량값일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경보단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저장부에서는 초음파센서 수단에 의해 체크된 유량값의 유동사항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방법.
KR1020040055425A 2004-07-16 2004-07-16 스크루버 및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 KR100607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425A KR100607468B1 (ko) 2004-07-16 2004-07-16 스크루버 및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425A KR100607468B1 (ko) 2004-07-16 2004-07-16 스크루버 및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314U Division KR200365574Y1 (ko) 2004-07-16 2004-07-16 스크루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11A true KR20060006411A (ko) 2006-01-19
KR100607468B1 KR100607468B1 (ko) 2006-08-03

Family

ID=3711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425A KR100607468B1 (ko) 2004-07-16 2004-07-16 스크루버 및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4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2418A (zh) * 2012-11-25 2013-03-27 湖南科鹰特种环保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多相流旋转泡沫分离装置及其用于处理废水、废气的工艺
CN104914438A (zh) * 2015-06-29 2015-09-16 哈尔滨东方报警设备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超声波测距的手持多气体检测报警装置
CN104914437A (zh) * 2015-06-29 2015-09-16 哈尔滨东方报警设备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超声波测距的气体检测报警装置
KR102047834B1 (ko) * 2018-07-27 2019-11-22 기림에어테크(주) 교육용 미세먼지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350B1 (ko) * 2014-06-10 2016-02-03 (주)엔비에너지 매연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연저감 감지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787A (ko) * 1995-10-20 1997-05-30 김광호 유량 자동 통제장치
KR19990016294U (ko) * 1997-10-25 1999-05-25 이구택 초음파 수증기 분무장치가 부착된 스크러버
JP2000279738A (ja) 1999-03-29 2000-10-10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クラバーの循環液タンク等における液面センサー取付け装置
JP2001120943A (ja) 1999-10-25 2001-05-08 Kazuyuki Takahata 排ガス脱臭方法及び排ガス脱臭装置
US6652624B2 (en) 2001-10-10 2003-11-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lf-cleaning nozzles of wet scrubber
KR100412579B1 (ko) * 2001-10-11 2003-12-31 한국 파이오닉스 주식회사 액상을 이용한 폐 가스 스크러버장치
KR200266378Y1 (ko) * 2001-10-18 2002-03-02 주식회사 아니코 오염기체정화장치용 약품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2418A (zh) * 2012-11-25 2013-03-27 湖南科鹰特种环保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多相流旋转泡沫分离装置及其用于处理废水、废气的工艺
CN102992418B (zh) * 2012-11-25 2014-07-16 湖南科鹰特种环保设备技术有限公司 用多相流旋转泡沫分离装置处理废水或废气的工艺
CN104914438A (zh) * 2015-06-29 2015-09-16 哈尔滨东方报警设备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超声波测距的手持多气体检测报警装置
CN104914437A (zh) * 2015-06-29 2015-09-16 哈尔滨东方报警设备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超声波测距的气体检测报警装置
KR102047834B1 (ko) * 2018-07-27 2019-11-22 기림에어테크(주) 교육용 미세먼지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468B1 (ko)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8040B2 (ja) 排ガス処理装置ならびに排ガス処理方法
KR100607468B1 (ko) 스크루버 및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
KR100865574B1 (ko) 폐수 자가처리 습식 집진기
CA2631309C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polluted gases
US8652243B1 (en) Gas filtration system
KR101570840B1 (ko) 도료 미세먼지 및 VOCs 처리장치
KR100505125B1 (ko) 폐기물 처리설비의 황산화물 및 다이옥신 제거장치
KR19990010029A (ko) 가스상 및 입자상 오염물질의 여과집진장치
KR200365574Y1 (ko) 스크루버
KR100478609B1 (ko) 일체형 배출가스 정화장치
KR20150099308A (ko) 여과집진기
KR101145202B1 (ko) 유해가스 정화장치
JP5111955B2 (ja) 廃棄物処理設備の排ガス処理方法及び装置
CN213375959U (zh) 一种多级分段式废气处理装置
KR101373177B1 (ko) 양압을 이용한 실내클린장치
KR101632736B1 (ko) 지속적인 여과가 가능한 여과장치
KR100376799B1 (ko) 폐기물 소각용 정화장치
KR100635466B1 (ko) 집진수의 재사용이 가능한 소각로 소각 장치
KR101297585B1 (ko) 약품 가스의 회수장치
KR100876548B1 (ko) 산업용 정수장치
RU2324524C2 (ru) Секционный рукавны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KR101392643B1 (ko) 반건식 반응탑에서의 다단 원심력을 이용한 배기가스 유도장치
CN217342755U (zh) 一种带有综合报警系统的改性塑料生产线
JP2001017813A (ja) バグフィルターの運転方法
JP2007268465A (ja) ろ過式集塵器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