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928A - Cdma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Cdma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928A
KR20060005928A KR1020040054931A KR20040054931A KR20060005928A KR 20060005928 A KR20060005928 A KR 20060005928A KR 1020040054931 A KR1020040054931 A KR 1020040054931A KR 20040054931 A KR20040054931 A KR 20040054931A KR 20060005928 A KR20060005928 A KR 20060005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image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location notif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진
양호진
이창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5928A/ko
Publication of KR2006000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망에서의 지도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GPS 인공위성,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기지국 전송기(BTS), 기지국 제어기(BSC), 이동 교환국(MSC)를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GPS 기능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것으로, 내장한 GPS 모듈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한 후,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이미지나 외부의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지도 데이터에서 자신의 위치를 포함하는 단순 이미지 형식의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그 지도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위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원하는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기능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SMS수신과 간단한 이미지 출력기능만 있어도 위치알림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종래 기술과 달리 수신자의 콜백접속이 필요 없고 바로 발신자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수신/출력할 수 있고 비용부담도 발신자가 지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에서 위치 알림이 수신자에 의하여 묵살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서버에 발신자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일일이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킨다는 장점도 가진다.
지도 이미지, CDMA, 위치알림

Description

CDMA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Position Notification Method by using Map Image Transmission in CDMA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도 1은 GPS를 이용한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일례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CDMA망에서의 위치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이용되는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의 기능별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의 전체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User Interface)의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a 내지 6d는 발신측 단말기 화면, 도 6e는 수신측 단말기 화면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GPS 위성 210 :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210' :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220 : 이동통신망
221 : 기지국 전송기(BTS) 222 : 기지국 제어기(BSC)
223 : 이동 교환국(MSC) 240 :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
310 : GPS 모듈(310) 320 : 메모리
330 : 제어부 340 : 통신모듈
410 : 지도 DB 420 : 데이터수신부
430 : 지도 이미지 생성부 440 : 지도 이미지 전송부
450 : 위치 산출부
본 발명은 CDMA망에서의 지도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 더 상세하게는 GSP수신기를 장착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한, 자체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지도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위치 알림 메시지를 원하는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그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이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보완해주고 있다.
한편,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Internet)이 확립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문자, 음성, 이미지(Image),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보다 나은 환경에서 이용하기 위해 초고속 통신망 등의 보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공간을 초월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어, 수많은 기업들이 무선 인터넷에 대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개인의 단말기 사용에 따른 진일보된 개인화 서비스이며 사용자의 이동성에 기반하여 고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특징이 있다.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문자, 음성,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s)는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 인하여 크게 각광받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란 휴대폰, 피디에이(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PC 등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구조 요청, 범죄 신고에의 대응, 인접 지역 정보 제공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위치에 따른 이동 통신 요금의 차등화, 교통 정보, 차량 항법 및 물류 관제, 위치 기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 및 상황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무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을 무선 측위 기술(PDT :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이라고 하는데, 기지국 수신 신호를 이용하는 망 기반(Network-Based) 방식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식으로 구별되며, 최근에는 두 가지 기술을 혼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이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망 기반 방식은 기존의 휴대폰에 새로운 모듈을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폰 개발에 추가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무선 기지국의 셀(Cell) 크기나 위치 결정 방식에 따라서 위치 오차가 대략 500 m ~ 수 km에 이를 정도로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GPS 신호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 다.
도 1은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의 일례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GPS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은 GPS 인공위성(110), 이동 통신 단말기(120), 기지국 전송기(BTS : Base Transceiver Station)(130),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40),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50) 및 GPS 기반 위치기반 LBS 플랫폼(160), LBS플랫폼과 연동되거나 그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 서버(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무선 인터넷과 연동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망연동장치(IWF)와 WAP 게이트웨이 등의 추가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GPS 인공위성(110)은 GPS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위성이다. GPS 인공위성(110)은 위치 계산을 위해 필요한 항법 데이터를 반송파(Carrier Wave)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20)로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24 개의 위성으로 구성되며, 이들 중 21 개의 위성이 항법에 사용되고 3 개의 위성은 예비용으로 배치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120)는 GPS 인공위성(110)으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등이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이다. 기지국 전송기(130), 기지국 제어기(140) 및 이동 교환국(150)은 통상적인 호 처리 기능과 더불어 GPS를 위한 클럭 분배, GPS 데이터 송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20)로부터 단말기가 수신한 GPS 신호 또는 단말기가 GPS 신호로부터 산출한 단말기 위치의 경위도 좌표와 같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한 위치 정보를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LBS 플랫폼(160)으로 전송한다.
도 1에서 설명한 GPS는 누구든지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이용자수에 제한이 없으며, 실시간으로 연속적인 측위가 가능하고, 비교적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GPS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중 위치알림 또는 위치확인 서비스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위치확인 서비스는 가입자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미 GPS 신호로부터 산출한 위/경도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단말기가 위치하는 구체적인 위치를 산출한 후 그 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재전송 해주는 서비스이다. 제공되는 위치정보는 주로 행정지명, 주요건물 등이 일반적이다.
또한, 타인의 단말기 또는 분실 단말기의 위치 확인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는데, 이 서비스에서는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한 후, 미리 위치확인에 동의한 타인의 단말기 또는 자신의 분실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위치확인을 요청하면, 서버는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GPS 신호 또는 경/위도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후 요청한 단말기로 타인 단말기 또는 분실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텍스트(행정지명, 주요건물명) 또는 이미지(지도)를 전송하여 출력한다.
또한, 자신의 위치를 타인에게 알리는 소위 "위치알림 서비스"도 이용되고 있다.
현재의 위치알림 서비스에서는 발신자가 자신 단말기로 수신한 GPS 신호 또는 GPS 신호로부터 산출한 경/위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면서 수신측 단말기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위치알림 서비스 요청을 한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서버는 발신측 단말기의 구체적인 위치를 산출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수신측 단말기로 위치를 확인하라는 내용의 단문메시지(SMS)를 전송한다. SMS를 수신한 수신측 가입자는 콜백번호(Call Back Number)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 후 개인인증을 받은 후, 발신측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위치알림 서비스는 조난이나 유괴 등의 이유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곳에서 타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릴 급한 사정이 있을 때나, 자신의 위치는 알 수 있으나 타인과 통화가 곤란한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알림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 번째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위치알림 서비스는 발신측와 수신측 단말기가 모두 GPS 기능을 구비하고 있을 때에만 가능하다. 그러나, GPS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아직 대중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치알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가입자는 아주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로, 현재 방식에서는 발신자는 위치알림요청과 SMS 전송만 수행하기 때문에, 수신자가 서비스 제공서버에 다시 재접속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서비스 비용을 수신자가 부담하므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발신자의 위치알림 요청에도 불구하고 수신자가 번거롭다는 이유 또는 비용상의 이유로 서버에 접속하여 위치를 확인하지 않으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수신측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서버에 접속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마찬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최근, 스팸 메시지, 광고 메시지 등이 범람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면 수신자가 위치알림 SMS을 묵살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상기한 두 번째 문제점은 자주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두 번째 문제점은 발신자가 조난 등의 비상사태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렸는데 수신자가 그를 묵살하거나 서버 접속 실패로 확인이 불가능할 때에는 치명적일 수 있다.
세 번째로는, 모든 발신자의 위치정보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서버의 부하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CDMA 이동통신망에서 발신자가 자신의 위치를 수신측으로 정확, 신속, 저렴하게 알릴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CDMA 이동통신망에서 발신측 단말기가 GPS를 이용하여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산출하고, 그 위치를 포함하는 단순 이미지 형식의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한 후 그를 포함하는 위치 알림 메시지를 원하는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출력하는 위치알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장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한 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이미지를 제공받아 그를 SMS 또는 패킷 통신방식으로 원하는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GPS 인공위성,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기지국 전송기(BTS), 기지국 제어기(BSC), 이동 교환국(MSC)를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장된 GPS 모듈과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단계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에 연동된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자신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를 추출하거나 전송받는 제2단계와, 상기 지도 이미지 파일 자체 또는 소정의 가공을 한 2차 지도 이미지 파일,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CDMA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생성된 위치알림 메시지를 원하는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출력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제1단계에서의 위치결정은 단순 GPS 측위 방식, DGPS(Differential GPS)에 의한 측위방식, A-GPS(Assisted GPS)에 의한 측위방식,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Double Differential GPS)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결정된 위치는 경/위도 정보, 행정지번 정보, 주요 건물 정보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2단계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은 메모리 내에 미리 여러 지도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되는 위치의 지도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지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CDMA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외부에 연동된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한 후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를 전송받는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3단계에서 최초 또는 2차 지도 이미지 파일을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3단계에서의 소정의 가공이란, 수신측 단말기의 사양, 화면크기, 용량, 브라우저 등에 맞도록 지도 이미지의 물리적 크기, 해상도, 데이터용량, 형식 등을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과정이나, 추출된 지도 이미지에 발신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 또는 텍스트를 추가하는 데이터 추가과정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이미지는 수십 KByte 정도의 용량을 가지는 JPG, BMP, TIFF, GIF 등의 일반적 이미지 포맷을 가짐으로써, 사양이 오래된 수신측 단말기도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위치 알림 메시지는 추출/가공된 (2차) 지도 이미지 파일 이외에 발신자 정보(이름, 전화번호 등)를 포함하며, 발신자가 추가로 입력한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제4단계에서의 위치알림 메시지 전송은 CDMA 이동통신망의 단문메시지(SMS) 전송방식을 이용하거나, CDMA 1x 회선전송 또는 1x EV-DO 패킷 전송방식에 의하여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GPS 인공위성,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기지국 전송기(BTS), 기지국 제어기(BSC), 이동 교환국(MSC)를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GPS 안테나와 측위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GPS 모듈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용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어부, CDMA 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발신자의 위치알림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GPS 모듈을 구동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이미지 중에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한 후, 상기 지도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위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생성된 위치알림 메시지를 입력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GPS 인공위성,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기지국 전송기(BTS), 기지국 제어기(BSC), 이동 교환국(MSC)를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GPS 안테나와 측위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GPS 모듈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용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어부, CDMA 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발신자의 위치알림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GPS 모듈을 구동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동되어 있는 외부의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로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한 후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를 수신한 후, 상기 지도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위치 알림 메시지를 생 성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생성된 위치알림 메시지를 입력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모두에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지도 이미지 파일을 가공(변환과정 또는 데이터 추가과정)한 후 가공된 지도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위치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알림 메시지에는 최초 또는 가공된 지도 이미지 파일 이외에 발신자 정보 및/또는 발신자가 입력한 추가 문자/음성 메시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추가될 수도 있고, CDMA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알림 메시지에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CDMA 이동통신망의 단문메시지(SMS) 전송방식을 이용하거나, CDMA 1x 회선전송 또는 1x EV-DO 패킷 전송방식에 의하여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CDMA망에서의 위치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체 시스템은 4개 이상의 가시 GPS 위성(Visible GPS Satellite; 200), CDMA 방식으로 동작하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기지국 전송기(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221),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222) 및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 223)을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220)과, 본 발명에 따르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내장된 GPS 기능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이루어지며, 필요한 경우 지도 DB(410)을 포함하고 상기 CDMA 이동통신망에 연동되어 있는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2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240)는 CDMA 이동통신망의 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망간연동장치(IWF), WAP게이트웨이 등의 인터넷망이 상기 CDMA 이동통신망(220)에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발신측 및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210, 2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폰 등 CDMA 방식으로 동작하는 각종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210, 210') 중 발신측 단말기(210)는 GPS 인공위성(200)으로부터 GPS 전파 수신용 GPS 안테나를 구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퀄컴(Qualcomm)사의 CDMA 모뎀칩인 MSM 3300에 'gpsOne'이라 는 GPS 측위 기능을 추가한 칩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CDMA에 의한 데이터 통신과 함께 기지국 또는 GPS 인공위성(200)으로부터의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내부에 장착된 GPS 측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GPS 측위 프로그림은 A-GPS, DGPS, 이중차분 GPS 등에 따라 더 정밀한 측위를 하기 위하여 외부의 기준국 등으로부터 오차 보정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측정된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모듈은 GPS 신호를 수신할 뿐이고, 수신된 GPS 신호를 외부에 연동된 LBS 플랫폼의 측위서버로 전송한 후 그에 대한 응답으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또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여러 지역의 지도 이미지를 저장하였다가, 위치가 결정된 경우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추출/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제1실시예). 물론, 메모리의 용량 제한 등으로 지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없는 경우에는 측정된 위치정보를 외부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 파일을 전송받을 수도 있다.(제2실시예)
그 밖에 본 발명에 의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여러 가지 추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가 기능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GPS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SMS 송수신(또는 CDMA 1x 회선전송 또는 1x EV-DO 패킷 송수신)과 본 발명에 의한 간단한 형식의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러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지도 이미지 파일이 포함된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그를 출력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위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 전화번호로 자동 통화연결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MA 이동통신망(220)은 서비스 제공서버(250)와 발신측 및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210, 210') 사이에 데이터 중개를 담당하며, 기지국 전송기(221)와 기지국 제어기(222) 및 이동교환국(22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위치알림 메시지를 SMS 형식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단문메시지 전송센터(MC; Message Center)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 전송기(BTS; 221)는 이동 통신 단말기(210)로부터의 데이터를 기지국 제어기(222)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210)와 기지국 제어기(BCS; 222) 사이에서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2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222)는 기지국 전송기(221)를 제어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210, 210')에 대한 페이징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의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통신 단말기(210, 210') 및 기지국 전송기(221)의 송신 출력 제어,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무선 접속망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동 교환국(223; MSC)은 다수의 전자식 교환기를 구비하여 기본 및 부가 서 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동 전화 교환국(223)은 분산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전화 교환국(223)은 셀(Cell) 단위의 패킷(Packe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망연동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 미도시)는 CDMA 이동통신망(220)과 인터넷, 공중 전화 교환망, 패킷 공중 데이터 교환망(PSPDN : Packet Switched Public Data Network) 등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MA 이동통신망(220)은 CDMA 2000 1X, CDMA 2000 1X EV-DO(Evolution-Data Only)등의 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한정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CDMA 이동통신망에는 여러 가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LBS 플랫폼이 추가로 포함되거나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LBS 플랫폼은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각종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Platform)으로서, 측위서버(PDE; Position Determination Element)와 포지셔닝 센터(MPC; Mobile Positioning Center) 및 응용 서버(Application Server)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240)는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지도 이미지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에 포함된 발신측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연동되어 있는 지도 DB 또는 GIS를 참조하여 발신단말기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일종의 응용 서버이다.
물론, 이러한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24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만 사용되는 것이고,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이미 여러 지역의 지도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어서, 직접 지도 이미지를 메모리에서 추출하는 제1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CDMA 방식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안테나와 측위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GPS 모듈(310)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20),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용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어부(330), CDMA 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 모듈(310)은 GPS 안테나와 GPS 측위 프로그램이 내장된 연산부로 이루어지는 GPS 수신기로 구현된다.
GPS 안테나는 GPS 위성으로부터의 1575.42MHz의 L1 주파수 신호(C/A 코드) 또는 15754.2MHz의 L2 주파수 신호(P 코드)를 수신하여 GPS 측위 프로그램을 전달한다.
GPS 측위 프로그램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C/A코드 또는 P코드를 전달받고, 그와 똑같은 코드(PN코드)를 발생시켜 수신된 위성의 코드와 비교하여 위성의 신호가 위성을 떠나 수신기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다. "광속(위성신호의 속도) x 소요시간"으로 위성과 수신기간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측정된 위성-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의사거리(Pseudo-Range)라 한다.
이러한 의사거리에는 수신기오차, 위성시계오차, 위성궤도 오차 등 구조적인 요인에 의한 오차와, 위성분포에 의한 오차, 미국 국방성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삽입한 선택적 이용성에 의한 오차(Selective Availability; SA)등 다수의 오차요인이 있는데, 이 중 선택적 이용성에 의한 오차는 2001. 05월부터 제거되었으며, 여러 가지 오차 보정방식에 의하여 나머지 오차부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위성-수신기가 거리를 산출한다. (L2 주파수에 포함되는 P코드는 SA가 제거된 것이다)
4개 이상의 가시 GPS 위성에 대한 정확한 거리가 산출되면 삼각측량에 의하여 지표면상의 한 지점이 결정되며, 이 위치가 곧 GPS 수신기, 즉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된다.
이러한 단순한 방식의 GPS 측위 알고리즘에 의하면 약 100m 정도의 오차가 생길 수 있으며, 더 정확한 측위를 위하여 GPS 수신기 근처에 위치한 기준국으로부터 오차정보를 수신하고 그를 기초로 오차를 제거하는 A-GPS(Assisted GPS) 또는 DGPS(Differential GP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2 내지 30m 의 수평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GPS 수신기외에 다른 GPS 안테나에서 동일한 GPS 신호를 수신한 후 그를 차분(Differenting)함으로써 반송파의 위상차이를 측정하여, 더 정밀한 (<1m) 측위를 할 수도 있다.
측위 알고리즘 들은 정밀도에 따라 프로그램의 크기 및 복잡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GPS 측위 프로그램은 단말기의 저장용량, 필요한 측위 정밀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제어부(330)의 응용프로그램은 크게 지도 이미지 파일 추출기능과, 지도 이미지 파일 가공 기능과, 추출/가공된 지도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위치 알림 메시지를 생성/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지도 이미지 파일 추출기능은 다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되는 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이 GPS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발신단말기 위치정보(경/위도, 행정지명 등)를 기초로 발신측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이미지에서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크기의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한편, 제2실시예는 발신측 단말기의 메모리 한계로 인하여 방대한 지도 이미지 파일을 미리 저장할 수 없을 경우로서, 이 때 응용 프로그램은 GPS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 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외부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240)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되는 위 치를 포함하는 소정 크기/형식/축적의 지도 이미지 파일을 수신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중간 형태로서, CDMA 이동통신망의 LBS 플랫폼이 예를 들면 하루 한번과 같이 주기적으로 발신측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 뒤 해당 지역(예를 들면, 대구광역시)의 전체 지도 이미지를 해당 단말기로 자동 푸시(Push)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고, 위치 알림 요청이 있는 경우 그로부터 필요한 지도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지도 이미지 파일 가공 기능은 응용 프로그램이 추출한 지도 이미지 파일을 수신측 단말기의 사양, 화면크기, 메모리 용량 등에 맞도록 지도 이미지 파일의 물리적 크기, 데이터 용량, 형식, 해상도 등을 변환하여 가공된 2차 지도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데이터 변환기능과, 추출/가공된 지도 이미지 파일에 발신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의 이미지 표시 또는 텍스트 표시를 추가하는 데이터 추가기능으로 세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이미지 파일은 단문메시지(SMS)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100KByte 이하의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든 사양의 수신측 단말기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JPG, BMP, TIFF, GIF 등과 같은 일반적인 이미지 파일 형식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크기 및 형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측 단말기가 수신/출력할 수 있는 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치 알림 메시지 생성/전송기능은 응용 프로그램이 추출/가공한 최종 지도 이미지 파일과 발신자의 정보(이름 또는 전화번호) 및 필요한 경우 발신자가 추가 로 입력한 문자/음성 메시지를 추가하여 위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전송형식에 맞도록 데이터를 변환한 후 발신자가 지정(입력)한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CDMA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전송형식에 맞도록 데이터를 변환한다 함은, SMS 전송인 경우에는 TIA/EIA/ IS-637에 정의되고 TSB 79에 보완된 프로토콜에 따르도록, 음성사서함 또는 일반 메시지와 같은 서비스 구분자인 Teleservice Identifier, 발신측 전화번호(Originating Address), 응답요구 여부(Bearer Reply Option)와 Bearer Data를 포함하는 전송계층 메시지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CDMA 1x 회선방식 또는 1x EV-DO 패킷 형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형식에 맞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320)에는 통상적인 데이터 이외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여러 지역의 지도 이미지들이 저장된 지도 DB를 구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해당 메시지(추출/가공된 지도 이미지 파일 포함)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모듈(340)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비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CDMA 방식으로 이동통신망과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별도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구성요소, 특히 응용 프로그램은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프트웨어로 작성되어 단말기 하드웨어 내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기 능을 가지는 한 구현 형식에는 제한이 없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수백MByte까지 증가하였고, CPU의 성능 또한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므로, 상기 언급한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거나, 필요한 경우 메모리에 각종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지도 DB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지도이미지 제공서버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과 CPU 성능이 충분하여 여러 지도 이미지가 이미 단말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고, 결정된 위치를 기초로 해당되는 지도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을 경우에는 도 4의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는 생략될 수 있다.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240)는 CDMA 이동통신망 또는 LBS 플랫폼의 한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그에 연동되는 서버 장치로서, 내부에 지도 DB(410)를 포함하거나 외부 지도 DB와 연동되어 있으며,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 파일 전송 요청을 수신한 후,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를 지도 DB로부터 추출하여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240)는 지도 DB(410) 이외에, 데이터수신부(420)와, 지도 이미지 생성부(430), 및 지도 이미지 전송부(440)를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위치산출부(4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에 연동된 지도 DB(410)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의 메모리내의 지도 DB는 국내의 모든 지역 또는 특정 지역의 지도를 여러 축적으로 저장하고 있으며, 경위도 또는 행정지명, 주요건물 등의 쿼리(Query)를 이용하여 원하는 지역의 지도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 DB(41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지도 DB(410)는 기준이 되는 경/위도와 매칭된 다수의 지도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지도 이미지는 다양한 축적을 가지고, 행정지명, 주요건물명 등과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수신부(420)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를 요청을 수신하여 지도 이미지 생성부(43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는 필요한 경우, 즉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 후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산출부(4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산출부(450)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모듈이 위 치산출 기능이 없는 경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한 후 앞서 언급한 방식으로 발신측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산출된 위치정보는 지도 이미지 생성부(430)로 전달된다.
지도 이미지 생성부(430)는 위치 산출부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발신단말기 위치정보(경/위도, 행정지명 등)를 검색어로 하여 지도 DB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지도 이미지를 추출한 후, 수신측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지도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지도 이미지 파일은 JPG, BMP, TIFF등의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전송속도를 고려하여 수십 KByte 이하의 용량을 가지도록 해상도와 크기가 조절된다. 또한, 지도 이미지 파일 생성부는 생성된 지도 이미지에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지도 이미지 전송부(440)는 CDMA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생성된 지도 이미지 파일을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전송방식은 무선인터넷에서의 CDMA 1X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파일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단문메시지(SMS) 형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서버(24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WAP 서버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CDMA 이동통신망 내의 일부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웹서버의 형태로 구현되어 소정의 망간 연동장치를 통하여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각 기능별 구성요소(데이터 수신부, 위치산출부, 지도 이미지 파일 생성부, 지도 이미지 전송부)들은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소정 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프트웨어로 작성되어 서비스 제공서버의 하드웨어 내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기능을 가지는 한 구현 형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의 전체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위치를 알리고자 하는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발신측 단말기의 메뉴 중에서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다(S510). 물론 이 때,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은 발신자로 하여금 종래 기술에 의한 콜백번호를 이용한 위치알림 메뉴와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가 선택되면, 발신측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은 GPS 모듈을 구동하여 3개 이상의 가시 GPS 위성(Visible GPS Satellite)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측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S520)
그런 다음, 발신측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DB로부터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거나(제1실시예), 해당 위치정보를 외부의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로 전송한 후 그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위치가 포함된 지도 이미지 파일을 전송받는다(제2실시예)(S530)
발신자의 지도 이미지 가공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명령에 따라 지도 이미지를가공하여 가공된 지도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발신자의 추가 메시지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S540, S550).
지도 이미지의 "가공"이란 지도 이미지 파일에 발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텍스트 표시를 하거나(데이터 추가), 수신측 단말기의 사양 등에 맞도록 지도 이미지 파일의 물리적 크기, 데이터 용량, 해상도, 파일 형식 등을 변경하는(데이터 변환) 작업을 의미한다.
지도 이미지 파일 추출/가공을 전후하여, 발신자가 입력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S560) 비록, 도 5와 관련해서는 수신측 단말기 전화번호의 입력을 지도이미지 파일의 가공 다음 순서로 배치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최종 위치알림 메시지 생성 후에 할 수도 있고, 위치 산출 이전에도 가능할 것이다.
발신측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은 추출/전송받은 지도 이미지 파일 또는 가공된 2차 지도 이미지 파일에 발신자 자신의 정보(이름, 전화번호 등)를 추가하여 최종 위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S570). 이러한 위치 알림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 포맷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경우 발신자가 추가로 입력한 추가 문자/음성 메시지를 포함하거나, 수신자가 바로 발신자 단말기로 음성통화를 요청할 수 있는 발신자의 콜백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지도 이미지 파일과 함께 "홍길동 011-9882-1111님의 06/23 14:00 현재 위치입니다."라는 안내메시지와, 발신자가 추가로 입력한 "산에서 길을 잃었어요. 구해주세요"라는 추가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 그 예이다.
또한, 위치알림 메시지에 발신자 정보를 추가시키는 방식으로는,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이 메모리 등에 저장된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등을 이용 하여 자동으로 추가하는 방식과, 발신자가 자신의 이름, 전화번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추가하는 방식과, CDMA 이동통신망의 한 구성요소(이동교환국, LRS 등)가 위치 알림 메시지 전송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추가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발신측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은 발신자로부터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선택받고, SMS 전송, CDMA 1x 회선 전송, CDMA 1x EV-DO 패킷 전송 중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생성된 최종 위치알림 메시지를 해당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S580).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측 단말기는 발신자 정보와, 발신자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위치알림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590). 이렇게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지도 이미지 파일은 메시지 등과 함께 수신측 단말기 화면상에 바로 출력됨으로써 서버로의 재접속 없이도 실시간으로 발신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된 위치 알림 메시지 또는 지도 이미지 파일을 메모리상에 별도로 저장할 수 있으며, 발신자는 저장된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추후에 다시 불러 열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시의 사용자 인터페이 화면(User Interface)의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a 내지 6d는 발신측 단말기 화면, 도 6e는 수신측 단말기 화면에 해당된다.
도 6a에서와 같이 발신자는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각종 기능 중에서 본 발명에 의한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다. 이 때, 도 6b에서와 같이 발신측 단말기의 메뉴에는 종래의 콜백방식에 의한 위치알림 서비스(2.콜백 위치알림 서비스)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1. 지도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에서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선택하면, 발신측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이 GPS 모듈을 구동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DB 또는 외부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로부터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거나 전송받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6c에서와 같이 그 동안에는 처리과정이 수행중이라는 안내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위치결정과 지도 이미지 파일 추출/전송이 끝나면, 도 6d와 같이 현재의 발신측 단말기의 위치(화살표로 표시)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가 발신측 단말기 화면상에 출력된다. 이 상태에서 발신자는 "1.지도 이미지 가공하기" 메뉴를 이용하여 해당 지도 이미지 파일을 가공(데이터의 변환 또는 데이터 추가)하거나, "3.추가메시지 입력"을 선택하여 수신자에게 전달할 문자메시지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2.수신자 전화번호 입력"을 선택하여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필요한 경우 "4.지도저장하기"를 선택하여 지도 이미지를 발신측 단말기에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다.
모든 입력이 종료된 후, "5.확인(보내기)"를 선택하면, 응용 프로그램은 최종 위치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CDMA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6e는 위치알림 메시지가 전송되어 수신측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 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홍길동 011-9882-1111 님의 06/23 14:00 위치 알림 메시지입니다"와 같이 발신자의 정보와 시간, 위치알림 메시지라는 안내문구 등이 포함된 텍스트가 출력되고, 그와 함께 발신자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가 출력되며, "어딘지 모르겠다. 찾아와라"와 같이 발신자가 추가로 입력한 메시지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위치알림 메시지는 수신측 단말기에 저장됨으로써, 추후 필요한 경우 다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기능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SMS 수신과 간단한 이미지 출력기능만 있어도 위치알림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또한, 위치알림 SMS를 받은 후 다시 서비스 제공서버에 재접속하여 확인하여야 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콜백 접속이 필요 없고 바로 발신자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수신/출력할 수 있고 비용부담도 발신자가 지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에서 위치 알림이 수신자에 의하여 묵살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이미지 파일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수초 내에 신속하게 위치를 알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콜백에 의한 종래기술에서는 서버에 발신자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일일이 저장하여야 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지도 이미지 자체를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기 때문에 서버에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킨다는 장점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전송된 지도 이미지 파일이 발신측 단말기 및 수신측 단말기에 저장되므로, 추후에 다시 참조하려는 경우 다시 서버에 재접속하여야 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저장된 발신자의 지도 이미지를 바로 출력/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Claims (33)

  1. GPS 인공위성,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기지국 전송기(BTS), 기지국 제어기(BSC), 이동 교환국(MSC)를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a)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GPS 모듈과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단계;
    (b)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에 연동된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에 포함되어 있는 지도 DB로부터 상기 자신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를 추출하거나 전송받는 제2단계;
    (c) 상기 지도 이미지 파일과,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3단계;
    (d) 상기 CDMA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생성된 위치알림 메시지를 원하는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출력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의 위치결정은 단순 GPS 측위 방식, DGPS(Differential GPS)에 의한 측위방식, A-GPS(Assisted GPS)에 의한 측위방식, 이중차분 방식에 의 한 측위방식(Double Differential GPS)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GPS 신호를 외부의 측위 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결정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는 경/위도 정보, 행정지번 정보, 주요 건물 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이 메모리 내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거나, 상기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한 후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추출/전송받은 지도 이미지 파일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지도 이미지 파일을 변환하여 2차 지도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지도 이미지 가공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2차 지도 이미지 파일을 위치알림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이미지 파일 가공단계에서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 메모리용량, 화면크기, 전송능력, 브라우저 중 하나 이상에 맞도록, 추출/전송받은 지도 이미지 파일의 물리적 크기, 데이터 용량, 포맷,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이미지 파일 가공단계에서는 추출/전송받은 최초 지도 이미지에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 또는 텍스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이미지 파일은 JPG, BMP, GIF, TIFF 중 하나 이상의 형식(포맷)을 가지며, 100KByte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지정하기 위하여 발신자가 입력하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발신자 정보와, 발신자가 추가로 입력한 추가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상기 위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CDMA 이동통신망이 상기 위치알림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알림 메시지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 발신자 전화번호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메시지에는 발신자의 위치가 결정된 일시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 또는 전송한 후, 상기 위치알림 메시지 또는 지도 이미지 파일을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내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의 위치알림 메시지 전송은 CDMA 이동통신망의 단문메시지(SMS) 전송방식, CDMA 1x 회선 전송 방식 및 1x EV-DO 패킷 전송 방식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전송방식인 경우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위치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18. GPS 인공위성,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기지국 전송기(BTS), 기지국 제어기(BSC), 이동 교환국(MSC)를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a) GPS 안테나를 포함하는 GPS 모듈과,
    (b)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c)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용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어부,
    (d) CDMA 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발신자의 위치알림 메시지 전송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GPS 모듈을 구동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DB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서 현재 자신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 파일을 추출한 후, 상기 지도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위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생성된 위치알림 메시지를 특정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19. GPS 인공위성,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 기지국 전송기(BTS), 기지국 제어기(BSC), 이동 교환국(MSC)를 포함하는 CDMA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a) GPS 안테나를 포함하는 GPS 모듈과,
    (b)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c) 지도 이미지 위치알림용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어부,
    (d) CDMA 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발신자의 위치알림 메시지 전송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GPS 모듈을 구동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고, 외부에 연동된 지도 이미지 제공서버로 현재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위치가 포함된 지도 이미지 파일을 전송받은 후, 상기 지도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위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생성된 위치알림 메시지를 특정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추출 또는 전송받은 지도 이미지 파일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지도 이미지 파일을 변환하여 2차 지도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지도 이미지 가공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위치 알림 메시지는 상기 2차 지도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이미지 파일 가공을 위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 메모리용량, 화면크기, 전송능력, 브라우저 중 하나 이상에 맞도록, 추출 또는 전송받은 지도 이미지 파일의 물리적 크기, 데이터 용량, 포맷, 해상도 중 하나 이상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이미지 파일 가공을 위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추출 또는 전송받은 최초 지도 이미지에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 또는 텍스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23.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이미지 파일은 JPG, BMP, GIF, TIFF 중 하나 이상의 형식(포맷)을 가지며, 100KByte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 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24.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위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지정하기 위하여 발신자가 입력하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25.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위치 알림 메시지에 발신자 정보와, 발신자가 추가로 입력한 추가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26.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CDMA 이동통신망이 상기 위치알림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알림 메시지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 발신자 전화번호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28.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알림 메시지에는 발신자의 위치가 결정된 일시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29.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위치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 또는 전송한 후, 상기 위치알림 메시지 또는 지도 이미지 파일을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3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알림 메시지 전송은 CDMA 이동통신망의 단문메시지(SMS) 전송방식, CDMA 1x 회선 전송 방식 및 1x EV-DO 패킷 전송 방식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전송방식인 경우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위치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32.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GPS 모듈은 단순 GPS 측위 방식, DGPS(Differential GPS)에 의한 측위방식, A-GPS(Assisted GPS)에 의한 측위방식, 이중차분 방식에 의한 측위방식(Double Differential GPS)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는 경/위도 정보, 행정지번 정보, 주요 건물 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54931A 2004-07-14 2004-07-14 Cdma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05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931A KR20060005928A (ko) 2004-07-14 2004-07-14 Cdma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931A KR20060005928A (ko) 2004-07-14 2004-07-14 Cdma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928A true KR20060005928A (ko) 2006-01-18

Family

ID=3711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931A KR20060005928A (ko) 2004-07-14 2004-07-14 Cdma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9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223B1 (ko) * 2006-06-08 200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223B1 (ko) * 2006-06-08 200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6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23680B1 (ko)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EP1488658B1 (en)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erminals
EP1148754A2 (en) Mobile station using text messaging and position location to determine location of another mobile station
JP2001218250A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30046656A (ko) 지피에스 수신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위치통지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1227746A (zh) 一种基于移动通信网络的a-gps定位系统和方法
KR100566637B1 (ko) 지피에스 및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통지 방법
KR100706345B1 (ko)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3199158A (ja) 無線品質良好表示方式および方法
US8509822B1 (en) Highly scalable, lower precision idle mode locating method for wireless devices
KR100703189B1 (ko) MS-Based GPS 방식을 이용한 안전 운전 도우미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5926A (ko) 무선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0961A (ko) Gp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네비게이션장치에서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5928A (ko) Cdma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위치알림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12770253B (zh) 紧急呼叫的定位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1374319A (zh) 一种对两手机间距离进行监测的方法和系统
KR200600285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에 따른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906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말 기반지피에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717B1 (ko) Dmb 방송망과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이용한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dmb단말기
KR100588617B1 (ko)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0960A (ko) 이동 통신망에서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데이터 형태로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gps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54457B1 (ko) 아이콘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및 시스템
KR100488177B1 (ko)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78076A (ko)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