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076A -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076A
KR20050078076A KR1020040006184A KR20040006184A KR20050078076A KR 20050078076 A KR20050078076 A KR 20050078076A KR 1020040006184 A KR1020040006184 A KR 1020040006184A KR 20040006184 A KR20040006184 A KR 20040006184A KR 20050078076 A KR20050078076 A KR 20050078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terminal
signal
ag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873B1 (ko
Inventor
전지연
김진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873B1/ko
Priority to US10/925,615 priority patent/US20050170846A1/en
Publication of KR2005007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5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aiding data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요청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를 위치 결정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에 대응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무선호출망과, 지.피.에스 신호와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와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상기 무선호출망으로 제공하는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대량의 무선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수신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용도가 낮은 무선호출망을 이용함으로써 에이.지.피.에스 시스템을 위한 무선망 구축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단말 위치 측정 방법{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 USING PAGER NETWORK AND METHOD FOR MEASUREING POSITION OF TERMINAL USING THE 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AGPS(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호출 서비스는 높은 수신율, 이동성이 뛰어난 소형의 단말기, 부담없는 저가의 서비스로 인해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왔다. 이에 따라 무선호출 기술은 초기 아날로그 방식에서 고속 페이징 방식을 거쳐 최근에는 양방향 무선호출(Tow-Way Pager)기술로 급속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무선호출 사업자들은 이러한 무선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곳곳에 무선호출망을 구축하여 무선호출 가입자들에게 어느 곳에서나 편리하게 무선호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호출 기술은 최근 셀룰라(cellura),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개발되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음성 통화, 문자 송수신, 음성사서함 등)가 제공됨에 따라 초기와 달리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통상적인 무선호출망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양방향 무선호출망에 대한 블록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통상적인 무선호출망을 설명하면, 무선호출 단말(30)은 양방향 무선호출기로서 무선호출망으로부터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타 무선호출 가입자에 대한 무선호출 요청이 있으면 이에 대한 무선호출 요청 신호를 무선호출망으로 전송한다. 무선호출망은 무선호출 기지국(15)과 무선호출 교환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호출 기지국(15)은 소정의 무선호출 가입자에 대한 무선호출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호출 교환국(10)으로 전달한다. 무선호출 교환국(10)은 공중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다수의 일반 유선 전화기들과 연결된다. 이러한 무선호출 교환국(10)은 일반 유선 전화가입자로부터 무선호출 가입자에 대한 무선호출 요청이 있거나 무선호출 가입자로부터 타 무선호출 가입자에 대한 무선호출 요청이 있으면 해당 무선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호출 기지국(15)으로 전달한다. 무선호출 기지국(15)은 무선호출 교환국(10)으로부터 전달된 무선호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해당 무선호출 단말(30)로 송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호출망은 디지털 링크를 이용하여 무선호출 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매우 높고,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고속의 응답채널이 있어 양방향 고속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널리 구축되어 있는 무선호출망은 거의 활용되지 못하여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고 있다.
한편, 최근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를 이용한 각종 부가서비스를 받기를 원하게 되었다. 이동 단말은 사용자와 함께 이동할 수 있고, 무선으로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동단말을 통해 위치 정보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 통신 사업자에 의해 널리 제공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로는 교통 정보 서비스, 지도 다운로드 서비스, 위치 정보 서비스, 날씨 정보 서비스, 응급 서비스. 차량항법 서비스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단말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말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이 필요하고, 단말 위치 결정을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위치 결정을 위한 시스템과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고속 ,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망이 필요하다. 만약 상기한 바와 같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양방향 무선호출망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을 위한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면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활용되지 않고 있는 무선호출망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매우 높고,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활용도가 낮은 무선호출망을 이용하여 AGPS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단말의 위치를 보다 빨리 정확하게 결정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요청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를 위치 결정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에 대응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무선호출망과, 지.피.에스 신호와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와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상기 무선호출망으로 제공하는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가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 과정과, 무선호출망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에이.지.피.에스 요청 정보를 위치 결정 서버로 송신하는 제2 과정과, 위치 결정 서버가 상기 에이.지.피.에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상기 무선호출망으로 송신하는 제3 과정과, 상기 무선호출망이 에이. 지. 피.에스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4 과정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피.에스 위성의 초기 위치를 탐색하고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5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GPS 시스템은 무선호출망(100), 위치 결정 서버(200), GPS 기준국 수신기(250), AGPS단말(300), GPS 위성(500)으로 구성된다.
무선호출망(100)은 AGPS 단말(300)이 무선호출망(100)과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일정 시간마다 전송한다. AGPS 단말(300)은 양방향 무선 호출 단말 기능을 구비하며, 전원이 켜지면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호출망(100)과 동기를 유지한다. AGPS 단말(300)은 무선호출망(100)과 동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자신의 위치와 관련된 AGPS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AGPS 데이터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AGPS 데이터 요청 정보를 무선호출망(100)을 통하여 위치 결정 서버(200)로 보낸다. 이때 AGPS 데이터 요청 정보에는 AGPS 단말의 대략적인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AGPS 단말(300)은 무선호출 기지국의 위치를 이용하거나 무선호출망을 운영하는 지역 사업자를 통해 AGPS 단말기가 위치한 대략적인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서버(PDE : Position Determination Entity)(200)는 기준국 GPS 수신기(250)를 장착하고 있으며, 기준국 GPS 수신기(250)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와 무선호출망(100)으로부터 AGPS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위치 결정 서버(200)는 GPS 신호와 AGPS 데이터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AGPS 데이터 요청 정보에 포함된 AGPS 단말의 대략적인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그 대략적인 위치에 해당하는 AGPS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위치 결정 서버(200)는 GPS 위성(500)의 궤도 정보(ephemeris), 현재의 GPS 시간 정보, GPS 운행 정보, 그리고 AGPS 단말(100)의 대략적인 위치에서 관측이 가능한 지.피.에스 위성 정보 등을 포함하는 AGPS 데이터를 생성한다. 위치 결정 서버(200)에 의해 생성되는 AGPS 데이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IS-801 TIA/EIA(2001.2) 스펙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이를 참고한다. 위치 결정 서버(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AGPS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서 생성된 AGPS 데이터를 무선호출망(100)으로 전달한다. 무선호출망(100)은 위치 결정 서버(200)로부터 전달된 AGPS 데이터를 AGPS 단말(300)로 전송한다.
AGPS 단말(300)은 GPS 수신기를 내장하고 GPS 위성(50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호출망(100)을 통해 위치 결정 서버(200)로부터 생성된 AGPS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AGPS 단말(300)은 A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위성(500)으로부터 GPS 신호를 좀더 빠르고 정확하게 수신하고,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초기 위치를 측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100)은 무선호출 교환국(120)과 무선호출 기지국(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호출 기지국(140)은 AGPS 단말(300)이 무선호출망(100)과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일정 시간마다 전송하고, AGPS 단말(300)로부터 AGPS 데이터 요청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호출 교환국(140)으로 전달한다.
무선호출 교환국(140)은 위치 결정 서버(200)와 연결되며, 무선호출 기지국(140)을 통해 전달된 AGPS 데이터 요청 정보를 위치 결정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호출 교환국(140)은 위치 결정 서버(200)로부터 AGPS 데이터 요청 정보에 응답하는 A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호출 기지국(140)으로 전달한다.
무선호출 기지국(140)은 무선호출 교환국(120)으로부터 전달된 AGPS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해당 AGPS 단말(300)로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GPS 단말(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GPS 단말(300)은 GPS 수신부(302), 통신부(304), AGPS부(306)로 구성된다.
GPS 수신부(302)는 GPS 위성(50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304)는 무선호출 기지국(140)으로부터 일정시간마다 전송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동기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무선 호출 시스템과 동기를 유지한다. 이후에, 통신부(304)는 무선호출 기지국(140)으로부터 A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AGPS부(306)로 전달한다.
AGPS부(30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GPS 단말(3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AGPS부(306)는 통신부(304)에 수신된 A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수신부(302)가 GPS 위성(500)으로부터 GPS 신호를 좀더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GPS 수신부(302)에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AGPS 단말(300)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한다. 그리고 AGPS부(306)는 무선호출망(100)을 통하여 위치 결정 서버(200)로 AGPS 데이터를 요청하는데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며, 제공된 APGS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초기 위치를 탐색하고, GPS 신호를 이용하여 AGPS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AGPS 단말(300)은 무선호출망(100)을 통해 위치 결정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AGPS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GPS 초기 위치 탐색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신의 현재 위치를 신속히 계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100)을 이용한 AGPS 시스템에서 무선호출망(100)과 위치 결정 서버(200)간의 송수신 데이터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100)을 이용한 AGPS 시스템의 호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100)을 이용한 AGPS 시스템에서 AGPS 단말(300) 및 무선호출망(100)과 위치 결정 서버(200) 간의 송수신 데이터는 프로토콜 식별정보(2), 데이터 사이즈 정보(4), 데이터(8)로 구성된다. 프로토콜 식별정보(2)는 AGPS 단말(300)이 무선호출망(100)을 통해 위치 결정 서버(200)로 또는 위치 결정 서버(200)가 무선호출망(100)을 통해 AGPS 단말(300)로 소정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미리 약속된 프로토콜 정보이다. 데이터 사이즈 정보(4)는 AGPS 단말(300)이 무선호출망(100)을 통해 위치 결정 서버(200)로 또는 위치 결정 서버(200)가 무선호출망(100)을 통해 AGPS 단말(300)로 전송하려고 하는 데이터의 사이즈 정보이다. 데이터(8)는 AGPS 단말(300)이 무선호출망(100)을 통해 위치 결정 서버(200)로 또는 위치 결정 서버(200)가 무선호출망(100)을 통해 AGPS 단말(3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실제 데이터에 해당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100)을 이용한 AGPS 시스템의 AGPS 메시지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호출망(100)은 52단계에서 일정 시간마다 AGPS 단말(300)이 무선호출망과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예컨대 무선호출망(100) 내의 무선호출 기지국(140)은 일정 시간마다 AGPS 단말(300)이 무선호출망과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AGPS 단말(300)은 무선호출 기지국(140)의 동기 신호가 수신되면 54단계에서 수신된 동기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호출망(100)과 동기화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무선호출망(100)과 동기가 이루어지면 AGPS 단말(300)은 56단계에서 자신의 위치 파악에 필요한 AGPS 데이터 요청 신호를 무선호출망(100)으로 전송한다.
무선호출망(100)은 AGPS 단말(300)로부터 AGPS 데이터를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58단계에서 AGPS 데이터 요청 정보를 위치 결정 서버(200)로 전달한다. AGPS 데이터 요청 정보는 해당 AGPS 단말(200)의 위치와 관련된 AGPS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로서 AGPS 데이터 요청을 알리는 프로토콜 식별정보와, AGPS 요청 데이터 사이즈 정보와,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토콜 식별정보는 AGPS 단말(300), 무선호출망(100), 위치 결정 서버(200) 간에 미리 약속된 프로토콜 정보이고, 데이터 사이즈 정보는 AGPS 단말(300)이 위치 결정 서버(200)로 전송하려고 하는 데이터의 사이즈 정보이다. 데이터는 AGPS 단말(300)이 위치 결정 서버(200)로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이다.
위치 결정 서버(200)는 60단계에서 무선호출망(100)으로부터 전달받은 AGPS 데이터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AGPS 단말(300)의 위치와 관련된 AGPS 데이터를 생성한다. AGPS 데이터에는 GPS 위성(500)의 궤도 정보(ephemeris), 현재의 GPS 시간 정보, GPS 운행 정보, 그리고 AGPS 단말의 대략적인 위치 정보 등과 같은 AGPS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위치 결정 서버(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AGPS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서 62단계로 진행하여 생성한 AGPS 데이터를 무선호출망(100)으로 전달한다. 예컨대, 위치 결정 서버(200)는 AGPS 데이터 요청 응답에 대한 프로토콜 식별정보와, AGPS 데이터 사이즈 정보와, AGPS 정보에 대한 데이터로 구성된 AGPS 데이터를 무선호출망(100)의 무선호출 교환국(120)으로 전송한다.
무선호출망(100)은 64단계에서 위치 결정 서버(200)로부터 전달된 AGPS 데이터를 무선호출 기지국(140)을 통해 AGPS 단말(300)로 전송한다. 무선호출망(100)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AGPS 단말(300)은 66단계에서 무선호출 기지국(150)으로부터 해당 A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GPS 초기 위치를 탐색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의 AGPS 시스템은 무선호출망을 통해 이동 단말에 AGPS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은 무선호출망을 통해 제공받은 A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빨리 GPS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GPS 신호를 이용한 단말 위치 결정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AGPS 시스템은 대량의 무선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수신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용도가 낮은 무선호출망을 이용함으로써 AGPS 시스템 위한 무선망 구축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은 간단한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하게 되므로 서비스 이용 요금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무선호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AGPS 단말기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에서 무선호출 교환국과 위치 결정 서버간의 송수신 데이터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의 AGPS 메세지 흐름도

Claims (9)

  1. 외부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요청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를 위치 결정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에 대응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무선호출망과,
    지.피.에스 신호와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와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상기 무선호출망으로 제공하는 상기 위치 결정 서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에이.지.피.에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는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을 위한 프로토콜 식별정보와,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의 사이즈 정보와,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에이.지.피.에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는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응답에 대한 프로토콜 식별정보와, 에이.지.피.에스 정보에 대한 데이터 사이즈 정보와, 에이.지.피.에스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에이.지.피.에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지.피.에스 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지.피.에스 위성의 궤도 정보, 지.피.에스 위성의 시간 정보, 지.피.에스 위성의 운행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초기 위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에이.지.피.에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는 지.피.에스 수신부와,
    외부로부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피.에스 위성의 초기 위치를 탐색하고,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에이.지.피.에스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에이.지.피.에스 시스템.
  6. 단말 장치가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 과정과,
    무선호출망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에이.지.피.에스 요청 정보를 위치 결정 서버로 송신하는 제2 과정과,
    위치 결정 서버가 상기 에이.지.피.에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상기 무선호출망으로 송신하는 제3 과정과,
    상기 무선호출망이 에이. 지. 피.에스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4 과정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피.에스 위성의 초기 위치를 탐색하고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5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에이.지.피.에스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는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을 위한 프로토콜 식별정보와,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정보의 사이즈 정보와,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에이.지.피.에스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측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지.피.에스 데이터는 에이.지.피.에스 데이터 요청 응답에 대한 프로토콜 식별정보와, 에이.지.피.에스 정보에 대한 데이터 사이즈 정보와, 에이.지.피.에스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에이.지.피.에스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측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지.피.에스 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지.피.에스 위성의 궤도 정보, 지.피.에스 위성의 시간 정보, 지.피.에스 위성의 운행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초기 위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에이.지.피.에스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측정 방법.
KR1020040006184A 2004-01-30 2004-01-30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KR10054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84A KR100547873B1 (ko) 2004-01-30 2004-01-30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US10/925,615 US20050170846A1 (en) 2004-01-30 2004-08-25 AGPS system using a public radio paging network and a terminal position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84A KR100547873B1 (ko) 2004-01-30 2004-01-30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076A true KR20050078076A (ko) 2005-08-04
KR100547873B1 KR100547873B1 (ko) 2006-01-31

Family

ID=3480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184A KR100547873B1 (ko) 2004-01-30 2004-01-30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70846A1 (ko)
KR (1) KR100547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8143B1 (en) * 2007-12-20 2012-01-31 U-Blox Ag Navigation system enabled wireless headset
US8164519B1 (en) 2008-05-20 2012-04-24 U-Blox Ag Fast acquisition engine
CN105629281A (zh) * 2015-11-27 2016-06-01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用于终端的辅助定位方法及辅助定位装置
CN105644472B (zh) * 2016-02-15 2018-12-11 合肥杰发科技有限公司 快速定位方法以及车载系统
WO2019213962A1 (zh) * 2018-05-11 2019-11-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寻呼同步方法及装置
CN109085618A (zh) * 2018-09-18 2018-12-25 四川爱联科技有限公司 基于NB-IoT的AGPS定位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533B1 (en) * 1998-12-11 2001-07-24 Ericsson Inc. GPS assistance data for positioning of mobiles with built-in GPS
US6397074B1 (en) * 1999-05-07 2002-05-2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GPS assistance data delivery method and system
US6567387B1 (en) * 2000-11-07 2003-05-20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from multiple wireless base transceiver stations to a subscriber unit
US7035648B2 (en) * 2001-11-29 2006-04-25 Via Telecom Co., Ltd. Synchronization of mobile station location measurement with CDMA service
US6975222B2 (en) * 2003-03-21 2005-12-13 Baldev Krishan Asset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US6903683B1 (en) * 2003-11-19 2005-06-07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delivering assistance data in an unsynchronized wireless network
US20050159890A1 (en) * 2004-01-16 2005-07-21 Humphries Laymon S.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of data retrieval from mobile telemetry devices
US7594038B2 (en) * 2004-01-16 2009-09-22 Verizon Business Global Ll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figuring mobile telemetr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7873B1 (ko) 2006-01-31
US20050170846A1 (en)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9800B2 (en) Method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a mobile station based on DBM and TCP/IP
US7215965B2 (en) Facility and method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location data in a voice channel of a digital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4340032B2 (ja) 移動gps端末におけるgpsに基づく位置決定システム
US20080108374A1 (en) Standalone positioning in 3G UMTS systems
KR100701853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US20040192336A1 (en)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ore than one transceiver
EP3479135B1 (en) Determining a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590973B1 (en) Location technology support determin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devices
TWI303320B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method for providing gps information
CN110933715A (zh) 获取及提供定位辅助数据的方法、装置及设备
US6901260B1 (en) Differential GPS and/or glonass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capability
CN115336296A (zh) 定位辅助终端设备的确定方法、装置
KR100547873B1 (ko)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US92106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eal time location service provider
WO2022144005A1 (zh) 定位方法及系统、通信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703189B1 (ko) MS-Based GPS 방식을 이용한 안전 운전 도우미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0961A (ko) Gp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네비게이션장치에서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390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지역정보 서비스 방법
KR1011403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전송 조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81024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방법
KR100682281B1 (ko) 이동 속도에 따른 서비스 품질 레벨 제어를 통해 위치 측위정확성을 확보하는 모바일 스테이션 기반의 지피에스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22127B1 (ko) 엠.피.씨를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8436A (ko) 이동통신망의 위치 측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060013921A (ko) Svd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중에 위치 정보를송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