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777A - 발광체를 구비한 방음 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 Google Patents

발광체를 구비한 방음 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777A
KR20060005777A KR1020040054732A KR20040054732A KR20060005777A KR 20060005777 A KR20060005777 A KR 20060005777A KR 1020040054732 A KR1020040054732 A KR 1020040054732A KR 20040054732 A KR20040054732 A KR 20040054732A KR 20060005777 A KR20060005777 A KR 20060005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frame
panel
light
soundproof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179B1 (ko
Inventor
김동익
Original Assignee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1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0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3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undulated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8Optical design with elliptical curv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04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 G09F2013/1831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using more than on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 G09F2013/1881Frame-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서 빛을 발산하는 방음 판넬 및 이를 구비하는 방음벽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음 판넬은, 소음발생구역과 보호구역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방음판넬로서,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부재; 방음부재 주변에 설치되어 방음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방음부재의 일 측면을 통해서 방음 부재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체를 구비함으로써, 야간에는 방음벽 내부에 설치된 발광체를 이용하여 방음벽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비출 수 있어 미관이 수려하고, 방음벽을 이용하여 소정의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광체를 구비한 방음 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Soundproof panel with luminary body and soundproof wall having the same}
도 1a 및 도 1b 은 종래의 방음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판넬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 는 발광체가 수용되는 프레임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레임 내부에 발광체가 포함된 구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방음 판넬의 종단면도로서, 발광체가 하측 프레임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 는 방음 판넬에 형성된 개폐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방음 판넬 및 방음 판넬을 포함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구체 적으로, 본 발명은 발광체를 삽입한 방음 판넬 및 이러한 방음 판넬을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이란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또는 철로와 같은 소음발생구역(A)과 주거지역과 같은 보호구역(B) 사이에 설치되어, 소음발생구역(A)에서 생성된 소음을 감쇠시켜 보호구역(B)에 전달되는 소음 분포를 일정수준 이하로 낮추는 소음저감대책용 구조물(100)을 말한다.
종래의 방음벽의 구조는 일체구조로서 형성되기도 하고, 방음판넬에 의한 조립구조로서 설치되기도 한다.도 1b 는 범용으로 사용되는 방음벽(1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도 1b를 참조하면, 방음벽은 도로변을 따라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측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부(110)를 세워 상기 지지부(110)에 의해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방음판(1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벽체(130)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음벽(100)은 단순히 소음발생구역(A)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보호구역(B)으로부터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그 구조물의 외양이 단조롭고 주변의 경관 또는 미관에 부합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발생구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야간에는 방음벽 내부에 설치된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방음벽에 조명을 비출 수 있고, 소정의 광고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방음 판넬 및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방음 판넬은, 소음발생구역과 보호구역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방음판넬로서,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부재; 방음부재 주변에 설치되어 방음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방음부재의 일 측면을 통해서 방음 부재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체를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프레임은, 내부 공간에 발광체가 장착될 수 있는 소정수의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고, 발광체에서 조사되는 빛을 방음부재의 일 측면으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반사부재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타원형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레임은, 발광체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의 발광체가 장착된 일 측면에 개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레임은, 상측 프레임, 하측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측 프레임의 하면, 하측 프레임의 상면, 우측 프레임의 좌면, 좌측 프레임의 우면에 각각 방음부재의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발광체가 설치된 프레임의 장착홈에 발광체의 빛이 방음부재의 일 측면을 통해서 방음 부재의 내부로 조사되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측 프레임의 상면에는 결합용 돌부가 형성되고, 하측 프레임의 하면에는 타 방음 판넬의 결합용 돌부와 결합되도록 결합용 요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음 부재는 광투과성 재질의 플라스틱일 수 있고, 소정의 두 께를 갖는 방형의 판형 구조일 수 있으며,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전면에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음 부재는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전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방형의 판형 구조일 수 있고,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전면에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발광체는 형광등으로 구성되거나 발광 다이오드로서 구성될 수 있고, R, G, 및 B를 각각 표현하는 3개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3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방음벽은 상술한 방음 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의 상술한 방음 판넬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서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음 판넬 및 방음벽을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음벽(200)은 지지구조물(210)에 소정간격으로 지지부(220)를 설치하고, 설치된 지지부(220) 사이에 방음 판넬(230)을 상하 구조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방음벽(200)은 도로, 공사현장 등 소음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어 소음이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조물(210)은 방음벽(200)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에 의하여 시공된다.
상기 지지부(220)는 방음판넬(230)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판넬(2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단면이 'H'형상을 가지는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200)에는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의 방음판넬(240)과 프레임 내부에 발광체를 포함하는 방음 판넬(230)이 함께 설치될 수 있고, 프레임 내부에 발광체를 포함하는 방음 판넬(230)만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음 판넬(230)은, 광투과성 재질의 방음판(232)과, 방음판(232)의 주변에 설치되어 방음판(232)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234)이 방음판(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음판(232)은 광투과성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이 매끄러운 것이 바람직하다.
방음판(232)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방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방음판(232)은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도 가능하며, 그 외형구조는 굽어진 구조를 가지거나, 방음판 중심의 두께가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경우 또는 더 얇은 경우도 가능하다. 방음판(232)은 빛의 일부가 투과할 수 있도록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표면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가짐과 동시에 그 표면이 파형구조 또는 톱니 구조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방음판(23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매끄러운 표면에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이 부착, 음각 또는 양각으로 새겨진 문양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음판(232)의 표면에 형성된 문양부(250)는 후술할 발광체에서 발생되는 조명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관찰될 수 있도록 불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방음판(232)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새겨지는 경우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임(234)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234a), 하측 프레임(234b), 좌측 프레임(234c), 및 우측 프레임(234d)으로 구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레임들은 나사 등에 의하여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34)은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판(232)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234f)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음판(232)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프레임(234)에 결합될 수 있으며, 실리콘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34)은 후술할 발광체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설치되며, 발광체에서 발생하는 빛이 방음판(232)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방음판(232)과 접하는 측면에 발광체에 대응되어 개구(234f-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의 형상은 후술할 발광체에 따라서 원형, 길게 형성된 슬롯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방음 판넬(230)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인 경우에, 상측 프레임(234a)의 상면에는 결합용 돌부(234a-1)가 형성되고 하측 프레임(234b)의 하면에는 하측에 위치하는 방음 판넬의 결합용 돌부와 결합되도록 하측에 위치하는 방음 판넬의 돌부에 대응되는 결합용 요부(234b-1)가 형성될 수 있다.또한, 하측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용 돌부가 형성되고 상측 프레임 상부에 타 방음판넬의 결합용 돌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요부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레임 내부에 발광체가 포함된 구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는 형광등을 이용하여 발광체(400a)를 구현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방음 판넬(230)의 길이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형광등을 발광체 장착부(410a)인 소켓에 꽂아서 프레임(234)에 고정시키고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도 4b 는 LED를 이용하여 발광체(400b)를 구현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방음 판넬의 길이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LED가 발광체 장착부(410b)에 납땜질되어 장착되거나, 브레드 보드로 구현되는 장착부(410b)에 꽂아서 고정시키고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발광체(400b)를 R(red), G(green), 및 B(blue) 의 세 개의 LED 로 구현하고, 세 개의 LED 중 소정수의 LED 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시켜 다양한 색깔의 빛을 방음판(232)으로 조사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발광체와 발광체 장착부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5 는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방음 판넬의 종단면도로서, 발광체가 하측 프레임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발광체가 위치하는 하측 프레임의 장착홈에는, 발광체(400)로부터 조사된 빛이 광투과성 재질의 방음판(232)의 표면과 평행하게 방음판(232)의 일 측면을 통해서 방음판(232) 내부로 조사되도록 개구(234f-1)가 형성되 어 있다.
또한, 발광체(400)에서 조사된 빛이 프레임 내부로 흩어지지 않고 방음판(232) 내부로 조사되도록 프레임 내부에 반사판(42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 반사판(420)은 프레임 내부로 조사되는 빛이 광투과성 재질의 방음판(232) 내부로 조사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구조로 프레임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발광체 장착부(410a,410b)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체(400a,400b), 발광체 장착부(410a,410b), 및 반사판(420)은 하나의 모듈로서 프레임과 착탈가능한 발광체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과 착탈가능한 발광체 조립체로 구성되면 발광체를 구비한 방음판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도 5 는 발광체(400a,400b), 발광체 장착부(410a,410b), 및 반사판(420)이 하측 프레임(234b)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발광체(400a,400b), 발광체 장착부(410a,410b), 및 반사판(420)은 우측 프레임(234d), 좌측 프레임(234c), 및 상측 프레임(234a)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 발광체는 방음판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발광체(400a,400b)가 설치된 프레임은 발광체(400a,400b)를 구현하는 형광 램프 또는 LED 등을 유지 또는 보수할 수 있도록, 도 6a 내지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6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600)는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일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개 구부를 복개하는 복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복개부는 프레임에 경첩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과 복개부를 연결하는 힌지 핀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를 복개하는 복개부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지 아니하고 나사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여 개구부를 복개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서, 전원의 공급에 의하여 발광체(400a,400b)가 빛을 발산하면, 상기 발광체(400a,400b)에서 발생된 빛의 일부는 광투과성 재질의 방음판(232)의 일측면을 통해서 방음판(232)과 평행한 방향으로 방음판(232) 내부로 직접 조사되고, 빛의 일부는 반사판(420)에서 반사되어 방음판(232)의 일측면을 통해서 내부로 조사된다.
방음판(232) 내부로 조사된 빛은 방음판(232)의 표면에서 반사되고 굴절되어, 일부는 빛이 조사된 방음판(232)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측면을 통해서 빠져나가지만, 일부는 방음판(232)의 전면 또는 후면을 통해서 빠져나간다. 따라서, 발광체(400a,400b)가 방사하는 빛의 색깔을 변경함으로써 방음판(232)을 통해서 외부로 비춰지는 색깔을 변경할 수 있게된다.
또한, 도 2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성 재질의 방음판(232) 표면에 음각으로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 등을 새긴 문양부(250)가 형성된 경우에, 방음판(232)의 일 측면을 통해서 입사된 빛이 음각으로 새겨진 문양부(250) 이외의 매끈한 표면을 통해서는 투과되지만, 음각으로 새겨진 문양부(250)에서는 빛이 난반사되어 음각으로 새겨진 문자 또는 모양이 야간에도 외부에서 쉽게 인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판넬(230)을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음판넬(230)을 이용한 방음벽(20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210)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부(220)를 설치한다. 이 때, 지지부(220)는 H 형상의 빔인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부(220)의 간격은 상술한 방음 판넬(230)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 후, 지지부(220) 사이에 소정수의 방음 판넬(230)을 적층 구조로 소정의 높이까지 쌓아 방음벽(200)을 형성한다. 이 경우, 방음벽(2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발광체를 포함하는 방음 판넬(230)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소정수의 방음 판넬(230)이 소정수의 일반적인 방음 판넬(240)마다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방음 판넬(230)은 상부 프레임(234a)의 상면에 돌부(234a-1)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부 프레임(234b)의 하면에 요부(234b-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 프레임의 상측 돌부(234a-1)는 위에 적층된 프레임의 하측 요부(234b-1)와 결합되고, 하측 요부(234b-1)는 아래에 적층된 프레임의 상측 돌부(234a-1)와 결합되어 방음벽(200)을 구성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음 판넬은 방음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발광체를 구비함으로써, 소음발생구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야간에는 방음벽 내부에 설치된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방음벽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비출 수 있어 미관이 수려하고, 방음벽을 이용하여 소정의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소음발생구역과 보호구역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방음판넬로서,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부재;
    상기 방음부재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방음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방음부재의 일 측면을 통해서 상기 방음 부재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발광체가 장착될 수 있는 소정수의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발광체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방음부재의 상기 일 측면으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발광체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기 발광체가 장착된 일 측면에 개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측 프레임, 하측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의 하면, 상기 하측 프레임의 상면, 상기 우측 프레임의 좌 면, 상기 좌측 프레임의 우면에 각각 상기 방음부재의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8. 제 7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발광체가 설치된 프레임의 장착홈에 상기 발광체의 빛이 상기 방음부재의 일 측면을 통해서 상기 방음 부재의 내부로 조사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의 상면에는 결합용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프레임의 하면에는 타 방음 판넬의 상기 결합용 돌부와 결합되도록 결합용 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부재는
    광투과성 재질의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방형의 판형 구조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부재는
    상기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전면에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이 음각으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부재는
    상기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전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방형의 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부재는
    상기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전면에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이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형광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발광 다이오드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R, G, 및 B 를 각각 표현하는 3개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3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음 판넬을 포함하는 방음벽.
  19. 제 1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방음 판넬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1020040054732A 2004-07-14 2004-07-14 발광체를 구비한 방음 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KR10062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732A KR100626179B1 (ko) 2004-07-14 2004-07-14 발광체를 구비한 방음 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732A KR100626179B1 (ko) 2004-07-14 2004-07-14 발광체를 구비한 방음 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777A true KR20060005777A (ko) 2006-01-18
KR100626179B1 KR100626179B1 (ko) 2006-09-20

Family

ID=3711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732A KR100626179B1 (ko) 2004-07-14 2004-07-14 발광체를 구비한 방음 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276B1 (ko) * 2006-06-21 2007-03-12 퓨어텍인터내셔날 (주) 방음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음벽
KR101026696B1 (ko) * 2008-06-30 2011-04-07 박현숙 교체형 여닫이식 투명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25B1 (ko) 2006-10-24 2008-02-12 주용산업주식회사 발광용 홀더부재를 갖는 전방분리형 투명방음판
KR101213105B1 (ko) * 2009-06-09 2012-12-17 동원엔지니어링(주) 도로용 방음벽의 프레임
KR101052054B1 (ko) * 2010-09-20 2011-07-26 에스에이 주식회사 Led를 갖는 투명방음패널의 풍압조절가능한 h빔 체결 시스템
KR102152607B1 (ko) * 2020-04-01 2020-09-07 오영환 Led를 구비한 유지보수형 방음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276B1 (ko) * 2006-06-21 2007-03-12 퓨어텍인터내셔날 (주) 방음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음벽
KR101026696B1 (ko) * 2008-06-30 2011-04-07 박현숙 교체형 여닫이식 투명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179B1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9399B2 (en) Light-emitting panel with transparent cellular support panel
US20040031234A1 (en) Window element
JP5547691B2 (ja) 照明構造
JP5348778B2 (ja) 照明器具
WO2016136740A1 (ja) 音響構造体
JP2004526077A (ja) 窓部材
JP2005521993A (ja) 均一照度型の両面照明パネル
KR100626179B1 (ko) 발광체를 구비한 방음 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KR200412764Y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100986782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평판조명장치
KR100697181B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434173Y1 (ko) 슬라이딩되어 증설결합되는 조명타일장치
KR100673863B1 (ko) 정보표시장치
KR100578294B1 (ko) 평활성 빛을 제공할수 있는 조명기구
KR100732651B1 (ko) 슬라이딩되어 증설결합되는 조명타일장치
KR102152607B1 (ko) Led를 구비한 유지보수형 방음패널
JP2006176960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100086862A (ko) 바닥용 디자인 블럭
AU2007306180B2 (en) A light box or light panel
KR200436950Y1 (ko) 경관용 방음벽
KR100795911B1 (ko) 시력보호용 천장 매립등
JP2002260425A (ja) 照明表示装置
KR200247202Y1 (ko) 슬림형 사인판
JP3235081U (ja) パーテーション
JP2014140756A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