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491A - 디엠비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엠비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491A
KR20060005491A KR1020040054302A KR20040054302A KR20060005491A KR 20060005491 A KR20060005491 A KR 20060005491A KR 1020040054302 A KR1020040054302 A KR 1020040054302A KR 20040054302 A KR20040054302 A KR 20040054302A KR 20060005491 A KR20060005491 A KR 20060005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mobile communication
broadcast
broadcast conten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8710B1 (ko
Inventor
조태경
김성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7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59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of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되면 상기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려주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달할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SMS 센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를 수행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 Program Provider)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인 DMB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Ku-Band 대역으로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중계하는 DMB 위성체; 및 상기 DMB 위성체를 통해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DMB 수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 정보를 DMB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정하면, 해당 방송 컨텐츠가 방송될 때 방송 중임을 알려주기 때문에 방송 편성표에 의지하여 관심있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일정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며, 원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놓치지 않고 해당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MB, 방송 컨텐츠, 방송 정보

Description

디엠비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roadcasting Content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위성 DMB 방송 센터 102 : DMB 송신단
104 : DMB 위성체 106 : 이동 통신 단말기
108 : 무선 접속망 110 : 기지국 전송기
112 : 기지국 제어기 114 : 이동 통신 교환국
116 : 홈 위치 등록기 118 : 방문자 위치 등록기
120 : SMS 센터 122 : DMB 수신단
200 : 키 입력부 202 : LCD 표시부
204 : 프로그램 저장부 206 : 내부 메모리부
208 : 모드 상태 저장부 210 : 가입자 정보 저장부
212 : 마이크로프로세서 214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6 : 베이스 밴드 변환부 218 : RF 신호 처리부
220 : 스피커 222 : 마이크로폰
224 : 안테나 226 : DMB 튜너부
228 : MPEG 복호부 230 : A/V 스위치부
232 : DMB 안테나 300 :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
400 : 메인 저장부 402 : 메모리부
404 : 제어부 406 : 표시부
408 : NIC 410 : 데이터베이스부
412 : 입력부
본 발명은 디엠비(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해당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려주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고정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이동 중에도 핸드폰, PDA(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로 CD(CD : Compact Disc) 또는 DVD(DVD : Digital Versatile Disc)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DMB 방송 서비스는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과는 달리 이동 통신망과 결합되며, 원격 구매나 원격 진료, 원격 교육 등의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동하면서 방송되는 광고 상품을 주문할 수 있으며, 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DMB 방송 서비스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 정보는 방송 편성표를 참고해야만 얻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DMB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사전에 방송 시간을 파악하고 있어야만 해당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며, 방송 시간을 놓치게 되면 해당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DMB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가 수신되면 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를 추가하고,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에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해당 방송 컨텐츠가 수신되면 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되면 상기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려주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달할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SMS 센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를 수행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 Program Provider)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인 DMB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Ku-Band 대역으로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중계하는 DMB 위성체; 및 상기 DMB 위성체를 통해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DMB 수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되면 상기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려주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달할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SMS 센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를 수행하는 방 문자 위치 등록기;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 Program Provider)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인 DMB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Ku-Band 대역으로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중계하는 DMB 위성체; 상기 DMB 위성체를 통해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DMB 수신단; 및 상기 DMB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DMB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 Program Provider)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인 DMB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Ku-Band 대역으로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및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DMB 수신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해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DMB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DMB 신호가 상기 단계 (a)에서 설정한 상기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체크 결과 상기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단문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 Program Provider)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인 DMB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Ku-Band 대역으로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DMB 수신단, 및 상기 DMB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해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방송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DMB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단계 (b)에서 설정한 상기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결과에 따라 단문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생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목적에 의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 여부를 통지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전 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실시간 운영 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탑재한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임시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DMB 신호를 선국하는 DMB 튜너부; 상기 DMB 신호를 하향 변조 및 저잡음 증폭을 수행한 후 방송용 MPEG 규격에 적합하게 디코딩하는 MPEG 복호부; 및 상기 MPEG 복호부를 통해 디코딩된 상기 DMB 신호를 음향 출력 및 영상 출력이 가능한 A/V 신호로 변환하는 A/V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되면 상기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단문 메시지 또는 비프음으로 통지받아 자동으로 온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통지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위성 DMB 방송 센터(100), DBM 송신단(102), DMB 위성체(104), DMB 수신단(122), 이동 통신 교환국(114), 홈 위치 등록기(116), 방문자 위치 등록기(118), SMS 센터(120), 무선 접속망(108)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6) 등을 포함한다
위성 DMB 방송 센터(100)는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 Program Provider)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Ku-Band 대역을 통해 DMB 위성체(104)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후술하는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상 위성 DMB 방송 센터(100)에서 송신되는 방송 컨텐츠인 압축 및 변조되어 Ku-Band 대역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DBM 신호라고 정의한다.
위성 DMB 방송 센터(100)에서 전송되는 DMB 신호는 DBM 송신단(102)에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DMB 위성체(104)로 전송된다. DMB 신호가 전송되는 에어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구성되며, 방송 컨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한편,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는 방송 컨테츠의 방송 정보 데이터 등이 전송된다.
전술한 방송 정보 데이터는 방송 컨텐츠의 제목, 방송 컨텐츠의 내용,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 등의 정보 를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터 채널을 통해 DMB 위성체(104)로 전송된다.
DMB 위성체(104)는 지상으로부터 36,000 km 정도의 정지 궤도에 안착하고 있으며, 지구 자전 속도와 같은 시속 11,000 km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DMB 위성체(104)는 DMB 송신단(102)에서 송신되는 DMB 신호를 수신하여 DMB 수신단(122)으로 중계하는 중계기 역할을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DMB 위성체(104)는 25 MHz Ku-Band 중계기 4기와 DMB 신호를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25 MHz의 S-Band 중계기 36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MB 위성체(104)는 S-Band CDM(CDM : Code Division Multiple) 신호와 Ku-Band TDM(TDM : Time Division Multiple)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데, Ku-Band 대역의 TDM 신호를 전송하는 이유는 전파를 수신하기 어려운 지하 공간, 빌딩안, 주택 밀집 지역 등에 설치된 갭 필러(Gap Filler)로 전송하기 때문이다.
DMB 수신단(122)은 DMB 위성체(104)로부터 전송되는 DMB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 전달하기 위한 이동 통신망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로 음영 지역 중계기인 갭 필러(Gap Filler,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DMB 수신단(122)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DMB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DMB 신호를 이동 통신 교환국(114)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6)는 DMB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튜너(Tuner)부를 탑재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인 동시에 DMB 위성체(104)로부터 전달되는 DMB 신호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6)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DMB 신호 중 데이터 채널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의 독출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정보,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제목, 방송 컨텐츠의 내용,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 등의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106)에 설정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6)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DBM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DMB 신호가 수신되면 문자 메시지 및/또는 비프(Beep)음을 발생하여 해당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게 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106)는 문자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발생하지 않고도 해당 방송 컨텐츠의 수신이 가능한 자동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6)는 무선 접속망(108)을 통해서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문자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한 뒤 이동 통신망으로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106)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어플리케 이션 프로토콜(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6)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무선 접속망(108)은 기지국 전송기(110), 기지국 제어기(112) 및 중계기(Enhancer : 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scevier Sub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망(108)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 망이 아닌 GSM 망 및 향후 구현될 제 4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전송기(110)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 채널 중 트랙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부터의 통화 요청 신호를 수 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12)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10)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6)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06)가 수신측인 경우, 기지국 전송기(110)는 자신의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 통신 교환국(114)으로부터 기지국 제어기(112)를 통하여 전달되는 통화 요청 신호를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미도시)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10)가 위치한 경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기지국 전송기(110)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 전달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6)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1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6)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등록은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기지국 전송기(110)를 통하여 이동 통신 교환국(114)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11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 착신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106)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위치 등록은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OFF)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106)가 이동 통신 교환국(114)간을 이동할 때,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112)는 기지국 전송기(110)를 제어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06)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통신 단말기(106) 및 기지국 전송기(110)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112)는 위치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 통신 교환국(114)으로 전송한다. 기지국 제어기(11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10)를 통해 전달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통신 교환국(114)으로 전달하며, 반대로 기지국 제어기(112)는 이동 통신 교환국(114)으로부터 전달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전송기(11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114)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A/B/C 시스템의 이동 통신 교환국(114)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 세대 및 4 세대를 위한 이동 통신 교환국(114)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이동 통신 교환국(114)은 무선 접속망(108)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방문자 위치 등록기(118)에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홈 위치 등록기(116)로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16)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18)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16)에는 통화 대기중인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 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18)는 위치 정보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의 경우,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수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 통신 교환국(114)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18)는 이동 통신 단말기(106)가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할 때,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여 홈 위치 등록기(116)로 통보를 하며 홈 위치 등록기(116)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단말 식별 번호, 단말기 고유 번호 및 서비스 정보 등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MS 센터(120)는 이동 통신 교환국(114)과 연결되어 이동 통신 가입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SMS 센터(120)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동 통신 가입자가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를 보낼 수도 있다. 만일 곧바로 송신자가 전송 의뢰한 문자가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달되지 못한 경우에는, 송신자가 지정한 시간 또는 수신자가 수신 가능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SMS 센터(120)에 저장된다. 송신자가 전송한 문자를 수신자가 수신 확인을 하면 SMS 센터(120)에 의하여 삭제되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 혹은 송신자가 지정한 유효 시간까지 전달되지 못한 문자는 삭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내부 구성은 키 입력부(200), LCD 표시부(202), 프로그램 저장부(204), 내부 메모리부(206), 모드 상태 저장부(208), 가입자 정보 저장부(210), 마이크로프로세서(212),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 RF 신호 처리부(218), 스피커(220), 마이크로폰(222), 안테나(224), DMB 튜너부(226), MPEG 복호부(228), A/V 스위치부 (230) 및 DMB 안테나(232) 등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200)는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간편하게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키 입력부(200)를 조작하여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구동된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정보를 설정한다.
LCD 표시부(202)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로딩된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04)는 읽고 쓰기가 용이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된다. 플래시 메모리에는 실시간 처리 OS(Real Time Operating System),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은 RAM으로 로딩(Loading)되어 구동된다. EEPROM에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미터, 기타 저장용 데이터,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이름, SMS 메시지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가 초기화되면, 내부 메모리부(206)에 있는 NAM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무선 접속망(미도시)으로 전송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DMB 신 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이면, 문자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생성한다. 또한,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동 온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온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12)로 전달한다.
내부 메모리부(206)는 읽고 쓰기가 용이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된다. 내부 메모리부(206)는 주소록, 다운로드받은 컨텐츠 및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생성되는 임시 데이터가 저장된다.
모드 상태 저장부(208)는 키 입력부(200)에 의해 선택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예컨대, 0, 1, 2,...)로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212)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발신 모드, 착신 모드, 검색 모드, 통화 모드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208)를 갱신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210)에는 MIN, ESN, 개인 보안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210)는 카드 형태로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 회로 기판의 슬롯(Slot)(미도시)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어 SIM 카드라고도 하는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SIM 카드 이외에 도 각종 IC 카드도 사용될 수 있고, 별도의 카드가 아닌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칩에 가입자 정보 저장부(210)의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가입자 정보 저장부(210)에는 마지막 통화량 및 통화 요금, 발신 통화량, 총 통화량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2)는 모드 상태 저장부(208)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그램 저장부(204)에 탑재된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구동된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정보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제목, 방송 컨텐츠의 내용,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 등의 정보를 설정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12)는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문자 메시지 즉, 해당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LCD 표시부(20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해당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는 비프음을 스피커(22)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12)는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자동 온 파라미터를 전달받아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제어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214)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와 음성 데이터(Speech)를 주고받으며,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로부터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는 RF 신호 처리부(218)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214), 스피커(220) 및 마이크로폰(222)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베이스 밴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218)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218)의 전력을 제어(POWER)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218)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RF 신호 처리부(218)는 안테나(224)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 스피커(220)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216)로부터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고, 마이크로폰(222)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DMB 튜너부(226)는 DMB 안테나(228)를 통해 DMB 신호를 수신하며, 사용자의 선국에 의해 시청하고자 하는 DMB 신호를 MPEG 복호부(230)로 전달한다. DMB 튜너부(226)는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DMB 신호를 1 GHz 대역의 신호로 하향 변조 및 저잡음 증폭을 수행한 후 MPEG 복호부(230)로 전달한다.
MPEG 복호부(230)는 DMB 튜너부(226)로부터 전달받은 DMB 신호를 방송용 MPEG 규격에 적합하게 디코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비디오 채널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채널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데이터 채널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방송 정보 데이터를 A/V 스위치부(232)로 전달한다.
A/V 스위치부(232)는 MPEG 복호부(230)를 통해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이 가능한 A/V(Audio/Video) 신호로 분리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212)로 전달한다. 또한, A/V 스위치부(232)는 디코딩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분리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12)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1과 유사하게 위성 DMB 방송 센터(100), DMB 송신단(102), DMB 위성체(104), DMB 수신단(122), 이동 통신 단말기(106), 무선 접속망(108), 이동 통신 교환국(114), 홈 위치 등록기(116), 방문자 위치 등록기(118) 및 SMS 센터(120) 등을 포함하지만, 추가로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과정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는 DMB 위성체(104)를 통해 전달되는 DMB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즉,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에 접속한 후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컨텐 츠의 방송 정보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제목, 방송 컨텐츠의 내용,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 등의 정보를 설정하면,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는 DMB 수신단(122)을 통해 수신되는 DMB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DMB 수신단(122)을 통해 수신되는 DMB 신호 중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정보와 일치하는 DMB 신호가 전달되면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는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생성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 전달한다.
또한,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는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으로 문자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생성하지 않고,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이동 통신 단말기(106)를 방송 컨텐츠의 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온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 전달할 수도 있다. 즉, 자동 온 파라미터를 전달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106)는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서 방송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온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의 내부 구성은 메인 저장부(400), 메모리부(402), 제어부(404), 표시부(406), NIC(408), 데이터베이스부(410) 및 입력부(412) 등을 포함한다.
메인 저장부(400)는 DMB 수신단(122)에서 수신되는 DBM 신호를 전달받아 데이터 채널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DMB 신호에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해당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 메시지를 생성하여 NIC(408)를 통해 이동 통신 교환국(114)으로 전송한다. 또한,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106)를 방송 컨텐츠 수신이 가능한 온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자동 온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NIC(408)를 통해 이동 통신 교환국(114)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의 운영 체제(OS)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컨대, 'C' 프로그램 언어나 객체 지향형의 'C++', 'JAVA'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부(402)는 제어부(404)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생성된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404)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04)는 메인 저장부(400)에 저장된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구동된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생성하거나, 자동 온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NIC(408)를 통해 이동 통신 교환국(114)으로 전달한다.
표시부(406)는 각종 데이터나 작동 현황을 이미지로 제공하며, 입력부(412)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른 처리 현황 뿐만 아니라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 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NIC(NIC : Network Interface Card)(408)는 이동 통신 교환국(114) 또는 인터넷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부(410)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키 입력부(202)를 조작하여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정보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제목, 방송 컨텐츠의 내용,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 등의 정보를 설정한다(S500). 이동 통신 단말기(106)는 DMB 수신단(122)을 통해 전달되는 DMB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S502).
이어서, DMB 수신단(122)을 통해 전달되는 DMB 신호 중 단계 S500에서 설정한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S504). DMB 신호 중에 단계 S500에서 설정한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DMB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생성하거나 오프 상태 또는 통화 대기 상태의 이동 통신 단말기(106)를 자동 온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온 파라미터를 생성 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12)로 전달한다(S506).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키 입력부(202)를 조작하여 웹 브라우저를 구동한 후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와 접속을 시도한다(S600).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에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정보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제목, 방송 컨텐츠의 내용,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 등의 정보를 등록한다(S602).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300)는 DMB 수신단(122)을 통해 전달되는 DMB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S604).
DMB 수신단(122)을 통해 전달되는 DMB 신호 중 단계 S602에서 등록한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S606). 단계 S606에서 DMB 신호에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 및/ 또는 비프음을 생성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 전달하거나,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이동 통신 단말기(106)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온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6)로 전달한다(S608).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 정보를 DMB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정하면, 해당 방송 컨텐츠가 방송될 때 방송 중임을 알려주기 때문에 방송 편성표에 의지하여 관심있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일정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며, 원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놓치지 않고 해당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7)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되면 상기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려주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달할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SMS 센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를 수행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 Program Provider)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인 DMB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Ku-Band 대역으로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중계하는 DMB 위성체; 및
    상기 DMB 위성체를 통해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DMB 수신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단은 음영 지역 중계기인 갭 필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DBM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튜너(Tuner)부를 탑재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제목, 상기 방송 컨텐츠의 내용, 상기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 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DMB 신호 중 상기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DMB 신호를 수신하면 문자 메시지 및/또는 비프(Beep)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DMB 신호 중 상기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DMB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탑재한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임시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DMB 신호를 선국하는 DMB 튜너부;
    상기 DMB 신호를 하향 변조 및 저잡음 증폭을 수행한 후 방송용 MPEG 규격에 적합하게 디코딩하는 MPEG 복호부; 및
    상기 MPEG 복호부를 통해 디코딩된 상기 DMB 신호를 음향 출력 및 영상 출력이 가능한 A/V 신호로 변환하는 A/V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MPEG 복호부는 상기 DMB 신호 중 오디오 채널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채널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및 데이터 채널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A/V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 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비프음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자동 온 파라미터를 토대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동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시청하고자 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정보를 설정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DMB 신호 중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DMB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제목, 상기 방송 컨텐츠의 내용, 상기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되면 상기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려주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달할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SMS 센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를 수행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 Program Provider)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인 DMB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Ku-Band 대역으로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중계하는 DMB 위성체;
    상기 DMB 위성체를 통해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DMB 수신단; 및
    상기 DMB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DMB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단은 음영 지역 중계기인 갭 필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DBM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튜너부를 탑재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제목, 상기 방송 컨텐츠의 내용, 상기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문자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전달받아 상기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자동 온 파라미터를 전달받아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DMB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탑재된 메인 저장부;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 링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방송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 및 상기 인터넷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NIC(Network Interface Card); 및
    각종 데이터나 작동 현황을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DMB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시청하고자 하는 DMB 신호가 체크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방송이 시작되고 있음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 또는 비프음을 생성하여 상기 NIC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상기 DMB 신호 수신이 가능한 온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온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NIC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1.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 Program Provider)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인 DMB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Ku-Band 대역으로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및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DMB 수신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해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DMB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DMB 신호가 상기 단계 (a)에서 설정한 상기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체크 결과 상기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단문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DBM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튜너부를 탑재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방송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제목, 상기 방송 컨텐츠의 내용, 상기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탑재한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임시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DMB 신호를 선국하는 DMB 튜너부;
    상기 DMB 신호를 하향 변조 및 저잡음 증폭을 수행한 후 방송용 MPEG 규격에 적합하게 디코딩하는 MPEG 복호부; 및
    상기 MPEG 복호부를 통해 디코딩된 상기 DMB 신호를 음향 출력 및 영상 출력이 가능한 A/V 신호로 변환하는 A/V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비프음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자동 온 파라미터를 토대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동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d)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인 경우 자동으 로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7.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교환국,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 Program Provider)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인 DMB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Ku-Band 대역으로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송출되는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DMB 수신단, 및 상기 DMB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해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방송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DMB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단계 (b)에서 설정한 상기 방송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결과에 따라 단문 메시지 및/또는 비프음을 생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DBM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튜너부를 탑재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방송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제목, 상기 방송 컨텐츠의 내용, 상기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DMB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탑재된 메인 저장부;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서버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방송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 이스부;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 및 상기 인터넷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NIC(Network Interface Card); 및
    각종 데이터나 작동 현황을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DMB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DMB 신호가 체크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방송이 시작되고 있음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 또는 비프음을 생성하여 상기 NIC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e) 자동 온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달함으로써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인 경우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에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 여부를 통지받는 이동 통신 단말 기로서,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실시간 운영 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탑재한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임시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DMB 신호를 선국하는 DMB 튜너부;
    상기 DMB 신호를 하향 변조 및 저잡음 증폭을 수행한 후 방송용 MPEG 규격에 적합하게 디코딩하는 MPEG 복호부; 및
    상기 MPEG 복호부를 통해 디코딩된 상기 DMB 신호를 음향 출력 및 영상 출력이 가능한 A/V 신호로 변환하는 A/V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되면 상기 방송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단문 메시지 또는 비프음으로 통지받아 자동으로 온 상태로 전환하여 상 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통지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MPEG 복호부는 상기 DMB 신호 중 오디오 채널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채널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및 데이터 채널에 포함된 방송 정보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A/V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통지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비프음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자동 온 파라미터를 토대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동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통지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시청하고자 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정보를 설정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DMB 신호 중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DMB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통지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제목, 상기 방송 컨텐츠의 내용, 상기 방송 컨텐츠에 등장하는 출연진,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및 소품 대상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통지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40054302A 2004-07-13 2004-07-13 디엠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68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302A KR100668710B1 (ko) 2004-07-13 2004-07-13 디엠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302A KR100668710B1 (ko) 2004-07-13 2004-07-13 디엠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491A true KR20060005491A (ko) 2006-01-18
KR100668710B1 KR100668710B1 (ko) 2007-01-15

Family

ID=3711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302A KR100668710B1 (ko) 2004-07-13 2004-07-13 디엠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7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028B1 (ko) * 2004-09-17 2006-06-14 전자부품연구원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를 위한 컨텐츠 리스트의 생성 및관리 방법
KR100600565B1 (ko) * 2004-09-23 2006-07-13 한국디엠비 (주) 무선 데이터망 시스템을 이용한 dmb 방송 알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0789474B1 (ko) * 2006-12-28 2008-01-02 주식회사 아이에스에스 재난 비상통신용 무인 원격조정 위성통신시스템
KR100800433B1 (ko) * 2006-08-08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이동 방송을 이용한 외부 프로그램의 동기화 방법
KR100876743B1 (ko) * 2006-02-10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272071B1 (ko) * 2006-03-02 2013-06-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디엠비에서 객체 분할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0949A1 (en) * 2006-02-21 2007-08-30 Qualcomm Incorporated Rapid tuning in multimedia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0180A (en) 1993-09-30 1996-12-31 Hitachi, Ltd. Communication method of supplying information in intelligent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ZA957816B (en) 1994-09-30 1996-05-3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messag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20010097757A (ko) * 2000-04-26 2001-11-08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하기 위한시스템
KR100720406B1 (ko) * 2000-06-05 2007-05-22 (주)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전송 시스템 및 전송방법
KR100434762B1 (ko) * 2001-04-07 2004-06-07 오정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주문/예약형 무선방송시스템 및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028B1 (ko) * 2004-09-17 2006-06-14 전자부품연구원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를 위한 컨텐츠 리스트의 생성 및관리 방법
KR100600565B1 (ko) * 2004-09-23 2006-07-13 한국디엠비 (주) 무선 데이터망 시스템을 이용한 dmb 방송 알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0876743B1 (ko) * 2006-02-10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272071B1 (ko) * 2006-03-02 2013-06-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디엠비에서 객체 분할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800433B1 (ko) * 2006-08-08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이동 방송을 이용한 외부 프로그램의 동기화 방법
KR100789474B1 (ko) * 2006-12-28 2008-01-02 주식회사 아이에스에스 재난 비상통신용 무인 원격조정 위성통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8710B1 (ko) 2007-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1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text and audio for sponsored calls
KR100727063B1 (ko) 방송 서비스 수행 중의 자체 광고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0668710B1 (ko) 디엠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
US94910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876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종료 후 이동통신망에서의음성 녹음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70865A (ko) 디엠비 환경에서 선호하는 방송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KR10075469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7840B1 (ko)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메뉴를 구성하는 방법, 서버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38925B1 (ko) Dmb 데이터 방송에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방법 및시스템
KR20070075529A (ko)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32991B1 (ko) 긴급방송 자동시청기능이 구비된 디엠비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621332B1 (ko) 이미지 합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13008A (ko) 입력 제한이 없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90690B1 (ko)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의 실시간 수신을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27801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95240B1 (ko) 통신 채널의 모니터링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80657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1440A (ko) 무선 인터넷 배너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19744B1 (ko) 방송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방송프로그램과연관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5525A (ko)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488369B1 (ko) 무선 인터넷 책갈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87580B1 (ko) 부재중인 동안 착신 정보 확인이 가능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684385B1 (ko) 이동거리 계산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06199A (ko) 전자 나침반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방향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9577A (ko) 통화 연결음이 발생되는 기간 동안 이동 통신 단말기에이미지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