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529A -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529A
KR20070075529A KR1020060003903A KR20060003903A KR20070075529A KR 20070075529 A KR20070075529 A KR 20070075529A KR 1020060003903 A KR1020060003903 A KR 1020060003903A KR 20060003903 A KR20060003903 A KR 20060003903A KR 20070075529 A KR20070075529 A KR 20070075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atellite dmb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5529A/ko
Publication of KR2007007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5Devices or processes for obtaining articles having a marble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39/12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2/00Artificial ston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하며 위성 DMB 서비스 및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Program Provider)의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위성 DMB 신호로 변조하여 DMB 송신단을 통해 송출하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를 제공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DMB 송신단으로부터 상기 위성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DMB 위성체, 상기위성 DMB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중계하는 음영 지역 중계기인 갭 필러(Gap Fill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핸드오프(Handoff) 처리 및 무선 자원 관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접속망 및 상기 무선 접속망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검색어를 입력받아,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요청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방송 시간이 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SMS 서버로 상기 방송 프로그 램의 상기 시간 및 상기 일정, 상기 프로그램명을 전송하는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DMB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시청하고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알림 설정을 매일 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설정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정시에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위성 DMB 서비스 사업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위성 DMB 서비스 사업자의 수익 창출의 효과가 있고, 이동통신 사업자는 부가 서비스 제공에 따른 수익이 예상된다.
위성, DMB, 방송, 알림, SMS

Description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tellite DMB Program Notifying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에서 방송 알림 SMS 메시지의 제공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위성 DMB 방송 센터 104: DMB 송신단
106: DMB 위성체 108: 갭 필러
110: 이동통신 단말기 120: 무선 접속망
130: SMS 서버 140: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
본 발명은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 DMB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X, 3X, EV-DO, WCDMA(Wideband CDMA)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구축 비용이 높기 때문에 무선 인터넷의 이용 요금이 높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에 제약이 있는 등 초고속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휴대성과 이동성을 보장하며 저렴한 요금으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초고속 휴대 인터넷 서비스(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가 대두되었다.
휴대 인터넷 서비스는 노트북, PDA, Handheld PC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 및 실외의 정지 환경에서와 보행 속도 및 중저속 이동 수준의 이동 환경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 및 콘텐츠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이다. 휴대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2.3 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시속 60 km/h의 이동성을 제공하며, 하향 전송 속도는 24.8 Mbps이나 상향 전송 속도는 5.2 Mbps로 상하향 비대칭 전송 특성을 갖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무선 데이터 시스템이다. 또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할당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듀플렉스(Duplex) 방식으로는 TDD(Time Division Duplex)를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방식으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다.
한편,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영상 서비스, 음성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동통신 환경에서도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급증하게 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DMB 서비스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고정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이동 중에도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로 CD(Compact Disc)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DMB 서비스는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과는 달리 이동통신망과 결합되며, 원격 구매나 원격 진 료, 원격 교육 등의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동하면서 방송되는 광고 상품을 주문할 수 있으며, 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DMB 서비스는 서비스 방식과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된다. 위성 DMB 서비스는 위성을 이용하여 DMB 서비스를 제공하며, 위성 DMB용 방송 센터에서 방송용 데이터를 위성으로 송출하면 위성은 이를 수신하여 전국의 DMB 단말기 및 갭 필러(Gap Filler)에 전송하여 DMB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성 DMB 서비스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위성방송 송출국과 위성, 지상 중계기(Gap Filler) 및 DMB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된다.
그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영상, 음성 및 데이터 등의 각종 콘텐츠를 코덱(Codec)을 통해 디지털화하여 위성방송 송출국으로 전송하면, 위성방송 송출국에서는 디지털화된 다수의 콘텐츠를 MPEG2 시스템을 통해 다중화(MUX)하여 위성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수신한 위성에서는 S-band(CDM)를 통해 콘텐츠를 DMB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위성에서는 Ku-band(TDM)를 통해 콘텐츠를 지상 중계기로 전송하며, 지상 중계기에서는 Ku-band(TDM)를 S-band(CDM)로 변환하여 DMB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DMB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이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위성 DMB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은 기존 A/V 위주의 단방향 방송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을 제시한다.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던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때로는 서비스에 참여하여 자신의 의사를 제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위성 DMB 서비스에서 데이터 방송의 도입으로 개인화된 매체로서의 위성 DMB 서비스의 강점의 극대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위성 DMB 서비스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의 구성이 공중파 방송처럼 일정하지 않고 변동 사항이 많아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을 정시에 시청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DMB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방송 알림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나, 방송 알림 기능의 시간이 1 일에 한정되어 있고, 또한, 매일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는 매일 자신이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알림을 방송이 시작하기 전에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위성 DMB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하며 위성 DMB 서비스 및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Program Provider)의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위성 DMB 신호로 변조하여 DMB 송신단을 통해 송출하며 상기 방송 프로그 램의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를 제공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DMB 송신단으로부터 상기 위성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DMB 위성체, 상기위성 DMB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중계하는 음영 지역 중계기인 갭 필러(Gap Fill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핸드오프(Handoff) 처리 및 무선 자원 관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접속망 및 상기 무선 접속망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검색어를 입력받아,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요청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방송 시간이 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SMS 서버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시간 및 상기 일정, 상기 프로그램명을 전송하는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위성 DMB 방송 센터, DMB 위성체 및 갭 필러(Gap Filler)를 포함하는 위성 DMB 서비스 시스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하며 위성 DMB 서비스 및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수신하여 처리하 고, 핸드오프(Handoff) 처리 및 무선 자원 관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 서버 및 상기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검색어를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서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핑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방송 시간이 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 시간이 되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방송 시간 및 상기 일정, 상기 프로그램명과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SM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바로 제공받기를 원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바로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위성 DMB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위성 DMB 방송 센터(102), DMB 송신단(104), DMB 위성체(106), 갭 필러(Gap Filler)(108), 이동통신 단말기(110),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120),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버(130) 및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 등을 포함한다.
위성 DMB 방송 센터(102)는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Program Provider)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13 ~ 14 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Ku-Band 대역을 통해 DMB 위성체(106)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후술하는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상 위성 DMB 방송 센터(102)에서 Ku-Band 대역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위성 DMB 신호라고 정의한다.
위성 DMB 방송 센터(102)에서 전송되는 위성 DMB 신호는 DMB 송신단(104)에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DMB 위성체(106)로 전송된다. 위성 DMB 신호가 전송되는 에어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구성된다.
위성 DMB 방송 센터(102)는 위성 DMB 서비스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순서 및 프로그램을 나타낸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를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에 제공한다.
DMB 위성체(106)는 지상으로부터 36,000 km 정도의 정지 궤도에 안착하고 있으며, 지구 자전 속도와 같은 시속 11,000 km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DMB 위성체(106)는 DMB 송신단(104)에서 송신되는 위성 DMB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갭 필러(108)로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DMB 위성체(106)는 25 MHz Ku-Band 중계기 4기와 위성 DMB 신호를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25 MHz의 S-Band 중계기 36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MB 위성체(106)는 약 2.6 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S-Band CDM 신호와 11 ~ 12 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Ku-Band TDM(TDM: Time Division Multiple) 신호를 동시에 송신한다. S-Band 대역의 CDM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되며, Ku-Band 대역의 TDM 신호는 갭 필러(108)로 전송된다.
갭 필러(108)는 전파를 수신하기 어려운 지하 공간, 빌딩 안, 주택 밀집 지역 등에 설치되어 위성 DMB 신호를 중계하는 음영 지역 중계기이다. 갭 필러(108)는 DMB 위성체(106)로부터 Ku-Band 대역의 TDM 신호를 수신하여 S-Band 대역의 CDM 신호로 변환한 후에 변환된 CDM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을 SMS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위성 DMB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Multimode-Multiband, 이하 'MM-MB'라 칭함) 단말기이다. 여기서, 멀티모드는 동기식 모드, 비동기식 모드, 와이브로 모드, DMB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밴드는 MM-MB 단말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이용하는 주파수 밴드를 말한다. 이동통신 가입자는 MM-MB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서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작동 모드를 선택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위성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위성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안테나, 위성 DMB 신호 중에서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는 DMB 튜너, DMB 튜너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방송용 MPEG 규격에 적합하게 디코딩하는 MPEG 복호부, MPEG 복호부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이 가능한 A/V(Audio/Video) 신호로 분리하는 A/V 스위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에 접속하여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인터넷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무선 인터넷 플랫폼을 탑재하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플랫폼은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에스케이텔레콤(SK Telecom)사에서 WIPI를 기반으로 자체 제작한 WI-TOP(Wireless Internet-Terminal Open Platfor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WIPI와 WI-TOP은 자바(Java) 언어로 코딩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기반한 WAP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HDTP(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에스케이텔레콤사의 'NATE', 'JUN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은 IS(Interim Standard)-95 망, GSM 망, CDMA2000 1x 망, CDMA2000 3x 망, CDMA2000 EV-DO(Evolution-Data Only) 망, WCDMA 망 및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망 등의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무선 접속망(12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접속망(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무선 통신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핸드오프(Handoff) 처리 및 무선 자원 관리의 기능 등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망(120)은 기지국 전송기(122), 기지국 제어기(124) 및 이동통신 교환기(1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경우 기지국 전송기(122)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124)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이고,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경우 기지국 전송기(122)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12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이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제어기(124)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이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통신 교환기(126)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미도시)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22)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122)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위치 등록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해당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기(126)에 알리는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기(126)로 착신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핸드오프(Handoff)할 때,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시스템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무선 채널의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기지국 전송기(122)의 송신 출력 제어,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 클럭 분배, 기지국 전송기(122)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위치 정보가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126)로 전송하며,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해 수신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교환기(126)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교환기(126)는 무선 접속망(120)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기(126)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 A/B/C 시스템의 이동통신 교환기(126)는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세대 및 4세대를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126)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또한, ATM 스위치는 이동통 신 단말기(110)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가입자 등록, 갱신 기능 및 기지국 제어기(124)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성 제어부(Mobility Control Subsystem), 셀 단위로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제어부(Call Control Subsystem), 각종 부가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과금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어부(Service Control Subsystem),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부가 서비스부(Intelligent Peripheral Subsystem) 등의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교환기(126)는 무선 접속망(120)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미도시)에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HLR(Home Location Register)(미도시)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SMS 서버(130)는 무선 접속망(120) 및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MS 서버(13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사용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SMS 서버(130)는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가 전송 의뢰한 방송 알림 SMS 메시지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곧바로 전달되지 못한 경우에는, 서비스 운용자가 지정한 시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수신 가능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SMS 서버(130)에 저장된다.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수신 확인을 하면 SMS 서버(130)에 의하여 삭제되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 혹은 서비스 운용자가 지정한 유효 시간까지 전달되지 못한 방송 알림 SMS 메시지는 삭제된다.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는 사용자가 요청한 방송 프로그램의 검색어를 위성 DMB 방송 센터(102)로부터 전송받은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방송 프로그램을 요청한 사용자와 매핑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방송 시간이 되면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의 방송이 시작된다는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SMS 서버(130)로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전송하고, SMS 서버(130)는 이를 가공하여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함으로써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에 의해 SMS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확인한 후 위성 DMB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요청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 방송 알림 SMS 메시지는 사용자가 위성 DMB 서비스를 바로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위성 DMB 서비스를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위성 DMB 서비스로 바로 연결하는 메뉴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에 접속하면,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는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직접 입력받거나 검색어 메뉴를 제공하여 검색어를 선택받아 검색어 신호를 수신한다(S210).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는 입력받은 검색어를 위성 DMB 방송 센터(102)로부터 전송받은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서 검색하여(S220), 검색어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사용자 정보와 매핑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30).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는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여 요청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되는지 판단하여(S240), 방송 시간이 되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과 사용자 정보를 SMS 서버(130)로 전송한다(S250).
SMS 서버(130)는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문자 및 숫자를 이용한 SMS 메시지의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260).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는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바로 제공받기를 원하는지 판단하여(S270),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바로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위성 DMB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여 제공한다(S28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에 접속하면,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는 도 3의 (a)와 같이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3의 (a)와 같이 사용자는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거나 메뉴에서 선택하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메뉴에서 선택하기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3의 (b)와 같이 위성 DMB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종류별 메뉴를 제공한다.
도 3의 (b)에서 사용자가 '스포츠'를 선택하고, 도 3의 (c)와 같이 'MLB'를 선택하면, 도 4의 (d)와 같이 위성 DMB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메이저리그 중계방송의 목록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도 4의 (d)에서 '박찬호 선발'을 선택하면,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140)는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서 '박찬호 선발'이란 검색어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한 후, 검색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에서 방송 알림 SMS 메시지의 제공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방송 알림 SMS 서비스 서버(140)는 사용자가 요청한 검색어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포함하는 정보를 SMS 서버(130)로 전송하여 도 4와 같이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전송한다. 사용자는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확인 한 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바로 제공받기를 원하면 도 4와 같이 '연결'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방송 프로 그램을 바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DMB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시청하고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알림 설정을 매일 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설정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정시에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위성 DMB 서비스 사업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위성 DMB 서비스 사업자의 수익 창출의 효과가 있고, 이동통신 사업자는 부가 서비스 제공에 따른 수익이 예상된다.

Claims (10)

  1.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하며 위성 DMB 서비스 및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Program Provider)의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위성 DMB 신호로 변조하여 DMB 송신단을 통해 송출하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를 제공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DMB 송신단으로부터 상기 위성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DMB 위성체, 상기위성 DMB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중계하는 음영 지역 중계기인 갭 필러(Gap Fill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핸드오프(Handoff) 처리 및 무선 자원 관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접속망 및 상기 무선 접속망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검색어를 입력받아,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요청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방송 시간이 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SMS 서버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시 간 및 상기 일정, 상기 프로그램명을 전송하는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위성 DMB 서비스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Multimode-Multiband, 이하 'MM-MB'라 칭함)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는 동기식 모드, 비동기식 모드, 와이브로 모드 및 DMB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밴드는 상기 MM-MB 단말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이용하는 주파수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방송 일정 및 방송 프로그램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서버는 상기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방송 시간 및 상기 일정, 상기 프로그램명을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문자 및 숫자로 구성된 SMS 메시지로 가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알림 SMS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위성 DMB 서비스를 바로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위성 DMB 서비스를 바로 제공하도록 상기 위성 DMB 서비스로 바로 연결하는 메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위성 DMB 방송 센터, DMB 위성체 및 갭 필러(Gap Filler)를 포함하는 위성 DMB 서비스 시스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하며 위성 DMB 서비스 및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핸드오프(Handoff) 처리 및 무선 자원 관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방송 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 서버 및 상기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검색어를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서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및 일정, 프로그램명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매핑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방송 시간이 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 시간이 되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방송 시간 및 상기 일정, 상기 프로그램명과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SM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바로 제공받기를 원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바로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위성 DMB 서비스를 바로 연결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입력받는 방법으로 상기 검색어를 직접 입력받는 방법 및 상기 검색어의 메뉴를 제공하여 선택받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c1) 상기 SMS 서버는 상기 방송 알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상기 방송 시간 및 상기 일정, 상기 프로그램명을 상기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문자 및 숫자를 이용한 상기 방송 알림 SMS 메시지로 가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알림 SMS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위성 DMB 서비스를 바로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위성 DMB 서비스를 바로 제공하도록 상기 위성 DMB 서비스로 바로 연결하는 메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60003903A 2006-01-13 2006-01-13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75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03A KR20070075529A (ko) 2006-01-13 2006-01-13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03A KR20070075529A (ko) 2006-01-13 2006-01-13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529A true KR20070075529A (ko) 2007-07-24

Family

ID=3850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903A KR20070075529A (ko) 2006-01-13 2006-01-13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55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533B1 (ko) * 2007-11-30 2009-0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dmb 서비스 제공 방법 및dmb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0034142A1 (zh) * 2008-09-25 2010-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电视电子业务指南信息的获取方法、系统及终端
US8260795B2 (en) 2007-12-07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keywords,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533B1 (ko) * 2007-11-30 2009-0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dmb 서비스 제공 방법 및dmb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8260795B2 (en) 2007-12-07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keywords,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10034142A1 (zh) * 2008-09-25 2010-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电视电子业务指南信息的获取方法、系统及终端
US8782699B2 (en) 2008-09-25 2014-07-15 Zte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acquiring electronic service guide information of mobile phone TV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9904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transmitting streaming media to a mobile terminal using the bandwidth associated with a wireless network
US20030003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ervice provider initiated location-dependent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330811Y1 (ko)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기반의 단방향서비스를 이동국(ue)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포함하는 무선랜(wlan)
KR20070075529A (ko) 위성 dmb 방송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5764155B (zh) 移动终端
CN112804324A (zh) 信息交互方法及装置
KR100793317B1 (ko) Dmb 서비스 시스템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dmb 서비스를 보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356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KR100668710B1 (ko) 디엠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여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23674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맵 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 제공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시스템
KR2007008050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맞춤형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및 서비스 제공방법
KR100856903B1 (ko) 데이터 방송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EP1804512A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38925B1 (ko) Dmb 데이터 방송에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방법 및시스템
JP3636025B2 (ja) インターネット利用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690783B1 (ko) Cb 메시지의 다국어 지원 방법
KR100747706B1 (ko) 멀티캐스트 서비스에서 주문형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7476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라이브 스크린 컨텐츠를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40908B1 (ko) 영상 통화 경로를 이용하여 실시간 tv 방송 시청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80657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740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채널정보 갱신 장치 및 방법
KR100719744B1 (ko) 방송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방송프로그램과연관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84050B1 (ko) Dmb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시청방법
KR100777821B1 (ko) 애플리케이션 컨트롤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6056662A1 (en) Updating associating data in a medi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