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972A - 연막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연막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972A
KR20060004972A KR1020057020701A KR20057020701A KR20060004972A KR 20060004972 A KR20060004972 A KR 20060004972A KR 1020057020701 A KR1020057020701 A KR 1020057020701A KR 20057020701 A KR20057020701 A KR 20057020701A KR 20060004972 A KR20060004972 A KR 20060004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gas
generating device
chamber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238B1 (ko
Inventor
다카시 카즈미
요시이치 가나자와
요시히로 스즈키
마코토 가와노
Original Assignee
세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5/00Cartridge ammunition, e.g. separately-loaded propellant charges
    • F42B5/02Cartridges, i.e. cases with charge and missile
    • F42B5/145Cartridges, i.e. cases with charge and missile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particle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F42B5/15Cartridges, i.e. cases with charge and missile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particle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for creating a screening or decoy effect, e.g. using radar chaff or infrared materi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2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with smoke, gas, or coloured or odorous powder or liq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4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smoke, fire or coloured g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장치나 축압장치와 같은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순간(단시간)에 발연에 의해 시야를 차단해, 발음에 의해 위협하는 것이 가능한 연막생성장치를 제공하고, 분연구의 수 및 연기방향의 각도에 의해 연막의 확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연막생성장치를 제공하며, 한정된 공간내에서 단시간에 필요한 발연량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막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점화장치와 이 점화장치에 의해 연소발연하는 발연제와 이 발연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연기를 외부에 분출하는 분연구를 마련하고서 발연제를 수용하는 연소실을 갖추어 있으며, 분연구에는 가스연기의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유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연막생성장치, 발연제

Description

연막생성장치{Smoke screen generator}
본 발명은, 주로, 도둑 혹은 침입자 등에게 대해 발연(發煙) 및 발음(發音)(발화음(發火音))에 의해 경고 또는 위협을 실시함과 동시에, 발연에 의해 시야를 방해해 행동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고, 보호물건을 훔치는 등의 범죄 행위를 억제, 방지하는 연막생성장치(煙幕生成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긴급용, 구조용, 방범용, 방재 훈련용, 무대 연출용, 식물의 상해 방지용 등에, 연기를 내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긴급용, 구조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9-126698호에 기재된 신호통이 있다. 이 신호통에는, 발연제를 점화시켜 통체의 한방향으로부터 힘차게 발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방재 훈련용 혹은 식물의 상해 방지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6-211587호에 기재된 발연 장치가 있다. 이 발연 장치에는, 액체를 가열유지시켜, 복수의 가열기화장치로부터 힘차게 발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방범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실용신안공개 평6-25987호에 기재된 방범용 연막장치가 있다.이 방범용 연막장치에는, 이산화탄소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가스탱크의 가스분출기를 이중구조로 해, 이 가스분출기내통에 배치되는 가스단관 에 다수의 가스배출구멍을 긴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따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외통의 상부에는 내부에 통하는 가스분출슬릿을 긴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써, 고압가스를 순간적으로 그리고 균등하게 넓은 막상(幕狀) 연막으로 분출하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신호통과 같이, 분연구가 한 방향의 연기방향으로 한정되어 연기의 확산에 대해서 불리하고, 시야를 차단하는데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술한 발연장치와 같이, 액체를 가열유지하여 복수의 가열 기화장치로부터 연속적으로 발연하는 방식은 단위시간당의 발연량이 적고, 소망한 연기량을 얻는데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술한 방범용 연막장치와 같이, 가스탱크에 가스를 고압상태로 유지하여 복수의 가스배출구멍으로부터 가스분출슬릿을 통해 순간적으로 넓은 막상의 연막을 분출하는 방식 역시 분출방향이 한정되고 또 연기가 막상이기 때문에 연막의 확산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열장치나 축압장치와 같은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순간(단시간)적으로 발연에 의해 시야를 차단하고, 발음에 의해 위협하는 것이 가능한 연막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연구의 수 및 연기방향의 각도에 의해 연막확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연막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정된 공간내에 있고, 단시간에 필요한 발연량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막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연구로부터의 연막확산성의 향상(가스연기의 분출의 기세를 강하게 하는 것) 및 한정된 공간내를 단시간에 농도차이가 없는(적은) 시야차단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연막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물체에 가스연기를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막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는 점화장치와 이 점화장치에 의해 연소발연하는 발연제와 그리고 이 발연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연기를 외부에 분출하는 분연구가 마련된 것으로서 발연제를 수용하는 연소실을 갖추어 있으며 분연구에는 상기 가스연기의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유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분연구는 연소실의 1 측면상 및 해당 일측면과 다른 타측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분연구는 연소실의 1 측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는, 연소실의 외주를 둘러싸여서 분연구로부터 분출해지는 가스연기의 유로를 변경하는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를 아울러 갖추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는 연소실에 장착되는 통 모양 부재와 이 통 모양 부재의 개구단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원추형상의 스커트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는 점화장치와, 이 점화 장치에 의해 연소발연하는 발연제와, 그리고 이 발연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연기를 분출하는 분연구를 마련해 발연제를 수용하는 연소실과 이 연소실에 인접해 설치되어 가스연기를 외부에 분출하는 분연구를 가지는 분출실을 갖추고 있고, 연소실에 마련한 분연구에는 가스연기의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유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분출실에 마련한 분연구는 분출실의 1 측면상 및 그 일측면과 다른 타측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분출실에 마련된 분연구는 연소실의 1 측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는 분출실의 외주를 포위하여서 분연구로부터 분출해지는 가스연기의 유로를 변경하는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를 아울러 갖추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가스연기 유로제어 부재는 분출실에 장착되는 통 모양 부재와 이 통 모양 부재의 개구단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된 원추현상의 스커트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분연구는 1 측면상 혹은 타측면상에 대해서 45°∼ 135°의 분출각도를 가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분연구는 1 측면상에 있어서의 전개구면적과 타측면상에 있어서의 전개구면적이 동일 또는 다른 전개구면적을 가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연소실은 1개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압력유지수단은 노즐 또는 그리고 노즐크로져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발연제는, 5~6 MPa의 압력하에 있어서의 연소 속도가 6000 ㎜/초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발연제는 가스연기가 분연구에서 분출할 때 발음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발음의 레벨은 100~140 dB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연막생성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연막생성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연막생성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연막생성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 은 실험예 1 의 개략적인 상황도이다
 도 8 은 실험예 1 의 연소실 내압과 연소시간의 관계도이다
 도 9 는 실험예 1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10 은 실험예 1 의 가스연기의 흐름도이다
 도 11 은 실험예 2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12 는 실험예 2 가스연기의 흐름도이다
 도 13 은 실험예 3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14 는 실험예 3 의 가스연기의 흐름도이다
 도 15 는 실험예 4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16 은 실험예 5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17 은 실험예 5 의 가스연기의 흐름도이다.
 도 18 은 실험예 6 의 연소실 내압(노즐 개구면적)과 음압레벨의 관계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연막생성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2 는 도 20 의 연막생성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 은 실험예 7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24 는 실험예 8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25 는 실험예 9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26 은 실험예 10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27 은 실험예 11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28 은 실험예 12 의 발연상황도이다.
 도 29 는 시야 차단시간을 계측하는 광센서 계측기의 원리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의 저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1)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1)는 점화장치(2)와, 이 점화장치(2)에 의해 연소 발연하는 발연제(6)와 그리고 이 발연제(6)를 수용하는 연소실(10)로 구성되어 있다.
점화장치(2)는 점화도구(3)와, 이 점화도구(3)를 포위하는 착화약케이스(4)와 이 착화약케이스(4)내에 충전되어 점화도구(3)로부터의 에너지를 증폭해 발연제(6)에 연소를 전파시키는 착화약(5)으로 구성되며 착화약(5)으로부터의 연소불꽃을 발연제(6)에 균일하게 전파하기 위해 연소실(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점화도구(3)는 통전(通電)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3a)와 이 발열체(3a)에 의해 발화하는 점화약(3b)을 가진다. 여기에서는, 점화약으로서 트리시네이트를 사용했다. 점화도구(3)는 캡(7)으로 접합되어 착화약케이스(4)의 개구부에 실치되어 있다.
착화약케이스(4)는 알루미늄제의 일측이 개구하는 저부를 가진 실린더체이며, 점화도구(3)로부터의 화염에 의해 연소하는 착화약(5)의 화염이 발연제(6)에 대해 균일하게 전파하도록 통상 원주상에 복수의 착화공(4a)을 마련하고 있다. 착화공(4a)에는 방습과 착화약 연소시의 내압을 유지하기 위해, 착화공(4a)을 막는 형태로 알루미늄제 테이프(4b)를 붙이고 있다.
발연제(6)는 산화아연, 과염소산 암모늄, 염화비닐, 탄산칼슘의 조성물을 정제상태로 성형하고 있다. 그 정제상의 발연제(6)는 조성비나 각 조성물의 입도등에 의해 연소속도가 5 MPa의 압력 아래에 있어서 약 6,000 mm/초가 되도록 조정되고 있다. 또, 연소종료시간은 약 0.5초가 되도록 연소실(10)의 분연구(8a, 8b) 및 정제의 치수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연소실(10)은 원주 측면상에 제 1 분연구(8a) 및 저면상에 제 2 분연구(8b)를 마련한 저형 실린더체의 챔버(8)와 중앙에 점화도구(3)용의 관통공(7a)을 마련한 원반상의 캡(7)을 가지며 캡(7)의 외주를 챔버(8)의 내주에 용접한 후 코킹부에 의해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밀폐되고 있다. 챔버(8)는 판두께가 약 1 mm의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소실(10)에는 발연제(6)의 연소속도를 제어하고,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를 막는 것과 동시에 연소실(10)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즐크로져 (9a, 9b)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크로져(9a, 9b)는 착화약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가스압이 연소실내에 들어가는 것을 막아 발연제(6)가 소정의 연소속도로 연소를 개시할 수 있을 때까지 연소실내의 압력을 유지하며, 발연제(6)를 연소에 유도한다.
또 유지압력은 각 분연구(8a, 8b)의 단면적과 노즐크로져의 기계적 강도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원주측면상에 마련한 제 1 분연구(8a)와 저면상에 마련한 제 2 분연구(8b)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예에서는, 원주측면상에 마련한 제 1 분연구(8a)와 저면상에 마련한 제 2 분연구(8b)는 약 90°의 각도로 마련되어 있다.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는 다함께 직경 약 3 mm, 구멍수 8 개로 했다.
이것에 의해, 연소실(10)의 연소불꽃(발연등)은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불연구(8b)를 통과하고 약 90°의 각도로 분출해져 연막을 치게 된다.
연기를 광범위하게 확산시키기 위해, 제 1 분연구(8a)를 원주상에 설치해 방사상(360°방향)으로 연기를 분출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 한정된 공간에 있어서는, 제 1 분연구(8a)로부터 분출해진 연기가 그 공간을 형성하는 벽에 충돌하게 된다.거기서, 장치가 그 공간을 형성하는 어느 쪽인가의 벽면에 설치되었을 경우, 그 벽을 타는 가스의 흐름이 발생해 그것에 의해 연기가 공간내에 확산되게 된다.
또, 동시에 제 2 분연구(8b)를 챔버(8)의 저면에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연기의 분출구가 증가하므로, 제 1 분연구(8a)의 연기와 제 2 분연구(8b)로부터의 연기로서 연기의 분출방향을 늘릴 수 있어 연기의 확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주측면상에 마련한 제 1 분연구(8a) 및 저 면상에 마련한 제 2 분연구(8b)는, 연기가 장치외에 분출하는 최종의 출구이기 때문에, 통과한 후에는 저항을 받는 일 없이 그대로 대기중에 개방된다. 따라서, 분출하는 연기량은 각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 마다의 총개구면적의 비율대로 된다. 예를 들면,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의 총개구면적의 비율이 4:6이면, 총연기량의 40%이 원주방향으로, 그리고 60%는 축방향으로 분출한다.
덧붙여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불연구(8b)는 연소실(10)의 내압이 5~6 MPa가 되도록 노즐의 개구면적을 설정한다. 또, 각 분연방향의 분연량의 비율을 대상이 되는 공간의 형상에 맞추고,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의 개구면적의 비율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1)는 예를 들면, 금고실의 천정 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강도등의 불법 침입자를 이상 검지센서가 검지하면, 연막생성장치(1)에 작동 신호(발화 전류)가 보내진다.
연막생성장치(1)에서는, 점화도구(3)에 일정한 전류가 흘러 이것에 의해 점화약이 발화해, 그 화염, 충격으로 착화약(5)이 연소한다.
착화약(5)의 화염이 착화약케이스(4)의 착화공(4a)으로부터 발연제(6)에 전파하여 이 연소가스의 연기에 의해 연소실(10)의 내압이 상승한다.
그리고, 연소실(10)의 내압에 의해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를 막고 있는 노즐크로져(9a, 9b)가 탄성한계에 이르러 파단한다.
또, 발연제(6)의 연소로 생성된 가스연기가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 (8b)로부터 분출해진다.
또, 발연제(6)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가스연기는 음속을 넘는 속도로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를 통과하기 때문에 발음을 수반한다.
이것에 의해, 금고실내에 시야를 차단하는 연막이 확산된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강도등의 불법 침입자를 이상 검지센서에 의해 검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경비원이 강도등의 불법 침입자를 확인했을 경우에는 연막생성장치(1)에 연락하는 기동 스위치를 사람 손에 의해서 누름으로써,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를 마련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어느 쪽이나 한편의 분연구를 폐쇄하고 1 측면상에만 분연구를 마련해 가스연기를 한방향으로부터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챔버(8)의 저판과 측판과의 경계부위에 분연구를 마련해 연막생성장치(1)의 하부 주연으로부터 가스연기를 방출하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20)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20)는 점화장치(22)와 이 점화장치(22)에 의해 연소 발연하는 발연제(26), 이 발연제(26)를 수용하는 연소실(30) 및 이 연소실(30)에 인접해 배치된 분출실(31)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20)는 연소실(30)에 인접한 곳에 분출실(31)을 배치하고 가스연기가 연소실(30)로부터 방출하지 않고, 분출실(31)로부터 방출하는 점으로,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1)와는 다르다.
연소실(30)을 구성하는 판두께 약 1.5 mm의 스테인레스제의 높이가 낮은 챔버(28)는 연소실(30)에 인접해 분출실(31)을 형성하기 위해서 중앙에 점화도구(23) 용의 관통공(27a)를 마련한 원반상의 캡(27)과의 접합부(28x)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높이가 낮은 덮개부(28b)로 이 덮개부(28b)로부터 한층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8c)를 갖추고 있다.
챔버(28)의 측벽에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분연구(8a)에 상당하는 분연구(28a)가 마련되어 있다.이 분연구(28a)에는 발연제(26)의 연소속도를 제어하여 분연구(28a)를 막는 것과 동시에 연소실(30)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즐크로져(29a)와 발연제(26)의 연소 후에 생성되는 찌꺼기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29b)가 중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크로져(29a)는 착화약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가스압이 연소실내에 들어가는 것을 막아 발연제(26)가 소정의 연소속도로 연소를 개시할 수 있을 때까지 연소실내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발연제(26)가 연소되도록 한다.
또, 유지하는 압력은 제 1 분연구(28a)의 단면적과 노즐크로져의 기계적 강도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 연소실(30)은 그 내부에 발연제(26)와 이 발연제(26)를 지지하는 쿠 션재(30a 및 30b)가 발연제(26)를 둘러싸도록 상하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용적조정용의 스페이서(30c)가 쿠션재(30a)측에 배치되어 있다.
분출실(31)은 챔버(28)의 덮개부(28b)와 챔버(28)의 분연구(28a)측을 둘러싸는 통 모양의 덮개부재(32)와 연소실(30)의 분연구(28a)로부터 소정간격으로 떨어져 분연구(28a)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통 모양의 분리부재(33)와 이 분리부재(33)를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덮개부재(32)와 함께 챔버(28)의 덮개부(28b)에 고정되는 구획 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분출실(31)에는 연소실(30)의 분연구(28a)와 연락하는 제 1 실(31a)과, 이 제 1 실(31a)에 연락하는 제 2 실(31b)과 그리고 이 제 2 실(31b)에 연락하는 제 3 실(31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실(31a)은 연소실(30)의 분연구(28a)로부터 분출하는 가스연기를 제 2 실(31b)에 이끌고, 제 2 실(31b)은, 구획 부재(34)의 구멍(34a)을 개입시켜 가스연기를 제 3 실(31c)에 이끌며, 제 3 실(31c)은 측벽상에 마련된 제 1 분연구(32a)와 저면상에 마련된 제 2 분연구(32b)로부터 가스연기를 방출한다.
측벽상에 마련한 제 1 분연구(32a)와 저면상에 마련한 제 2 분연구(32b)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주 측면상에 마련된 제 1 분연구(8a)와 저면상에 마련한 제 2 분연구(8b)와 같게, 양자는 약 90°의 각도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분연구(32a) 및 제 2 분연구(32b)에 대해 상술한다.
제 1 분연구(32a)는 연기를 광범위하게 확산시키기 위해서 통체에 설치하고, 방사상(360°방향)으로 연기를 분출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제 1 분연구(32a)는 용기 강도를 감안해 직경을 약 8 mm, 구멍수를 20개로 했다. 또, 한정된 공간에 있어서, 제 1 분연구(32a)로부터 분출해진 연기는 그 공간을 형성하는 벽에 충돌하게 된다. 여기서, 연막행성장치가 그 공간을 형성하는 어느 쪽인가의 벽면에 설치되었을 경우, 그 벽을 타는 가스의 흐름이 발생하고, 그것에 의해 연기가 공간내에 확산되게 된다.
또, 동시에 제 2 분연구(32b)를 분출실(31)의 저면에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연기의 분출방향을 늘려, 제 1 분연구(32a)로부터의 연기와 제 2 분연구(32b)로부터의 연기로서, 연기 방향을 바꾸어 연기의 확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상술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를 통과한 가스연기에 대한 저항체가 없기 때문에,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의 개구면적 비율에 따라 연기량이 분배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실(30)내의 가스연기가 아래와 같은 각 저항체를 통과하는 것으로써, 제 2 분연구(32b)의 면에 대해서 수직(제 1 분연구(32a)의 면에 대해서 병행)으로 가스연기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해서, 제 2 분연구(32b)로 연기가 나오기 쉽고, 제 1 분연구(32a)의 방향으로는 연기가 나오기 어렵다.
여기서, 가스연기 통과경로는 연소실(30)의 분연구(28a) → 제 1 실(31a) → 제 2 실(31b) → 제 3 실(31c) → 제 1 분연구(32a) 및 제 2 분연구(32b)가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험예 5에 대해 설명한 것처럼, 직경 8 mm의 제 1 분연구 (32a) 및 직경 6 mm의 제 2 분연구(32b)의 수가 각각 20 개였을 경우, 연기량의 대부분이 제 2 분연구(32b)로부터 분출하고(축방향), 제 1 분연구(32a)에서는 별로 분출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난다.
또, 제 1 분연구(32a) 및 제 2 분연구(32b)로부터의 연기량 비율은, 제 1 분연구(32a)의 개구면적을 직경 8 mm, 연기 구멍수 20 개로 고정하고, 제 2 분연구(32b)의 개구경을 직경 6 mm로 했을 경우, 제 2 분연구(32b)의 연기 구멍수를 늘리면, 제 2 분연구(32b)로부터의 연기량이 제 1 분연구(32a)보다 증가하는 관계가 있다. 또, 이 경우, 제 2 분연구(32b)의 수가 12 개를 넘으면, 연기의 대부분이 제 2 분연구(32b)로부터 분출하고 제 1 분연구(32a)로부터의 연기는 미미해진다.
덧붙여, 제 2 분연구(32b)는 각 부품의 치수상, 직경을 약 6 mm로 했다.
연소실(30)의 내압제어는 분연구(28a)로 행하고 제 2 분연구(32b)의 개구면적은 내압제어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제 2 분연구(32b)의 수는 치수상 허용되는 최대수인 약 30 개까지 설치할 수 있어 대상이 되는 공간의 형상에 맞추어 최적인 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2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20)는 예를 들면, 금고실의 천정 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강도등의 불법 침입자를 이상 검지센서가 검지하면, 연막생성장치(20)에 작동 신호(발화 전류)가 보내진다.
먼저, 점화도구(22)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써 점화약(23b)이 발화하 고, 그 화염, 충격으로 착화약(25)이 연소한다.
착화약(25)의 화염이, 착화약케이스(24)의 착화구멍(24a)로부터 발연제(26)에 전파하고, 이 연소가스의 연기에 의해 연소실(30)의 내압이 상승한다.
그리고, 연소실의 내압에 의해 분연구(28a)를 막고 있는 노즐크로져(29a)가 탄성한계에 이르러 파단한다.
또, 발연제(26)의 연소로 생성된 가스연기가 필터(29b) 및 노즐크로져(29a)로부터 분연구(28a)를 통과하고, 분출실(31)의 분리부재(33)에 차단된 제 1 실(31a)로부터 제 2 실(31b)에 흘러 들어, 단 하나의 구획 부재(34)의 구멍(34a)을 통과해 제 3 실(31c)에 흘러 들어가고, 제 1 분연구(32a)와 제 2 분연구(32b)로부터 연기가 분출된다.
또, 발연제(26)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가스연기는, 음속을 넘는 속도로 분연구(28a)를 통과하기 위해 발음을 수반한다.
이것에 의해, 금고실내에 시야를 차단하는 연막이 확산된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강도등의 불법 침입자를 이상 검지센서에 의해 검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경비원이 강도등의 불법 침입자를 확인했을 경우에는, 연막생성장치(20)에 연락하는 기동 스위치를 손으로 누르는 것과 같은 조작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분연구(32a) 및 제 2 분연구(32b)를 마련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어느 쪽이나 한쪽의 분연구를 폐쇄하고 1 측면상에만 분연구를 마련하여 가스연기를 한방향으로부터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분출실(31)의 저판과 측판과의 경계 부위에 분연구를 마련해 연막생성장치(20)의 하부 주연으로부터 가스연기를 방출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20)에 대해서 여러 가지의 실험을 실시한 그 결과를 보여준다.
(실험예 1)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약 5.3m×깊이 약 2.1m×높이 약 2.3 m(약 26 ㎥)의 방(50)의 중앙부에서 천정측으로부터 30 cm의 위치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20)을 설치했다.
또한, 본 실험예 1의 장치의 제 1 분연구(32a) 및 제 2 분연구(32b)의 수는 각각 20 개 및 8 개이다. 이때, 음압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음압측정센서(51)를 설치했다.
다음에, 원격조작에 의해 점화도구를 통전시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 초에 종료하고, 연기는 발연제가 연소하기 시작하고 나서 대략 1 ~ 2 초 후에 제 1 분연구(32a) 및 제 2 분연구(32b)로부터 밖으로 분출했다. 시간과 연소실 내압의 관계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약 0.5 초 후에는 연소실 내압이 대기압이 되어, 연소실내의 압력이 개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약 0.5 초 후에는 발연제의 연소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작동 직후, 0.2초 후 및 0.5초 후의 발연상황을 도 9 (A), (B), (C)에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분출해진 연기는 각 분연구(32a, 32b)로부터의 발연량에 큰 치우침이 없이, 장치의 주위에 골고루 수십초간으로 공간 전체에 확산되었다. 이때의 연기의 흐름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때, 시험 작업자가 확산된 연막안에 들어와 시야 정도 및 행동의 자유 정도를 확인했다.
이 시험 작업자에 의해서 수십초 간 시야를 빼앗겨 행동이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발연제의 연소로부터 분출까지 발생되는 작동음의 음압레벨은 약 120 ~ 130 dB 정도이며, 방범용으로 사용시에는 연기에 의한 위협과 동시에 소리에 의한 위협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실험예 2)
실험예 1 과 같게 하여 방(50)의 중앙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 (20)를 설치했다.
여기에서는, 제 1 분연구(32a) 및 제 2 분연구(32b)의 수를 각각 20 개 및 3 개로 했다.
다음에, 원격조작에 의해 점화도구에 통전시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 초로 종료하고, 연기는 발연제가 연소하기 시작하고 나서 대략 1 ~ 2 초에 분연구(32a, 32b)로부터 밖에 분출해졌다.
또, 작동 직후, 0.2초 후 및 0.5초 후의 발연상황을 도 11 (A), (B), (C)에 각각 나타냈다.
그리고, 분출해진 연기는 제 1 분연구(32a)로부터의 연기량이 많아져, 360°의 주방향으로 분출하는 가스량이 많기 때문에, 주방향으로의 기세가 증가하고, 도 12와 같은 흐름이 발생하면서 확산되었다.
이때, 실험예 1 과 같게 시야정도 및 자유정도를 확인했다.그 결과, 수십초 후 시야가 막혀 행동이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실험예 1 과 같게 하여 방(50)의 중앙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20)를 설치했다.
여기에서는, 제 1 분연구(32a) 및 제 2 분연구(32b)의 수를 각각 20 개 및 12 개로 했다.
다음에, 원격조작에 의해 점화도구에 통전시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초에 종료하고, 연기는 발연제가 연소하기 시작하고 나서 대략 1 ~ 2 초 후에 분연구(32a, 32b)로부터 밖으로 분출해졌다.
또, 작동 직후, 0.2초 후 및 0.5초 후의 발연상황을 도 13 (A), (B), (C)에 각각 나타냈다.
그리고, 분출해진 연기는 제 2 분연구(32b)로부터의 연기량이 많고, 축방향으로 분출하는 가스량이 많기 때문에, 도 14 의 같은 흐름이 발생하면서 확산되었다.
이때, 실험예 1 과 같게 시야정도 및 자유정도를 확인했다.그 결과, 수십초 후 시야가 막히고 행동이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예 1 과 같은 방(50)에 있어서, 제 1 분연구(32a) 및 제 2 분연구(32b)의 수가 각각 20 개 및 10 개의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20)를 높이 약 1.2 m의 벽측 중앙 부근에 설치했다.
다음에, 원격 조작에 의해 점화도구에 통전시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 초에 종료하고, 연기는 발연제가 연소하기 시작하고 나서 대략 1 ~ 2 초 후에 분연구에서 밖으로 분출해졌다.
그리고, 분출해진 연기는 제 2 분연구(32b)로부터의 연기량이 많고, 축방향으로 분출하는 가스량이 많기 때문에, 도 15 와 같은 흐름이 발생하면서, 확산되었다.
이때, 실험예 1 과 같게 시야정도 및 자유정도를 확인했다.그 결과, 수십초 후 시야가 막히고 행동이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예 1 과 같게 해 방(50)의 중앙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20)를 설치했다.
여기에서는, 제 1 분연구(직경 8 mm)(32a) 및 제 2 분연구(직경 6 mm)(32b)의 수를 각 20 개로 했다.
다음에, 원격 조작에 의해 점화도구에 통전시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 초로서 종료하고, 연기는 발연제가 연 소하기 시작하고 나서 대략 1 ~ 2 초 사이에 분연구(32a, 32b)로부터 밖으로 분출해졌다.
그리고, 분출해진 연기는 제 2 분연구(32b)로부터의 연기량이 많아져 축방향으로 분출하는 가스연기량이 많기 때문에, 도 17 과 같이 발생하면서 확산되었다.
이때, 실험예 1 과 같게, 시야정도 및 자유정도를 확인했다. 그 결과, 수십초 후에는 완전하게 시야가 막히고 행동이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실험예 1 과 같게 하여 방(50)의 중앙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20)를 설치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20)는 직경 8 mm의 제 1 분연구(32a) 및 직경 6 mm의 제 2 분연구(32b)의 수를 각각 20 개 및 8 개로 고정하고, 분연구(28a)의 개구면적을 약 53 ㎟~ 약 275 ㎟의 범위에서 변화시켜 작동시의 음압레벨을 음압센서로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18 에 나타낸다.
도 18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연소실(30)의 내압이 2.6 ~ 14.4 MPa의 범위에서 변화하고, 그 때의 음압레벨은 91 ~ 138 dB이며, 연소실(30)의 내압은 올라가고(=분연구(28a)의 개구면적을 작게 한다) 음압레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표 1 에 의해, 장치의 음압정도를 알 수 있고, 발음에 의한 경고 또는 위협을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
음원 음압레벨(dB)
제트기의 폭음 140∼150
20㎜포 140
착암기(소음 장치 없음) 120
착암기(소음 장치 있음) 110
경적 100∼110
회화 곤란 90∼95
가드밀 90
자동차의 통과(10대) 80
보통 회화 65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40)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40)는 연소실(10)의 바깥쪽에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41)를 마련한 점으로,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1)와는 상위하다.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41)는 챔버(8)에 용접부(44)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41)는 판두께 1.5 mm의 스테인레스제의 통 모양 부재(42)와 이 통 모양 부재(42)의 내면에 장착되어 통 모양 부재(42)의 일측의 개구부단(43a)로부터 타측의 개구부단(43e)으로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원추상의 스커트부재(43)를 가진다. 스커트부재(43)의 일측의 개구부단(43a)에는 챔버(8)에 용접부(44)에 의해 고착할 때에 챔버(8)에 맞닿는 벽면(43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벽면(43b)의 하단부(43c)와 한편의 개구부단(43e)에는 원추형상의 스커트부(43d)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4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1)는, 예를 들면, 금고실의 천정 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강도 등의 불법 침입자를 이상 검지센서가 검지하면, 연막생성장치(1)에 작동 신호(발화 전류)가 보내진다.
연막생성장치(1)에서는, 점화도구(3)에 일정한 전류가 흘러 이것에 의해 착화약이 착화해, 그 화염, 충격으로 착화약(5)이 연소한다.
 착화약(5)의 화염이 착화약케이스(4)의 착화구멍(4a)로부터 발연제(6)에 전파하고, 이 연소가스연기에 의해 연소실(10)의 내압이 상승한다.
 그리고, 연소실(10)의 내압에 의해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를 막고 있는 노즐크로져(9a, 9b)가 탄성한계에 이르러, 파단한다.
또, 발연제(6)의 연소로 생성된 가스연기가,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로부터 분출해진다.
그리고, 제 1 분연구(8a)로부터 분출해진 연기는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41)의 원추형상의 스커트부(43d)에 충돌하여서 연막생성장치(40)의 종축방향으로 집약되는 상태로 힘차게 분출해진다.
또, 발연제(6)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가스연기가 음속을 넘는 속도로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를 통과하기 위해 발음을 수반한다.
이것에 의해, 금고실내에 시야를 차단하는 연막이 확산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40)에 의하면, 연막생성 장치(1)와 같은 작용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41)를 마련한 것에 의한 특유의 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 1 분연구(8a)로부터 분출해진 가스연기가 연막생성장치(40)의 종축방 향으로 재차 집약되는 분출기세의 강한 가스연기가 형성되어 연막의 확산성(시야차단 시간의 단축, 금고실등의 공간부에의 균일한 시야차단)이 향상한다.또, 연막을 생성시키는 금고실등의 공간부의 형상에 의한 가스연기의 분출의 기세가 약해지는 것을 막으므로써, 공간부의 형상에 의한 영향을 저감하는 것도 가능해진다.또,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41)의 스커트부(43d)의 각도를 바꾸는 것으로써, 연막의 거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덧붙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분연구(8a) 및 제 2 분연구(8b)를 마련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어느 쪽이나 한쪽의 분연구를 폐쇄하여 1 측면상에만 분연구를 마련해 가스연기를 한방향으로부터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 내지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50)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50)는 플랜지부(28c)에 가스연기 유로 제어부재(51)를 마련해 분출실(31)의 외주를 둘러싼 점으로,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20)와는 상이하다.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51)는 분출실(31)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플랜지부(28c)에 볼트(54)를 개입시켜서 장착되는 판두께 1.5 mm의 스테인레스제의 통 모양 부재(52)와 이 통 모양 부재(52)의 내면에 장착되어 통 모양 부재(52)의 일측의 개구부단(52a)로부터 타측의 개구부단(52b)로 향해 확경하는 원추상의 스커트 부재(53)을 가진다. 이 스커트 부재(53)의 일측의 개구부단(52a)에는 볼트(54)와 결합하는 4 개의 나사구멍(53a)이 원주상에 균등하게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5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50)는 예를 들면, 금고실의 천정 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강도등의 불법 침입자를 이상 검지센서가 검지하면, 연막생성장치에 작동 신호(발화 전류)가 보내진다.
먼저, 점화도구(22)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착화약(23b)이 발화하고, 그 화염, 충격으로 착화약(25)이 연소한다.
착화약(25)의 화염이 착화약케이스(24)의 착화구멍(24a)으로부터 발연제(26)에 전파하고, 이 연소가스연기에 의해 연소실(30)의 내압이 상승한다.
그리고, 연소실의 내압에 의해 분연구(28a)를 막고 있는 노즐크로져(29a)가 탄성한계에 이르러 파단한다.
또, 발연제(26)의 연소로 생성된 가스연기는 필터(29b) 및 노즐크로져(29a)로부터 분연구(28a)를 통과하고, 분출실(31)의 분리부재(33)에 의해 차단된 제 1 실(31a)로부터 제 2 실(31b)로 흘러들고, 다른 구획부재(34)의 구멍(34a)를 통과해 제 3 실(31c)에 흘러들며, 제 1 분연구(32a)와 제 2 분연구(32b)로부터 연기가 분출해진다.
그리고, 제 1 분연구(32a)로부터 분출해진 연기는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 (51)에 충돌하면서, 연막생성장치(50)의 종축방향에 집약되는 상태로 힘차게 분출해진다.
또, 발연제(26)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가스연기가 음속을 넘는 속도로 분연 구(28a)를 통과하기 위해 발음을 수반한다.
이것에 의해, 금고실내는 시야를 차단하는 연막이 확산된다.
다음에, 제 4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50)에 있어서, 시야차단시간과 관련되는 실험을 실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나타낸다.
덧붙여, 본 실험의 시야차단시간이란 금고실내(방)등의 공간부에 있어 연기의 농도(시야)차이가 없는 상태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완전하게 시야가 차단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50)의 설치방(공간부)의 목의 위치에 있어서도 연기에 의한 시야차이(농도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는 상태이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50)는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20)와 같게,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약 5.3m × 안길이 약 2.1m× 높이 약 2.3m(용적:약 26 ㎥)의 방의 중앙부에 있는 천정으로부터 약 30 cm의 위치에 설치되었다.
또, 시야차단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광측정센서를 방(공간부)의 1 측벽면과 이 1 측벽면에 교차하는 타측벽면에 각각, 천정에서 마루의 면까지의 공간 4 개소에 균등하게 설치했다.
이 광측정센서는, 도 2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앰프 유닛(100)으로부터의 빛을 투·수광하는 한 쌍의 광센서로, 연기를 발생시켰을 때 그 연기의 양에 의해 빛의 투과량, 즉 수광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다.
바꾸어 말하면, 일정한 광량을 투광하고 있지만, 광센서간에 연기가 존재하면, 그 빛을 차단해 수광량이 적게 되므로 그 수광량이 디지털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50)를 작동시키고 나서, 방안에 있어서의 수광량의 경과시간 변화를 계측해, 광센서(101)의 수광량이 동일 레벨에 이른 시간을 시야차단시간으로 했다.
(실험예 7)
본 실험예 7 의 장치는, 제 1 분연구(32a)의 직경이 8 mm로 수를 20 개, 제 2 분연구(32b)의 직경이 6 mm로 수를 8 개로 했다.
다음에, 원격 조작에 의해 점화도구를 통전시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 초에서 종료하고, 가스연기는 발연제가 연소하고 나서 1 ~ 2 초까지 제 1 분연구 및 제 2 분연구로부터 분출해졌다.
그리고, 분출해진 가스연기는 각 분연구(32a, 32b)로부터 주위에 편차없이 확산해, 수십초 사이에 공간 전체에 확산되었다.
작동 직후, 0.5 초 후, 3 초 후, 60 초 후, 120 초 후의 발연 상황을 도 23 의 (A), (B), (C), (D), (E)에 각각 가리킨다.
또, 작동 직후부터 약 5 분 후에는 시야의 차가 동일레벨에 이르렀다(시야 가림 시간).
(실험예 8)
본 실험예 8 의 장치는, 실험예 7 의 연막생성장치에 스커트 부재(53)의 반사각을 45°로 설정한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51)를 달았다.
다음에, 원격 조작에 의해 점화도구를 통전시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 초에서 종료하고, 연기는 발연제가 연소하고 나서 1 ∼ 2 초 후에 제 1 분연구 및 제 2 분연구로부터 분출해졌다.
그리고, 분출해진 연기는 각 분연구(32a, 32b)로부터 주위에 편차없이 확산해, 수십 초간 공간 전체에 확산되었다.
작동 직후, 0.5 초 후, 3 초 후, 60 초 후, 120 초 후의 발연 상황을 도 24 의 (A), (B), (C), (D), (E)에 각각 가리킨다.
또, 작동 직후부터 약 2.5 분 후에는 시야의 차가 동일레벨에 이르렀다(시야 가림 시간).
(실험예 9)
본 실험예 9 의 장치(도 30에 나타내는 연막생성장치(60)에 해당)는, 실험예 7 의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제 1 분연구(직경 8 mm × 20 개)(32a)만 마련한 구성으로 해, 이것에 스커트 부재(53)의 반사 각도를 45°로 설정한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51)를 달았다.
다음에, 원격 조작에 의해 점화도구를 통전시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 초에서 종료하고, 가스연기는 발연제가 연소하고 나서 1 ~ 2 초에 제 1 분연구(32a)로부터 분출해졌다.
그리고, 분출해진 가스연기는 각 분연구(32a)로부터 주위에 편차없이 확산해, 수십 초간 공간 전체에 확산되었다.
작동 직후, 0.5 초 후, 3 초 후, 60 초 후, 120 초 후의 발연상황을 도 25 의 (A), (B), (C), (D), (E)에서 각각 가리키고 있다.
또, 작동 직후부터 약 2 분후에는 시야의 차가 동일레벨에 이르렀다(시야 가림 시간).
(실험예 10)
본 실험예 10 의 장치는, 실험예 9 의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스커트 부재(53)의 반사 각도를 32°로 설정한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51)를 달았다.
다음에, 원격 조작에 의해 점화도구를 통전시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 초에서 종료하고, 가스연기는 발연제가 연소하고 나서 1 ~ 2 초후에 제 1 분연구(32a)로부터 분출해졌다.
그리고, 분출해진 가스연기는 각 분연구(32a)로부터 주위에 편차없이 확산해, 수십 초간 공간 전체에 확산되었다.
작동 직후, 0.5 초 후, 3 초 후, 60 초 후, 120 초 후의 발연상황을 도 26 의 (A), (B), (C), (D), (E)에 각각 가리킨다.
또, 작동 직후부터 약 3 분 후에는 시야의 차가 동일레벨에 이르렀다(시야 가림 시간).
(실험예 11)
본 실험예 11 의 장치는, 실험예 9 의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스커트 부재(53)의 반사 각도를 28°로 설정한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51)를 달은 것이다.
다음에, 원격 조작에 의해 점화도구를 통전시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 초지나 종료하고, 가스연기는 발연제 가 연소하고 나서 1 ~ 2 초 후 제 1 분연구(32a)로부터 분출해졌다.
그리고, 분출해진 가스연기는 각 분연구(32a)로부터 주위에 편차없이 확산해, 수십 초간 공간 전체에 확산되었다.
작동 직후, 0.5 초 후, 3 초 후, 60 초 후, 120 초 후의 발연상황을 도 27 의 (A), (B), (C), (D), (E)에 각각 가리킨다.
또, 작동 직후부터 약 3 분 후에는 시야의 차가 동일레벨에 이르렀다(시야 가림 시간).
(실험예 12)
본 실험예 12 의 장치는, 실험예 9 의 연막생성장치에 있어서, 스커트 부재(53)의 반사 각도를 23°로 설정한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51)를 달은 것이다.
다음에, 원격 조작에 의해 점화도구를 통전시켜서 장치를 작동시켰다.
이것에 의해, 발연제의 연소는 약 0.5 초지나 종료하고, 가스연기는 발연제가 연소하고 나서 1 ~ 2 초 후 제 1 분연구(32a)로부터 분출해졌다.
그리고, 분출해진 가스연기는 각 분연구(32a)로부터 주위에 편차없이 확산해, 수십 초간 공간 전체에 확산되었다.
작동 직후, 0.5 초 후, 3 초 후, 60 초 후, 120 초 후의 발연상황을 도 28 의 (A), (B), (C), (D), (E)에 각각 가리킨다.
또, 작동 직후부터 약 3.5 분 후에는 시야의 차가 동일레벨에 이르렀다(시야 가림 시간).
(고찰)
실험예 7 ~ 실험예 12 로부터,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51)를 단 연막생성장치는 연막의 확산성 효과의 향상이 높은 것이 밝혀졌다.
또, 제 1 분연구(32a)만의 구성으로 고정했을 경우,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51)의 스커트 부재(53)의 설정 각도에 의해, 연막의 거동(확산성)이 변화되는 것을 알았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연막생성장치(60)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60)는 제 2 분연구(32b)를 생략한 점으로, 제 4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20)와는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연막생성장치(60)에 의하면, 분연구를 원주 측면상(곡면부)의 1 측면에만 형성한 제 1 분연구(32a)만으로 했으므로, 제 1 분연구(32a)로부터의 가스연기가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51)에 의해 집약되는 기세의 연막으로서 확산성 향상효과가 증대하여, 금고실내등의 공간부의 가스연기의 농도(시야) 차이가 없는 상태가 단시간에 가능해진다.
또, 가스연기유로 제어부재(51)에 충돌해 제 1 분연구(32a)로부터 가스연기의 방향을 바꾸어 힘차게 분출하므로 금고실내의 보호물건에 집중시킴과 동시에 단시간에 금고실내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연제를 수용하는 연소실에 직접 점화장치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작동 후, 순간적으로 발연을 분연구에서 외부를 분출해 연막을 확산할 수 있다.
또, 발연제를 수용하는 연소실에 직접 점화장치를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분연구도 배치하는 것으로, 소정 발연량을 확보하면서 종래기술에 비해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분연구를 복수개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그 분연구의 설치위치를 다른 각도의 위치에 복수개 설치하면, 가스연기를 광범위하게 확산시켜 시야 차단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연소실을 고압에 견딜 수 있는 용기에 형성하면, 연소실의 내압을 상승시킬 수 있고 또는, 발연제의 연소를 빨리 할 수 있으므로 단위시간당의 발연량을 늘리게 되어 단시간에 필요한 가스연기를 용기로부터 쉽게 분출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연소실내의 발연제에 의해 연소된 가스연기의 압력을 소정시간 유지함으로써, 음속을 넘는 속도로 가스연기가 장치 밖으로 분출하면서 발음이 가능해진다.
또,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분연구로부터 분출한 가스연기는 연막생성장치의 종축방향으로 재차 집약되어 분출되는 기세의 강한 가스연기가 형성되어 연막의 확산성(시야 차단 시간의 단축, 금고실등의 공간부에의 균일한 시야 차단)이 향상된다.
또,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를 설치했으므로, 연막을 생성시키는 금고실등의 공간부의 형상에 의한 가스연기의 분출의 기세가 약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공간부의 형상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의 각도를 바꾸어 연막의 거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7)

  1. 점화 장치, 상기 점화장치에 의해 연소 발연하는 발연제, 및 상기 발연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연기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분연구를 마련하고 있는 발연제를 수용하는 연소실을 갖추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분연구에는 상기 가스연기의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유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연구는 상기 연소실의 일측면상 및 상기 일측면과 다른 타측면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연구는 상기 연소실의 일측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연소실의 외주를 감싸면서, 상기 분연구로부터 분출해지는 가스연기의 유로를 변경하는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를 아울러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는 상기 연소실에 장착되는 통 모양 부재 및 상기 통 모양 부재의 개구단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원추상의 스커트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6. 점화장치, 상기 점화장치에 의해 연소 발연하는 발연제, 상기 발연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연기를 분출하는 분연구를 마련하고서 상기 발연제를 수용하는 연소실, 및 상기 연소실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스연기를 외부에 분출하는 분연구를 가지는 분출실을 갖추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연소실에 마련된 분연구에는 상기 가스연기의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유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실에 마련된 분연구가 상기 분출실의 일측면상 및 그측면과 다른 타측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실에 마련된 분연구가 상기 연소실의 일측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실의 외주를 감싸면서 상기 분연구로부터 분출해지는 가스연기의 유로를 변경시키는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를 아울러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기 유로제어부재는 상기 분출실에 장착되는 통 모양 부재 및 상기 통 모양 부재의 개구단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원추상의 스커트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11.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7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연구가 일측면상 또는 타측면상에 대해서 45°∼ 135°의 분출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12. 제 2 항, 제 4 항, 제 7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연구는 일측면상에 있어서의 전개구면적과 타측면상에 있어서의 전개구면적이 서로 동일 또는 다른 전개구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이 1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부재는 노즐 또는 노즐크로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연제는, 5 ~ 6 MPa의 압력하에 있어서의 연소 속도가 6000 mm/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연제는 가스연기가 상기 분연구를 분출할 때 발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의 레벨은 100 ~ 140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생성장치.
KR1020057020701A 2003-05-01 2003-05-01 연막생성장치 KR100969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5585 WO2004097760A1 (ja) 2003-05-01 2003-05-01 煙幕生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972A true KR20060004972A (ko) 2006-01-16
KR100969238B1 KR100969238B1 (ko) 2010-07-09

Family

ID=3339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701A KR100969238B1 (ko) 2003-05-01 2003-05-01 연막생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969238B1 (ko)
CN (1) CN100463005C (ko)
AU (1) AU2003235835A1 (ko)
WO (1) WO2004097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2585B2 (en) * 2008-02-26 2011-01-18 Martin Professional A/S Intruder deterrent system
JP6404603B2 (ja) * 2014-06-11 2018-10-10 株式会社ダイセル 煙幕発生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6563773B2 (ja) * 2015-10-20 2019-08-21 株式会社ダイセル 煙幕発生器
WO2018109657A1 (en) * 2016-12-12 2018-06-21 Essence Security International (E.S.I.) Ltd. Alarm system with smoke generation
CN113819807B (zh) * 2021-09-18 2023-03-31 贵州黎阳天翔科技有限公司 一种毫米波烟幕发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2186U (ja) * 1982-02-13 1983-08-19 春田 健一 札束型防犯用発煙装置
JP2500591Y2 (ja) * 1992-08-28 1996-06-05 徹 乾 防犯用煙幕装置
JP2000080860A (ja) 1998-09-03 2000-03-21 Kongo Co Ltd 収納庫の防御システム
JP2000200394A (ja) * 1998-12-30 2000-07-18 Yoshio:Kk 発煙機能付き防犯報知器
CN2483783Y (zh) * 2001-06-25 2002-03-27 陈小淡 一种消防烟雾指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35835A8 (en) 2004-11-23
AU2003235835A1 (en) 2004-11-23
WO2004097760A1 (ja) 2004-11-11
KR100969238B1 (ko) 2010-07-09
CN1771522A (zh) 2006-05-10
CN100463005C (zh)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8551C1 (ru)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его вариан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его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CA25452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on of fires
US20070079972A1 (en) Manually activated, portable fire-extinguishing aerosol generator
CN108543250B (zh) 一种智能多向喷射球形灭火装置
JP6585461B2 (ja) 煙幕発生器
KR100969238B1 (ko) 연막생성장치
TWI711475B (zh) 氣化噴霧劑滅火裝置
KR101509466B1 (ko) 자동소화장치
JP3816867B2 (ja) 煙幕生成装置
JP6666198B2 (ja) 発煙剤組成物及び発煙器
JP6473318B2 (ja) 煙幕源発生剤組成物と煙幕発生器
KR200452292Y1 (ko) 폭발성 분말식 소화기
US6868915B2 (en) Method for suppressing developing explosions
WO2017068956A1 (ja) 煙幕発生器
JP6707095B2 (ja) ガス発生器
JP6404603B2 (ja) 煙幕発生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RU26339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локальной 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и способ разрушения оболочки капсулы с нанопорошком
RU177480U1 (ru) Модуль порошк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1892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RU2244579C1 (ru)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и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JP7373977B2 (ja) ガス系消火設備
JP6316563B2 (ja) 消火ガス発生装置
RU2050873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огнетушитель
JP6083530B2 (ja) 塵芥収集車用消火装置
RU2287774C2 (ru) Способ ограничения действия пожара на взрывоопасные издел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