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212A -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 Google Patents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212A
KR20060004212A KR1020040053242A KR20040053242A KR20060004212A KR 20060004212 A KR20060004212 A KR 20060004212A KR 1020040053242 A KR1020040053242 A KR 1020040053242A KR 20040053242 A KR20040053242 A KR 20040053242A KR 20060004212 A KR20060004212 A KR 20060004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ion
filter
vertical support
air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세영
유영종
김대욱
임재관
유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04005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4212A/ko
Publication of KR2006000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외부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자연증발 방식이면서 가습능력을 배가시키는 필터의 장착 구조를 갖는 증발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증발시키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물저장부, 수직으로 뻗은 얇은 관 형상으로 상기 물저장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2 이상 수직 지지대 및 상기 물저장부에 담긴 물에 하단이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수직 지지대를 감싸며 안착되는 증발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단위 면적당 증발필터의 공기 접촉면적을 높여 증발이 활성화되는 동시에 가습기 외관을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고, 증발필터의 각 부분에 골고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증발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가습기, 증발, 필터

Description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Filter Structure Of Evaporative Humidifier}
도 1은 종래의 가습기 내부 필터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가습기 내부 필터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가습기 내부 필터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가습기 내부 필터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가습기 내부 필터구조가 다수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직 지지대12 : 관로
14 : 통기홀20 : 증발필터
30, 32 : 공기 공급 팬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외부동력을 사용하지 않는 자연증발 방식이면서 가습능력을 배가시키는 필터의 장착 구조를 갖는 증발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내의 습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가습방식으로는 초음파 가습방식, 히터 가습방식, 자연증발 가습방식, 강제증발 가습방식이 있다. 이 중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초음파 가습방식이나 강제증발 가습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가습기는 대부분 초음파로 물을 튕겨 내거나 팬을 회전시켜 강제 가습을 행하고 있다. 근래에는 자연증발 방식을 채용한 자연증발 가습기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증발 가습방식과 관련한 것으로서, 증발 가습기에 관한 기술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4-13102호에 그 일 예가 기술되어 있다. 도 1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4-13102호에 기술된 자연증발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증발 가습기(100)는 물을 저장하는 수반(110)과, 상기 수반(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1쌍의 거치대(120)와, 상기 1쌍의 거치대(120)에 일측이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반(110)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병렬로 설치되는 다수의 한지(13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증발 가습기(100)는 수반(110)에 저장된 물이 각각의 한지(130)에 흡수된 후 증발하여 가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의 한지(130)를 사용하여 증발을 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평면형 한지 등의 증발필터를 통해 가습하는 증발 가습기는 단위 면적당 증발필터를 설치할 수 있는 면적이 좁아 가습효과가 떨어지며, 증발필터를 다수 설치하게 되면 가습기가 과도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증발 가습기의 가습능력은 증발필터의 증발면적과 공기대류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종래의 평면형 증발필터로는 단위면적당 증발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고, 증발면적을 늘린다 하더라도 원활한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해결을 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을 증발하기 위한 증발필터가 수직 지지대를 감싸도록 설치하고, 수직 지지대를 이용하여 원할한 대류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가습효과를 증대하면서도, 가습기의 소형화를 가능하도록 하는 증발형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증발시키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물저장부, 수직으로 뻗은 얇은 관 형상으로 상기 물저장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2 이상 수직 지지대 및 상기 물저장부에 담긴 물에 하단이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수직 지지대를 감싸며 안착되는 증발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측면에 공기가 통하기 위한 통기홀이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측면에 공기가 통하기 위한 통기홀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 내의 관로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 지지대의 관로는 공기 공급 팬과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측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례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습기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직 지지대(10)가 수직으로 구비되고, 그 둘레를 증발필터(20)가 감싸고 있다.
수직 지지대(10)는 하측의 물저장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수직으로 형성된다. 수직 지지대(190는 일정 지름의 원기둥 형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관로(12; 도 3)를 형성한 관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지지대(10)의 하측은 물저장부(미도시)에 접촉되어 수직결합된다.
수직 지지대(10)가 결합되는 하측의 물저장부(미도시)에는 사용자가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여 고이게 된다. 물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물은 수직 지지대(10)를 감싸고 있는 증발필터(20)의 하단과 접촉하여 흡수된다. 증발필터(20)와 접촉된 물은 흡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증발필터(20)의 상측까지 침투하게 된다.
증발필터(20)는 물을 용이하게 흡수하고 전체에 퍼지게 하고 증발이 용이한 재질을 사용하며, 이를 방습천이라고도 한다. 증발필터(20)는 원기둥 또는 원형관 형상의 수직 지지대(10)를 감싸면서 끼워지는 형상이다. 수직 지지대(10)의 단면적보다 다소 크게 외부 경계를 형성하여 수직 지지대(10)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필터(20)를 수직 지지대(10)의 외부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습기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에 관로 및 통기홀이 형성된 필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직 지지대(10)의 중심은 비어 있어 관로(12)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홀(1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 지지대(10)에 끼워져 있는 증발필터(20)의 표면에 더욱 많은 공기가 접촉될 수 있도록 수직 지지대(10)를 관로(12)가 형성된 관으로 형성하고, 그 측면에 구멍인 통기홀(14)을 형성한다. 상단의 관로(12) 입구로 삽입된 공기는 측면의 통기홀(14)로 배출되면서 증발필터(20)와 더욱 많은 공기가 접촉하기 된다. 따라서 증발되는 물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습기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의 관로에 강제적인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필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직 지지대(10)의 중심은 관로(12)가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통기홀(14)이 구비되며, 관로(12)로는 공기 공급 팬(32)을 이용해 강제적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다.
관로(12)는 공기 공급 팬(32)에 의해 유속을 갖게 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단위 시간당 흐르는 공기의 량이 많아짐에 따라 통기홀(14)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량도 증가하면서, 증발이 촉진되게 된다. 도 4에는 공기 공급 팬(32)이 수직 지지대(10)의 상단 관로(12)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수직 지지대(10)의 하단을 통해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물저장부(미도시)의 하부에서 연결하게 된다.
한편, 증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0)의 측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팬(30)을 구비하여 강제적인 공기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 팬(32)을 이용해 수직 지지대(10)의 내부에 공기를 불어 넣는 동시에,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 팬(30)이 수직 지지대(10)의 외부에 공기를 불어 넣는 경우에는, 증발 필터(20)는 내외 면에 다량의 공기가 공급되어 증발이 활성화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습기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와 증발필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증발필터(20)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대(10)를 감싸게 되어 종래와 같이 평면의 증발필터(20)를 사용할 때보다 단위면적당 증발필터(20) 면적이 커지게 된다.
또한 수직 지지대(10)에 씌워진 증발필터(20)의 전 면적에 대해 골고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증발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결국, 단위 면적당 증발필터(20)의 면적이 커지는 동시에, 증발필터(20)의 각 부분에 대해 골고루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물의 증발량이 높아지게 된다.
도5와 같은 필터의 배열과 도1 과 같은 배열에서 단위 부피당 필터의 면적 비교 도1에서 필터를 200mm x 200mm x 5mm에 1장 배열할 경우 같은 면적에 들어가는 지름 5mm 높이 200mm의 막대 필터를 간격 5mm를 두고 배열하면 20개를 놓을 수 있다 도5의 필터 배열은 기존의 필터 배열 도1보다 1.6배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다.
본 발명은 증발을 이용한 가습기로서, 수직형의 수직 지지대에 증발필터가 끼워지도록 하여, 단위 면적당 증발필터의 공기 접촉면적을 높여 증발이 활성화되는 동시에 가습기 외관을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증발필터의 각 부분에 골고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증발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공기 중에 습기를 공급하는 증발형 가습기에 있어서,
    증발시키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물저장부;
    수직으로 뻗은 얇은 관 형상으로 상기 물저장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2 이상 수직 지지대; 및
    상기 물저장부에 담긴 물에 하단이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수직 지지대를 감싸며 안착되는 증발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의 측면에 통기홀이 구비되어 Fan에서 발생하는 측면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함으로 증발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의 측면에 공기가 통하기 위한 통기홀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 내의 관로로 공기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필터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의 흐름을 촉진하여 증발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의 관로는 공기 공급 팬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의 측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KR1020040053242A 2004-07-09 2004-07-09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KR20060004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242A KR20060004212A (ko) 2004-07-09 2004-07-09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242A KR20060004212A (ko) 2004-07-09 2004-07-09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12A true KR20060004212A (ko) 2006-01-12

Family

ID=3711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242A KR20060004212A (ko) 2004-07-09 2004-07-09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4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31B1 (ko) * 2012-09-19 2014-07-25 정인기 자연 증발식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31B1 (ko) * 2012-09-19 2014-07-25 정인기 자연 증발식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0121A1 (en) Humidifier
KR20140115491A (ko) 가습기
KR102054286B1 (ko)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0483968B1 (ko) 자연증발 가습기
JP5052433B2 (ja) 加湿機
US8651056B2 (en) Pet water bowl cooling system
KR20060004212A (ko) 증발형 가습기의 필터구조
KR101207904B1 (ko) 다공성 증발기를 이용한 자연 가습기
KR101728057B1 (ko)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JP2007139251A (ja) 加湿装置
CN216384445U (zh) 无雾加湿器
KR100462643B1 (ko) 자연증발 가습기
US20050133942A1 (en) Cartridge humidifier
JP2007278576A (ja) 加湿器具
KR101433850B1 (ko) 자연증발식 가습기
JP2009030856A (ja) 加湿装置
CN110440376B (zh) 一种蒸发式加湿器
CN111397056B (zh) 加湿器及加湿空气净化器
KR101423831B1 (ko) 자연 증발식 가습기
CN114151891A (zh) 无雾加湿器
KR200468188Y1 (ko) 자연 가습장치
KR20170028242A (ko) 기화식 가습기 및 이에 사용된 가습필터
KR101335110B1 (ko) 가습기
CN219433409U (zh) 蒸发式加湿装置
KR20090000927U (ko) 친환경 식물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