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851A - 차량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차량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851A
KR20060003851A KR1020050130902A KR20050130902A KR20060003851A KR 20060003851 A KR20060003851 A KR 20060003851A KR 1020050130902 A KR1020050130902 A KR 1020050130902A KR 20050130902 A KR20050130902 A KR 20050130902A KR 20060003851 A KR20060003851 A KR 2006000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vehicle
pallet
frame
clamp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318B1 (ko
Inventor
금세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05013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3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185Details for article conveyors, e.g. for contain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65G47/6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레트 등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각종 부품(자동차 부품 등)을 차량의 적재함에 1단 이상으로 설치된 컨베이어로 연속 적재 및 안정된 운송, 하역이 가능토록 하여 이송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차량 컨베이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1) 적재함(2)에 1단 이상으로 설치되어 각종 부품이 적재된 파레트(3)를 자동으로 적재, 이송, 하역할 수 있는 차량 컨베이어를 구성하되, 이는 상기 적재함(2)에 설치된 스토퍼(5a)를 갖는 프레임(5)상으로 설치되어 모터(6)에 의해 정역 구동이 가능한 컨베이어(4)와, 상기 프레임(5)상에 설치되어 파레트(3)를 적재함(2) 적재상태에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클램핑실린더(8)와, 상기 클램핑실린더(8)의 피스톤로드(9)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로드(10)와, 상기 프레임(5)상에 고정된 브라켓(12)에 축핀(13)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11)와, 상기 클램프(11)의 중도에서 일단이 축핀(16)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피스톤로드(9)와 연결로드(10)상에 각각 축핀(14)에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레버(15)로 이루어지는 클램핑수단(7,7a)과, 상기 클램핑수단(7,7a)중 컨베이어(4)의 후미에 설치되는 클램핑수단(7a)의 클램프(11)에 축핀(11c)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토션스프링(11b)으로 스톱핑 방향으로 탄력설치되는 스토퍼(11a)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4)가 설치되는 프레임(5) 후미에는 전개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와 연결되어 후측으로 슬라리드레일(19)을 따라 전개 가능한 보조컨베이어(18)를 선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 컨베이어(4)는 자동차 부품 등을 파레트(3)상에 고정, 적재하여 이송, 하역하되, 신속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파레트(3)를 컨베이어(4) 및 보조컨베이어(18)를 사용하여 적재장소에서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된 파레트(3)는 이송 도중 클램핑수단(7,7a) 및 프레임(5)의 스톱핑 기능으로 유동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운송이 가능하며 적재, 이송, 하역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인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차량 컨베이어, 컨베이어, 적재함, 클램핑수단, 클램프, 보조컨베이어

Description

차량 컨베이어{The cars conveyor}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의 일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하부 컨베이어를 발
췌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부 컨베이어를 발
췌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하부 컨베이어와 클
램핑수단 설치상태를 발췌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부 컨베이어와 클
램핑수단 설치상태를 발췌한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클램핑수단을 발췌
한 확대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클램핑수단의 작용
상태를 발췌한 확대 정면도
도 7c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클램핑수단을 발췌
한 확대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클램핑수단 중 컨베
이어 후미에 설치되어 스토퍼 기능을 동시에 행하는 클램핑수단을 발
췌한 확대 정면도
도 8b는 상기 클램핑수단의 작용상태를 보인 확대 정면도
도 8c는 상기 클램핑수단의 확대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컨베이어 프레임을
발췌한 평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컨베이어 프레임을
발췌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9c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컨베이어 프레임을
발췌한 확대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컨베이어 후미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보조컨베이어를 보인 평면도
도 10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에 있어서, 컨베이어 후미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보조컨베이어의 전개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의 일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차량 2: 적재함
3: 파레트 4: 컨베이어
5: 프레임 5a: 스토퍼
6: 모터 7,7a: 클램핑수단
8: 클램핑실린더 9: 피스톤로드
10: 연결로드 11: 클램프
11a: 스토퍼 11b: 토션스프링
11c: 축핀 12: 브라켓
13: 축핀 14: 축핀
15: 작동레버 16: 축핀
17: 로울러 18: 보조컨베이어
19: 슬라이더레일 20: 전개실린더
21: 피스톤로드
본 발명은 차량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파레트 등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각종 부품(자동차 부품 등)을 차량의 적재함에 1단 이상으로 설치된 컨베이어로 연속 적재 및 안정된 운송, 하역이 가능토록 하여 이송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차량 컨베이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산업계 전반에서 각종 부품 등을 특정 장소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주로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부품 등을 차량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컨베이어를 사용치 않고 적재함에 작업자의 인력에 의존하여 순차적으로 부품을 적재한 후 결속하여 이송을 행하고 있어 이송작업의 효율성 저하는 물론 인력낭비가 다대한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에 각종 부품 등을 차량 적재함에 적재하여 이송할 시에 발생하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 컨베이어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차량 적재함에 1단 이상으로 설치되어 각종 부품 등을 신속하게 적재 및 안정적인 운송, 신속한 하역이 가능토록 하여 이송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체계적인 운송작업이 가능토록 한 차량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의 일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3 내지 도 10b는 각 부위 발췌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통상의 차량(1)의 적재함(2)에 1단 내지는 2단으로 선택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시한 예는 적재함(2)에 2단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파레트(3) 등에 고정된 특정의 (자동차) 부품 등을 연속적으로 컨베이어(4)상에 신속하게 적재토록 하고, 적재와 동시에 파레트(3)는 유동 불가하게 클램핑되도록 하여 이송 시 유동이 발생치 않도록 하며, 하역 시는 연속적으로 신속한 하역이 가능토록 한 것인 바, 이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 본다.
상기 차량(1) 적재함(2)에 설치되는 컨베이어(4)는 상단부에 스토퍼(5a)를 갖는 프레임(5)상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파레트(3)를 적재하여 정역방향(적재 및 하역방향)으로 선택 구동할 수 있도록 정역구동 모터(6)에 의해 무한궤도형으로 권설되어 정역 구동되는 컨베이어(4)와, 상기 컨베이어(4)상에 안치되어 각종 부품을 적재 및 하역하는 수개의 파레트(3)를 적재 시에는 자동으로 클램핑하고, 하역 시에는 자동으로 언클램핑하는 클램핑수단(7)을 구비한다.
상기 클램핑수단(7)은 클램핑실린더(8)의 피스톤로드(9)와 연결로드(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3개(이러한 개수는 물론 파레트의 수에 따라 가감될 수 있는 것임)의 클램프(11)를 동시에 클램핑, 언클램핑 시킬 수 있도록 브라켓(12)상에 축핀(13)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11)의 중도를 피스톤로드(9)와 연결로드(10)상에 각각 축핀(14)에 각운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설치되는 작동레버(15)의 타단과 축핀(16)으로 연결토록 한다.
상기 피스톤로드(9)와 연결로드(10)상에 결합되는 축핀(14)에는 아이들링 가 능한 로울러(17)가 각각 축설치되어 작동레버(15)가 각운동 시에 프레임(5) 상면부와 연접되면서 아이들링되도록 한다.
이러한 클램핑수단(7)은 컨베이어(4)의 길이 및 파레트(3)의 크기에 따라 적재 가능한 파레트(3)의 수가 결정되므로 이에 맞추어 설치 개수는 정해진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수단(7) 중 컨베이어(4)의 후미에 설치되는 클램핑수단(7a)은 파레트(3)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파레트(3) 적재 시부터 클램핑 상태를 유지하다가 파레트(3)가 적재 시에 클램프(11)를 구성하는 스토퍼(11a)만 토션스프링(11b)의 탄성을 극복하고 각운동하면서 파레트(3)의 진입방향으로 각운동되었다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파레트(3)를 스톱핑할 수 있도록 클램프(11)상에 스토퍼(11a)를 축핀(11c)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토션스프링(11b)을 탄력 개재시킨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4)의 후미에는 차량(1)과 적재장소 상간에 발생하는 간격을 보충하기 위한 보조컨베이어(18)가 추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컨베이어(4)를 구성하는 프레임(5) 후미에 슬라이더레일(19)을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19)을 따라 전후진 가능토록 전개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와 보조컨베이어(18)를 상호 연결구성한 것이다.
도면중의 부호 3a는 파레트(3)상에 형성되는 클램핑홈, 22는 컨베이어(4)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수단, 23은 부품공장 등에 설치되는 리프팅 컨베이어, 24는 자동차 부품, 25는 보조컨베이어(18) 정역구동 모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차량 컨베이어(4)는 각종 자동차 부품 등을 파레트(3)상에 적재하여 연속으로 이송할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의 작용 등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차 부품공정 등에서 파레트(3)에 부품(24)를 고정하여 리프팅 컨베이어(23)등으로 차량(1) 적재함(2)에 적재를 행하기 위해 모터(6)를 구동하여 컨베이어(4)를 정방향으로 가동시키면, 컨베이어(4)가 가동되면서 파레트(3)가 프레임(5)을 따라 적재함(2) 내부로 순차 이송이 이루어지며, 이때 클램핑수단(7,7a) 중에서 적재함(2)의 후미에 설치된 스토퍼(11a)를 구비한 클램핑수단(7a)은 클램핑실린더(8)가 신장하여 피스톤로드(9)에 의해 작동레버(15)와 축핀(14)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브라켓(12)상에 축핀(13)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램프(11)가 상승 각운동하여 스토퍼(11a)가 진입되는 파레트(3) 높이 보다 높게 위치하는 바, 상기 스토퍼(11a)는 클램프(11)에 토션스프링(11b)으로 탄력설치되고 축핀(11c)에 의해 각운동 가능한 상태에 있으므로 파레트(3)가 진입 시에는 진입방향으로 토션스프링(11b)의 탄성을 극복하고 각운동하면서 파레트(3)의 진입은 허용하지만, 역으로 즉, 적재함(2)에서 파레트(3)가 하역되는 방향으로는 스토퍼(11a)가 각운동 되지 않아 만약에 파레트(3)가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파레트(3)가 적재함(2)에 진입 완료되면 적재함(2) 후미의 클램핑수단(7a)을 제외한 나머지 클램핑수단(7)이 클램핑 작동을 수행한다. 즉, 클램핑실린더(8)가 신장하여 피스톤로드(9)와 수개의 연결로드(10)에 연결된 작동레버(15)와 축핀(14)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브라켓(12)상에 축핀(13)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 된 클램프(11)가 상승 각운동하여 파레트(3)상에 형성된 클램핑홈(3a)상으로 상승 진입하여 파레트(3) 클램핑 작동을 수행하여 적재함(2)에 적재된 파레트(3)는 이송 도중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그리고 파레트(3)가 이송 도중 상부로 튀어 오르지 못하도록 프레임(5)상의 스토퍼(5a)가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컨베이어(4)의 후미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보조컨베이어(18)는 차량(1)과 적재장소 상간에 간격이 있을 시에 이를 보충할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4)를 구성하는 프레임(5) 후미에 설치된 전개실린더(20)를 신장작동시키면 피스톤로드(21)가 신장되면서 슬라이드레일(19)상으로 슬라이드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컨베이어(18)가 컨베이어(4) 후미측으로 신장되면서 적재함(2)과 적재장소 상간에 발생된 간격을 보상하여 파레트(3)를 안정적으로 적재 및 하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기와 같이 적재함(2)에 다수개의 파레트(3)를 안정적으로 적재하고, 이송장소로 이송을 행한 후 적재된 파레트(3)를 하역코자 할 시는 먼저 클램핑수단(7,7a)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시킨다. 즉, 각각의 클램핑실린더(8)를 수축작동시키면 피스톤로드(9) 및 수개의 연결로드(10)에 연결된 작동레버(15)가 각운동하면서 상승하여 클램핑 상태로 있던 각각의 클램프(11)가 하강 각운동하여 파레트(3)의 클램핑 상태가 해제되고, 모터(6,25)의 역방향 구동에 의하여 컨베이어(4) 및 보조컨베이어(18)를 통하여 파레트(3)가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고, 보조컨베이어(18)는 하역 및 적재 후에는 전개실린더(20)를 수축작동시켜 전개된 보조컨베이어(18)를 슬라이드레일(19)을 따라 컨베이어(4)측으로 인입시켜 이송을 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컨베이어(4)는 자동차 부품 등을 파레트(3)상에 고정, 적재하여 이송, 하역하되, 신속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파레트(3)를 컨베이어(4) 및 보조컨베이어(18)를 사용하여 적재장소에서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된 파레트(3)는 이송 도중 클램핑수단(7,7a) 및 프레임(5)의 스톱핑 기능으로 유동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운송이 가능하며 적재, 이송, 하역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인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2)

  1. 차량(1) 적재함(2)에 1단 이상으로 설치되어 각종 부품이 적재된 파레트(3)를 자동으로 적재, 이송, 하역할 수 있는 차량 컨베이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에 설치된 스토퍼(5a)를 갖는 프레임(5)상으로 설치되어 모터(6)에 의해 정역 구동이 가능한 컨베이어(4)와,
    상기 프레임(5)상에 설치되어 파레트(3)를 적재함(2) 적재상태에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클램핑실린더(8)와, 상기 클램핑실린더(8)의 피스톤로드(9)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로드(10)와, 상기 프레임(5)상에 고정된 브라켓(12)에 축핀(13)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11)와, 상기 클램프(11)의 중도에서 일단이 축핀(16)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피스톤로드(9)와 연결로드(10)상에 각각 축핀(14)에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레버(15)로 이루어지는 클램핑수단(7,7a)과,
    상기 클램핑수단(7,7a)중 컨베이어(4)의 후미에 설치되는 클램핑수단(7a)의 클램프(11)에 축핀(11c)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토션스프링(11b)으로 스톱핑 방향으로 탄력설치되는 스토퍼(11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4)가 설치되는 프레임(5) 후미에는 전개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와 연결되어 후측으로 슬라리드레일(19)을 따라 전개 가능한 보조컨베이어(1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컨베이어.
KR1020050130902A 2005-12-27 2005-12-27 차량 컨베이어 KR10069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902A KR100697318B1 (ko) 2005-12-27 2005-12-27 차량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902A KR100697318B1 (ko) 2005-12-27 2005-12-27 차량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851A true KR20060003851A (ko) 2006-01-11
KR100697318B1 KR100697318B1 (ko) 2007-03-20

Family

ID=3710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902A KR100697318B1 (ko) 2005-12-27 2005-12-27 차량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906B1 (ko) * 2023-09-07 2023-12-08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물류 운반차량 적재함의 적재 물품 자동 정렬 적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3635A (ja) 1981-11-27 1983-06-03 Sukeji Tone 荷物の送入送出装置
KR19980034889A (ko) * 1996-11-09 1998-08-05 오상수 워크이송용 팔레트의 스톱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906B1 (ko) * 2023-09-07 2023-12-08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물류 운반차량 적재함의 적재 물품 자동 정렬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318B1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4002B2 (en) Distribution facility
WO2000026125A1 (fr) Systeme de transporteurs
KR20150013210A (ko) 이송장치
KR100697318B1 (ko) 차량 컨베이어
KR101850379B1 (ko) 기계식 주차 운반기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US6413035B1 (en) Sheet working system
JP6535835B2 (ja) 荷積方法、及び荷降方法
JPH07257578A (ja) パレット構造
KR100353140B1 (ko)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적재및 하차방법
KR20000065183A (ko) 선반 저장 시스템의 선반 채널용 반송 장치
KR200445621Y1 (ko) 화물 적재장치
CN109455462B (zh) 伸缩输送机
AU756326B2 (en) Inverted power and free storage system
JP6644819B2 (ja) 搬送作業設備
JP5270290B2 (ja) 物品移載システム
EP4190722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KR102611906B1 (ko) 물류 운반차량 적재함의 적재 물품 자동 정렬 적재장치
CN218560349U (zh) 一种串焊机用出抓取出料组件
KR100359258B1 (ko) 대차(파레트)를 이용하여 자동차시트를 적재하거나이동시키는 장치
KR100369389B1 (ko) 완성 타이어의 이송적재 시스템
JP7222381B2 (ja) 物品収納設備
KR102459334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용 파렛트 이송장치
JP4176530B2 (ja) パレタイザを用いた物品出庫設備
KR200166908Y1 (ko) 대차(파레트)를 이용하여 자동차시트를 적재하거나 이동시키는 장치
JP6401643B2 (ja) 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