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599A -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599A
KR20060003599A KR1020040052551A KR20040052551A KR20060003599A KR 20060003599 A KR20060003599 A KR 20060003599A KR 1020040052551 A KR1020040052551 A KR 1020040052551A KR 20040052551 A KR20040052551 A KR 20040052551A KR 20060003599 A KR20060003599 A KR 2006000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earch target
target information
display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431B1 (ko
Inventor
진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431B1/ko
Priority to US11/128,919 priority patent/US7606564B2/en
Priority to CNA2005100806080A priority patent/CN1719842A/zh
Priority to EP05014791A priority patent/EP1615412A3/en
Publication of KR2006000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키를 이용하여 호를 발신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매핑 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대상을 추출하여 매핑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추출된 검색대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키를 선택하여 발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검색 대상이 배치되는 검색 화면을 설정하는 단계; 전화 번호 검색을 위해 설정된 상기 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된 상기 검색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키를 통하여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 단축번호 할당, 매핑

Description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using hot-key}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4*1 매트릭스 구조로 단축번호를 할당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2*2 매트릭스 구조로 단축번호를 할당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4*3 매트릭스 구조로 단축번호를 할당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4*3 매트릭스 구조에서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단축 번호를 할당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e 는 본 발명에 따른 4*3 매트릭스 구조에 있어서, 검색 화면에 이름 외에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축번호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호를 발신하는 호 발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편, 최근들어 멀티미디어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단말기가 보편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화번호부 검색-통화 기능은 사용자 편의 중심으로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기능은 주로 사람의 이름으로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이름순으로 나열하는 것이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전화번호의 일부, 그룹 분류, 저장 시간 등을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바로 걸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은 자주 사용하는 번호가 있을 경우, 다이얼 시 각 전화번호에 단축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전화번호 전체를 입력하지 않고도 한자리 내지 세자리까지의 단축키를 이용하여 쉽게 다이얼링하는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단축번호가 최초에 휴대폰에 이용되었을 경우 자주 사용하는 번호 9개까지를 1에서 9까지의 단축 번호에 매핑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점점 메모리가 늘어나고 있으며 아 울러 직장 동료 친구 등 자주 통화하는 사람이 늘어남으로써 열개 이상의 많은 전화번호에 단축번호를 할당하고 있으나 이는 단축번호를 별도로 외우지 않고서는 사용하기가 점점 어렵고 불편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화 번호 검색 화면에 표시된 전화번호, 이름, 이미지 혹은 그 조합의 위치에 대응되는 키를 이용하여 단축번호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매핑 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대상을 추출하여 매핑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추출된 검색대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키를 선택하여 발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검색 대상이 배치되는 검색 화면을 설정하는 단계; 전화 번호 검색을 위해 설정된 상기 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된 상기 검색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 하는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키를 통하여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0)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검색 대상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작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2)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검색 대상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4)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106)은 전화번호부(phone book)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라고 할 수 있다.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 키들과, 메뉴(menu), 취소(지움), 확인, 통화(TALK), 종료(END), 인터넷접속, 네비게이션키들(상/하/좌/우)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로 제공한다. 특히, 상기 4개의 네비게이션키들은 각각 특정 메뉴 아이템(예 : 메시지관리(←), 전화번호부(→), 최상위 메뉴 목록(↑), 뮤직박스(↓))으로 바로 진입할수 있는 단축키로도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스피커(116) 및 마이크(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 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22)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채널들(호출채널, 트래픽 채널 등)을 복조하거나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각종 채널들(억세스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을 생성하기 위한 블록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저장한 전화번호를 단말의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하며, 단축번호 검색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터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매트릭스 구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단축 번호 찾기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방식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106)로부터 데이터 즉, 검색대상을 매핑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키를 선택하여 발신을 수행하게 된다.
도 2a, 2b, 2c, 2d, 2e 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번호를 할당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4*1 매트릭스 구조로 단축번호를 할당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시 단축번호를 설정하거나 혹은 자동 설정되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는 제어부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매핑되어 저장된다.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위해 단축번호 검색화면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경우, 제어부는 저장된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매핑한 다음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4*1 매트릭스 구조로 단축번호를 설정하였을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도 2a 와 같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위치와 매핑되는 버튼을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하게 된다. 이때 매핑되는 키는 특수 문자를 제외한 숫자버튼으로만 구성된 열인 중앙열이 매핑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머니에게 전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4 행중 첫 번째 행에 해당하는 2번 버튼을 이용하여 발신을 하게 되며, 누나에게 전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4 행중 네 번째 행에 해당하는 0번 버튼을 이용하게 된다.
다음 검색 대상을 위해 검색창을 변경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통상적인 단말 키의 하나인 방향키를 이용하여 스크롤 되도록 하거나 새로운 4*1 매트릭스 화면이 열리도록 구현할 수 있다.
통상적인 전화번호 검색의 경우에는 검색 대상이 디스플레이 되면 이를 선택 하는 확인키를 누른 다음, 다시 통화키를 누름으로써 발신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지 화면에 보이는 순서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숫자 키를 누르는 것만으로 발신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1*3 매트릭스 구조로 설계한다면 키패드의 적절한 행의 키들에 매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2*2 매트릭스 구조로 단축번호를 할당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 는 2*2 매트릭스 구조의 예로써 이때는 키패드의 2*2 매트릭스 조합중 1,2,4,5 번 키와 매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화면에 나타난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면 별도의 통화키 없이도 발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2*2 매트릭스 구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누나에게 전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 행 1열에 위치한 4번 키가 단축번호가 된다.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4*3 매트릭스 구조로 단축번호를 할당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 는 가장 바람직한 4*3 매트릭스 구조로써 키패드의 모든 숫자키를 활용할 수 있어서, 화면에 표시된 위치와 매핑되는 키를 단축번호로 이용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박대리에게 전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3 행 3열에 위치한 9번 키가 단축번호에 해당된다. 따라서, 화면에 표시된 이름에 대응하는 키로써 편리하게 다이얼링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4*3 매트릭스 구조에서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단축 번호를 할당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수문자인 * 과 # 도 단축번호로 이용하는 경우이다. 즉, 숫자키가 아닌 특수문자에 대해서도 단축 번호 기능을 부여하는 방식으로서 보다 많은 검색 대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데이터베 이스로부터 검색 대상을 불러오는 경우, 제어부는 사장님’과 ‘박군’을 *, #에 별도로 매핑하도록 처리해야 한다.
도 2e 는 본 발명에 따른 4*3 매트릭스 구조에 있어서, 검색 화면에 이름 외에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이 점점 멀티미디어화됨으로 인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형태는 전화번호, 이름, 사진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이름과 사진, 이름과 전화번호, 사진과 전화번호, 혹은 이름과 전화번호와 사진 등 다양하게 조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2e 에서와 같이, 이미지 검색이 이용되는 경우는 이미지 저장, 편집, 혹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단말을 전제로 하며, 그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 최근들어 다양화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미지 정보를 전화번호부에 등록 가능하도록 구현된 단말인 경우에는, 등록된 사진들을 이용해 단축번호 검색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좀 더 많은 단축번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키패드의 특정 버튼 가령, 방향키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매트릭스 구조의 단축번호 화면을 동일하게 표현해 줄 수 있다. 즉, 최초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방향키 혹은 스크롤 기능으로 할당된 키를 눌러 새로운 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고, 이에 따라 재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키패드상의 단축번호를 선택함으로써 발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네비게이션키 즉, 방향키를 이용하여 검색 대상을 스크롤함으로써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이름을 선택할 수 있다.
매핑하는 방법은 그룹, 저장된 순서, 이름, 혹은 저장번지 등에 따라 해당 매트릭스 구성의 개수만큼 검색 대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가령 20명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가 1번에서 20번의 저장번지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4*3 매트릭스 구조로 설정되어 있다면, 1번에서 10번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순서에 맞게 화면상의 매트릭스에 매핑하며 디스플레이하며 이후 20번까지의 전화번호들은 스크롤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축번호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휴대폰 관리 기능으로부터 단축 번호의 검색 화면 방식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S10). 검색 화면 방식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매트릭스 구조에 따른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설정된 검색 화면 방식은 추후 사용자에 의한 재설정 이전까지는 동일한 방식이 적용된다.
사용자는 단축번호에 의한 전화 번호 검색을 원하는 경우, 별도의 단축번호검색을 위한 키를 선택하거나 최상위 메뉴로부터 전화번호 검색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S20). 단축 번호 검색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방식에 따른 검색 화면이 제공된다. 만일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화면 혹은 매트릭스 구조가 아닌 경우는 휴대폰 관리 모드로 돌아가 검색 화면 방식을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a, 2b, 2c, 2d, 2e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검색 화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선택한 모드에 따라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많은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4*3 매트릭스 구조의 검색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2e 와 같이, 이미지 검색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이미지 저장, 편집, 혹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단말을 전제로 함은 당연하다.
화면에 나타난 매트릭스 구조가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방식인 경우에 해당되어 사용자가 검색 방식 재설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른 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30). 사용자는 검색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발신대상을 선택하고, 이에 대응되는 키를 누름으로써 발신을 수행하게 된다(S40). 결국 사용자는 다양한 전화번호 검색 화면을 선택하여, 선택한 검색화면에 대응하는 키를 통하여 단축번호 발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전화 번호 검색 화면을 제공하고, 전화 번호 검색 화면에 표시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패드의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축번호의 할당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3)

  1.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검색 대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설정된 매핑 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검색대상 정보를 추출하여 매핑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매핑된 상기 복수의 검색대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검색대상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단축키를 선택하여 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복수의 매핑방식 중 어느 하나의 매핑방식에 따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매핑방식을 대신하여 새로운 매핑방식으로 재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방식은 매트릭스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5. 이동통신단말기의 호 발신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매핑방식에 따라 복수의 검색 대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검색 대상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단축키를 입력하여 호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발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대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복수의 검색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발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대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전화 번호 검색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화 번호 검색 메뉴 중 단축번호 찾기 메뉴를 선택하여 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발신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대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별도의 단축키를 선택하여 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발신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대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된 검색 화면이 원하는 검색화면이 아닌 경우 검색 화면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발신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검색화면에 표시된 검색대상에 대응하는 키패드 행렬에 위치하는 각각의 키를 통하여 발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발신 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대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검색 대상 정보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발신 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대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검색 대상 정보는 전화번호, 이름, 혹은 이미지 정보 중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호 발신 방법.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방식은 매트릭스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발신 방법.
KR1020040052551A 2004-07-07 2004-07-07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KR100621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551A KR100621431B1 (ko) 2004-07-07 2004-07-07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US11/128,919 US7606564B2 (en) 2004-07-07 2005-05-12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using hot-key
CNA2005100806080A CN1719842A (zh) 2004-07-07 2005-07-04 使用热键进行呼叫的设备和方法
EP05014791A EP1615412A3 (en) 2004-07-07 2005-07-07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a call using hot-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551A KR100621431B1 (ko) 2004-07-07 2004-07-07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599A true KR20060003599A (ko) 2006-01-11
KR100621431B1 KR100621431B1 (ko) 2006-09-08

Family

ID=3507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551A KR100621431B1 (ko) 2004-07-07 2004-07-07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06564B2 (ko)
EP (1) EP1615412A3 (ko)
KR (1) KR100621431B1 (ko)
CN (1) CN17198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30B1 (ko) * 2005-11-12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US20070263014A1 (en) * 2006-05-09 2007-11-15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key with scrolling in electronic devices
US8233886B2 (en) * 2007-08-15 2012-07-31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Accessing stored data objects using contact data corresponding to a remote communications party
JP5098839B2 (ja) * 2008-06-20 2012-12-12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US8564088B2 (en) * 2008-08-19 2013-10-22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variably laterally doped zone with decreasing concentration formed in an edge region
US8295454B2 (en) 2009-01-07 2012-10-23 Google Inc. Digital photo frame with dial-a-tag functionality
CN101763212B (zh) * 2009-04-30 2012-08-15 广东国笔科技股份有限公司 人机交互系统及其相关系统、设备和方法
KR101947462B1 (ko) * 2011-12-20 2019-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34876A (en) * 1983-08-18 1988-04-05 Yoshio Ichikaw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disabled on reception of a predetermined signal
FI97507C (fi) * 1995-01-05 1996-12-27 Nokia Mobile Phones Ltd Pikavalinta matkaviestimessä
TW546943B (en) * 1999-04-29 2003-08-11 Inventec Corp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with virtual keyboard
JP2001136251A (ja) * 1999-11-05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US6731316B2 (en) * 2000-02-25 2004-05-04 Kargo, Inc. Graphical layout and keypad response to visually depict and implement device functionality for interactivity with a numbered keypad
US6650901B1 (en) * 2000-02-29 2003-11-18 3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onfigured telephone service in a data network telephony system
JP4383864B2 (ja) * 2001-09-05 2009-12-16 徹 大田 文字入力機能を有する装置
FR2837941B3 (fr) * 2002-03-29 2004-06-25 Andre Marie Georges Baverel Clavier et methode de saisie
KR100455145B1 (ko) 2002-04-04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선택에 따른 도움말 표시방법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6947730B2 (en) * 2002-06-27 2005-09-20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enabling mobile telephones to have automatic multiple telephone number dialing capability to a same called par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5412A3 (en) 2011-04-27
KR100621431B1 (ko) 2006-09-08
US7606564B2 (en) 2009-10-20
CN1719842A (zh) 2006-01-11
US20060019715A1 (en) 2006-01-26
EP1615412A2 (en)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31450B (zh) 用于显示用户接口的设备和方法
JP3123990B2 (ja) 携帯無線端末
US8060839B2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701566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B2349725A (en) Multi-function key for a portable phone
JPH11331354A (ja) 通信端末機のダイヤル方法
EP1637978A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US76065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using hot-key
EP2312812A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shortcut numbers in a mobile terminal
JP2000112612A (ja) 電子機器
JP2003188976A (ja) 電話番号の検索方法
US2005006911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ountry codes
KR200700507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KR100700168B1 (ko) 단축키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84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20010000526A (ko) 자동 완성 방식의 전화 다이얼링 방법
KR1010165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방법
KR2005002893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
JPH10294781A (ja) 無線電話装置及び通信装置
KR100631706B1 (ko) 단축 번호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JP2000032113A (ja) 電話端末における番号表示機能
KR100654046B1 (ko)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100533036B1 (ko) 휴대단말기의 매크로 키버튼 운용방법
JPH10164211A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