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259A - 온돌 바닥층 구조 - Google Patents

온돌 바닥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259A
KR20060003259A KR1020040052077A KR20040052077A KR20060003259A KR 20060003259 A KR20060003259 A KR 20060003259A KR 1020040052077 A KR1020040052077 A KR 1020040052077A KR 20040052077 A KR20040052077 A KR 20040052077A KR 20060003259 A KR20060003259 A KR 20060003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ube
heating
layer
heating pipe
heat cond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Priority to KR1020040052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3259A/ko
Publication of KR20060003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돌 바닥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타설되어 건물의 기초 바닥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1) 상부에 배열하여 안착되며, 상부에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이 구비된 난방관 배관용 패널(2)과,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상기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에 의해 배관되어 고정되는 난방관(3)과,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재의 그물망 구조로 직조되어 상기 난방관(3)의 상부에 접촉상태로 배치되는 열전도부재(4)와,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부면에 열전도부재(4)의 와이어가 끼워져 삽입되는 안착홈(61)이 파여져, 이 열전도부재(4)를 난방관(3)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열된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6)와,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에 몰탈이 소정의 두께로 타설되어 형성되는 마감몰탈층(5)으로 구성되어 온돌바닥층의 마감몰탈층(5) 내부에 열전도부재(4)가 삽입되어 이 열전도부재(4)가 보강근 역할을 하여 주거 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마감몰탈층(5)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열전도부재(4)가 마감몰탈층(5) 내부에서 난방관(3)에 접촉된 상태로 이 삽입되어 난방관(3)에서 발생된 열을 빠르고 골고루 마감몰탈층(5) 전면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온돌 바닥층의 내구성과 난방효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온돌 바닥층 구조{Ondol-Floor Structure}
도 1은 종래 온돌 바닥층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온돌 바닥층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온돌 바닥층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온돌 바닥층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열전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크리트 슬라브층 2 - 난방관 배관용 패널
3 - 난방관 4 - 열전도부재
5 - 마감몰탈층 6 - 지지대
본 발명은 온돌 바닥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난방관 배관용 패 널의 상부에 타설되는 몰탈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난방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바닥 전체로 빠르고 고르게 전달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축물들의 콘크리트 슬라브 층에는 일정 두께로 된 경량 기포콘크리트의 상부로 온수순환을 위해 난방파이프를 배관시키고, 마감몰탈을 시공한 후 건조기간을 거쳐 그 상부면에는 장판지 등으로 마감하는 것에 의해 바닥면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온돌 바닥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파이프 구조로 그 내부로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가 순환되어 난방되는 난방관은 그 절곡상태 및 배치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난방관 고정구 등을 기포콘크리트 상부면에 설치하기도 한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온돌 바닥층 시공을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난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난방관 배관용 패널이 사용된다.
이 온돌바닥층은 통상적으로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 상부에 난방관 배관용홈(2c)이 형성된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을 배열하여 이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난방관 배관용홈(2c)에 난방관(3)을 배관한 후 이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로 몰탈을 타설하여 마감몰탈층(5)을 형성함으로써 시공인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은 통상 콘크리트 슬라브층(1) 상부로 소정의 두께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실내의 보온을 유지토록 하는 단열재의 하부판재(2a)와, 상기 하부판재(2a)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난방관(3)이 배치되는 간 격을 감안하여 난방관(3)을 안착시켜 배관할 수 있는 난방관 배관용홈(2c)이 형성되고, 일정강성을 가지는 상부판재(2b)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온돌 바닥층은 난방관 배관용 패널의 상부로 타설되는 마감몰탈의 열전도율이 높지 않아 난방관에서 발생한 열이 온돌바닥층 전체로 골고루 전달되기 위해선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열손실이 많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부판재에 형성된 난방관 배관용홈에 난방관이 삽입되어 마감몰탈과 난방관의 접촉면적이 적어 난방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몰탈은 단순히 시멘트에 물과 모래를 일정 비율로 섞어 이루어지므로 주거 시 온돌바닥층에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난방관 배관용 단열 패널 사이에 이음이 발생되고, 이 이음의 증대로 인해 이 마감몰탈에 균열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관의 상부에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메쉬망을 안착시킨 후 마감몰탈을 타설하여 난방관에서 발생된 열이 금속 메쉬망을 통해 온돌 바닥층 전체로 빠르고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여 난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온돌 바닥층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쉬망 사이로 마감몰탈이 타설되어 이 메쉬망이 보강근 역할을 하여 타설된 마감몰탈의 내구성을 증대시켜 주거 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온돌바닥층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돌 바닥층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타설되어 건물의 기초 바닥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1) 상부에 배열하여 안착되며, 상부에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이 구비된 난방관 배관용 패널(2)과;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상기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에 의해 배관되어 고정되는 난방관(3)과;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재의 그물망 구조로 직조되어 상기 난방관(3)의 상부에 접촉상태로 배치되는 열전도부재(4)와;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부면에 열전도부재(4)의 와이어가 끼워져 삽입되는 안착홈(61)이 파여져, 이 열전도부재(4)를 난방관(3)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열된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6)와;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에 몰탈이 소정의 두께로 타설되어 형성되는 마감몰탈층(5)으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즉, 난방관(3)에서 발생된 열이 열전도부재(4)를 통해 마감몰탈층(5) 전면으로 빠르게 전달되어 고르게 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전도부재(4)가 마감몰탈층(5)의 내부에 삽입되어 철근 콘크리트 의 철근과 같은 보강근 역할을 하여 마감몰탈층(5)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인 온돌 바닥층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난방관이 배관된 난방관 배관용 패널이 배열되고, 이 난방관 배관용 패널에 배관된 난방관 상부에 열전도부재를 안착한 후 몰탈을 타설하여 마감몰탈층을 형성하고, 이 마감몰탈층 상부에 바닥마감재를 덮어 마감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인 온돌 바닥층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인 온돌 바닥층의 구조를 확대하여 상세히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인 온돌 바닥층의 열전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 지지대의 상부에는 열전도부재의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양 측면과 전, 후면으로 뚫려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온돌 바닥층의 콘크리트 슬라브층(1)은 온돌 바닥층의 최하부에 위치되어 기초 바닥을 이루며 콘크리트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타설되어 형성된다.
이 콘크리트 슬라브층(1) 상부에는 난방관(3)을 배관하여 고정할 수 있는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이 구비된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이 상, 하, 종횡으로 연결되어 콘크리트 슬라브층(1) 전면에 배열된다.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은 일정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판부재(20)와;
단열재질로 이루어져 난방관(3)이 상부면으로 소정 부분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이 구비된 단열부재(2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은 난방관(3)의 직경보다 작은 깊이로 상기 단열부재(21)의 상부에 파여지는 배관용홈(22a)으로 형성된다.
즉, 콘크리트 슬라브층(1) 상부로 전면에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을 상, 하, 종, 횡으로 연결하여 배열한 후 상기 단열부재(21)의 상부에 파여진 배관용홈(22a)에 난방관(3)을 결합시켜 이 난방관(3)이 이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전면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관용홈(22a)은 난방관(3)의 직경보다 작은 깊이로 파여지므로, 이 배관용홈(22a)에 난방관(3)이 결합되어 배관되면 단열부재(21)의 상부면으로 난방관(3)이 소정 부분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관용홈(22a)은 난방관(3)의 직경을 가지는 반원형으로 파여져 난방관(3)이 결합하여 배관된 후 그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킴은 물론 난방관(3)의 절반 부분이 단열부재(21)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은 상기한 이외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난방관(3)을 배관하여 그 상부면으로 난방관(3)의 소정 부분 돌출시킬 수 있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에 배관된 난방관(3)의 상부에는 금속재 와이어 로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어 이루어진 열전도부재(4)가 콘크리트 슬라브층(1) 상부면에 배열된 이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전면을 덮도록 안착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에는 몰탈이 소정 두께로 타설되어 마감몰탈층(5)을 형성하여 온돌 바닥층의 시공을 완료한다.
즉,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에 노출된 난방관(3)에 의해 열전도부재(4)가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된 상태로 안착 배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으로 몰탈을 타설하여 마감몰탈층(5)을 형성하면, 몰탈이 열전도부재(4)의 눈 사이로 통과되어 결과적으로 마감몰탈층(5)의 내부에 이 열전도부재(4)가 난방관(3)과 접한 상태로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일러에서 가열된 유체가 난방관(3)을 통과하면서 발생된 열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열전도부재(4)를 통해 온돌 바닥층의 전체면으로 고르고 빠르게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열전도부재(4)는 마감몰탈층(5)을 이루는 몰탈이 열전도부재(4)의 눈 사이로 침투하여 각 와이어에 점착되어 굳어지므로, 양생된 후 마감몰탈층(5)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키는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과 같은 보강근 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상부면에 열전도부재(4)의 와이어가 끼워져 삽입되는 안착홈(61)이 파여져, 이 열전 도부재(4)를 난방관(3)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열된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6)는 난방관 배관용 패널(2)에 배관된 난방관(3)의 양 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놓여져 이 난방관(3)에 안착되어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으로 부터 소정높이로 지지된 열전도부재(4)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한다.
이 지지대(6)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안착홈(61)은 몸체의 전, 후, 양측면으로 뚫려 개방되는 십자형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대(6)는 열전도부재(4)의 와이어가 직교하는 교차부분이 십자형상의 안착홈(61)에 삽입되어 열전도부재(4)가 난방관(3)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몰탈을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로 타설될 경우 이 몰탈의 무게에 의해 열전도부재(4)가 휘어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생 시 마감몰탈층(5) 내부에서 균일한 높이로 열전도부재(4)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마감몰탈층(5)이 형성되면, 이 마감몰탈층(5)의 상부에 장판등과 같은 바닥마감재(7)를 덮어 온돌바닥층 시공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온돌바닥층의 마감몰탈층(5) 내부에 열전도부재(4)가 삽입되어 이 열전도부재(4)가 보강근 역할을 하여 주거 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마감몰탈층(5)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열전도부재(4)가 마감몰탈층(5) 내부에서 난방관(3)에 접촉된 상태로 이 삽입되어 난방관(3)에서 발생된 열을 빠르고 골고루 마감몰탈층(5) 전면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온돌 바닥층의 내구성과 난방효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타설되어 건물의 기초 바닥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층(1) 상부에 배열하여 안착되며, 상부에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이 구비된 난방관 배관용 패널(2)과;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상기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에 의해 배관되어 고정되는 난방관(3)과;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재의 그물망 구조로 직조되어 상기 난방관(3)의 상부에 접촉상태로 배치되는 열전도부재(4)와;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부면에 열전도부재(4)의 와이어가 끼워져 삽입되는 안착홈(61)이 파여져, 이 열전도부재(4)를 난방관(3)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열된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6)와;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의 상부면에 몰탈이 소정의 두께로 타설되어 형성되는 마감몰탈층(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바닥층 구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관 배관용 패널(2)은 일정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판부재(20)와;
    단열재질로 이루어져 난방관(3)이 상부면으로 소정 부분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이 구비된 단열부재(21)로 구성되고, 이 단열부재(21)의 상기 난방관 배관용 수단(22)은 난방관(3)의 직경보다 작은 깊이로 상기 단열부재(21)의 상부에 파여지는 배관용홈(22a)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바닥층 구조.
KR1020040052077A 2004-07-05 2004-07-05 온돌 바닥층 구조 KR20060003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077A KR20060003259A (ko) 2004-07-05 2004-07-05 온돌 바닥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077A KR20060003259A (ko) 2004-07-05 2004-07-05 온돌 바닥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259A true KR20060003259A (ko) 2006-01-10

Family

ID=3710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077A KR20060003259A (ko) 2004-07-05 2004-07-05 온돌 바닥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325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490A (ko) * 2005-05-24 2006-11-29 현대건설주식회사 화장실용 바닥 난방 구조
KR100954778B1 (ko) * 2007-01-02 2010-04-28 박수철 보일러 배관용 조립식 단열 패널
CN102061795A (zh) * 2010-11-25 2011-05-18 苏州新亚科技有限公司 地暖模块
KR102053584B1 (ko) * 2019-06-20 2019-12-06 이대광 조립식 온수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시공방법
CN116717833A (zh) * 2023-05-17 2023-09-08 深圳万用房屋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地热瓷砖及其制备方法
NO20220691A1 (en) * 2022-06-17 2023-12-18 Norsk Hydro As A composite product
CN116717833B (zh) * 2023-05-17 2024-05-31 深圳万用房屋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地热瓷砖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1338A (ko) * 1986-05-06 1987-12-22 김기언 고전열성 차음차열 온돌의 시공방법
JPH06124770A (ja) * 1992-10-13 1994-05-06 Nippon Dennetsu Co Ltd 電気カーペット
KR200247684Y1 (ko) * 2001-07-06 2001-10-17 김두화 온수 난방판
KR200257632Y1 (ko) * 2001-08-17 2001-12-24 최윤용 난방용 황토 판넬
KR20030037896A (ko) * 2001-11-07 2003-05-16 신두철 온돌 난방 시공용 패널 및 그 패널을 이용한 온돌난방구조
JP2003322349A (ja) * 2002-04-25 2003-11-14 Sewon:Kk 床暖房パネル及び床暖房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床暖房パネルを使用した暖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1338A (ko) * 1986-05-06 1987-12-22 김기언 고전열성 차음차열 온돌의 시공방법
JPH06124770A (ja) * 1992-10-13 1994-05-06 Nippon Dennetsu Co Ltd 電気カーペット
KR200247684Y1 (ko) * 2001-07-06 2001-10-17 김두화 온수 난방판
KR200257632Y1 (ko) * 2001-08-17 2001-12-24 최윤용 난방용 황토 판넬
KR20030037896A (ko) * 2001-11-07 2003-05-16 신두철 온돌 난방 시공용 패널 및 그 패널을 이용한 온돌난방구조
JP2003322349A (ja) * 2002-04-25 2003-11-14 Sewon:Kk 床暖房パネル及び床暖房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床暖房パネルを使用した暖房システ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490A (ko) * 2005-05-24 2006-11-29 현대건설주식회사 화장실용 바닥 난방 구조
KR100954778B1 (ko) * 2007-01-02 2010-04-28 박수철 보일러 배관용 조립식 단열 패널
CN102061795A (zh) * 2010-11-25 2011-05-18 苏州新亚科技有限公司 地暖模块
KR102053584B1 (ko) * 2019-06-20 2019-12-06 이대광 조립식 온수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시공방법
NO20220691A1 (en) * 2022-06-17 2023-12-18 Norsk Hydro As A composite product
NO347678B1 (en) * 2022-06-17 2024-02-19 Norsk Hydro As A composite product
CN116717833A (zh) * 2023-05-17 2023-09-08 深圳万用房屋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地热瓷砖及其制备方法
CN116717833B (zh) * 2023-05-17 2024-05-31 深圳万用房屋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地热瓷砖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609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
KR20060003259A (ko) 온돌 바닥층 구조
KR102053584B1 (ko) 조립식 온수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71581A (ko) 마그네슘 방열판, 상기 마그네슘 방열판을 포함하는 온돌 패널 및 상기 온돌 패널을 포함하는 온돌 패널 시스템
KR101078605B1 (ko) 복사 냉난방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73377A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54126B1 (ko)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재 시공 방법
JP2007163116A (ja) 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温水マット及び該温水マットを利用した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20060121490A (ko) 화장실용 바닥 난방 구조
WO2000001989A1 (fr) Panneau pour conditionnement d'air notamment de locaux et systeme l'utilisant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KR100644507B1 (ko) 주택내부 바닥의 결속 레일을 이용한 보일러 배관의설치구조
WO2008091070A1 (en) Heating structure using thermal insulating panel
KR200362128Y1 (ko)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100644508B1 (ko) 주택내부 바닥의 결속 레일을 이용한 보일러 배관의설치구조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00007759U (ko) 바닥 복사구조
KR20240078056A (ko) 공동주택용 난방호스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269044B2 (ja) 建物の床下断熱構造及び建物の床下断熱方法
KR200279317Y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판넬
KR100438878B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판넬
KR100769416B1 (ko) 온수 온돌조립용 세라믹 패널을 이용한 난방 바닥구조
KR200404342Y1 (ko) 바닥난방 시공을 위한 온돌용 조립식 경량패널
KR101315124B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
JPS63255464A (ja) 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