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83Y1 -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 Google Patents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83Y1
KR200368383Y1 KR20-2004-0025835U KR20040025835U KR200368383Y1 KR 200368383 Y1 KR200368383 Y1 KR 200368383Y1 KR 20040025835 U KR20040025835 U KR 20040025835U KR 200368383 Y1 KR200368383 Y1 KR 200368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late
bottom plate
floor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걸
Original Assignee
박성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걸 filed Critical 박성걸
Priority to KR20-2004-0025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돌용 바닥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하부에 제1고정홈이 형성된 단열용 기포 콘크리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제2고정홈이 다수 형성된 알루미늄 재질의 열전도판을 부착하고, 배관을 끼운 후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바닥 마감재로 마감하여 난방시 하단부는 단열효율을 높이고 상단부는 발열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는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온돌 시공을 위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알루미늄 재질의 열전도판을 사용함으로써 건물의 하중을 줄이고 단열과 발열효과를 높여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어 난방용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ONDOL FLOORING MATERIAL FOR FLOOR HEATING CONSTRUCTION}
본 고안은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돌용 바닥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하부에 배관용 홈이 형성된 단열용 기포 콘크리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배관홈을 가진 알루미늄판을 부착하고, 배관을 끼운 후 시멘트로 마감하여 단열효율을 높이고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는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물의 난방을 위한 시설은 온수보일러를 설치하고, 난방배관에서 발산되는 열이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단열재가 슬라브면 위에 적층되고, 그 위에 난방배관을 고정시키는 기반재가 적층된 후, 철재 또는 PVC 재질의 난방배관이 기반재에 매설되어 구성된다. 그 위에 열을 실내로 전달시키면서 동시에 바닥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바닥층이 적층되고, 마지막으로 마감재가 바닥층의 위에 적층된다.
온수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온수는 난방배관을 순환하게 되고, 난방배관에서 발생하는 열은 기반재와 바닥층을 통해 마감재에 전달되어 실내를 따뜻하게 한다.
이때 난방배관을 통해서 발산되는 열이 기반재와 바닥층을 통과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기반재와 바닥층의 열전달 효율이 떨어질 경우에는 난방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연료비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며, 단열재의 단열효율이 떨어질 경우에도 열이 아래층으로 발산되어 열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한편, 슬라브면의 위에 적층되는 단열재가 일반적인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경우 콘크리트의 중량이 커서 슬라브면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한다. 따라서 건물 층간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열재로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건물의 하중을 줄이고, 단열효과를 극대화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난방배관과 바닥판과의 사이에 알루미늄판을 설치함으로써,열전달 효율을 높이고 바닥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닥판의 양측면에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건물 완공 후에 사람이 거주함으로써 발생하는 하중에도 바닥면이 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돌용 바닥재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온돌용 바닥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접착공이 형성된 열전도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시멘트 바닥판과 콘크리트 바닥판의 접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측면에 고정핀이 형성된 지지대를 나타낸 구조도.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난방배관이 매설되는 온돌용 바닥재로서, 발포제가 혼합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상면에 제1고정홈이 다수 형성되는 콘크리트 바닥판과; 장방형의 막대 형상으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일측면이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대와; 장방형의 막대 형상으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에 배관고정홈이 일자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양측단에 밀착되는 배관연결대와; 상기 큰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난방배관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역 오메가 형상의 제2고정홈이 다수 절곡되어 형성되는 열전도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목재, 플라스틱, 철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고정핀이 다수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은 황토, 마사토, 생석회 중 어느 하나를 추가로 혼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도판에는 다수의 접착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도판의 상부에 밀착되는 시멘트 바닥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 바닥판은 상기 열전도판에 형성된 상기 접착공을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과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돌용 바닥재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온돌용 바닥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이하 '바닥재'라 한다.)는 한 쌍의 지지대(102), 배관연결대(104), 콘크리트 바닥판(106), 열전도판(108), 난방배관(110), 마감재(112)로 구성된다.
지지대(102)는 목재, 플라스틱, 철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바닥판(106)의 양측면에서 지지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바닥재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다수의 바닥재가 서로 밀착되어 넓은 바닥을 형성하게 되므로 지지대(102)와 콘크리트 바닥판(106)이 번갈아가며 위치하게 된다.
배관연결대(104)는 지지대(102)의 사이에서 콘크리트 바닥판(106)의 양측단을 지지한다. 배관연결대(104)의 상부면에는 배관고정홈(132)이 형성된다. 배관연결대(104)는 지지대(102)와 함께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지탱하여 바닥재가 움직이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콘크리트 바닥판(106)은 발포제가 혼합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상면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다수의 제1고정홈(13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바닥판(106)을 형성하는 방법은 한 쌍의 지지대(102)와 배관연결대(104)를 설치한 후, 철사로 콘크리트 바닥판(106)의 형상의 거푸집을 만들고, 지지대(102)와 배관연결대(104)의 사이에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순서로 구성된다. 이때 거푸집의 형상에 제1고정홈(134)이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고, 기포 콘크리트의 타설 후, 완전히 굳어지기 전에 콘크리트 바닥판(106)의 상면을 긁어서 제1고정홈(134)을 만들 수도 있다.
콘크리트 바닥판(106)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하는데, 기포 콘크리트는 흡습성과 건조수축이 일반 콘크리트보다 훨씬 크다. 이를 위해 시멘트 반죽에 발포제를 섞어 부풀리거나 따로 만든 포말을 섞어 굳힌 것으로서, 상온, 상압에서 양생한다.
이외에도 실리카분이 많이 들어있는 모래와 생석회를 주 원료로 하여 슬러지에 발포제와 안정제 등을 섞어 거푸집에 넣고, 발포, 팽창하여 제작하는 오토클레이브 경량 기포 콘크리트(ALC)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오토클레이브는 흡수건조할 때 용적변형이 적고 균열이 잘 생기지 않으며 단열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단열성이 좋고 중량이 가벼운 기포 콘크리트라면 어떠한 종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통상적인 콘크리트 바닥판(106)의 두께는 20 내지 25㎜ 정도이다.
한편, 콘크리트 바닥판(106)의 설치를 위하여 시멘트와 발포제 이외에 황토,마사토, 생석회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난방시에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거주자에게 이로운 효과를 낼 수 있다.
콘크리트 바닥판(106)의 양생이 완료되면, 그 위에 열전도판(108)을 덮는다. 열전도판(108)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열전달을 크게 하여 난방열이 건물 바닥 전체에 골고루 퍼지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큰크리트 바닥판(106)의 제1고정홈(134)에 삽입되는 제2고정홈(136)이 제1고정홈(134)의 숫자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얇은 열전도판(108)의 가운데 일부분을 상부의 입구가 좁은 역 오메가(Ω)형으로 절곡하여 제1고정홈(134)에 끼워질 수 있게 하고 그 내부에 난방배관(110)을 수용하는 것이다.
열전도판(108)의 제2고정홈(136)에는 도2에서와 같이 보일러로부터 방출된 온수가 순환하는 난방배관(11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제1고정홈(134)의 크기는 제2고정홈(136)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고정홈(136)의 크기는 난방배관(11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서, 윗부분의 입구쪽이 좁은 역 오메가(Ω)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난방배관(110)이 제2고정홈(136)에 삽입되어도 열전도판(108)의 상면은 거의 평평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배관고정홈(132)과 제1고정홈(134)의 수직 단면은 타원형, 반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고정홈(136)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라면 어떤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난방배관(110)이 설치된 후에는 마지막으로 마감재(112)가 열전도판(108)의 상면에 설치된다. 마감재(112)로는 나무, 타일, 대리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시멘트 모르타르를 깔아서 마감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3은 접착공이 형성된 열전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4는 시멘트 바닥판과 콘크리트 바닥판의 접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열전도판(108)의 평평한 부분에는 다수의 접착공(13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접착공(138)이 형성된 열전도판(108)은 마감재(112)로서 나무나 타일이 아닌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즉 접착공(138)은 열전도판(108)을 관통하는 통공으로서, 접착공(138)을 통하여 시멘트가 콘크리트 바닥판(106)과 접촉하게 된다.
마감재(112)로서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경우, 시멘트 바닥판(114)의 형성을 위하여 난방배관(110)이 삽입, 고정된 열전도판(108)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붓는다. 따라서 열전도판(108)의 접착공(138)을 통하여 시멘트가 관통하여 콘크리트 바닥판(106)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시멘트 바닥판(114)과 콘크리트 바닥판(106)이 도4에서와 같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만약 접착공(138)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부의 콘크리트 바닥판(106)과 상부의 시멘트 바닥판(114)이 밀착하지 않게 되고, 위로부터의 진동이나 하중에 의하여 균열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바닥판(114)의 두께가 훨씬 두꺼워져야 하며, 이로 인하여 건물의 하중이 커지고 난방배관(110)으로부터의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와같이 콘크리트 바닥판(106)과 시멘트 바닥판(114)이 접착공(138)을 통하여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균열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하중이 작아지며 열효율이 높아진다.
도5는 측면에 고정핀이 형성된 지지대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고정핀(142)은 철재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102)를 관통하여 측면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고정핀(142)은 콘크리트 바닥판(106)의 타설시에 기포 콘크리트 속에 매설되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대(102)를 관통하게 설치할 수도 있으나, 지지대(102)의 측면에 못을 박아서 고정핀(142)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에도 그 권리가 미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온돌 시공을 위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건물의 하중을 줄이고 단열성을 높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온돌 시공시에 상부의 시멘트 바닥판과 하부의 콘크리트 바닥판을 견고하게 밀착하여 진동이나 하중에도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온돌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난방배관이 매설되는 온돌용 바닥재에 있어서,
    발포제가 혼합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상면에 제1고정홈이 다수 형성되는 콘크리트 바닥판과;
    장방형의 막대 형상으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일측면이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대와;
    장방형의 막대 형상으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면에 배관고정홈이 일자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양측단에 밀착되는 배관연결대와;
    상기 큰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난방배관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역 오메가 형상의 제2고정홈이 다수 절곡되어 형성되는 열전도판;을 포함하는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목재, 플라스틱, 철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고정핀이 다수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은
    황토, 마사토, 생석회 중 어느 하나를 추가로 혼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에는 다수의 접착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의 상부에 밀착되는 시멘트 바닥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 바닥판은
    상기 열전도판에 형성된 상기 접착공을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과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KR20-2004-0025835U 2004-09-08 2004-09-08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KR200368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35U KR200368383Y1 (ko) 2004-09-08 2004-09-08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35U KR200368383Y1 (ko) 2004-09-08 2004-09-08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83Y1 true KR200368383Y1 (ko) 2004-11-18

Family

ID=4944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835U KR200368383Y1 (ko) 2004-09-08 2004-09-08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56B1 (ko) 2006-10-27 2008-03-21 주식회사 디엔텍 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444B1 (ko) 2009-12-23 2012-07-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배관 작업이 용이한 온돌 바닥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56B1 (ko) 2006-10-27 2008-03-21 주식회사 디엔텍 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444B1 (ko) 2009-12-23 2012-07-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배관 작업이 용이한 온돌 바닥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428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68383Y1 (ko) 바닥 난방시공을 위한 온돌용 바닥재
KR102053584B1 (ko) 조립식 온수온돌용 열전도판 및 그 시공방법
KR200380909Y1 (ko) 열효율을 높인 온돌용 바닥재
KR200415190Y1 (ko) 온돌 난방용 조립식패널
KR20220002331U (ko) 건식 난방구조용 모듈패널 및 그 모듈패널을 이용한 건식 바닥난방 시공구조
CN112376771A (zh) 装配式楼地面保温隔声一体化板及其施工方法
KR100327304B1 (ko) 소음및진동차폐를위한개량된공동주택바닥구조
KR200404329Y1 (ko) 온돌용 조립식 단열패널
KR102623639B1 (ko) 온실 가스 저감을 위한 방고래 난방 공법 및 그 온돌 장치
KR200265130Y1 (ko) 파이프 고정대를 구비한 후렉시블 단열판
KR200294592Y1 (ko) 온돌 패널 고정 장치
KR200404342Y1 (ko) 바닥난방 시공을 위한 온돌용 조립식 경량패널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7537706U (zh) 一种装配式地面一体化结构
CN214614883U (zh) 装配式楼地面保温隔声一体化板
KR20060003259A (ko) 온돌 바닥층 구조
KR100711493B1 (ko) 각재를 이용한 바닥고정식 상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4739408B2 (ja) 乾式暖房システムの2枚上板の施工構造及び方法
KR100448023B1 (ko) 건식 온돌 패널 공법
JP2000297523A (ja) タイル床暖房の施工方法
CN218437825U (zh) 一种装配式坡瓦屋面防水保温板与型钢的连接结构
KR200389480Y1 (ko) 열효율을 높인 온돌용 경량패널
JPH0728493Y2 (ja) 建築用ボード
KR200354815Y1 (ko) 조립식 온돌용 바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