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828A -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828A
KR20060000828A KR1020040049802A KR20040049802A KR20060000828A KR 20060000828 A KR20060000828 A KR 20060000828A KR 1020040049802 A KR1020040049802 A KR 1020040049802A KR 20040049802 A KR20040049802 A KR 20040049802A KR 20060000828 A KR20060000828 A KR 20060000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function
time
automatic respons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0452B1 (ko
Inventor
이종관
오정용
추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04004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4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pplications where calls are combined with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 H04M2203/651Text message transmission triggered by c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되, 자동응답 설정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가능시간을 함께 안내함과 아울러,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통화가능 모드로 복귀하도록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에 있어서,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하되, 해당 기능의 작동시간을 함께 설정하는 단계; 핸드폰의 벨소리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전화수신시 자동응답기능 작동시간을 카운트하여 자동응답 메시지와 함께 통화가능시간을 발신자의 핸드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시간카운트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고 벨소리를 온시켜 정상 통화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핸드폰, 전화단말기, 자동응답, 통화거부, 회의중, 알림 메시지, 설정시간

Description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UTO RESPONSE WITH HAND PHON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핸드폰 등 휴대용 단말기들은 어느 장소에서나 긴급한 연락을 취할 수 있어 그 사용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은 유선전화와는 달라서 수신자의 수신위치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수신자의 대화 가능 상태가 유선전화와 같이 일정하지 않다. 즉 사무실과 같이 안락한 상황에서 길게 대화를 해도 좋을 상황이 있는가 하면 회의와 같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호가 착신되어 전화벨이 울리게 되는 경우 주위에 불편함을 주거나 동시에 사용자를 당황하게 하는 등 많은 불편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꺼놓게 되는 경우 발신자는 휴대폰의 전원이 꺼져있다는 단순한 메시지만을 전송받거나 그대로 신호가 울려 수신자의 상황을 이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하면, 사용자는 핸드폰 메뉴에서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S10~S11).
상기와 같이 자동응답 기능이 설정되면, 벨소리가 오프되어 회의 등과 같은 기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업무에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자동응답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사용자 핸드폰의 벨소리는 울리지 않으나 예로서 '지금은 회의중입니다.'라는 자동응답 메시지가 발신자(상대방)의 전화로 송신된다(S12~S14).
이후, 회의가 끝났을 경우 사용자는 자동응답 기능을 해제한다. 따라서, 벨소리 기능이 온되고 통상의 통화가능 모드로 전환된다(S15~S16).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여야만 하므로, 만일 사용자가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한 것을 잊어버린 경우 계속해서 통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신자는 '지금은 회의중입니다.'라는 자동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상황은 인식할 수 있으나 회의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언제쯤 통화가 가능한지 등을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되, 자동응답 설정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가능시간을 함께 안내함과 아울러,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통화가능 모드로 복귀하도록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에 있어서,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하되, 해당 기능의 작동시간을 함께 설정하는 단계; 핸드폰의 벨소리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전화수신시 자동응답기능 작동시간을 카운트하여 자동응답 메시지와 함께 통화가능시간을 발신자의 핸드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시간카운트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고 벨소리를 온시켜 정상 통화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드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자동응답의 시간 카운터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며,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전화단말기에 문자로 송신한다.
또한, 시간카운트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종료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응답기능을 해제하고 벨소리를 온시켜 정상 통화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설정되는 자동응답 기능은 토글기능을 갖는 원터치 버튼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하되, 해당 기능의 작동시간을 함께 설정하는 단계(S20~S22); 핸드폰의 벨소리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전화수신시 자동응답기능 작동시간을 카운트하여 자동응답 메시지와 함께 통화가능시간을 발신자의 핸드폰으로 송신하는 단계(S23~S26); 시간카운트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고 벨소리를 온시켜 정상 통화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S27~S29)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핸드폰 메뉴에서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 기능의 작동시간을 함께 설정한다. 즉, 사용자가 지금 회의에 참석하려고 하는데 회의시간이 1시간 정도소요 될 경우 사용자는 핸드폰 메뉴를 통하여 자동응답기능에서 회의중에 따른 안내 메지시를 선택함과 아울러, 타이머 작동시간을 1시간으로 설정한다(S20~S22).
이와 같이 자동응답 기능이 설정되면, 벨소리가 오프되어 회의 등과 같은 기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업무에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자동응답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자동응답기능 작동시간을 카운트하여 자동응답 메시지와 함께 통화가능시간을 발신자의 핸드폰으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핸드폰의 벨소리는 울리지 않으며, 발신자(상대방)의 전화에는 예로서 '지금은 회의중입니다. 30분후에 통화가 가능합니다.'라는 자동응답 메시지가 송신된다(S23~S26).
이때, 타이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는 통화가능시간이 20분후, 10분후로 실시간으로 계산되어 현재시점으로부터 정확한 통화가능시간이 출력된다.
이후, 시간카운트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고 벨소리를 온시켜 정상 통화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핸드폰 자체에서 자동으로 처리된다(S27~S29).
한편, 설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회의가 끝났을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자동응답 기능을 해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벨소리 기능이 온되고 통상의 통화가능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에서는 일 실시 예로서 회의 중일 때를 예로 들었어나, 사용자가 시험을 보고 있거나, 운전중이거나, 병원 또는 비행기 기내 등 통화를 할 수 없는 곳에서 각각의 상황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음성 녹음 또는 문자 입력을 통하여 통화 불가능한 상황의 장소 이름을 입력하여 응답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자동응답의 시간 카운터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전화단말기에 문자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설정되는 자동응답 기능은 토글기능을 갖는 원터치 버튼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버튼 하나만 누름으로써 간편하게 자동응답기능을 선택/해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통신사 서버의 중계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에 있어서,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하되, 해당 기능의 작동시간을 함께 설정하여 통신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통신사 서버에서 전화수신시 자동응답기능 작동시간을 카운트하여 자동응답 메시지와 함께 통화가능시간을 발신자의 핸드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통신사 서버의 시간카운트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고 정상 통화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통신사 서버의 중계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함으로써, 핸드폰의 메모리 부족 문제 및 수신 불능 지역 등에서도 효과적으로 자동응답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여기서도, 설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회의가 끝났을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자동응답 기능을 해제할 수도 있으므로, 통상의 통화가능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사용자가 시험을 보고 있거나, 운전중이거나, 병원 또는 비행기 기내 등 통화를 할 수 없는 곳에서 각각의 상황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음성 녹음 또는 문자 입력을 통하여 통화 불가능한 상황의 장소 이름을 입력하여 응답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통신사 서버의 제어를 통하여 자동응답의 시간 카운터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전화단말기에 문자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되, 자동응답 설정시간을 카운트하여 통화가능시간을 함께 안내함으로써, 발신자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언제쯤 통화가 가능한 지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통화가능 모드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한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도 자동으로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핸드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자동응답의 시간 카운터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전화단말기에 문자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설정되는 자동응답 기능은 토글기능을 갖는 원터치 버튼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버튼 하나만 누름으로써 간편하게 자동응답기능을 선택/해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회의중일때나, 사용자가 시험을 보고 있거나, 운전중이거나, 병원 또는 비행기 기내 등 통화를 할 수 없는 곳에서 각각의 상황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음성 녹음 또는 문자 입력을 통하여 통화 불가능한 상황의 장소 이름을 입력하여 응답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통신사 서버의 중계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함으로써, 핸드폰의 메모리 부족 문제 및 수신 불능 지역 등에서도 효과적으로 자동응답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에 있어서,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하되, 해당 기능의 작동시간을 함께 설정하는 단계;
    핸드폰의 벨소리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전화수신시 자동응답기능 작동시간을 카운트하여 자동응답 메시지와 함께 통화가능시간을 발신자의 핸드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시간카운트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고 벨소리를 온시켜 정상 통화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자동응답의 시간 카운터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 송신 기능을 이용 하여 발신자의 전화단말기에 문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시간카운트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종료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응답기능을 해제하고 벨소리를 온시켜 정상 통화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설정되는 자동응답 기능은 토글기능을 갖는 원터치 버튼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는 사용자가 직접 음성 녹음 또는 문자 입력을 통하여 통화 불가능한 상황의 장소를 입력하여 응답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7. 통신사 서버의 중계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에 있어서,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자동응답 기능을 설정하되, 해당 기능의 작동시간을 함께 설정하여 통신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통신사 서버에서 전화수신시 자동응답기능 작동시간을 카운트하여 자동응답 메시지와 함께 통화가능시간을 발신자의 핸드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통신사 서버의 시간카운트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고 정상 통화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통신사 서버의 자동응답 시간 카운터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전화단말기에 문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시간카운트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종료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응답기능 해제를 요청할 경우에 핸드폰 정상 통화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의 메뉴를 통하여 설정되는 자동응답 기능은 토글기능을 갖는 원터치 버튼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는 사용자가 직접 음성 녹음 또는 문자 입력을 통하여 통화 불가능한 상황의 장소를 입력하여 응답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1020040049802A 2004-06-29 2004-06-29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10065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802A KR100650452B1 (ko) 2004-06-29 2004-06-29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802A KR100650452B1 (ko) 2004-06-29 2004-06-29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828A true KR20060000828A (ko) 2006-01-06
KR100650452B1 KR100650452B1 (ko) 2006-11-29

Family

ID=3710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802A KR100650452B1 (ko) 2004-06-29 2004-06-29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45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22B1 (ko) * 2006-01-10 2007-10-05 박정일 부재신호 자동발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
KR101179891B1 (ko) * 2006-04-18 201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367804B1 (ko) * 2011-11-23 2014-02-26 주식회사 서오기전 스마트폰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104456A1 (ko) * 2012-12-31 2014-07-03 주식회사 서오기전 스마트폰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12519A1 (ko) * 2013-07-26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63681B2 (en) 2014-04-07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paired with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22B1 (ko) * 2006-01-10 2007-10-05 박정일 부재신호 자동발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
KR101179891B1 (ko) * 2006-04-18 201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367804B1 (ko) * 2011-11-23 2014-02-26 주식회사 서오기전 스마트폰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104456A1 (ko) * 2012-12-31 2014-07-03 주식회사 서오기전 스마트폰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12519A1 (ko) * 2013-07-26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995933A (zh) * 2013-07-26 2015-10-21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532199B2 (en) 2013-07-26 2016-1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4995933B (zh) * 2013-07-26 2019-07-09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063681B2 (en) 2014-04-07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paired with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341480B2 (en) 2014-04-07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paired with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452B1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7795B1 (en)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tandby feature
US200701420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coming calls using different voice services on a multi-mode wireless device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68952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an incoming call
GB2337666A (en) Call handling in mobile telephones
KR100650452B1 (ko)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100575765B1 (ko) 푸시투토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JPH08228236A (ja) 電話システム
KR1004829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KR100743360B1 (ko)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KR200300804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798260B1 (ko)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단말기 및 시스템
GB2380636A (en) Mobile phone system for notifying caller of unavailability of a user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100293091B1 (ko) 개선된전원 "온(on)/오프(off)" 기능을구비한개인휴대통신시스템
JPH04351127A (ja) 無線電話装置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KR100576004B1 (ko)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698292B1 (ko) 휴대폰 통화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50072982A (ko) 수신자 상황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JPH0654044A (ja) 携帯電話端末装置および発呼データ登録方法
KR100455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2003007124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투 넘버 서비스 방법
KR20040048228A (ko) 이동통신 단말기간 자신의 상태정보 송출 확인 장치 및 그방법
KR2005001563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