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697A -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697A
KR20060000697A KR1020040049635A KR20040049635A KR20060000697A KR 20060000697 A KR20060000697 A KR 20060000697A KR 1020040049635 A KR1020040049635 A KR 1020040049635A KR 20040049635 A KR20040049635 A KR 20040049635A KR 20060000697 A KR20060000697 A KR 2006000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neral
bio
composition
photo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932B1 (ko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오 filed Critical (주)디오
Priority to KR1020040049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9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10Lime cements or magnesium oxide cements
    • B01J35/39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8Compounds chosen for their latent hydraulic characteristics, e.g. pozzuo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 성능이 우수하고 표면에 쵸킹이 발생하지 않으며 유해 가스의 탈취 효과, 항균, 항곰팡이 성능, 결로 억제 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바이오 미네랄 벽바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소석회 20 ~ 60 중량%; (b) 다공성 미네랄 재료 20 ~ 50 중량%; (c)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 방사체 1 ~ 10 중량%; (d) 무기 안료 0.1 ~ 0.5 중량%; 및 (e)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분말 0.1 ~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착성, 친환경 특성, 바이오 특성 및 탈취 특성이 우수하며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방사하는 친환경적인 주거 공간에 적합한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미네랄, 바이오, 친환경, 탈취,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 광촉매

Description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ECO-FRIENDLY WALL PAINT COMPOSITION USING MINERAL BIO MATERIALS}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결로 특성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환경친화형 벽바름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미네랄 원료로 구성되어 새집 증후군에 효과적인 환경 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벽지로는 일반적으로 염화비닐 벽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벽지에는 가소제로 독성이 강하며 내분비 교란 물질로 알려진 프탈산화합물(DBP)과 접착제로서 포름 알데히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벽지가 모노염화비닐벽지로서 유기 염소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기 때문에 소각시 다이옥신이 발생될 우려가 많다.
이에 따라 벽지를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일례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0-183023호를 들 수 있는데, 상기 공보의 벽바름재 조성물은 히드라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카보닐기 함유 공중합체 에멀젼에 안료 및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 산화물은 광촉매 활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합성 수지 에멀젼을 갖는 조성물은 에멀젼 내부에 미반응의 모노머가 일부 존재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발생하며, 난연성의 확보가 어렵다.
또,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3-336374호는 대나무 숯, 바인더 및 안료를 포함하는 벽바름재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도 바인더로 메틸 셀룰로오스,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 또는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고 있어 전술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특허는 규조토, 규사, 질석, 펄라이트 등을 포함하여 화학물질의 흡수 효과 원적외선 효과 및 전자파 조정 효과를 얻는 다고 하고 있지만 이를 인정할만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상기 특허들은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벽면에 도포될 때 벽면에 대한 충분한 부착 강도를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주택이나 건물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밖에도 현재 상품화되어 있는 대부분의 벽바름재는 합성 수지 에멀젼을 바인더로 하고 바이오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맥반석, 옥, 황토, 일라이트, 스코리아 등과 같은 미네랄 원료를 첨가하여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품은 맥반석, 옥 등의 천연 미네랄 원료의 바이오 특성 효과에 대한 검증된 데이터가 부족하다. 특히 최근 새집 증후군에 대한 법원의 배상 판결이 나오는 등 화학물질 과민증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실내공기질관리법이 시행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천연 신소재 벽바름재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새집 특유의 냄새는 시멘트 콘크리트 골조면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각종 건자재에서 내뿜어져 나오는 유해 가스들에 기인한 것으로서 재실자들에게 아토피성 피부염, 비염, 천식, 가려움증, 기침, 구토 등의 증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유해 가스를 저감시키기 위해 바이오 세라믹 코트라는 물질을 벽지 내부에 코팅을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물질은 대부분이 무독성 혹은 저독성의 유무기 바인더와 옥, 황토, 맥반석 등과 같은 천연 원적외선 방사체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이 물질은 벽지 내부에 코팅하는 벽바름재로서 시멘트의 독성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기대할 수는 있으나, 벽지 접착제에서 방출되는 포름 알데히드를 억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벽바름재는 한국적 주거 환경에 적합하지 않으며, 최근 요구되고 있는 친환경 특성, 바이오 특성, 탈취 특성 등에서 만족할만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 못하며, 이에 따라 새로운 벽바름재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접착 성능이 우수하고 표면에 쵸킹이 발생하지 않으며 유해 가스의 탈취 효과, 항균, 항곰팡이 성능, 결로 억제 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바이오 미네랄 벽바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소석회 20 ~ 60 중량%; (b) 다공성 미네랄 재료 20 ~ 50 중량%; (c)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 방사체 1 ~ 10 중량%; (d) 무기 안료 0.1 ~ 0.5 중량%; 및 (e)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분말 0.1 ~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1 ~ 10 중량%의 재유화형 분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2 ~ 20 중량%의 잠재 수경성 포졸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촉매는 실리카로 피복된 이산화티탄 광촉매, 아파타이트와 이산화티탄을 복합화한 하이브리드 광촉매 또는 산소결핍형 이산화티탄 광촉매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는 모나자이트계 희토류 광석을 상기 방사체 전체 중량에 대해 약 1 ~ 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미네랄은 규조토, 시라스 및 시라스 발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오 미네랄 벽바름재 조성물은 소석회, 잠재 수경성 포졸란 물질, 재유화형 분말 수지, 다공성 미네랄,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 무기 안료,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분말을 포함한다. 여기에 추가하여 증량제, 소포제 및 분산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인 시멘트 콘크리트 피도물의 마감에 적합한 소재를 제조하기 위해 기존의 합성 수지 벽바름재와는 달리 주결합재로서 소석회를 사용한다. 또한, 장기간에 걸친 접착성의 향상과 소석회의 결합력을 보충하기 위해 보조 결합재로서 잠재 수경성 포졸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잠재 수경성 포졸란 물질로는 슬래그, 실리카흄, 플라이애쉬 및 메타카오린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재 수경성 포졸란 물질은 브레인 비표면적 기준 4,000 ~ 15,000 cm2/g의 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재 수경성 포졸란 물질은 시멘트의 수화 반응시 생성되는 알칼리 이온에 의해 자극을 받아 연쇄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며 시멘트 입자와 입자 사이를 충진시키며 반응함으로써 치밀한 수화물 세라믹 조직을 얻을 수 있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도료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작업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잠재 수경성 포졸란 물질은 브레인 비표면적 4,000 cm2/g 미만에서는 포졸란 활성 반응이 지연됨으로써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5,000 cm2/g을 초과하면 슬러리 작업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잠재 수경성 포졸란 물질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2 ~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2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소량 함유된 금속 성분 등의 불순물의 영향으로 도료의 색상 발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결합재인 소석회가 갖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보조 결합재 역할을 할 수 있는 재유화형 분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유화형 분말 수지는 도료 분말을 물과 혼합할 때 물에 용해되어 무기질 입자 사이의 공극을 메워 막을 형성함으로써 주결합재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고분자 물 질 고유의 가소성으로 인해 세라믹 성분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가소성을 부여하여 휨 강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유화형 분말 수지로는 아크릴계, 비닐 아세테이트계,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비닐 아세티이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베르사테이트(vinyl versatate)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에스테르/에틸렌 3원 혼성중합체(terpolymer),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라우레이트/비닐 베르사테이트 3원 혼성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베르사테이트/아크릴릭 에스테르 3원 혼성중합체, 에틸렌/비닐 라우레이트/비닐 클로라이드 3원 혼성중합체 및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이 있으며, 이들 중합체는 단독 또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재유화형 분말수지의 사용량이 많으면 벽바름재의 경화과정에서 TVOC의 방출량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재유화형 분말수지의 량은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 VOC형의 분말수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유화형 분말 수지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첨가 중량이 1 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미네랄 고유의 특성과 내수성을 저해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미네랄 바이오 조성물은 벽바름재의 결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공성 미네랄을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미네랄은 흡습 또는 조습 작용에 의해 결로 특성을 향상시키며,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흡착하여 벽바름재의 탈취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공성 미네랄은 20 ~ 50 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다공성 미네랄로는 규조토, 시라스, 시라스 발룬, 제올라이트, 스코리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재료는 단독 또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미네랄로 규조토, 시라스 및 시라스 발룬이 함께 사용될 경우 흡습에 의한 결로 억제 성능이 특히 증진된다.
본 발명의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은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는 콘크리트에서 내뿜는 냉방사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규석 38 ~ 43 중량%, 초산카리 2 ~ 4 중량%, 알루미나 2 ~ 5 중량%, 붕산 20 ~ 25 중량%, 소다회 14 ~ 27 중량% 및 탄산칼슘 5 ~ 11 중량%로 된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30 ~ 60 분간 분쇄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1200 ~ 1400 ℃의 용해로에 투입하여 1 ~ 3 시간 소성한 후 급냉시키고 분쇄한다. 이어서 상기 분쇄물에 모나자이트계 희토류 광물 1 ~ 20 중량부 첨가하여 분쇄하여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동시 방사체는 5 ~ 24 ㎛ 파장대에서 최대 파장을 나타내며, 약 0.94 정도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갖고 음이온 방출량도 매우 높다. 음이온 방출 효과를 얻기 위해 상기 모나자이트 광물 이외에 전기석(투어말린)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는 사용 목적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물질과 음이온 방사물질의 첨가량의 조절에 따라 최적의 조건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의 제조 방법에서 알루미나와 붕산은 규석의 소성 온도를 낮추기 위해 첨가되며, 소다회와 초산카리 및 탄산칼슘은 규석의 소성 온도를 더욱 낮추는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단파장 영역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기석과 모나자이트계 희토류 광물은 음이온 방출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무기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안료는 벽바름재의 은폐력을 증진시키고 백색도를 증가시켜 색상 발현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무기 안료로는 통상의 백색 안료 및/또는 유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백색 안료로는 루틸상의 이산화티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분말은 벽표면에 부착된 세균 등을 살균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분해하여 실내 오염을 감소시킨다. 상기 광촉매로는 일반적으로 아나타제상의 결정 구조를 갖는 이산화티탄을 사용하지만, 상기 아나타제상의 이산화티탄이 자외선 영역에서 광활성이 우수한 반면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활성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내의 미약광에서 탈취 및 바이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화티탄에 금속 양이온을 도핑하거나 음이온을 도핑하여 만든 산소결핍형 이산화티탄을 사용하거나, 부루카이트상의 결정 구조를 갖는 이산화티탄을 이용한 분말형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밖에도 유기물에 의한 특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산화티탄에 실리카 코팅 처리를 하거나, 아파타이트와 복합화한 하이브리드 광촉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분말은 전체 미네랄 바이오 조성물에 대해 약 0.1 ~ 5 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 분말은 0.1 중량% 미만 첨가될 경우 탈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적인 광촉매 분말에 의해 얻어지는 탈취 효과의 향상은 미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미네랄 벽바름재 조성물은 미네랄 성분의 미분말이 주요 구성 성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 미네랄 분말들이 마감재로서 작업성 및 기능성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각종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슬러리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 분산제 및 수용성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나프탈렌 술폰산염 포르말린 축합물, 멜라민 술폰산염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카르복산 화합물, 폴리카르복산 에테르, 방향족 아미노 술폰산 폴리머 및 리그닌 술폰산의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그 첨가량은 0.1 ~ 5 중량%인 것이 좋다. 상기 분산제는 벽바름재에 포함된 분말을 물과 혼합할 때 용이하게 균질 혼합되도록 하고, 혼합한 재료가 분리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폴리머는 메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테르, 폴리비닐 알콜 아세테이트 및 폴리 사카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약 0.1 ~ 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다양한 성분이 혼합된 도료가 침전되지 않고 균질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도료에 점성을 부여하여 도장 작업 및 도장면에서의 점착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물을 함유하는 보수성을 갖기 때문에 도료의 표면 건조 후에도 도막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수화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현장에서 물과 분말과의 혼합시 발생하는 기포를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해 미네랄 오일계, 실리콘계 및 기타 계열의 소포제를 0.1 ~ 5 중량%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소포제를 지나치게 다량 사용할 경우 도료 도막 특성 및 색상에 영향을 미치므로 함량을 제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이오 미네랄 벽바름재 조성물은 고형분에 대해 50 ~ 80 중량%의 물과 혼합하여 롤러, 붓, 에어 스프레이, 에어리스 스프레이 등의 통상적인 도장 공법을 통해서 건조 도막을 기준으로 약 150 ~ 300 ㎛의 두께로 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이오 미네랄 벽바름재 조성물은 혼합 수량을 벽바름재의 반죽질기에 적합하도록 혼합하여 흙손, 헤라 등으로 시공하는 경우 도막 두께 약 1 ~ 5 mm 로도 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단 도막 두께가 3 mm 이상일 경우에는 도막표면에서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각 원료의 입자 크기 및 입도 조건의 선정이 매우 중요해진다.
실시예 1 ~ 3
표 1과 같이 소석회, 슬래그 미분말, 재유화형 분말 수지, 규조토, 시라스, 시라스 발룬,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분말 및 무기 안료를 분산제, 소포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20 kg이 되도록 배합한 실시예 1 내지 3 의 조성물을 각각 무중력 혼합기에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여기서,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분말은 일본 에코디바이스(Ecodevice) 사의 산소 결핍형의 이산화티탄 광촉매 분말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혼합수량을 13±1 리터가 되도록 충분히 가수한 후 임펠러가 부착 된 전동교반기로 약 5분간 교반하였다. 피도면은 시멘트 모르터 경화체면에 흙손이나 해라로 작업하여 도막이 약 3 mm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20 kg 분말로 도막이 3 mm일 경우 시공가능 면적은 약 10 m2 이었고, 도막이 5 mm 일 경우는 약 6 m2 정도였다. 도막을 형성한 후 실험실에서 7일간 기건 양생한 후 도막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중량%) 실시예 2(중량%) 실시예 3(중량%)
소석회 30 40 40
슬래그 미분말(6,000cm2/g) - - 15
재유화형분말수지 5 5 -
규조토 20 20 30
시라스 20 15 -
시라스 발룬 10 5 -
원적외선·음이온 동시방사체 5 5 5
광촉매 분말 3 3 3
TiO2 5 5 5
첨가제(분산제, 소포제외) 2 2 2
합계 100 100 100
도막 물성은 기계 화학적 특성, 친환경 특성, 바이오 특성, 결로 특성 및 탈취 특성으로 구분하여 테스트하였다. 기계 화학적 특성의 측정을 위해 부착 강도, 내세척성, 내알칼리성 및 초기 건조에 따른 잔갈림 저항성을 각각 KS F 4715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친환경 특성의 측정을 위해 유해 가스인 TVOC, HCHO의 방출량을 패시브 샘플러(passive sampler)를 이용한 소형 챔버법으로 측정하였다. 바이오 특성의 측정을 위해 가압 밀착법에 의한 균감소율과 ASTM G 21에 의한 항곰팡이성 을 측정하였다.
또한, 도막의 결로 특성은 다음과 같은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높이 27. 5 cm, 원지름 15 cm 및 두께 400 ㎛인 청동 재질의 콘을 제작하고, 상기 콘 상에 건도막 두께가 200 ~ 300 ㎛가 되도록 3 ~ 4회 붓도장한 후 상온에서 방치하여 이틀간 건조하였다. 건조 후 도막 두께를 측정하고 수성 싸인펜으로 잉크 번짐 확인을 위한 마크를 표기하였다. 이어서, 습도 60 ~ 70 %, 내부 온도 18 ~ 20 ℃로 유지되는 항온 항습기에 청동콘을 설치하고, 결로수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비이커를 상기 청동콘 하부에 배치하였다. 상기 청동콘 내부는 얼음물을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5 ℃ 내로 유지하였으며, 콘 표면의 최초 결로 시작 시간 및 잉크 번짐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시간을 기록하였다. 시험 시작 후 3시간 경과 후 시험을 종료하였다. 결로수의 무게는 비이커에 포집된 물의 량과 도막에 함유된 수분의 중량을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도막에 함유된 수분의 중량은 테스트 전후에 있어서 도막이 도포된 청동콘의 무게 변화로부터 계산하였다.
한편, 탈취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KICM-FIR에 의해 120분 경과후의 암모니아의 탈취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 2
비교예 1로서 가리비 패각 분말과 CMC를 주성분으로 하는 일본 샤플로즈사(Chafflose Corporation Co., Ltd.)의 제품명 A-100을 사용하여, 고형분 대비 100 중량%의 물과 함께 슬러리 믹서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 법으로 도막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로서 후지와라화학(Fujiwara Chemical Co., Ltd.)에서 제조된 제품명 클린업(clean-up)인 규조토 벽바름재를 사용하여 고형분 대비 80 중량%의 물과 함께 슬러리 믹서에서 혼합한 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막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측정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물성의 측정 결과를 표 2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항목 시험결과 측정방법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친환경성 TVOC ≤0.2 ㎎/㎡h ≤0.2 ㎎/㎡h ≤0.2 ㎎/㎡h ≤0.2 ㎎/㎡h ≤0.2 ㎎/㎡h passive sampler를 이용한 소형챔버법
HCHO ≤0.01 ㎎/㎡h ≤0.01 ㎎/㎡h ≤0.01 ㎎/㎡h ≤0.01 ㎎/㎡h ≤0.01 ㎎/㎡h
도막특성 부착강도 0.55 N/mm2 0.6 N/mm2 0.45 N/mm2 0.2 N/mm2 0.1 N/mm2 KS F 4715
내세척성 100회 이상없음 100회 이상없음 100회 이상없음 30회 이하 20회 이하 KS F 4715
내알칼리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KS F 4715
초기건조에 따른 잔갈림저항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KS F 4715
바이오 특성 균감소율(%) 99%이상 99%이상 99%이상 99%이상 99%이상 가압밀착법
항곰팡이성 자라지 못함 자라지 못함 자라지 못함 곰팡이 발생 곰팡이 발생 ASTM G 21
구분 시험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최초결로발생시간 육안관찰 - - - 1:30 1:45
잉크번짐 - - 2:50 1:24 1:32
비어커에 수집된 결로수 량(g) 0 0 0 12.4 10.5
구분 시험결과 측정방법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탈취율(암모니아) 120분 경과후 측정 99.9% 99.9% 99.1% 80.4% 88.2% KICM-FIR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바름재 조성물은 기존 시판 중인 벽바름재 조성물에 비해 접착 강도와 내세척성이 우수하다. 한편, 비교예의 경우에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포름 알데히드의 함량은 매우 낮았는데 이것은 비교예의 조성물이 천연 원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표 3으로부터 비교예의 조성물의 결로 특성이 본 실시예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비교예 2와 같이 결로 특성을 향상을 위해 규조토를 사용하더라도 사용 재료의 분말도, 기공율, 비중, 흡수율 및 다른 재료와의 혼합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낳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실시예 중 시라스 및 시라스 발룬이 사용된 실시예 1 및 2는 규조토만 사용된 실시예 3과 달리 잉크 번짐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로부터 시라스 및 시라스 발룬의 첨가에 의해 결로 억제 효과의 증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도포되어 결로 시험을 거친 콘의 사진이며, 도 1b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이 도포되어 결로 시험을 거친 콘의 사진이다. 도 1b로부터 잉크 번짐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표 4의 탈취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 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높은 탈취 성능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다공성 미네랄에 의한 악취 성분의 흡착 효과와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의 분해 효과의 상승 작용에 의해 탈취 성능이 대폭 향상된 것으로 파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결합재로서 적절한 반응성을 발휘하도록 입조 조정된 소석회와 잠재 수경성 포졸란 재료, 흡습 특성을 향상을 위한 다공성 미네랄 재료, 탈취 특성 향상을 위한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기계적 부착성, 친환경 특성, 바이오 특성 및 결로 억제 특성이 우수한 바이오 미네랄 벽바름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각종 원료들은 적절히 배합되어 단순히 개별 원료들이 갖는 기능을 발현할 뿐만 아니라 서로 결합하여 결로 억제 특성 및 탈취 특성에 있어서 종래에 비해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를 사용하여 주거 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며, 무기계 미네랄을 주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방출이 거의 없으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Claims (6)

  1. (a) 소석회 20 ~ 60 중량%;
    (b) 다공성 미네랄 재료 20 ~ 50 중량%;
    (c)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 방사체 1 ~ 10 중량%;
    (d) 무기 안료 0.1 ~ 0.5 중량%; 및
    (e)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분말 0.1 ~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1 ~ 10 중량%의 재유화형 분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2 ~ 20 중량%의 잠재 수경성 포졸란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미네랄은 규조토, 시라스 및 시라스 발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실리카로 피복된 이산화티탄 광촉매, 아파타이트와 이산화티탄을 복합화한 하이브리드 광촉매 및 산소결핍형 이산화티탄 광촉매 분말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광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방사체는
    모나자이트계 희토류 광석 또는 전기석을 상기 방사체 전체 중량에 대해 약 1 ~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KR1020040049635A 2004-06-29 2004-06-29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KR10059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635A KR100591932B1 (ko) 2004-06-29 2004-06-29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635A KR100591932B1 (ko) 2004-06-29 2004-06-29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697A true KR20060000697A (ko) 2006-01-06
KR100591932B1 KR100591932B1 (ko) 2006-06-20

Family

ID=3710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635A KR100591932B1 (ko) 2004-06-29 2004-06-29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9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729B1 (ko) * 2007-01-11 2008-01-21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건물 실내 내장재의 기능성 코팅액 제조방법
KR100803170B1 (ko) * 2006-08-09 2008-02-14 광진산업(주) 친환경성 석회 도료 조성물
WO2009051443A2 (en) * 2007-10-19 2009-04-23 Nuridle Co., Ltd. Photoactive composition comprising scor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2064008A1 (ko) * 2010-11-11 2012-05-18 주식회사 한국스틸코트나노 금속 표면 및 콘크리트 표면 코팅에 사용되는 세라믹 플라스틱 세라믹스의 조성물 제조방법
KR101408693B1 (ko) * 2014-03-05 2014-07-02 주식회사 규조토세상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9115B1 (ko) * 2017-07-03 2018-09-14 주식회사 디앤하우텍 환경친화형 벽바름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89B1 (ko) 2008-03-03 2008-08-26 (주)강림건설 수로나 못의 바닥면과 벽면을 시공하는 방법
KR100951970B1 (ko) * 2009-04-23 2010-04-08 김미자 천연 칼라 몰탈재
KR101141736B1 (ko) * 2009-09-22 2012-05-03 오성엘에스티(주) 자외선 차단 및 친수성 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필름
KR101052580B1 (ko) 2010-07-29 2011-07-28 신강하이텍(주) 건물 내벽면 미장 마감재
DE102013114851A1 (de) 2013-12-23 2015-06-25 Dongyang E&P Co., Ltd. Pulverartige Zusammensetzung für Wandbeschichtungsmaterial mit flammhemmenden und elektromagnetische Wellen abschirmenden Wirkungen
KR102166568B1 (ko) 2019-04-22 2020-10-16 주식회사 편백세상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297925B1 (ko) * 2020-03-19 2021-09-03 (주)힐링123 희토류 성분을 가진 환경 친화성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170B1 (ko) * 2006-08-09 2008-02-14 광진산업(주) 친환경성 석회 도료 조성물
KR100796729B1 (ko) * 2007-01-11 2008-01-21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건물 실내 내장재의 기능성 코팅액 제조방법
WO2009051443A2 (en) * 2007-10-19 2009-04-23 Nuridle Co., Ltd. Photoactive composition comprising scor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09051443A3 (en) * 2007-10-19 2009-07-16 Nuridle Co Ltd Photoactive composition comprising scor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941738B1 (ko) * 2007-10-19 2010-02-11 주식회사 누리들 스코리아를 함유하는 광활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64008A1 (ko) * 2010-11-11 2012-05-18 주식회사 한국스틸코트나노 금속 표면 및 콘크리트 표면 코팅에 사용되는 세라믹 플라스틱 세라믹스의 조성물 제조방법
KR101408693B1 (ko) * 2014-03-05 2014-07-02 주식회사 규조토세상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9115B1 (ko) * 2017-07-03 2018-09-14 주식회사 디앤하우텍 환경친화형 벽바름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932B1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932B1 (ko)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KR100833098B1 (ko) 시멘트가 함유되지 않은 몰탈 조성물
US6406535B1 (en) Material for constructional finished wallboard
KR20090097600A (ko) 환경친화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4496358A (zh) 一种室内用防霉抗菌型硅藻泥装饰壁材
KR100803170B1 (ko) 친환경성 석회 도료 조성물
US8580866B2 (en) Dry powder polymer finish
CN111057425B (zh) 一种除甲醛水性涂料
KR101810089B1 (ko) 규조토를 이용한 벽마감재 조성물
JP2008038365A (ja) 建築物内装壁及びその仕上げ塗り材
US6171655B1 (en) Method of preparing constructional finished wallboard
KR100568892B1 (ko) 무기질 세라믹 도료
KR100949514B1 (ko) 친환경 노출콘크리트 표면마감재
KR20100017003A (ko)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벽체 코팅 및 바름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CN101585691B (zh) 凹凸棒内墙粉末涂料
KR100805936B1 (ko) 건축 내장재용 조성물
KR101899115B1 (ko) 환경친화형 벽바름재 조성물
KR101299551B1 (ko) 화산토를 이용한 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334B1 (ko) 천연 단백질계 수지를 이용한 벽 바름재 조성물
JP2012052073A (ja) 塗料組成物
KR20040016276A (ko) 환경친화형 세라믹 수성 도료 조성물
KR101225500B1 (ko) 내수성이 우수한 상온 경화형 수용성 무기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4590B1 (ko) 유해물질 고흡착형 친환경 수성도료의 제조방법
CN101508550B (zh) 凹凸棒内墙水泥漆
JP4597497B2 (ja) 建築物用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