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521A -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521A
KR20060000521A KR1020040049421A KR20040049421A KR20060000521A KR 20060000521 A KR20060000521 A KR 20060000521A KR 1020040049421 A KR1020040049421 A KR 1020040049421A KR 20040049421 A KR20040049421 A KR 20040049421A KR 20060000521 A KR20060000521 A KR 20060000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electromagnet
vehicle
pow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0521A/ko
Publication of KR2006000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62D5/005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means for generating torque on steering wheel or input member, e.g. feedback
    • B62D5/006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means for generating torque on steering wheel or input member, e.g. feedback powe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바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바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스티어링 감지수단과, 상기 스티어링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연동되어 전자석에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조향력 발생을 위한 피스톤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석 실린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워 스티어링, 전자석, 스티어링 컬럼바, 실린더

Description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POWER STEERING APPARATUS USING ELECTRONIC MAGNET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을 위한 스티어링 감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티어링 감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을 위한 전자석 실린더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티어링의 운전자 조작 방향에 따른 스티어링 감지 상태와 전자석 실린더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스티어링 컬럼바, 12:스티어링 감지부,
14:전자석 실린더, 16:회전추,
18:고정부, 20,22:이동 로드,
24,26:스위치, 28,30:고정 단자,
32,34:스프링, 36,38:이동 단자,
40:하우징, 42:작동바,
44:가동 피스톤, 46,48:전자석.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티어링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석을 작동시켜서 파워 스티어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해당 차량의 주행 방향을 임의적으로 바꾸어주기 위한 장치로서, 조작 기구와 기어 기구 및 링크 기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유압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을 한층 배력화시키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차량 엔진의 구동에 의해 동력원인 유압를 발생시키는 유압 펌프와, 스티어링 휠의 운전자 조작에 따라 유로가 개폐되어 오일펌프로부터의 오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 제어 밸브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의 유압에 의해 조향력이 발생되는 기어박스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 상태를 갖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스티어링 휠이 조작되면, 그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에 따라 제어 밸브가 작동되면서 유압 펌프로부터의 오일을 통한 유압을 발생시키게 되고, 기어박스에서는 상기 제어 밸브를 통해 발생된 유압에 의해 차량의 좌우측에 마련된 타이로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조향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유압 발생을 통한 파워 스티어링의 구현을 위해 엔진의 동력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오일 펌프와, 오일이 저장되는 리저버 탱크, 오일을 이동시키는 호스, 조향력 발생을 위한 기어박스 등의 복잡한 기구 및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차량 엔진룸의 공간이 협소해 질 뿐만 아니라 차량의 중량이 무거워지고, 차량의 제작 공정이 불가피하게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자석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조작되는 상태에 따라 전자석이 적용된 실린더를 작동시켜서 배력화된 조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바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바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스티어링 감지수단과, 상기 스티어링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연동되어 전자석에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조향력 발생을 위한 피스톤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석 실린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석 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어링 감지수단은,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의 특정 부위에 개재되어 스티어링 컬럼바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추와, 상기 회전추의 일측 부위가 절개된 절개부측에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와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 상기 회전추의 절개부 양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제 1 및 제 2이동로드,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이동로드를 각각 수용하면서 각 이동 로드의 이동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 및 제 2스위치, 상기 제 1 및 제 2이동 로드와 제 1 및 제 2스위치의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에 의해 각 이동 로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 및 제 2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석 실린더 수단은, 차량의 타이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피스톤 동작하는 가동 피스톤, 그 내부의 좌/우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스티어링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조향 방향에 대응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기력을 발생함에 의해 상기 가동 피스톤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작하는 제 1 및 제 2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연결된 스티어링 컬럼바(10)의 특정 부위에 해당 스티어링 휠의 운전자 조작방향을 감지하는 스티어링 감지부(12)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차량의 타이로드 사이에 상기 스티어링 감지부(12)의 스티어링 감지 상태에 따라 전자석이 작동되어 조작됨에 의해 타이로드에 대한 조향력을 발생하는 전자석 실린더(14)가 구성된다.
상기 스티어링 감지부(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10)의 특정 부위에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바(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도너츠 형상의 회전추(16)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회전추(16)의 일측 부위가 절개된 절개부에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10)와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18)가 설치된다.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10)에 고정된 고정부(18)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추(16)의 절개부 양단에는 각각 제 1 및 제 2이동 로드(20,22)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8)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이동 로드(20,22)를 각각 수용하면서 스티어링 컬럼바(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각 이동 로드(20,22)에 의해 스위칭동작하는 제 1 및 제 2스위치(24,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스위치(24,26)는 해당 고정부(18)의 양측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도전성의 제 1 및 제 2고정 단자(28,30)와, 상기 제 1 및 제 2이동 로드(20,22)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도전성의 제 1 및 제 2이동 단자(36,3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이동 로드(20,22)와 고정부(18) 양측의 스위치(24,26) 사이에는 제 1 및 제 2스프링(32,34)이 개재되어 탄성력에 의해 각 이동 로드(20,22)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자석 실린더(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타이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40)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작동바(42)와, 상기 작동바(42)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부착됨과 더불어 해당 전자석 실린더(14)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피스톤 동작하는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가동 피스톤(44), 해당 전자석 실린더(14) 내부의 좌/우 끝단에 각각 설치되고서, 상기 스티어링 감지부(12)의 스위치(24,26)가 작동됨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기력을 발생함에 의해 상기 가동 피스톤(44)과 인력이 발생되는 제 1 및 제 2전자석(46,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석 실린더(14)는 상기 스티어링 휠이 좌측으로 회전되면서 스티어링 컬럼바(10)가 좌측으로 회전됨에 의해 제 1스위치(24)가 스위칭되면, 제 1전자석(46)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전자기력을 발생함에 따라 가동 피스톤(44)을 강하게 좌측으로 끌어당겨서 작동바(42)가 좌측으로 작동되도록 함에 의해, 차량에 파워 스티어링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차륜이 좌측으로 방향을 변경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전자석 실린더(14)는 상기 스티어링 휠이 우측으로 회전되면서 스티어링 컬럼바(10)가 우측으로 회전됨에 의해 제 2스위치(26)가 스위칭되면, 제 2전자석(48)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전자기력을 발생함에 따라 가동 피스톤(44)을 강하게 우측으로 끌어당겨서 작동바(42)가 우측으로 작동되도록 함에 의해, 차량에 파워 스티어링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차륜이 우측으로 방향을 변경하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5a 및 도 5b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스티어링 휠이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스티어링 컬럼바(10)가 연동되어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1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추(16)가 연동되면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10)와 회전추(16)의 회전시에 제 1이동 로드(20)가 고정부(18)의 제 1스위치(24)내에 삽입됨에 따라, 제 1이동 로드(20)의 끝단에 설치된 제 1이동 단자(36)가 제 1고정 단자(24)와 접속되면서 스위칭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 1스위치(24)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전자석 실린더(14)의 제 1전자석(46)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기력이 발생한다.
상기 전자석 실린더(14)의 제 1전자석(46)에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그 내부의 가동 피스톤(44)과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되면서 해당 가동 피스톤(44)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가동 피스톤(44)의 좌측 이동과 함께 작동바(42)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타이로드를 작동시킴에 의해, 차륜이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스티어링 휠이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스티어링 컬럼바(10)가 연동되어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1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추(16)가 연동되면서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10)와 회전추(16)의 회전에 의해서 제 2이동 로드(22)가 고정부(18)의 제 2스위치(26)내에 삽입됨에 따라, 제 2이동 로드(22)의 끝단에 설치된 제 2이동 단자(38)가 제 2고정 단자(26)와 접속되면서 스위칭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 2스위치(26)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전자석 실린더(14)의 제 2전자석(48)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기력이 발생한다.
상기 전자석 실린더(14)의 제 2전자석(48)에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그 내부의 가동 피스톤(44)과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되면서 해당 가동 피스톤(44)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가동 피스톤(44)의 우측 이동과 함께 작동바(42)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타이로드를 작동시킴에 의해, 차륜이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지속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작동시키는 동안에는 제 1스위치(24) 또는 제 2스위치(26)가 지속적으로 스위칭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전자석 실린더(14)의 가동 피스톤(44)이 좌측의 제 1전자석(46) 또는 우측의 제 2전자석(48)과의 인력 발생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파워 스티어링에 의한 지속적인 차륜의 조향력이 지속적으로 발생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 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석을 이용한 조향력 발생에 의해 파워 스티어링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엔진의 동력을 이용한 오일의 유압 발생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전자석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파워 스티어링이 가능하게 되면서 엔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른 연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차량이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배터리의 전력만으로 파워 스티어링이 얼마든지 가능하며, 오일 펌프나 리저버 탱크, 오일 호스 등과 같은 복잡한 구조가 불필요하게 되면서 차량 부품수의 절감과 경량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룸 공간의 최대한 확보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바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바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스티어링 감지수단과,
    상기 스티어링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연동되어 전자석에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조향력 발생을 위한 피스톤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석 실린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감지수단은,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의 특정 부위에 개재되어 스티어링 컬럼바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추와, 상기 회전추의 일측 부위가 절개된 절개부측에 상기 스티어링 컬럼바와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 상기 회전추의 절개부 양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제 1 및 제 2이동로드,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이동로드를 각각 수용하면서 각 이동 로드의 이동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 및 제 2스위치, 상기 제 1 및 제 2이동 로드와 제 1 및 제 2스위치의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에 의해 각 이동 로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 및 제 2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스위치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고정 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도전성의 제 1 및 제 2고정 단자와, 상기 제 1 및 제 2이동 로드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도전성의 제 1 및 제 2이동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실린더 수단은, 차량의 타이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피스톤 동작하는 가동 피스톤, 그 내부의 좌/우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스티어링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조향 방향에 대응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기력을 발생함에 의해 상기 가동 피스톤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작하는 제 1 및 제 2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0040049421A 2004-06-29 2004-06-29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060000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421A KR20060000521A (ko) 2004-06-29 2004-06-29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421A KR20060000521A (ko) 2004-06-29 2004-06-29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521A true KR20060000521A (ko) 2006-01-06

Family

ID=3710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421A KR20060000521A (ko) 2004-06-29 2004-06-29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05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4345A (zh) 冲击工具
JP2009119593A (ja) 手持式電動工具装置
CN101844346A (zh) 电动工具
KR20110118215A (ko) 능동형 가속페달의 엑츄에이터 장치
EP1652201B1 (de) Elektrischer schalter
WO2017108416A1 (de) Handwerkzeugmaschinenvorrichtung
CN1262727C (zh) 在门锁中用于控制手柄操作的电磁装置
CN101936390B (zh) 汽车变速器顶盖总成
WO2015161389A1 (de) Schalter
KR20060000521A (ko) 차량의 전자석을 이용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9115728B2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device
JP2017219178A (ja) 流量制御弁装置
JP2009510679A (ja) 電気スイッチ装置
KR100347394B1 (ko) 레버식 신호발생장치
JP7094679B2 (ja) 作業車両
CN109827003B (zh) 利用棘轮的阀门驱动器
KR101813385B1 (ko) 유압을 이용한 차량 조향장치
JP2007030634A (ja) シフト操作装置及び移動規制装置
JP3942768B2 (ja) リヤステアリング装置
KR0129088Y1 (ko) 자동차의 로테이팅 헤드램프 시스템
CN101617149B (zh) 阻尼模块和具有阻尼模块的用于机动车辆的变速传动系
CN202023906U (zh) 汽车变速器顶盖总成
JP5112210B2 (ja) 作業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64167B1 (ko) 동력조향장치
KR19980054156A (ko) 동력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