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3018A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3018A
KR20050123018A KR1020040053666A KR20040053666A KR20050123018A KR 20050123018 A KR20050123018 A KR 20050123018A KR 1020040053666 A KR1020040053666 A KR 1020040053666A KR 20040053666 A KR20040053666 A KR 20040053666A KR 20050123018 A KR20050123018 A KR 20050123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base station
call information
inform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556B1 (ko
Inventor
김범준
류기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5/00199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001674A1/en
Priority to JP2007517969A priority patent/JP4734325B2/ja
Priority to US11/571,139 priority patent/US7917183B2/en
Priority to CA2569497A priority patent/CA2569497C/en
Priority to EP05756762.0A priority patent/EP1767035B1/en
Priority to CN2005800209393A priority patent/CN1973570B/zh
Publication of KR2005012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해 있는 기지국을 통해 유휴모드로 전환하려는 이동단말에게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방법과 유휴모드 상태인 이동단말의 호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은 유휴모드를 요청하는 이동단말에게 자신이 속한 모든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할당하거나, 호출로드가 가장 적은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호출정보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각 호출정보가 포함하는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을 바탕으로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향동기를 맞추며, 상기 호출메시지를 통해 유휴모드 상태인 이동단말의 호출정보를 변경한다.

Description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METHOD FOR ASSIGNING PAGING INFORMATION IN BROADCAST WIRELESS ACCESS SYSTEM}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호출정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휴모드 상태의 단말 또는 유휴모드를 요청하는 단말에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는 이동 단말(이하 단말이라 한다)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휴모드(Idle Mode)를 지원한다. 상기 유휴모드에서 호출영역(Paging Zone)은 호출그룹이라는 다수의 기지국이 담당하는 전체 영역으로 정의되며, 동일한 호출영역에 포함되는 기지국들은 동일한 값의 호출주기(Paging_Cycle)와 호출오프셋(Paging_Offset)을 가진다.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고, 기지국은 자신의 호출그룹 ID(Paging_group ID)와 그에 따른 호출주기 및 호출오프셋을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단말은 유휴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휴모드동안 단말은 정해진 호출주기마다 기지국으로부터 방송(broadcast) 형태로 전달되는 호출을 통해서 계속 유휴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이 전송해야 할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단말은 언제든지 유휴모드를 종료할 수 있고,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에게 전송해야 할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호출을 통하여 단말이 유휴모드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이 다른 호출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동기를 상실하는 등의 이유로 정해진 시간에 페이징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유휴모드를 종료한다.
유휴모드동안 단말은 동일한 호출영역에 포함되는 기지국간 이동 시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상기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상향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즉,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이 송수신해야 할 정보가 없는 동안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호출을 수신함으로써, 동일한 호출영역 내에서는 핸드오프 절차 없이도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 받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라 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서비스 기지국에게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기지국은 호출그룹 ID와 호출주기, 호출오프셋 값을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과의 연결정보 및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 등을 해제한다.
도 1은 기지국이 단말에 전송하는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기존의 등록 해제 명령(DREG-CMD) 메시지를 이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도 3은 상기 등록 해제 명령 메시지의 활동코드(Action Code)에 대한 정의와 TLV 엔코딩(encoding)의 포맷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상기 등록 해제 명령의 활동코드(Action Code)가 유휴모드 허가에 해당하는 0x05로 설정되면, 도 3과 같은 호출정보가 상기 등록 해제 명령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에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은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의 MAC 주소를 자신이 속한 호출그룹의 기지국들에게 알림으로써 상기 기지국들이 동일한 호출주기 및 호출오프셋으로 해당 단말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유휴모드의 전환을 허가 받은 단말은 상기 호출주기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형태의 호출메시지를 통해 자신에게 전송되는 하향 트래픽이 존재하는지 또는 레인징(Ranging)을 수행해야 하는지, 아니면 계속 유휴모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이 상기 호출메시지를 통해 하향 트래픽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면, 유휴모드 상태를 종료하고 네트워크에 재등록하여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이 상기 호출메시지를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도록 요청 받으면, 상기 레인징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및 유효한 유휴모드의 단말 리스트를 기지국이 갱신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호출 메시지를 통해 소정의 동작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다면, 유휴모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상기 단말이 다른 호출그룹의 기지국으로 이동하거나 상향 트래픽 또는 하향 트래픽 발생으로 인해 유휴모드를 종료하게 되면, 상기 단말이 속했던 기지국은 같은 호출그룹에 속한 기지국들에게 이를 알려 유휴모드 단말 리스트로부터 해당 단말을 삭제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단말이 일정한 주기로 호출그룹의 기지국들로부터 수신하는 방송형태의 호출메시지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상기 호출메시지는 전송하는 기지국의 논리적 소속을 나타내는 호출그룹 ID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이동 단말 MAC 주소 해시(MSS MAC address hash)로 구분되며, 하나의 호출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MAC 주소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출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 MAC 주소 해시로 구분되는 각 단말에 대하여 활동코드(Action Code)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이 유휴모드를 요청하면 기지국은 호출주기, 호출오프셋, 호출그룹 ID를 포함하는 호출정보를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를 통해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호출메시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형태로서, 호출그룹 ID와, 유휴모드 단말의 MAC 주소, 활동코드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라 유휴모드의 이동통신 단말에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호출그룹과 호출그룹 간의 경계에 있는 기지국에서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은 전력소모가 크게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호출그룹과 호출그룹 간의 경계에 있는 기지국은 유연한 망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 ID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호출그룹과 호출그룹 간의 경계에 있는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유효모드 요청을 수신하면, 자신이 속한 호출그룹 ID 중에 임의의 호출그룹 ID와 그에 따른 호출주기, 호출오프셋을 할당하여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호출그룹의 경계에 있는 기지국을 통해 유휴모드로 전환한 단말은 그 자신도 호출그룹의 경계에 존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상기 할당받은 호출그룹에서 다른 호출그룹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특정 호출그룹을 할당받은 유휴모드 단말이 다른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으로 이동하면, 호출주기가 달라져서 이동 전에 할당된 호출그룹으로부터 전송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유휴모드를 종료하고 정상동작 상태로 전환해야 한다.
즉, 상기 호출그룹 간 경계에 있는 기지국을 통해 유휴모드로 전환한 단말은 단시간 내에 유휴모드를 종료하고 정상동작 상태로 전환해야 할 가능성이 크며, 새로 이동한 호출그룹에 속한 기지국을 통해 유휴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상향 링크 메시지 또는 하향 링크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기지국은 단말기를 유휴모드로 전환할 때 할당한 최초의 호출주기 및 호출오프셋을 상기 단말이 유휴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의 호출로드(paging load)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 ID를 갖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경우, 어떤 호출그룹 정보를 단말에 할당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 중에 하나의 호출정보만을 할당하는 경우, 호출그룹의 호출로드를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호출그룹을 선택하여 호출정보를 할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 ID를 갖는 기지국을 통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이동단말에 대해서 호출정보를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이 방송형태의 호출메시지를 통해 유휴모두 단말들의 호출정보를 변경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 ID를 갖는 기지국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이동단말에게 호출정보를 할당할 때, 호출로드 균형을 달성하도록 호출그룹을 선택하여 할당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은,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은 유휴모드를 요청하는 이동단말에게 자신이 속한 모든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과정과; 각 호출그룹의 호출정보에 따라 유휴모드 상태인 이동단말에게 주기적으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각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동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각 호출그룹의 호출정보에 따라 주기적으로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휴모드의 이동단말이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호출정보 할당방법은, 기지국이 변경된 호출정보 및 호출정보 변경 코드를 호출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이 호출정보 변경 코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정보 변경 코드가 존재하면, 기존의 호출정보를 상기 호출메시지에 포함된 호출정보로 변경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이동단말을 포함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호출정보 할당방법은, 이동단말에서 전송되는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기지국이 속하는 모든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단말에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호출정보를 기반으로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기를 설정하고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메시지 내에 변경된 호출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호출정보가 존재하면, 기존의 호출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호출정보 할당방법은,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은 유휴모드를 요청하는 이동단말에게 자신이 속한 호출그룹 중에서 호출로드가 작은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이 유휴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이동단말에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호출정보 할당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자신이 속한 모든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단말에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특정 우선순위로 선별된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단말에 할당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 ID를 갖는 기지국은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에게 상기 기지국이 속한 모든 호출그룹 ID와 그에 따른 호출정보를 할당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전송하는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에 자신이 속하는 모든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자신이 속하는 호출그룹의 다른 기지국들에게 백본(backbone)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을 각 기지국의 유휴모드 단말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호출정보는 호출그룹 ID와, 호출주기, 호출오프셋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각각의 호출정보에 포함된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을 바탕으로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동기를 맞춘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이 두 개의 호출그룹 ID를 할당받은 경우, 상기 단말은 각 호출그룹으로부터 전송되는 호출메시지를 모두 수신하기 위해 각각의 호출그룹에 해당하는 주기와 오프셋에 이용하여 두 개의 하향 동기를 맞춘다.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 ID를 갖는 기지국은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에게 상기 기지국에 속한 호출그룹 중에서 호출로드가 작은 호출그룹 ID와 그에 따른 호출정보를 할당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기지국은 방송형태의 호출메시지를 통해 호출그룹 ID,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과 같은 단말들의 호출정보를 변경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호출메시지에 변경된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을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호출메시지에 포함된 활동코드를 통해 상기 단말이 호출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출정보 할당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 셀 내에 있는 이동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유휴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자신이 속하는 기지국에 유휴모드 요청(DRE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11).
상기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자신이 속하는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그룹 ID, 호출주기, 호출오프셋을 포함하는 호출정보를 유휴모드 응답(DREG-CMD)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허가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 ID를 갖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모든 호출그룹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한다(S12).
상기 기지국은 제 1 호출그룹과 제 2 호출그룹에 속하는 제 1 기지국이라 하자.
상기 제 1 기지국은 자신이 속하는 호출그룹, 즉, 제 1 호출그룹과 제 2 호출그룹에 속한 다른 기지국들에게 백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S13). 상기 백본 메시지를 수신한 각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유휴모드 단말 리스트에 추가저장하고, 상기 단말에 호출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이 속한 호출그룹의 호출주기에 맞추어 상기 호출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유휴모드로 전환된 단말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호출메시지를 호출주기에 맞추어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제외하고, 그 이외의 시간에는 하향 트래픽을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단말의 전력소모를 줄인다. 또한, 상기 단말이 동일한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 별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단말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1 기지국은 제 1 호출그룹과 제 2 호출그룹에 속해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호출그룹의 호출주기와 제 2 호출그룹의 호출주기에 맞춰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한다(S14).
상기 단말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1 호출그룹에만 속한 제 2 기지국으로 이동하면, 상기 단말은 유휴모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메시지 만을 수신한다(S15). 상기 제 1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메시지 만이 수신되고 제 2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상기 단말은 자신이 제 1 호출그룹의 영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부터는 제 2 호출그룹의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중단한다. 즉, 상기 단말은 제 1 호출그룹의 호출주기에만 동작하고, 제 2 호출그룹의 호출주기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제 2 기지국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제 1 호출그룹의 호출메시지와 제 2 호출그룹의 호출메시지를 각각 호출주기에 따라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제 2 호출그룹의 호출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제 1 기지국에 별도의 상향 트래픽을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하향 트래픽이 발생하면(S16), 상기 제 1 기지국은 자신이 속하는 제 1 호출그룹과 제 2 호출그룹의 기지국들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하향 트래픽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백본 메시지를 전송한다(S17).
상기 하향 트래픽 발생을 인지한 상기 제 1 호출그룹과 제 2 호출그룹의 기지국들은 상기 단말의 유휴모드를 종료하고 네트워크 재접속을 지시하는 호출메시지를 각각의 주기에 맞춰서 상기 단말에 전송한다(S18).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호출메시지에 포함된 활동코드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지시를 확인한다.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유휴모드 종료를 지시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현재 자신이 속한 제 2 기지국에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유휴모드를 종료하고 네트워크 재접속 절차를 시작한다(S19).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에 백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현재 자신의 관리영역에 속해 있음을 알리고,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발생한 하향 데이터를 포워딩 해 줄 것을 요청한다(S20).
상기 제 1 기지국은 제 1 호출그룹과 제 2 호출그룹의 기지국들에게 백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유휴모드를 종료했음을 알리는 동시에 상기 제 2 기지국에 상기 단말에 전송할 하향 데이터를 전송한다(S21).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백본 메시지를 수신한 각 기지국들은 유휴모드 단말 리스트에서 상기 단말을 삭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출정보 할당방법에서, 단말이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한 기지국에게 유휴모드를 요청하면, 상기 기지국은 자신이 속한 모든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상기 단말에 할당하고 상기 호출그룹의 기지국들은 상기 단말을 유휴모드 단말 리스트에 추가하여 관리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호출정보를 갖고 있는 각 호출그룹의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유휴모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의 전력 소모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정보 할당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이 셀 내에 있는 이동단말에게 임의의 우선순위로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경우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유휴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자신이 속하는 기지국에 유휴모드 요청(DRE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31).
상기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자신이 속한 호출그룹의 호출로드를 비교하여, 상기 호출로드가 작은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그룹 ID, 호출주기, 호출오프셋을 포함하는 호출정보를 유휴모드 응답(DREG-CMD)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허가한다(S32).
상기 기지국은 제 1 호출그룹과 제 2 호출그룹에 속하고, 제 1 호출그룹의 호출로드가 제 2 호출그룹의 호출로드보다 작다고 가정하자.
상기 단말로부터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제 1 호출그룹의 호출로드와 제 2 호출그룹의 호출로드를 비교하여, 제 1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제 1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제 1 호출그룹의 호출주기에 맞춰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한다(S33).
상기와 같이,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한 기지국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에게 상기 기지국에 속한 호출그룹 중에서 호출로드가 작은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호출그룹 중에서 가장 호출로드가 작은 하나의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전송하거나 작은 호출로드를 갖는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우선적으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출정보 할당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유휴모드 상태의 단말에게 호출오프셋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은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DREG-CMD)를 통해 초기에 호출정보를 할당하고, 그 이후에 상기 단말에 호출주기마다 전송하는 호출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호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출정보는 호출그룹 ID와,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호출메시지에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에 대한 포맷을 추가하고 상기 호출정보 변경에 대한 활동코드를 정의한다.
상기 기지국이 특정 유휴모드 단말의 호출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유휴모드 단말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호출메시지를 도 6과 같이 변경된 포맷의 호출메시지로 전송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호출주기 및 호출오프셋을 변경하려는 값으로 설정하고, 활동코드를 호출정보 변경(Action code= 00 = ‘Change paging cycle/offset’)으로 설정하여 해당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호출메시지 내 활동코드가 호출정보 변경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주기 및 호출오프셋 항목에 설정된 값으로 호출정보를 변경하고, 이후부터는 변경된 호출정보에 따라 호출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기지국은 변경된 호출정보를 갖는 유휴모드 단말에 대한 정보를 동일한 호출그룹에 속한 기지국들에게 백본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고, 각 기지국들은 변경된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에 맞추어 상기 단말에 호출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호출정보의 변경을 알리는 백본 메시지를 나타낸 실시예로서, 백본 메시지의 활동코드에 호출정보의 변경을 정의하는 활동코드를 추가한다.
상기 백본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백본 메시지의 활동코드를 통해 호출정보의 변경에 관련된 백본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상기 호출주기 및 호출오프셋 항목에 설정된 값으로 호출정보를 변경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은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해 있는 기지국을 통해 이동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에 상기 기지국이 속해 있는 모든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호출그룹 중에서 다른 호출그룹의 기지국으로 이동하더라도 유휴모드를 종료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의 전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은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해 있는 기지국을 통해 이동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이 속해 있는 호출그룹 중에서 호출로드가 작은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우선적으로 상기 이동단말에 할당함으로써 상기 호출로드가 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은 기지국이 단말을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이 유휴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에도 호출메시지를 통해 각 단말의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휴모드를 운영하는 기지국들은 단말에 대한 제어를 유연하게 할 수 있고 호출메시지의 부하균형(load balancing)을 제어하여 망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지국이 단말에 전송하는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의 활동코드에 대한 정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유휴모드 응답 메시지의 TLV 엔코딩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호출메시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출정보 할당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정보 할당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호출정보의 변경을 알리는 백본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

Claims (22)

  1.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은 유휴모드를 요청하는 이동단말에게 자신이 속한 모든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과정과;
    각 호출그룹의 호출정보에 따라 유휴모드 상태인 이동단말에게 주기적으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정보는
    호출그룹 ID와,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이 속하는 호출그룹의 다른 기지국들에게 상기 이동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된 것을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된 것은
    백본 메시지를 통해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호출정보 변경 시, 변경된 호출정보와 호출정보 변경을 알리는 코드를 설정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속하는 호출그룹의 다른 기지국들에게 호출정보 변경을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6.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각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동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각 호출그룹의 호출정보에 따라 주기적으로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정보는
    호출그룹 ID와,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은
    호출메시지에 호출정보 변경을 알리는 코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정보 변경 코드가 존재하면, 기존의 호출정보를 상기 호출메시지에 포함된 호출정보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9. 유휴모드의 이동단말이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이 변경된 호출정보 및 호출정보 변경 코드를 호출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이 호출정보 변경 코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정보 변경 코드가 존재하면, 기존의 호출정보를 상기 호출메시지에 포함된 호출정보로 변경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과 동일한 호출그룹의 다른 기지국들에게 상기 변경된 호출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호출정보는
    백본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정보는
    호출그룹 ID와,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호출정보는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14.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이동단말을 포함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에서 전송되는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기지국이 속하는 모든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단말에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호출정보를 기반으로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기를 설정하고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메시지 내에 변경된 호출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호출정보가 존재하면, 기존의 호출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정보는
    호출그룹 ID와, 호출주기와, 호출오프셋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정보를 이동단말에 할당하는 과정은
    백본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과 동일한 호출그룹의 다른 기지국들에게 상기 호출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백본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들은 유휴모드 단말 리스트에 상기 이동단말을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모드 단말 리스트는
    기지국이 속해있는 호출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유휴모드 단말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18.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은 유휴모드를 요청하는 이동단말에게 자신이 속한 호출그룹 중에서 호출로드가 작은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정보의 할당은
    호출로드가 가장 작은 하나의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과정과;
    작은 호출로드를 갖는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20. 하나 이상의 호출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이 유휴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이동단말에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자신이 속한 모든 호출그룹에 대한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단말에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특정 우선순위로 선별된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상기 이동단말에 할당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로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과정은
    기지국이 속하는 호출그룹 중에서 호출로드가 작은 호출그룹의 호출정보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호출그룹의 호출로드가 작을수록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력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KR1020040053666A 2004-06-25 2004-07-09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KR10108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1999 WO2006001674A1 (en) 2004-06-25 2005-06-25 Method of controlling idle mode in broadband wirele access system
JP2007517969A JP4734325B2 (ja) 2004-06-25 2005-06-25 広帯域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遊休モード制御方法
US11/571,139 US7917183B2 (en) 2004-06-25 2005-06-25 Method of controlling idle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CA2569497A CA2569497C (en) 2004-06-25 2005-06-25 Method of controlling idle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EP05756762.0A EP1767035B1 (en) 2004-06-25 2005-06-25 Method of controlling idle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CN2005800209393A CN1973570B (zh) 2004-06-25 2005-06-25 在宽带无线接入系统中控制空闲模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8434 2004-06-25
KR1020040048434 2004-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018A true KR20050123018A (ko) 2005-12-29
KR101080556B1 KR101080556B1 (ko) 2011-11-07

Family

ID=3729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666A KR101080556B1 (ko) 2004-06-25 2004-07-09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34325B2 (ko)
KR (1) KR101080556B1 (ko)
CN (1) CN19735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05B1 (ko) * 2006-02-14 201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및 아이들모드에서의동기획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674B1 (ko) * 2007-06-15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운영 방법 및 장치
US8660064B2 (en) 2008-06-03 2014-0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inform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8185138B2 (en) * 2008-10-13 2012-05-22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messages for power saving in a mobile WiMAX system
CN101771940A (zh) * 2008-12-29 201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维护空闲模式下移动站组信息的方法和系统及服务基站
CN101820678B (zh) * 2009-02-28 2014-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空闲模式下后向兼容传统基站的方法及系统
KR101597092B1 (ko) * 2009-06-24 2016-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014490A (zh) * 2010-12-09 2011-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分配寻呼监听间隔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5058B1 (en) 1998-12-04 2003-01-07 Motorola, Inc.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wake up a mobile station
US6647261B1 (en) * 2000-07-20 2003-11-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dle handoff method taking into account critical system jobs
EP1213939A1 (en) 2000-12-08 2002-06-12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mplemented point-to-multipoint-multicast function
EP1292168B1 (en) * 2001-09-10 2009-05-06 NTT DoCoMo, Inc. Registration and pag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WO2003105519A1 (ja) * 2002-06-05 2005-10-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サーバ、移動通信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方法、無線基地局、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呼び出し方法及び移動通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05B1 (ko) * 2006-02-14 201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및 아이들모드에서의동기획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3570B (zh) 2010-12-08
CN1973570A (zh) 2007-05-30
JP2008503978A (ja) 2008-02-07
KR101080556B1 (ko) 2011-11-07
JP4734325B2 (ja)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9497C (en) Method of controlling idle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EP3451758B1 (en) Paging process in a home cellular network
KR100957355B1 (ko) Ⅰp 기반의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페이징시스템 및 방법
CN101068370B (zh) 用户设备寻呼方法及系统
US8219117B2 (en) Method of paging a mobile terminal
JP2020115694A (ja) 端末状態の切り替え方法及び装置
JP2019062559A (ja) システム情報の配信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251315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更新
JP4734325B2 (ja) 広帯域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遊休モード制御方法
KR20070108830A (ko) 단말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페이징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
KR100875424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CN1998259B (zh) 在无线接入系统中支持移动站的空闲模式
US99070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dl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20058615A (ko) C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관리 방법
KR100875419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유효성 확인방법
KR10112879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유휴모드 지원 방법
KR100893862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제어 방법
JP2008526083A (ja) 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遊休モード動作方法
KR20090071009A (ko) 라우팅 영역 및 위치등록 영역 업데이트 제어 방법 및시스템
KR101554186B1 (ko) 클라이언트 기반의 크로스레이어 아이피 페이징 방법
KR2004005524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록 방법
KR20080097888A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43092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