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671A -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671A
KR20050122671A KR1020040048288A KR20040048288A KR20050122671A KR 20050122671 A KR20050122671 A KR 20050122671A KR 1020040048288 A KR1020040048288 A KR 1020040048288A KR 20040048288 A KR20040048288 A KR 20040048288A KR 20050122671 A KR20050122671 A KR 2005012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digital television
network
initial screen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589B1 (ko
Inventor
백병석
김용덕
박성택
이재범
이병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589B1/ko
Priority to CNA2005100777425A priority patent/CN1713722A/zh
Priority to US11/166,235 priority patent/US7958537B2/en
Publication of KR2005012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등시적 통신이 지원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방송 화면 제공 방법은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 상태에서 파워-온 상태가 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활성화된 셋톱박스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셋톱박스에 초기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송 신호 전송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초기 과정은 사용자의 상호작용(interaction)없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itial scene on digital television}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시적 통신이 지원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이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갖는 우수한 특징은 무엇보다도 선명한 화질과 깨끗한 음질이다. 이는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파에 실어 다시 텔레비전 화면에 띄우는 과정, 다시 말하면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변조에서 복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디지털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변조에서 복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디지털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훨씬 적게 받는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다채널 방송이 가능하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6MHz를 갖는 하나의 대역폭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전송할 수 있으나 디지털 방송에서는 하나의 대역폭에 복수의 프로그램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다채널 방송이 가능하게 한 기술이 영상 및 음성의 압축 기술이며 현재 디지털 방송은 MPEG-2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라 함) 방식으로 방송 프로그램들을 압축하여 전송한다. 또한, 현재 디지털 방송은 오디오 데이터를 다채널 방식, 예를 들면 5.1 채널 방식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집에서도 영화관 수준의 음향 효과를 느끼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해서는 셋톱박스(Set Top Box)라 불리는 디지털방송 수신기가 있어야 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텔레비전과 별도로 판매되기도 하지만 텔레비전에 포함되어 판매되기도 한다.
도 1은 일반 텔레비전과 종전의 셋톱박스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은 셋톱박스(110)와 텔레비전(120)을 포함한다.
셋톱박스(110)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고(reconstruct), 복원된 아날로그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텔레비전(120)으로 보낸다. 셋톱박스(110)에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은 방식에 따라 디지털 지상파 방송 방식과, 디지털 케이블 방송 방식 및 디지털 위성 방송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디지털 지상파 방송은 안테나(미 도시됨)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디지털 위성 방송은 포물면(parabolic surface)을 갖는 위성 방송 수신 안테나(미 도시됨)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디지털 케이블 방송은 케이블 방송을 위한 동축 케이블(16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셋톱박스(110)는 튜닝을 통해 원하는 대역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들을 수신하고, MPEG-2 TS 방식으로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들을 MPEG-2 TS 방식으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추출한다. 추출된 영상 데이터는 MPEG-2 방식으로 압축된 상태이므로 셋톱박스(110)는 자신의 MPEG-2 디코더(미 도시됨)를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영상 신호를 복원한다.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는 AC-3 또는 DTS 방식으로 압축된 상태이므로 AC-3 또는 DTS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한다. 복원된 영상 및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이는 텔레비전(120)에 보내진다.
셋톱박스(110)와 텔레비전(120)은 A/V(Analogue/Video) 케이블(150)로 연결되어 있어, 텔레비전(120)은 A/V 케이블(150)을 통해 셋톱박스(110)가 보내는 신호를 받을 수 있다. 텔레비전(120)은 셋톱박스(110)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받아 브라운관, PDP, LCD 등을 통해 가시광선으로 출력하고, 셋톱박스(110)를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로 출력한다.
도 2는 도 1과 달리 디지털 텔레비전(120)을 구비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120)은 자체적으로 압축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는 디코더를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200)에 포함된 셋톱박스(210)는 도 1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에 포함된 셋톱박스(110)와는 달리 압축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복원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셋톱박스(210)는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260)을 통해 수신되는 여러 대역의 방송 프로그램들 중에서 튜너(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원하는 대역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들을 수신하고, MPEG-2 TS 방식으로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들을 MPEG-2 TS 방식으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추출한다.
셋톱박스(210)는 역다중화를 통해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를 추출할 때 각 방송국의 영상 데이터들과 오디오 데이터들 및 기타 데이터들에 부여된 PID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채널 24번의 방송의 영상 데이터에 PID가 3이 부여되고 오디오 데이터에 PID가 7이 부여되며 자막처리 등을 위한 기타 데이터에 PID가 8이 부여된 경우에, 셋톱박스(210)는 채널 24번이 포함된 대역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PID가 3, 7, 및 24인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채널 24의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기타 데이터)은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네트워크 케이블(250)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220)에 전달된다.
네트워크 케이블(250)로 연결된 디지털 텔레비전(220)과 셋톱박스(210)에는 여러 디지털 장치들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텔레비전(220)에 디지털 캠코더(230)와 오디오 플레이어(2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지털 텔레비전(220)을 통해 디지털 캠코더(230)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고, 디지털 텔레비전(220)의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플레이어(24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로 다양한 장치들이 연결된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동작은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원이 꺼진 상태(또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디지털 텔레비전에 부착된 제어 버튼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파워-온을 명령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파워-온 상태가 된다(S310).
파워-온 상태의 디지털 텔레비전은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을 인식하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한다(S312).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은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셋톱박스의 존재를 찾은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의 셋업 과정을 수행한다(S314). 셋톱박스의 셋업 과정은 현재 셋톱박스의 상태를 확인하고, 셋톱박스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필요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가 파워-오프 상태이거나 스탠바이 상태라면 셋톱박스가 파워-온 상태가 되도록 셋톱박스를 제어하고 셋톱박스가 스탠바이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셋톱박스에 보내준다. 만일 셋톱 박스가 이미 활성화 상태인 것이 확인된다면 셋톱박스의 활성화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셋톱박스로 보내는 과정은 생략된다.
파워-온 과정(S310)과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S312) 및 셋업 과정(S314)을 통해 초기 동작이 끝나면, 사용자는 리모콘이나 제어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인 메뉴 선택 명령을 한다(S320). 사용자가 메인 메뉴 선택 명령을 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메인 메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하여 메인 메뉴에 포함된 셋톱박스를 선택한다(S322). 셋톱박스가 선택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사용자가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들을 제공한다.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는 채널을 선택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S324). 사용자는 직접 특정한 채널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전자프로그램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해 제공되는 채널들 중에서 채널들을 찾아본 후에 원하는 채널을 확인하고 선택할 수도 있다.
전자프로그램가이드는 방송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에 셋톱박스를 통해 제공된다.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면(S324),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에 선택된 채널 정보를 보내면서 선택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보내달라고 요청한다.
셋톱박스는 디지털 텔레비전으로부터 특정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요구받으면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요청된 방송 프로그램을 보내주고, 디지털 텔레비전은 MPEG-2 TS 형식으로 전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S330).
디지털 텔레비전은 수신된 MPEG-2 TS 형식의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하여 영상과 오디오 신호 및 기타 데이터를 얻는다(S332).
이와 같은 종전의 방식에 따를 경우에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 단계(S320, S322, S324)의 디지털 텔레비전 조작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IEEE1394 기반의 HAVi(www.havi.org)는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되기 직전에 액세스한 디바이스를 디지털 텔레비전이 기억하도록 하고,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온될 때 우선적으로 해당 디바이스를 액세스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작과정의 불편함을 제거하려고 시도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에도 IEEE1394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이 탈퇴할 때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디지털 텔레비전(220)이 디지털 캠코더(230)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다가 파워-오프된 후에, 사용자가 디지털 캠코더(230)를 네트워크에서 분리한 경우에 이후에 파워-온된 디지털 텔레비전(220)의 초기 화면에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지털 텔레비전(230)이 파워-온되면, 가장 최근에 액세스한 디지털 캠코더(230)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디지털 캠코더(230)를 디스커버리하려 하는데, 디지털 캠코더(230)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디지털 캠코더(23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화면이 여전히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극복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온될 때 초기 화면을 보여주는 방법에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선택에 따라 설정된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을 보여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시적 통신이 지원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방송 화면 제공 방법은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 상태에서 파워-온 상태가 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활성화된 셋톱박스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셋톱박스에 초기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송 신호 전송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시적 통신이 지원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방송 화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 상태에서 파워-온 상태로 바뀌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상기 설정된 초기 화면 모드에 따라 초기 화면을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다 상세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과 디지털 텔레비전이 연결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한다. 디지털 텔레비전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주로 동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그 특성상 실시간 전송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이며, QoS(Quality of Service)가 보장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것이 IEEE1394이다.
IEEE1394 인터페이스의 가장 큰 특징은 빠른 전송 속도에 있다. 모드에 따라 100 Mbps, 200 Mbps, 400 Mbps 등 세 가지 속도를 낼 수 있다. 800 Mbps, 1.6 Gbps의 속도를 내는 기술이 연구되었거나 연구중에 있다. 이와 같이 빠른 전송속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IEEE1394 인터페이스는 동영상이나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기에 적당하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를 연결하기에 적당하다. 또한, IEEE1394는 속도 모드에 있어서 높은 속도 모드는 그보다 낮은 속도 모드에 대해 호환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200 Mbps 모드는 100 Mbps와 호환이 가능하고, 400 Mbps 모드는 100 Mbps 및 200 Mbps의 두 가지 모드와 호환이 가능하다. 또한 IEEE1394는 뛰어난 쌍방향 통신 기능을 갖는다. IEEE1394의 또 다른 특징은 플러그앤플레이(Plug-and-Play)를 지원하며, 특히 핫플러깅(Hot-Plugging)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IEEE1394의 프로토콜은 케이블로 연결된 여러 모듈들 가운데 뭔가 변화가 생기면 즉시 그에 대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사용중인 모듈들도 마음대로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다른 장치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하던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데이지 체인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어떤 모듈이 네트워크에 붙거나 떨어져 나가면 형태가 달라지므로 모든 정보는 리셋되고 이 체인의 모듈들은 다시 어드레스를 부여받는다. 그런 다음, 모듈들은 자신의 위치를 이 체인에 붙어 있는 모든 모듈들에게 알리고 재동작을 하기 위하여 준비 상태로 돌아간다
무엇보다도 IEEE1394로 디지털 텔레비전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유리한 특성 중 하나는 등시적(isochronous)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등시적"은 주기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용어로, 서로 관련된 두 천이를 분리하는 시간 간격이, 정해진 단위간격이나 단위간격의 배수와 같음을 의미한다. 즉, 두 개 이상의 순차적 신호에서 서로 관련된 중요한 순간들이 일정 위상관계를 가짐을 의미한다. 등시적 전송에서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개개의 모듈들이 송신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이 주기적으로 일정하고 보증된다. 이러한 등시적 특성으로 인해, IEEE1394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는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동영상이나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지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나.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IEEE1394에 기반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디지털 텔레비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IEEE1394 용어정의>
-노드(node)
직렬 버스에 붙어 있는(attached) 어드레싱 가능한 디바이스를 말하며, 노드는 적어도 제어 레지스터들의 최소 집합을 갖는다. 한 노드의 제어 레지스터들을 변경하는 것은 다른 노드의 제어 레지스터들의 상태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각 노드는 16 비트의 유일한 번호인 노드 식별자(node ID)를 갖는다. 각 노드는 노드 제어장치(node controller)를 가지며, 노드 제어장치는 주어진 노드와 상기 노드에 위치한 어플리케이션, 트랜잭션, 링크, 및 물리적 요소들에게 관리함수를 위한 조정 포인트(coordination)를 배타적으로 제공한다.
-노드 식별자(node ID)
노드 식별자는 시스템에서 노드와 다른 노드를 구별시킨다. 노드 식별자에서 10개의 MSB(Most Significant Bits)는 버스 식별자라고 하며, 버스 식별자는 동일한 버스의 모든 노드들에게 동일한 값이 부여된다. 노드 식별자에서 6개의 LSB(Least Significant Bits)는 같은 버스의 각 노드들에 유일한 값이 부여되며 물리적 식별자라고 한다.
-중재(aribitration)
노드가 버스의 소유권을 경쟁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케이블 환경은 계층적 점대점(hierachical point-to-point)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중재 경쟁에서 승리한 단 하나의 노드만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자기 식별자 패킷(self-ID packets)
리셋을 뒤따르는 자기 식별자 단계(self-ID phase) 동안에 케이블 물리층에 의해 보내지는 특별한 패킷을 말한다. 주어진 노드는 자신이 가지는 포트들의 최대수에 종속하여 1 내지 4개의 자기 식별자 패킷을 보낸다.
-모듈(module)
물리적 패키지(인쇄회로기판 또는 다중 보드들의 집합)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노드들로 구성된다. 모듈은 쉽게 제거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모듈이 물리적 패키지 개념이라면 노드는 논리적 어드레싱 개념이다. 보통의 동작에서, 모듈은 소프트웨어에게 보이지 않지만, 모듈이 대체될 때나, 공유된 버스 인터페이스가 실패되거나, 특화된 모듈 분석 소프트웨어가 호출된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IEEE1394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동작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 때 디지털 텔레비전과 셋톱박스는 앞서 설명한 모듈에 해당하는 개념으로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화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원이 꺼진 상태(또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디지털 텔레비전에 부착된 제어 버튼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파워-온을 명령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파워-온 상태가 된다(S410).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온 상태가 되면 IEEE1394 기반의 네트워크는 토폴로지가 변하게 되어 버스 초기화(bus initialize) 과정이 수행된다. 즉, 디지털 텔레비전이 버스에 합류하게되면 버스 리셋 신호를 보내고, 버스 리셋 신호는 모든 노드들이 토폴로지 정보를 제거하도록하는 특별 상태로 만든다. 버스 리셋이 끝나면, 트리 식별(tree-ID) 프로세스가 일반적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트리로 번역한다. 트리 토폴로지에는 하나의 노드가 루트(root)로 지정되고, 모든 물리적 연결들은 루트 노드를 향하는 방향을 갖는다. 연결되지 않은 노드들은 중재 프로세스에 참여하지 못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텔레비전이 루트 노드가 된다.
그리고 나서 디지털 텔레비전은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을 인식하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한다(S412). IEEE1394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은 자기 식별(self-identify)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자기 식별 과정에서 각 노드는 유일한 물리적 식별자를 선택할 기회를 갖고, 각 노드는 버스에 붙은 어떠한 관리 요소에게 자기 자신을 식별시킨다. 자기 식별자 정보를 보내는 과정은 하나에서 네개의 매운 짧은 패킷들을 베이스 레이트에서 케이블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되는데, 패킷들은 물리적 식별자와 약간의 관리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정보에는 버스에 붙은 노드의 특성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셋톱박스의 경우에 셋톱박스의 기능을 제공한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디지털 캠코더의 경우에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관리정보는 각 디바이스가 자신의 설정정보 롬(configuration rom)에 저장하며, IEEE1394 네트워크에 물린 디바이스들은 서로서로 이 정보를 읽음으로서 상대 디바이스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할수 있는지 알게된다. 물리적 식별자는 노드가 자신의 자기 식별자를 보낼 기회를 갖기 전에 자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상태를 통과하는 횟수의 카운터이다. 예를 들면 첫번째 자기 식별 패킷을 전송하는 노드는 자신의 물리적 식별자를 0으로 선택하고, 두번째 노드는 1로 선택하는 방식이다. 자기 식별 과정을 거치면 네트워크(버스)에 붙어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과 셋톱박스는 고유한 노드 식별자를 갖는다.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은 네트워크에서 셋톱박스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셋톱박스를 인식한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의 셋업 과정을 수행한다(S414). 셋톱박스의 셋업 과정은 현재 셋톱박스의 상태를 확인하고, 셋톱박스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필요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가 파워-오프 상태이거나 스탠바이 상태라면 셋톱박스가 파워-온 상태가 되도록 셋톱박스를 제어하고 셋톱박스가 스탠바이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셋톱박스에 보내준다. 만일 셋톱 박스가 이미 활성화 상태인 것이 확인된다면 셋톱박스의 활성화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셋톱박스로 보내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파워-온 과정(S410)과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S412) 및 셋업 과정(S414)이 끝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에게 신호 전송을 요구한다(S41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전송을 요구받은 셋톱박스는 자신이 디지털 텔레비전에 제공했던 가장 최근 채널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디지털 텔레비전에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전송을 요구받은 셋톱박스는 기본값으로 지정된 채널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디지털 텔레비전에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중재 과정이 수행된다. 중재 과정을 통해 셋톱박스는 디지털 텔레비전에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할 시간과 대역폭을 얻을 수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가 보내주는 방송 프로그램을 MPEG-2 TS 형식으로 수신한다(S416). MPEG-2 TS를 수신한 디지털 텔레비전은 MPEG-2 TS에 포함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에도 디지털 텔레비전에 초기 화면이 제공된다. 또한, HAVi 방식의 디지털 텔레비전과는 달리 가장 최근에 사용했던 디바이스에 무관하게 디지털 텔레비전에 초기 화면이 제공된다.
초기 동작이 끝나면, 사용자는 리모콘이나 제어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인 메뉴 선택 명령을 한다(S420). 사용자가 메인 메뉴 선택 명령을 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메인 메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하여 메인 메뉴에 포함된 셋톱박스를 선택한다(S422). 셋톱박스가 선택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사용자가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들을 제공한다.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는 채널을 선택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S424). 사용자는 직접 특정한 채널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통해 제공되는 채널들 중에서 채널들을 찾아본 후에 원하는 채널을 확인하고 선택할 수도 있다. 전자프로그램가이드는 방송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에 셋톱박스를 통해 제공된다.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면(S424),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에 선택된 채널 정보를 보내면서 선택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보내달라고 요청한다.
셋톱박스는 디지털 텔레비전으로부터 특정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요구받으면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요청된 방송 프로그램을 보내주고, 디지털 텔레비전은 MPEG-2 TS 형식으로 전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S430).
디지털 텔레비전은 수신된 MPEG-2 TS 형식의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하여 영상과 오디오 신호 및 기타 데이터를 얻는다(S432).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텔레비전이 제공하는 초기 화면은 셋톱박스에 저장된(또는 기본값으로 설정된) 채널에 따라 결정된다. 디지털 텔레비전이 제공하는 초기 화면을 디지털 텔레비전에 저장된 채널 정보에 따라 결정하는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화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원이 꺼진 상태(또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디지털 텔레비전에 부착된 제어 버튼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파워-온을 명령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파워-온 상태가 된다(S510).
그리고 나서 디지털 텔레비전은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을 인식하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한다(S512).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은 네트워크에서 셋톱박스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셋톱박스를 인식한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의 셋업 과정을 수행한다(S514). 셋톱박스의 셋업 과정은 현재 셋톱박스의 상태를 확인하고, 셋톱박스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필요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가 파워-오프 상태이거나 스탠바이 상태라면 셋톱박스가 파워-온 상태가 되도록 셋톱박스를 제어하고 셋톱박스가 스탠바이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셋톱박스에 보내준다. 만일 셋톱 박스가 이미 활성화 상태인 것이 확인된다면 셋톱박스의 활성화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셋톱박스로 보내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파워-온 과정(S510)과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S512) 및 셋업 과정(S514)이 끝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에게 디지털 텔레비전이 저장하고 있는 가장 최근에 시청했던 채널의 방송 신호 전송을 요구한다(S515). 셋톱박스는 방송 신호 전송 요구를 수신하면, 디지털 텔레비전이 요청한 채널로 방송 프로그램을 보내준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가 보내주는 방송 프로그램을 MPEG-2 TS 형식으로 수신한다(S516). MPEG-2 TS를 수신한 디지털 텔레비전은 MPEG-2 TS에 포함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에도 디지털 텔레비전에 초기 화면이 제공된다. 또한, HAVi 방식의 디지털 텔레비전과는 달리 가장 최근에 사용했던 디바이스에 무관하게 디지털 텔레비전에 초기 화면이 제공된다.
초기 동작이 끝나면, 사용자는 리모콘이나 제어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인 메뉴 선택 명령을 한다(S520). 사용자가 메인 메뉴 선택 명령을 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메인 메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하여 메인 메뉴에 포함된 셋톱박스를 선택한다(S522). 셋톱박스가 선택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사용자가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들을 제공한다.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는 채널을 선택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S524). 사용자는 직접 특정한 채널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통해 제공되는 채널들 중에서 채널들을 찾아본 후에 원하는 채널을 확인하고 선택할 수도 있다. 전자프로그램가이드는 방송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에 셋톱박스를 통해 제공된다.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면(S524),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에 선택된 채널 정보를 보내면서 선택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보내달라고 요청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한 채널 정보를 저장한다(S530). 채널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더라도 채널 정보가 지워지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채널 정보는 비휘발성이면서 읽기, 쓰기, 및 지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다.
셋톱박스는 디지털 텔레비전으로부터 특정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요구받으면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요청된 방송 프로그램을 보내주고, 디지털 텔레비전은 MPEG-2 TS 형식으로 전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S530).
디지털 텔레비전은 수신된 MPEG-2 TS 형식의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딩하여 영상과 오디오 신호 및 기타 데이터를 얻는다(S532).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에서 파워-온 상태가 될 때 초기 화면이 사용자의 동작이나, 디지털 텔레비전이 가장 최근에 액세스한 디바이스와 무관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초기 화면 설정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바꿀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초기 화면 모드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리모콘이나 제어 버튼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텔레비전의 메인 메뉴를 선택한다(S610). 메인 메뉴는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함수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디지털 텔레비전이 인식하고 있는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액세스할 수 있고, 디지털 텔레비전의 화면의 밝기나 색상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전자프로그램 가이드를 통하여 각 채널에서 방송되거나 방송될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에게 메인 메뉴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메인 메뉴에서 제공되는 함수 중에 초기 화면 모드 설정 메뉴를 선택한다(S620). 초기 화면은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 상태에서 파워-온 상태가 될 때 사용자의 개입(채널 선택 등의 과정)없이 바로 텔레비전에 출력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초기 화면 모드는 도 4 또는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온 상태가 되면 무조건 방송 프로그램을 보여주도록 하는 모드가 있을 수 있고, HAVi와 같이 디지털 텔레비전이 가장 최근에 액세스한 디바이스를 액세스하도록 하고 일정 시간동안(예를 들면 2초동안) 응답(신호)이 없는 경우에 도 4 또는 도 5의 실시예처럼 방송 프로그램 보여주도록 하는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다양한 모드들 중에서 어느 한 초기 화면 모드를 선택하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초기 화면 모드를 설정한다(S630). 초기 화면 모드 설정에 관한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또는 EEPROM에 저장된다(S64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 상태에서 파워-온 상태로 바뀔 때 사용자의 상호작용(interaction)없이 사용자에게 초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초기 화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종전의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전의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전의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화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화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화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초기 화면 모드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등시적 통신이 지원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방송 화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 상태에서 파워-온 상태가 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활성화된 셋톱박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셋톱박스에 초기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송 신호 전송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IEEE1394 기반의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셋톱박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송 신호 전송을 요구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이 저장하고 있는 채널 정보에 따른 방송 신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채널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전송을 요구하는 단계는 상기 셋톱박스가 저장하고 있는 채널 정보에 따른 방송 신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등시적 통신이 지원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방송 화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 상태에서 파워-온 상태로 바뀌면, 디지털 텔레비전은 상기 설정된 초기 화면 모드에 따라 초기 화면을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IEEE1394 기반의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초기 화면 모드는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에서 파워-온 상태가 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활성화된 셋톱박스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셋톱박스에 상기 셋톱박스에 초기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송 신호 전송을 요구하며,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을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셋톱박스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방송 신호 전송을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초기 화면 모드는 디지털 텔레비전이 파워-오프에서 파워-온 상태가 되면 가장 최근에 액세스한 디바이스를 찾고, 상기 디바이스가 인식된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초기 화면을 보여주고 상기 디바이스가 소정의 시간동안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 셋톱박스를 찾아 상기 셋톱박스 제공하는 초기 화면을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40048288A 2004-06-25 2004-06-25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 KR100631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288A KR100631589B1 (ko) 2004-06-25 2004-06-25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
CNA2005100777425A CN1713722A (zh) 2004-06-25 2005-06-24 将初始图像提供给数字电视的方法
US11/166,235 US7958537B2 (en) 2004-06-25 2005-06-27 Method of providing initial pictures to digital 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288A KR100631589B1 (ko) 2004-06-25 2004-06-25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671A true KR20050122671A (ko) 2005-12-29
KR100631589B1 KR100631589B1 (ko) 2006-10-09

Family

ID=3550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288A KR100631589B1 (ko) 2004-06-25 2004-06-25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58537B2 (ko)
KR (1) KR100631589B1 (ko)
CN (1) CN17137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157B1 (ko) * 2007-12-10 2015-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02712B1 (ko) 2019-12-05 2021-01-13 주식회사 제이케이랩스 영상 제공 기기 초기 화면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8861A1 (en) * 2005-11-21 2007-05-2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graphics received through a cable television system to a digital television
US20070162677A1 (en) * 2006-01-06 2007-07-12 Chuntex Electronic Co., Ltd. Hot-plug extension device and a display having the hot-plug extension device
KR100705974B1 (ko) * 2006-01-25 2007-04-10 주식회사 휴맥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른 영상 신호출력 방법
JP4270270B2 (ja) * 2006-12-05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撮像装置、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89089B2 (en) 2007-12-03 2014-07-22 Lawrence J. Koncelik, Jr. Setting television or radio default channel
US9020167B2 (en) 2007-12-03 2015-04-28 Lawrence J. Koncelik, Jr. Setting television or radio default channel
US8356315B2 (en) * 2007-12-03 2013-01-15 Koncelik Jr Lawrence J Setting television default channel
KR101196410B1 (ko) * 2009-07-07 2012-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Tv 설치타입에 기초한 자동 환경 설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tv
US8316413B2 (en) 2010-02-04 2012-11-20 Eldon Technology Limited Apparatus for displaying electrical device usage information on a television receiver
US9599981B2 (en) * 2010-02-04 2017-03-21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Electronic appliance status notification via a home entertainment system
CN103297848B (zh) * 2012-02-22 2016-12-14 华为终端有限公司 媒体流的播放方法及机顶盒
US9495860B2 (en) 2013-12-11 2016-11-15 Echostar Technologies L.L.C. False alarm identification
US9900177B2 (en) 2013-12-11 2018-02-20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aintaining up-to-date home automation models
US20150161452A1 (en) 2013-12-11 2015-06-11 Echostar Technologies, Llc Home Monitoring and Control
US9769522B2 (en) 2013-12-16 2017-09-19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on specific operations
US9723393B2 (en) 2014-03-28 2017-08-01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to conserve remote batteries
US9621959B2 (en) 2014-08-27 2017-04-11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In-residence track and alert
US9824578B2 (en) 2014-09-03 2017-11-2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US9989507B2 (en) 2014-09-25 2018-06-05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Detection and prevention of toxic gas
US9511259B2 (en) 2014-10-30 2016-12-06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Fitness overlay and incorporat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983011B2 (en) 2014-10-30 2018-05-29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apping and facilitating evacuation routes in emergency situations
US9967614B2 (en) 2014-12-29 2018-05-08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Alert suspens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729989B2 (en) 2015-03-27 2017-08-08 Echostar Technologies L.L.C. Home automation sound detection and positioning
US9948477B2 (en) 2015-05-12 2018-04-17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weather detection
US9946857B2 (en) 2015-05-12 2018-04-17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stricted access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632746B2 (en) 2015-05-18 2017-04-25 Echostar Technologies L.L.C. Automatic muting
US9960980B2 (en) 2015-08-21 2018-05-0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ation monitor and device cloning
US9996066B2 (en) 2015-11-25 2018-06-12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VAC health monitoring using a television receiver
US10101717B2 (en) 2015-12-15 2018-10-16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s
US9798309B2 (en) 2015-12-18 2017-10-24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 profiling using audio sensor data
US10091017B2 (en) 2015-12-30 2018-10-02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Personalized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ized profiling
US10060644B2 (en) 2015-12-31 2018-08-28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preferences
US10073428B2 (en) 2015-12-31 2018-09-1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US9628286B1 (en) 2016-02-23 2017-04-18 Echostar Technologies L.L.C. Television receiver and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s to associate data with nearby people
US9882736B2 (en) 2016-06-09 2018-01-30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sound generation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US10294600B2 (en) 2016-08-05 2019-05-2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detection of washer/dryer operation/fault condition
US10049515B2 (en) 2016-08-24 2018-08-14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usted user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for home autom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1342A (en) * 1985-02-20 1987-03-17 Rca Corporation Auxiliary control un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5883621A (en) * 1996-06-21 1999-03-16 Sony Corporation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EP0860823A4 (en) * 1996-07-15 2001-05-02 Toshiba Kk DEVICE WITH DIGITAL INTERFACE, NETWORK SYSTEM WITH THIS DEVICE AND COPY PROTECTION PROCEDURE
KR100493360B1 (ko) * 1997-12-10 2005-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박스 콘트롤러의 전원제어방법
US6614987B1 (en) * 1998-06-12 2003-09-02 Metabyte, Inc. Television program recording with user preference determination
US6446262B1 (en) * 1998-10-26 2002-09-03 Two Way Tv Limited Broadcas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KR100275707B1 (ko) 1998-11-26 2000-12-15 윤종용 홈네트웍 시스템 및 그 노드 아이디 할당방법
JP4310674B2 (ja) * 2000-01-11 2009-08-1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に接続されているデバイスの選択方法及びこの選択方法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3526286A (ja) * 2000-03-02 2003-09-02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アトランタ,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双方向番組ガイド初期配列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020027337A (ko) * 2000-04-04 2002-04-13 요트.게.아. 롤페즈 인터넷을 통한 홈 네트워크 액세스 시스템
US6442328B1 (en) * 2000-05-31 2002-08-27 Keen Personal Media, Inc. Digital video recorder connectable to an auxiliary interface of a set-top box that provides video data stream to a display device based on selection between recorded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dig
JP2001359050A (ja) * 2000-06-15 2001-12-26 Sony Corp 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480923B2 (ja) * 2000-07-26 2003-12-22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上の機器制御方法およびこの制御方法を用いる映像機器
KR20020015848A (ko) * 2000-08-23 2002-03-02 윤종용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한 텔레비젼 및 이 장치의 초기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AU2001288453B2 (en) * 2000-08-25 2006-05-18 Opentv, Inc. Personalized remote control
US20020078453A1 (en) * 2000-12-15 2002-06-20 Hanchang Kuo Hub pages for set top box startup screen
US7797718B2 (en) * 2001-05-03 2010-09-1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WO2003036948A1 (en) 2001-10-22 2003-05-01 Predictive Me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initial television channel display
JP2003347950A (ja) * 2002-05-24 2003-12-05 Alpine Electronics Inc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AU2003280491A1 (en) * 2002-06-27 2004-01-19 Mjw Corporation Interactive video tour system editor
AU2003274917A1 (en) * 2002-08-21 2004-03-11 Disney Enterprises, Inc. Digital home movie library
KR100514737B1 (ko) * 2002-12-02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Qos를 지원하는 폴링 리스트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157B1 (ko) * 2007-12-10 2015-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02712B1 (ko) 2019-12-05 2021-01-13 주식회사 제이케이랩스 영상 제공 기기 초기 화면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89614A1 (en) 2005-12-29
KR100631589B1 (ko) 2006-10-09
US7958537B2 (en) 2011-06-07
CN1713722A (zh)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589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초기 화면 제공 방법
CN1309219C (zh) 信号主控制器使用红外传输命令和总线传输命令对多个av装置的控制
JP505637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8903523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audi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2140155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方法
CN101521765A (zh) 电子设备和显示控制方法
US6731347B1 (en) Method for switching signal input based on device capability
US69762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s between devices
JP2015084513A (ja) 表示フォワーディング機能および関連デバイスへの互換性通知を利用してコンテンツ共有を行うための方法
US68267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gnal path
CN1182679C (zh) 数字信号处理设备的识别方法
JP2003289537A (ja) ストリームソースデバイスとディスプレイ装置との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CN101335849A (zh) 电视机及其节目信息获取方法、电视广播接收系统
CN1171448C (zh) 数字广播接收系统及其数据传输方法、数字广播接收设备
EP2103112B1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taching a plurality of mod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054642A (ja) 記録システム、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CN101620410A (zh) 电子装置
JP5002637B2 (ja) 電子機器
JP2002524931A (ja) 多重入力ビデオ処理装置の構成を自動的に判定する方法
US7199835B2 (en) Method for switching signal input based on device capability
KR100246915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KR100243239B1 (ko) 자체 튜너를 갖지 않는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예약녹화장치 및 그에 따른 예약 녹화방법
WO2016117945A1 (ko) 방송 프로그램 다중표시를 위한 셋톱박스
JP4174455B2 (ja) サービス利用装置
JP2001069419A (ja) デジタルインタフェース搭載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