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186A -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186A
KR20050122186A KR1020050119109A KR20050119109A KR20050122186A KR 20050122186 A KR20050122186 A KR 20050122186A KR 1020050119109 A KR1020050119109 A KR 1020050119109A KR 20050119109 A KR20050119109 A KR 20050119109A KR 20050122186 A KR20050122186 A KR 20050122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assembly
vapor
prevention guard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환
Original Assignee
박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환 filed Critical 박광환
Priority to KR102005011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2186A/ko
Priority to KR1020050127420A priority patent/KR20060001976A/ko
Publication of KR2005012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186A/ko
Priority to KR1020060009233A priority patent/KR100822235B1/ko
Priority to PCT/KR2006/005114 priority patent/WO2007064154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는 증기원액투입구가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그 하부로 증기발생수단조립체 안치공간이 설치되며, 하우징 상단에 오물여과포집수단 수납구가 배치되어 증기원액이 공기배출수단조립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저면조립체의 진행방향쪽 외곽에 착설되는 1개 이상의 오물흡입수단과, 상기 오물흡입수단의 내곽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증기방출수단과, 상기 오물흡입수단과 증기방출수단 사이에 설치된 증기흡입방지가드와 증기누출방지가드를 포함하는 저면조립체가 청소 바닥면에 접하고, 전기가 인가되어 증기의 발생과 공기의 흡입이 동시에 이루어는 경우에도 증기방출수단에서 방출된 증기가 오물흡입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또한 증기누출방지가드와 증기흡입방지가드에는 상하 이동수단과 전원단속수단이 포함되어, 증기누출방지가드와 증기흡입방지가드중 둘 중에 어느 하나라도 바닥면에서 이탈되면 전원단속수단이 설치된 상하 이동식 증기누출방지가드 또는 증기흡입방지가드가 하부로 이완되어 공기배출수단조립체의 전원이 단절되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Description

증기복합 전기청소기{electronic steam and vacuum cleaner complex}
종래의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는 바닥에 널려 있는 비교적 큰 먼지나 티끌을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빠른 공기의 흐름을 일으켜 쓸어내도록 고안된 장치(sweeping equipment)이고, 이에 비하여 증기걸레기(electronic steam mop)는 증기를 발생시켜 증기를 증기걸레기의 하부바닥에 부착된 걸레를 통과시켜 뜨거운 증기를 이용하여 바닥에 붙은 먼지나 찌든 때를 닦아 내도록 고안된 장치(moping equipment)이다.
대개의 경우 가정에서 청소를 할 때 먼저 진공청소기로 비교적 굵은 먼지나 오물을 흡입 제거한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고, 바닥에 부착된 미세 먼지나 때는 증기걸레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관례화되어 있었다. 따라서 바닥에 먼지나 때 이외의 비교적 굵은 오물이 있을 경우에는 먼저 전기 진공청소기로 흡입 제거한 후에 증기걸레기를 사용하여야 빈틈없이 깨끗하게 먼지를 닦아 낼 수 있다.
이렇게 두 번에 걸쳐서 청소 작업을 하게 되면 시간과 노력이 이중으로 소모되고, 두 개의 청소기를 따로 따로 구입하는 것도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특허문헌에 나타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999. 6. 15. 공고번호 제10-0194379호(등록일자 1999. 02. 09. 전기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5. 10. 14. 등록번호 제20-0398703호(2005. 10. 7. 등록, 스팀겸용 진공청소기)가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장치는 진공청소기부의 하우징과 증기걸레기부의 하우징이 분리되어 있고, 증기걸레기부의 증기발생장치가 진공청소기부의 흡입구막대에 부착되어 있거나, 진공청소기부의 공기배출수단이 증기걸레기부의 이동수단막대에 부착되어 있어서 막대의 부피가 크게 되고, 막대에 하중이 걸려서 청소작업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에 의한 두 장치는 필연적으로 증기걸레기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진공청소기부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게 되어 진공청소기부의 오물여과포집수단과 공기배출모터에 유입되어 진공청소기의 성능이 저하되고, 습기로 인한 모터의 고장, 누전의 발생 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진공청소기와 증기걸레기를 결합하여 하나의 전기 복합기(electronic steam mop & vacuum cleaner complex)로 결합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증기걸레기에서 발생하는 증기와 습기가 진공청소기로 흡입되어 진공청소기의 오물흡입수단 및 오물여과포집수단 등을 젖게 하고, 이것이 진공청소기의 흡입능력을 저하시키고, 진공청소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고장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일상 생활에 실용화 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999. 6. 15. 공고번호 제10-0194379호(등록일자 1999. 02. 09. 전기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5. 10. 14. 등록번호 제20-0398703호(2005. 10. 7. 등록, 스팀겸용 진공청소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종래 진공청소기와 증기걸레기의 전기장치를 하나의 하우징내에 내장하고, 공통 기능의 구성요소는 통합하여 하나의 기기인 증기복합 전기청소기(electronic steam mop & vacuum cleaner complex)로 구성하고, 그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증기걸레기에서 발생하는 증기와 습기가 진공청소기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증기걸레기에는 청소하려는 바닥면에 접하는 증기걸레기의 저면조립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증기방출수단의 외곽에 증기가 물리적으로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증기누출방지가드(guard)를 설치하였고, 2차적으로는 진공청소기의 청소하려는 바닥면에 접하는 오물흡입수단의 구조를 새롭게 고안하여 증기흡입방지가드(guard)를 구비하여 오물흡입수단의 바닥면 접착시에는 물리적으로 증기가 진공청소기에 흡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기적으로는 진공청소기의 모터 조절 스위치와는 별도로 진공청소기 작동시에는 증기걸레기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 즉 다시 말하면 증기걸레기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면 진공청소기가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장치를 안출하기 위하여 청소하려는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던 증기걸레기의 저면조립체의 증기누출방지가드 또는 진공청소기의 오물흡입수단 저면의 증기흡입방지가드가 청소하려는 바닥면에서 이탈되면(이 경우에는 증기방출수단에서 방출된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므로) 진공청소기가 전기적으로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전기 단속 장치를 부착한 상하 이동식 증기누출방지가드와 증기흡입방지가드를 고안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증기누출방지가드와 증기흡입방지가드에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의 하중이 걸리지 않는 상태(들림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작용으로 증기누출방지가드와 증기흡입방지가드가 증기걸레기의 저면조립체와 진공청소기의 오물흡입수단보다 약간 하부로 돌출되도록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전기 단속 장치를 부착한 상하 이동식 증기누출방지가드와 증기흡입방지가드를 적용하게 되면 청소에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증기가 진공청소기의 오물흡입수단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장치이다.
진공청소기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이 켜짐(on)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증기걸레기의 저면조립체와 진공청소기의 오물흡입수단이 청소하려는 바닥에 동시에 밀착되어 있지 않으면(즉 둘중 어느 하나라도 바닥에서 이격되어 증기가 누출되면) 진공청소기의 공기배출수단(전기 모터)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증기누출방지가드 및 증기흡입방지가드의 하부와 바닥 사이에 동일한 크기의 오물이 동시에 끼어 있지 않는 한 증기방출수단에서 방출된 증기가 오물흡입수단으로 빨려들어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가사 증기누출방지가드 및 증기흡입방지가드의 하부와 바닥 사이에 동일한 크기의 오물이 일시적으로 동시에 끼었다고 하더라도 청소를 하는 도중에는 증기복합 전기청소기는 연속적으로 이동되거나, 공기배출수단(진공청소기)의 작동으로 오물흡입수단의 입구에 있는 오물을 순간적으로 흡입하여 버리므로 동일한 크기의 오물이 증기누출방지가드 및 증기흡입방지가드에 계속적으로 동시에 끼어 이동하는 일은 일어나기 어렵고, 둘 중 한 쪽의 오물이 이탈되면 이탈된 쪽의 전원이 차단되어 공기흡입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공기흡입이 일어나지 않게 되면 작업자는 곧 기기를 움직여서 정상적인 균형상태로 되돌릴 것이므로 오물흡입수단내로 증기의 유입현상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매우 드문 경우로서 청소 시작 초기에 증기누출방지가드 및 증기흡입방지가드의 하부와 바닥 사이에 동일한 크기의 오물이 동시에 끼이는 일이 일어날 수 있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공기배출수단(진공청소기)이 작동하여 오물흡입수단의 입구에 있는 오물을 순간적으로 흡입하여 버리므로 곧 증기누출방지가드와 증기흡입방지가드가 불균형을 이루어 전원이 단절되어 증기의 흡입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대개의 경우 일반적으로 청소 시작 초기에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기기의 증기누출방지가드와 증기흡입방지가드를 바닥에 밀착시켜 균형을 이루어 작동시키고, 균형을 이루어 주어야 공기배출수단(진공청소기)이 작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는 증기가 오물흡입수단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 장치로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는 크게 증기발생수단조립체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와; 상기 증기발생수단조립체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를 포용하는 하우징과; 증기발생수단조립체에서 발생된 증기를 방출시키는 증기방출수단과, 공기배출수단조립체에서 발생된 공기흡입력을 이용하여 오물을 흡입하는 오물흡입수단과, 오물흡착수단을 포함하는 저면조립체와; 상기 저면조립체에 결합된 기기를 이동시키고 조작하는 이동수단조립체를 포함한다.
증기발생수단조립체는 전원(electronic power)에 연결된 전열선, 물 등 증기원액과 가열용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증기발생수단조립체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증기발생수단조립체는 전원이 인가되면 열선에 의하여 가열된 물 등 증기원액이 증기화 되어 호스관로(hosepipe)를 통하여 증기방출수단으로 방출하는 일련의 증기발생관련 가열장치로서 증기발생수단조립체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는 전원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증기발생수단조립체하우징의 후미부에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 등은 공지된 바와 같아서 이하 구체적인 설시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공기배출수단조립체는 보통 좁은 의미로 전원에 연결된 팬모터로 대표되는 공기배출모터관련 장치를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는 기술의 편의상 오물여과포집수단과 오물여과포집수단의 고정장치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오물여과포집수단은 오물흡입구로부터 올라온 오물을 여과하여 공기는 통과시키고, 오물만을 걸러서 포집하는 백으로 오물포집용 필터백(filter bag)으로 대표되는데 재질은 종이제 또는 포제로 되어 있다. 오물여과포집수단의 고정장치는 오물여과포집수단과 함께 공기배출수단조립체하우징 내부에 설치된다. 공기배출수단조립체는 전원이 인가되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팬모터가 작동하여, 모터에 연동된 팬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얻는 공기배출력으로 공기흡인력이 발생하여 오물흡입구에서 오물을 흡입하여 호스관로를 통하여 오물여과포집수단으로 포집하는 일련의 공기배출모터관련 장치로서 공기배출수단조립체의 공기배출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고,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는 전원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수단조립체중 수동용 막대의 손잡이부에 설치하는 것 등은 공지된 바와 같아서 이하 구체적인 설시를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의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를 동일한 하우징(30)내에 복합(complex) 배치하고,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에서 발생된 증기를 방출시키는 증기방출수단(41)과,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에서 발생된 공기흡입력을 이용하여 오물을 흡입하는 오물흡입수단(42)과, 오물흡착수단(43)과,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 및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에 각각 별도로 공급되는 전원단속수단(48-1, 45-1~46-1)을 포함한 저면조립체(40)를 설치하고, 상기 저면조립체(40)와 바퀴(51)축에 별개로 결합되어 기기를 이동시키고 조작하며 전원을 인입하고 단속하는 스위치(57)를 구비한 이동수단조립체(50)를 포함하고 있어서 오물의 쓸기와 닦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를 동일한 하우징(30)내에 복합(complex) 배치한다는 것은 증기발생수단조립체의 하우징구역과 공기배출수단조립체의 하우징구역을 구분하되 하나의 하우징(30)내에 배치한다는 것이다.
도2는 상기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를 포용하는 하우징(30)의 형상과 모양, 각 수단과 장치의 개략적인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하우징(30)은 증기발생수단조립체 하우징구역과 공기배출수단조립체 하우징구역으로 나뉘고, 증기발생수단조립체 하우징구역에는 증기원액투입구(31)가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그 하부로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의 안치공간(32)이 설치되며, 공기배출수단조립체 하우징구역에는 하우징 상단에 오물여과포집수단 수납구(33)가 배치되고, 그 하부로 오물여과포집수단(22) 및 그 고정장치(23)의 안치공간(34)과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안치공간(35)이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30)의 배치는 물 등 증기원액(12)을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 내부의 가열용기(13)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또는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의 운용중에 일어날 수 있는 증기원액(12)이 외부로 누출되어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하우징의 배치이다.
다음에 설명하는 저면조립체(40)는 상기 증기발생수단조립체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를 포함하는 본체의 하우징(3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가 각각 연장된 호스관로(hosepipe 14, 25)로 연결되면서 하우징과는 분리되어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하라.
도3은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저면조립체(40)의 저면의 구조를 실시례를 통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3의 실시례는 4각형의 형상을 갖고 기기 진행방향의 일면에만 오물흡입수단(42) 및 증기흡입방지가드(46)와 증기방출수단(41) 및 증기누출방지가드(45)를 도시한 실시례이다.
저면조립체(40)는 증기방출수단(41)과 오물흡입수단(42), 증기누출방지가드(45)와 증기흡입방지가드(46), 오흡착수단(43)과, 오물흡착수단의 결합수단(44), 오물흡착수단을 압착하는 엠보싱과 고랑(47),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의 전원스위치(48-1)와 이동수단조립체(50)를 직립상태로 고정하는 원터치식 고정구(48-2)가 설치되는 후면범퍼(48)가 일체로 결합되는 기판(base board)에 해당한다.
저면조립체(40)에 착설되는 증기방출수단(41)은 상기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에서 가열된 증기가 호스관로(14)를 거쳐 방출구(41-1)로 방출되는 장치로서 수개의 작은 방출구(41-1)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면조립체(40)의 표면위에 노출된다. 증기방출수단(41)의 설치 위치는 기기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오물흡입수단(42)의 후방, 증기누출방지가드(45)의 내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방출수단의 외곽에는 증기누출방지가드가 설치된다.
또한 저면조립체(40)에 착설되는 오물흡입수단(42)은 저면조립체(40)와 함께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원에 연결된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동력으로 얻는 공기의 빠른 흡입작용을 통하여 오물을 수거하는 갈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오물흡입구(42-1), 유도용 바퀴(42-2), 오물의 흡입을 유도하는 고무플레이트(42-3), 브러쉬(42-4) 등으로 구성되는데,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에서 발생된 공기흡입력을 이용하여 오물을 흡입하는 오물흡입수단(42)의 외곽에는 증기흡입방지가드(46)를 설치하여 오물흡입수단(42)을 통하여 증기가 흡입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인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저면조립체(40)의 구조는 1개 이상의 오물흡입수단(42)과 증기흡입방지가드(46) 및 1개 이상의 증기방출수단(41)과 증기누출방지가드(45)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결합된다.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증기발생수단조립체가 작동하면 증기방출수단(41)에서는 계속적으로 증기가 발생하는데 이 증기는 바닥을 닦는데만 소요되어야 하고, 외부로 누출되어 오물흡입수단(4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증기누출방지가드(45)는 증기방출수단(41)의 외곽으로 저면조립체의 구조형상(다각형 또는 원형)대로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요령으로 저면조립체(40)의 내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증기누출방지가드(45)는 증기방출수단(41)에서 방출된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저면조립체(40)의 구조중 기기의 진행방향쪽 가장 외곽으로는 1개 이상의 오물흡입수단(42)을 배치한다. 오물흡입수단의 내곽(증기누출방지가드 외곽)에는 증기흡입방지가드(46)가 설치된다. 오물흡입수단(42)의 내곽에 설치되는 증기흡입방지가드(46)는 오물흡입수단(42)을 통하여 증기가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저면조립체(40)의 구조중 1개 이상의 오물흡입수단(42)의 내곽(증기누출방지가드 외곽)으로는 증기흡입방지가드(46)가 설치되고, 상기 증기흡입방지가드(46)의 내곽으로 증기누출방지가드(45)가 설치되며, 1개 이상의 증기방출수단(41)은 기기의 진행방향쪽 증기누출방지가드(45)의 내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조립체의 진행방향쪽 외곽에 착설되는 1개 이상의 오물흡입수단(42)과, 상기 오물흡입수단의 내곽에 1개 이상의 증기방출수단(41)과, 상기 오물흡입수단과 증기방출수단 사이에 증기흡입방지가드(46)와 증기누출방지가드(45)를 포함하는 저면조립체(40)는 청소 바닥면에 접하고, 전기가 인가되어 증기의 발생과 공기의 흡입이 동시에 이루어는 경우에도 증기방출수단(41)에서 방출된 증기가 오물흡입수단(4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증기누출방지가드(45)와 증기흡입방지가드(46)는 전기가 인가되어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의 저면조립체(40)의 바닥면에서 증기의 발생과 공기의 흡입이 동시에 이루어는 경우에도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저면조립체(40)의 저면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오물흡입수단(4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로 증기누출방지가드(45)와 증기흡입방지가드(46)에 상하 이동수단(45-2, 46-2)과 전원단속수단(45-1, 46-1)이 포함되어 있어서 증기누출방지가드(45)와 증기흡입방지가드(46)중 둘 중에 어느 하나라도 바닥면에서 이탈되어 바닥면과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면 전원단속수단(45-1, 46-1)이 설치된 상하 이동식 증기누출방지가드(45) 또는 증기흡입방지가드(46)가 하부로 이완되어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전원이 단절되도록 고안된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특징인 상하 이동식 증기누출방지가드(45) 또는 증기흡입방지가드(46)를 세로방향에서 관찰한 단면(도3의 A-A'단면)의 직렬회로 및 상하 이동장치 결합구조와 상하 이동식 증기누출방지가드(45)와 증기흡입방지가드(46)가 상하로 운동함에 따라 전원단속수단에 의하여 전원이 단속되는 회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하 이동식 증기누출방지가드(45) 및 증기흡입방지가드(46)는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자형으로 좌우날개(45-3, 46-3)를 달고, 좌우날개에 상하 이동수단(45-2, 46-2)을 부착하여 좌우균형을 이루도록 하며, 저면조립체(40)의 사출성형시 홈(45-4, 46-4)을 설치하여 과도한 좌우 유격이 없도록 배치한다.
상하 이동수단(45-2, 46-2)은 코일스프링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압축공기 등 상하이동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 치환이 가능하다. 코일스프링의 경우에는 좌우 균형적인 상하운동을 위하여 증기누출방지가드(45) 또는 증기흡입방지가드(46)의 양 날개부분(45-3, 46-3)과 기저부에 각각 설치하고, 코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홈(45-5, 46-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단속수단(45-1, 46-1)은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전원(49)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하나의 프레임에 고정된 기저부를 향하여 증기누출방지가드(45)와 증기흡입방지가드(46)가 상하로 유동함으로써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전원(49)을 단속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증기누출방지가드(45)와 증기흡입방지가드(46)로 연결되는 전원(49)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둘 중에 어느 하나라도 바닥면에서 이탈되어 공간이 발생하면 전원 단속수단(45-1, 46-1)이 설치된 상하 이동식 증기누출방지가드(45) 또는 증기흡입방지가드(46)가 하부로 이완되어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전원(49)이 단절되도록 고안되었다.
상기한 증기방출수단(41)과 오물흡입수단(42), 증기누출방지가드(45)와 증기흡입방지가드(46)의 설치위치는 저면체조립체가 4각형일 경우를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저면조립체(40)의 구조가 원형의 형상을 하든지, 다각형의 형상을 하든지 불문하고 적용된다.
원형 또는 6각형 이상의 다각형일 경우이거나, 이동수단이 자동이동모터가 장착된 자동 이동수단조립체일 경우에는 상기의 장치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배치하고, 기기의 진행방향에 따라 역동적으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저면조립체(40)가 다각형의 구조이거나, 원형의 구조로서 수개의 증기방출수단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기기의 진행방향쪽 및 그 주변에 위치하는 증기방출수단(41)군만 작동하도록 하는 전기적인 방향감지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오물흡착수단(43)은 적어도 증기방출수단을 뒤에서 좇아 가며 습기를 닦아주도록 하는 것이 청소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저면조립체(40)의 저면에는 오물흡착수단(43)을 부착하는데, 오물흡착수단(43)은 오물흡입수단(42)의 저면을 제외한 저면조립체의 하부에 착용되는 것으로 흡습성 부착성 등의 기능을 갖는 기능성 걸레로 대표되며, 상기 오물흡착수단(43)은 밸크로 훼스너 또는 크립 등으로 대표되는 오물흡착수단의 결합수단(44)에 의하여 저면조립체(40)에 부착된다.
저면조립체의 구조중 증기방출수단(41)과 증기누출방지가드(45) 및 오물흡입수단(42)과 증기흡입방지가드(46)를 제외한 기타 밸크로 훼스너 또는 크립 등으로 대표되는 오물흡착수단(43)의 결합수단(44), 오물흡착수단을 압착하는 엠보싱과 고랑(47) 등은 기타의 공간에 오물흡착수단과 기능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임의로 배치하고, 공지된 바 있어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저면조립체(40)의 후면에는 돌출형의 범퍼(48)를 설치하며, 저면조립체의 후면범퍼(48)에는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의 전원스위치(48-1)와 이동수단조립체(50)를 직립상태로 고정하는 원터치식 고정구(48-2)를 설치하여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수단조립체(50)는 상기 저면조립체(40)와 바퀴축에 별개로 결합되어 기기를 이동시키고 조작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저면조립체(40)의 하부에 착설되는 2개 이상의 바퀴(51)와, 이동용 자동모터장치(그림에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음) 또는 바퀴(51)축에 별개로 결합되는 수동용 손잡이(56)가 부착된 막대(52) 및 막대길이 조절용 핸들(54)을 포함한다.
또한 저면조립체(40)의 하부에 착설되는 2개 이상의 바퀴(51)를 포함한 이동수단조립체(50)는 360도 방향전환이 가능한 프레임을 형성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을 것이며, 수동용 손잡이(56)가 부착된 막대(52)는 자동이동모터장치로 대체 치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동수단조립체(50)중 수동용 막대(50)의 손잡이부(56)에는 후술하는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전원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공기배출모터(24)의 속도를 조절하고,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5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의 배면 하부 즉 저면조립체(40)의 후미에는 저면조립체에 연결된 범퍼(48)가 설치되고, 범퍼에는 이동수단조립체 고정구(48-2)와 증기발생수단조립체의 전원단속장치(48-1)가 설치되는 것은 전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의 전원은 이동수단조립체(50)를 통하여 1선 인입된 후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로 독립 배선되는 것으로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의 전원단속수단(48-1)은 저면조립체(40)의 후면 범퍼(48)상단(도2 참조)에 설치하고,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전원단속수단(57)은 이동수단조립체(50)의 손잡이(56)상단(도1 참조)에 모터속도조절스위치(57)와 함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증기발생수단조립체(10)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는 각각 별도의 전원단속장치(48-1, 57)를 구비하고 있어서 증기걸레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저면조립체(40)의 후면 범퍼(48)에 부착된 전원스위치(48-1)를 off상태로 전환하고,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동수단조립체(50)의 손잡이부(56)에 부착된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속도조절용 전원스위치(57)를 off상태로 전환하면 된다.
다만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전원을 단속하는 별도의 전원단속장치로서 저면조립체(40)에서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오물흡입수단(42)에 흡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후술하는 저면조립체(40)의 상하 이동식 증기누출방지가드(45)와 증기흡입방지가드(46)에 직렬로 연결된 전원단속장치(45-1, 46-1)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서 공기배출수단조립체(20)의 전원을 별도로 단속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종래 증기걸레기와 전기청소기의 용도와 기능이 통합되어 단 1회의 청소작업으로 바닥의 쓸기와 닦이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의 하우징은 물 등 증기원액이 공기배출수단조립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본 발명의 특징인 저면조립체에서는 외부로 누출된 증기가 오물흡입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배출수단조립체에서 습기로 인한 청소기의 효율감소와 공기배출모터의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하여 청소기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면조립체에서 증기가 외부로 새어 나오는 요인 즉 청소기 작동중 저면조립체의 바닥이탈 등의 요인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공기배출수단조립체의 전원을 차단하여 증기가 공기배출수단조립체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 전원단속장치를 고안하여 적용함으로써 청소중 의도하지 않은 증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도1 :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의 종단면 블럭도
도2: 본 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하우징의 실시례
도3 :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저면조립체의 저면 구조의 실시례
도4 : 도3의 A-A'단면도(상하 이동식 증기방지가드의 전원단속수단의 세로방향 회로도 단면도)
도면부호의 설명
10:증기발생수단조립체, 11:열선, 12:증기원액, 13:가열용기, 20:공기배출수단조립체, 22:오물여과포집수단, 23:오물여과포집수단 고정장치, 24;공기배출모터, 30:본발명의 증기복합 전기청소기의 하우징, 31:증기원액투입구, 32:증기발생수단조립체의 안치공간, 33;오물여과포집수단 수납구, 34:오물여과포집수단 및 그 고정장치 안치공간, 35:공기배출모터 안치공간, 40:저면조립체, 41:증기방출수단, 42:오물흡입수단, 42-1:오물흡입구, 42-2:유도용 바퀴, 42-3:고무플레이트, 42-4:브러쉬, 43:오물흡착수단, 44:오물흡착수단의 결합수단, 45:증기누출방지가드, 46:증기흡입방지가드, 45-1:증기누출방지가드 전원단속수단, 45-2:47:증기누출방지가드 상하 이동수단, 45-3:증기누출방지가드 날개, 45-4:증기누출방지가드 홈, 45-5:스프링홈, 오물흡착수단을 압착하는 엠보싱과 고랑, 48:후면범퍼, 48-1:증기발생수단조립체의 전원스위치, 48-2:이동수단조립체 고정구, 49:공기배출수단 연결전원, 50:이동수단조립체, 51:이동용 바퀴, 52:이동용 막대, 54:막대길이 조절용 핸들, 56:수동용 손잡이, 57:공기배출수단조립체의 전원스위치

Claims (5)

  1. 증기발생수단조립체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와; 상기 증기발생수단조립체 또는 공기배출수단조립체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증기발생수단조립체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가 각각 호스관로로 연결된 저면조립체와; 상기 저면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조립체를 포함하고 있어서 오물의 쓸기와 닦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증기겸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증기발생수단조립체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를 동일한 하우징내에 복합(complex) 배치하고, 증기원액투입구가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그 하부로 증기발생수단조립체 안치공간이 설치되며, 하우징 상단에 오물여과포집수단 수납구가 배치되고, 그 하부로 오물여과포집수단 및 그 고정장치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의 안치공간이 설치되어 증기원액이 공기배출수단조립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2. 증기발생수단조립체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와; 상기 증기발생수단조립체 또는 공기배출수단조립체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증기발생수단조립체와 공기배출수단조립체가 각각 호스관로로 연결된 저면조립체와; 상기 저면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조립체를 포함하고 있어서 오물의 쓸기와 닦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증기겸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저면조립체의 진행방향쪽 외곽에 착설되는 1개 이상의 오물흡입수단과, 상기 오물흡입수단의 내곽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증기방출수단과, 상기 오물흡입수단과 증기방출수단 사이에 설치된 증기흡입방지가드와 증기누출방지가드를 포함하는 저면조립체가 청소 바닥면에 접하고, 전기가 인가되어 증기의 발생과 공기의 흡입이 동시에 이루어는 경우에도 증기방출수단에서 방출된 증기가 오물흡입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3. 제1항의 특징과 제2항의 특징을 함께 가지는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증기누출방지가드 또는 증기흡입방지가드에 상하 이동수단과 전원단속수단이 포함된 것으로, 증기누출방지가드와 증기흡입방지가드중 둘 중에 어느 하나라도 바닥면에서 이탈되어 바닥면과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면 전원단속수단이 설치된 상하 이동식 증기누출방지가드 또는 증기흡입방지가드가 하부로 이완되어 공기배출수단조립체의 전원이 단절되는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기누출방지가드와 증기흡입방지가드 둘중에 어느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KR1020050119109A 2005-12-03 2005-12-07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KR20050122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09A KR20050122186A (ko) 2005-12-07 2005-12-07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KR1020050127420A KR20060001976A (ko) 2005-12-07 2005-12-22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KR1020060009233A KR100822235B1 (ko) 2005-12-07 2006-01-31 스팀겸용 진공청소기
PCT/KR2006/005114 WO2007064154A1 (en) 2005-12-03 2006-11-30 Steam & vacuum cleaner comple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109A KR20050122186A (ko) 2005-12-07 2005-12-07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186A true KR20050122186A (ko) 2005-12-28

Family

ID=371050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109A KR20050122186A (ko) 2005-12-03 2005-12-07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KR1020050127420A KR20060001976A (ko) 2005-12-03 2005-12-22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420A KR20060001976A (ko) 2005-12-03 2005-12-22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1221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20B1 (ko) * 2006-05-26 2007-12-21 한경희 스팀진공청소기
KR100786721B1 (ko) * 2006-05-26 2007-12-21 한경희 스팀진공청소기
KR20080061768A (ko) * 2006-12-28 2008-07-03 (주)이엘티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976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4484B (zh) 紧凑式真空清洁装置
CN205893886U (zh) 一种自带吸尘器的打磨机
EP3082539A1 (en) Dust container
RU2011147066A (ru) Пылесос
KR200399188Y1 (ko) 흡입마우스의 위치조절장치를 구비한 노면 청소차
KR20050122186A (ko)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KR102552743B1 (ko) 필터 세척장치
CN109770797A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清洁机器人
CN108497999A (zh) 杆式清洗组件及其吸尘器
JP3245922B2 (ja) 据置き型電気掃除機
CN207760782U (zh) 一种吸尘车
WO2022152031A1 (zh) 一种带掸子清洁功能的吸尘桶
CN103156549A (zh) 具有减震连接装置的卧式吸尘器
KR100822235B1 (ko) 스팀겸용 진공청소기
CN212396187U (zh) 一种空气压缩机过滤装置
KR200424213Y1 (ko) 스팀겸용 진공청소기
CN2873079Y (zh) 蒸汽吸尘器
US6725499B2 (en) Hose cleanout for vacuum cleaner
CN212252936U (zh) 一种水产车间除湿机
KR200153135Y1 (ko) 좁은 도로 청소기
KR200407243Y1 (ko) 로봇 청소기의 물걸레 착탈구조
CN212357929U (zh) 一种吸尘式路面切割机
KR100666716B1 (ko) 청소 유니트와 이를 가진 진공청소기
KR0152635B1 (ko)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차량의 진공청소기
KR20020020605A (ko) 전방브러쉬 노면청소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