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462A -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462A
KR20050121462A KR1020040046601A KR20040046601A KR20050121462A KR 20050121462 A KR20050121462 A KR 20050121462A KR 1020040046601 A KR1020040046601 A KR 1020040046601A KR 20040046601 A KR20040046601 A KR 20040046601A KR 20050121462 A KR20050121462 A KR 2005012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ervice
user
additional servic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583B1 (ko
Inventor
최병철
김성우
안태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4004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583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망과의 통신을 통해 부가서비스 제공을 하는 DBDM 단말을 이용한 메뉴방식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어, 현재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현재 통화중인 경우, 부가서비스 이용을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이용을 원하는 부가서비스 정보를 입력받은 후, 현재 통신중인 통신망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통신망에 맞는 명령어로 상기 입력받은 부가서비스 이용 명령을 번역하여 해당 통신망으로 송출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망에서 제공되는 서로 다른 부가서비스 메뉴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단일 메뉴 방식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제공하고, 부가서비스 매출증대와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menu service for dual band dual mode network}
본 발명은 DBDM(Dual Band Dual Mode)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가지 망 환경 모두를 지원해야하는 DBDM 단말에 메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셀룰러(Analog Cellular) 시스템을 1세대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현재 GSM(Group Special Mobile), IS-95(Interim Standard-95), IS-136 등 제 2세대 시스템이 보편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 3세대 시스템인 꿈의 영상통신 비동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얼굴을 보면서 통화하고 초당 2.4Mbps 급의 속도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휴대폰 하나로 즐길 수 있다. 이는 음성통화에만 의존해 온 기존의 이동 통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 개념 서비스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IMP-2000 서비스중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높은 음성 품질과 글로벌 로밍을 보장하는 서비스로서, 세계 유수의 통신업체가 사업화를 준비중이며, 국내에서는 KTF 와 SKT가 사업권을 가지고 있다.
이 W-CDMA 기반의 IMT-000 서비스는 로밍 게이트웨이 등의 방법으로 CDMA 기술 기반으로 제공중인 기존의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와의 연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WCDMA 망이 기존의 CDMA 망에 추가되어 보다 다양한 동영상을 비롯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WCDMA 망과 CDMA 망에서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DBDM 단말이 개발되었다.
DBDM 단말은 사용자가 CDMA 망과 WCDMA 망을 이동함으로써, 현재 접속중인 망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두개의 망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부가서비스의 등록 및 해제는 단말 가입시 자동 등록이 되거나, 고객센터, 대리점, ARS(Automatic Reply System), 인터넷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일반적인 부가서비스의 설정 및 이용은 MMI(Man-Machine-Interface) 방법을 이용하는데, *와 #과 같은 특수문자와 서비스별 고유의 번호를 순서대로 입력하여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71Directory Number(전화번호)SEDN(통화) 등의 조합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MMI 방법을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설정 및 이용하는 것은 이동통신회사별로 또 3GPP에서 표준으로 제시한 MMI와 국내에서 이용중인 MMI의 코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DBDM 망과 같이 두 개의 망을 오가며 통신하는 경우, 또는 CDMA 망에서(또는 WCDMA 망) WCDMA 망으로(또는 CDMA) 전환하였을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 코드를 모르거나, 그 방법이 달라 입력하는데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DBDM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하나의 단말에서 두 가지의 망 환경을 지원하기 때문에 하나의 망의 메뉴환경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 예를 들어 CDMA 망의 메뉴환경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WCDMA 망환경에 따른 메뉴환경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익숙지 않은 메뉴환경으로 인하여 이용에 혼란을 겪게 되고, 따라서 서비스의 활성화와 가입자 만족도를 저해하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말에서 제공되는 메뉴키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두 가지 망환경을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DBDM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DBDM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는,
두 개의 통신망과 통신이 가능한 듀얼밴드 듀얼모드(Dual Band Dual Mode; 이하 DBDM 이라 함) 단말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의 메뉴정보와 관계없이 단일하게 제공되는 메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는 서비스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 단일하게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화면을 상기 이동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일한 서비스 설정/해제 또는 이용 메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서비스 명령을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하여 제 1 통신망에서 인식 가능하게 번역하여 전송하는 제 1 통신모듈;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서비스 명령을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하여 제 2 통신망에서 인식 가능하게 번역하여 전송하는 제 2 통신모듈; 상기 제 1 통신모듈 및 제 2 통신모듈이 서비스 명령을 번역하기 위한 명령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력부, 화면표시부, 제 1 통신 모듈, 제 2 통신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또는 서비스를 단일 메뉴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DBDM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 또는 부가서비스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키패드는, 부가서비스의 설정과 해제를 선택하는 메뉴버튼; 및 부가서비스 이용을 위해 제공되는 메뉴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는, 상기 DBDM 단말이 통화중이 아닌 경우, 부가서비스의 설정 및 해제를 선택하고, 상기 DBDM 단말이 통화중인 경우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메뉴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DBDM 단말은 사용자의 부가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가입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DBDM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방법은,
두 개의 망과의 통신을 통해 부가서비스 제공을 하는 DBDM 단말을 이용한 메뉴방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어, 현재 이용중인 통신망을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확인된 통신망에 맞는 명령어로 상기 입력받은 부가서비스 이용 명령을 번역하여 해당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DBDM 단말에서 통신망 확인을 위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두 개의 망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의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확인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현재 통신중인 통신망을 확인하거나, 상기 두 개의 통신망이 동시에 사용 가능한 지역에서 사용자 지정에 의해 설정된 통신망 정보를 상기 DBDM 단말로부터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DBDM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망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두 개의 통신망이 로밍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무선통신 중인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망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고, 또 다른 통신망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 이후에 현재 통신중인 통신망으로부터 부가서비스 설정 및 해제 또는 부가 서비스 이용 요구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별도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의 설정/해제 메뉴키가 선택되어, 해당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부가서비스 설정 또는 해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별도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의 이용 메뉴키가 선택되어, 해당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부가서비스 이용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현재 이용중인 통신망을 확인하기 전에, 상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어 현재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현재 DBDM 단말이 통화중인 경우, 부가서비스 이용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부가서비스 이용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판단결과, 상기 DBDM 단말이 현재 통화중이 아닌 경우, 부가서비스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부가서비스 설정 또는 해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현재 통신중인 망환경에 맞게 명령어를 번역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어와, 상기 DBDM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를 조합하여 현재 통신망이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번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기록매체는,
두 개의 망과의 통신을 통해 부가서비스 제공을 하는 DBDM 단말을 이용한 메뉴방식 서비스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어, 현재 이용중인 통신망을 확인하는 기능; 및 (b) 상기 확인된 통신망에 맞는 명령어로 상기 입력받은 부가서비스 이용 명령을 번역하여 해당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BDM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를 위한 DBDM 망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WCDMA와 CDMA 두개의 망에서 각각 또는 동시에 동작하는 단말(100)과 무선통신을 통해 두 개의 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기지국(121), BTS(Base Transceiver System)(122), WCDMA 망(200) 및 CDMA 망(3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 1은 LHR(140)이 듀얼 스택 HLR(Home Location Register) 기능을 갖는 로밍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연동 방안으로 이용한다.
WCDMA 망(2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201),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202), MSC(Mobile Switching Center)(203), IP DCN((Internet Protocol Data Core Network)(204),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205)를 포함하고, CDMA망(300)은 BSC/PCF(Base Station Controller/ Point Coordination Function)(301), MSC(302), GAN(Global ATM Network)(303), PDSN(Packet Data Serving Node)(304) 및 DCN(Data Core Network) 망(305)을 포함한다.
그리고, DCN 망(305)은 라우터(307, 308),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306), HA(Home Agent)(309) 및 O&M(Operating and Management)(3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WCDMA 망(200)과 CDMA 망(300)은 상호 맵(MAP)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듀얼 스택 HLR 등으로 구현된 HLR(140)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로밍정보를 상호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DBDM 망에서 단말(100)은 WCDMA망(20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3G(Group) 단말(111), CDMA 망(30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2.5G 단말(113), 노트북(114) 및 WCDMA 망(200)과 CDMA 망(300)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DBDM 단말(112) 등을 포함한다.
DBDM 단말(112)은 현재 위치에서 통신 가능한 통신망이 WCDMA 망(200)인지 CDMA 망(300)인지를 판단하여 통신이 가능하다.
DBDM 단말(112)은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부가서비스의 설정 및 해제를 하고,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부가서비스의 설정 및 해제와 이용은 DBDM 단말(112)의 키패드를 통해 제공되는 메뉴키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WCDMA 망(200)과 CDMA 망(300)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 HLR(140)을 통하여 로밍정보와 서비스 설정 및 이용정보를 교환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어느 통신망이 설치된 지역에 있는가에 상관없이 DBDM 단말(112)에서 제공하는 메뉴키에 의해 하나의 메뉴방식만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서비스 설정 및 해제하고, 이용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BDM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를 위한 DBDM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BDM 단말(112)은 입력부(112a), 화면표시부(112b), 통신부(112c), 제어부(112d), CDMA 모듈(112f), 및 WCDMA 모듈(112g)을 포함한다.
입력부(112a)는 DBDM 단말(112)의 메뉴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설정/해제 및 서비스 사용을 입력받고, 화면표시부(112b)는 메뉴키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서비스를 선택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CDMA 모듈(112f)은 CDMA 망(300)과의 통신을 위한 명령어 번역 등을 수행하여, 통신부(112c)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WCDMA 모듈(112g)은 WCDMA 망(200)과의 통신을 위한 명령어 번역 등을 수행하여 통신부(112c)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112c)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WCDMA 모듈(112g) 및 CDMA 모듈(112f)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의 역할을 같이 할 수 있다.
제어부(112d)는 입력부(112a)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에 따라 CDMA 모듈(112f), WCDMA 모듈(112g), 화면표시부(112b) 및 통신부(112c)를 제어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12a)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가 상기 DBDM 단말(112)에 구비되어 있으며, DBDM 단말(112)은 사용자가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상기의 DBDM 단말(112) 및 DBDM 망에서의 메뉴 방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DBDM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BDM 단말(112)이 WCDMA 또는 CDMA의 부가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해제 메뉴와 부가 서비스 이용을 위한 메뉴를 동일하게 제공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 설정/해제 또는 이용을 위하여 부가서비스 설정/해제와 이용을 위한 단일 메뉴키를 선택하면(S301), DBDM 단말(112)은 입력부(112a)를 통해 메뉴선택을 입력받고, 제어부(112d)가 현재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302), 통화중인 경우 부가서비스 이용메뉴를 화면표시부(112b)를 통해 나타내고(S304), 통화중이 아닌 경우는 사용자가 부가서비스 설정/해제 이용메뉴를 화면 표시부(112b)를 통해 나타내도록 한다(S303).
또한, DBDM 단말(112)은 부가서비스 설정/해제를 원하는지 부가서비스 이용을 원하는지를 묻는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부가서비스 설정/해제 메뉴를 선택하면, DBDM 단말(112)은 부가서비스 설정/해제 메뉴를 표시하도록 하고(S305), 부가서비스 이용을 선택하면 부가서비스 이용 메뉴를 표시하도록 한다(S304).
상기와 같은 절차를 거치는 이유는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통화 중에 걸려오는 전화를 자동 연결하는 서비스처럼 사용여부에 대한 설정이나 사전 부가 정보 설정이 필요한 서비스와 다자간 회의 통화 서비스의 통화자 추가하기처럼 통화 중일 때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사용자 입력을 필요로 하는 부가 서비스가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부가서비스의 설정/해제 메뉴 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부가서비스 이용 메뉴를 선택하고(S306), 제어부(112d)는 CDMA 모듈(112f)과 WCDMA 모듈(112g) 및 통신부(112c)를 제어하여 현재 이용중인 망환경을 확인한다(S307).
이때, 망환경을 확인하는 것은 CDMA 모듈(112f)과 WCDMA 모듈(112g)이 각각 현재 접속된 망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통신부(112c)를 통해 전송하고,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의 로밍 게이트웨이인 HLR(140)이 수신되는 접속망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여 수신하는 망환경을 확인한다.
따라서, WCDMA 망(200)과 CDMA 망(300)의 로밍 게이트웨이는 접속망 확인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WCDMA와 MDMA 두개의 망이 모두 제공되는 지역의 경우, 단말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WCDMA 또는 CDMA를 단말에서 지정하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망환경에 대한 정보는 단말의 설정값을 따른다.
그리고 망환경을 확인하면, 각각의 망환경에 맞도록 WCDMA 명령어 또는 CDMA 명령어로 해당 메뉴에 대한 명령어를 번역하고(S308, S309), 해당 망으로 명령어를 송출한다(S310).
이때, 송출되는 명령어는 사용자가 선택한 부가서비스 설정/해제 또는 이용에 대한 명령어와, 상기 DBDM 단말(112)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를 조합하여 해당 망에서 인식 가능한 명령어로 번역하여 전송된다.
상기 인식 가능한 명령어는 단말기 내부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WCDMA에서의 호 전환(CFU; Call Fowarding Unconditional)설정이라면, { *21*Directory Number(전화번호)#SEND(통화) }의 형태로 명령어를 번역하여 전송하고, CDMA에서의 호전환 설정이라면, { *71Directory Number(전화번호)SEND(통화) }로 변역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는 WCDMA 망(200)과 CDMA 망(300)이 번역가능한 명령어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포함하고 있다.
명령어를 수신한 망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의 설정/해제 또는 부가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 후 화면으로 표시하여 제공한다(S311).
이상의 부가서비스 설정/해제 또는 이용 방법은 DBDM 단말(112)이 하나의 메뉴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의 설정/해제 메뉴 와 부가서비스 이용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경우이며, DBDM 단말(112)의 종류에 따라 부가서비스 설정/해제와 부가서비스 이용을 위한 메뉴 선택이 다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서비스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DBDM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BDM 단말(112)의 사용자는 DBDM 단말(112)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설정/해제 메뉴 선택 버튼이나 부가서비스 이용 메뉴 버튼 중에서 원하는 메뉴키를 누르면(S401), DBDM 단말(112)은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키가 부가서비스 설정/해제 명령 메뉴키인지 또는 부가서비스 이용 메뉴키인지를 판단한다(S402).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DBDM 단말(112)의 제어부(112d)는 입력부(112a)가 입력받는 정보에 따라 부가서비스 설정/해제 메뉴 또는 부가서비스 이용 메뉴 화면을 화면표시부(112b)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02, S404).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면(S405), DBDM 단말(112)은 상기 도 3의 단계S305 내지 S310와 같이 동작하여 현재 통신중인 망을 확인하고, 해당 망에 맞는 명령어로 메뉴를 번역하여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현재 WCDMA 망(200) 또는 CDMA 망(300)에 상관없이 단일하게 단말에서 제공하는 메뉴방식을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BDM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두 개의 망에서 동작하는 DBDM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접속 가능한 망에 상관없이 DBDM 단말이 제공하는 단일 메뉴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말 사용자에게 부가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부가서비스 활성화에 따른 매출 및 고객 만족도 향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를 위한 DBDM 망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를 위한 DBDM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Claims (15)

  1. 두 개의 통신망과 통신이 가능한 듀얼밴드 듀얼모드(Dual Band Dual Mode; 이하 DBDM 이라 함) 단말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의 메뉴정보와 관계없이 단일하게 제공되는 메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는 서비스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
    단일하게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화면을 상기 이동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일한 서비스 설정/해제 또는 이용 메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서비스 명령을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하여 제 1 통신망에서 인식 가능하게 번역하여 전송하는 제 1 통신모듈;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서비스 명령을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하여 제 2 통신망에서 인식 가능하게 번역하여 전송하는 제 2 통신모듈;
    상기 제 1 통신모듈 및 제 2 통신모듈이 서비스 명령을 번역하기 위한 명령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력부, 화면표시부, 제 1 통신 모듈, 제 2 통신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또는 서비스를 단일 메뉴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DBDM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BDM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 또는 부가서비스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DM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부가서비스의 설정과 해제를 선택하는 메뉴버튼; 및
    부가서비스 이용을 위해 제공되는 메뉴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DBDM 단말이 통화중이 아닌 경우, 부가서비스의 설정 및 해제를 선택하고, 상기 DBDM 단말이 통화중인 경우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메뉴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BDM 단말은 사용자의 부가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가입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장치.
  6. 두 개의 망과의 통신을 통해 부가서비스 제공을 하는 DBDM 단말을 이용한 메뉴방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어, 현재 이용중인 통신망을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확인된 통신망에 맞는 명령어로 상기 입력받은 부가서비스 이용 명령을 번역하여 해당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DBDM 단말에서 통신망 확인을 위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두 개의 망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의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확인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현재 통신중인 통신망을 확인하거나, 상기 두 개의 통신망이 동시에 사용 가능한 지역에서 사용자 지정에 의해 설정된 통신망 정보를 상기 DBDM 단말로부터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DBDM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망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두 개의 통신망이 로밍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무선통신 중인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망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고, 또 다른 통신망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DM 단말의 메뉴방식 서비스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에 현재 통신중인 통신망으로부터 부가서비스 설정 및 해제 또는 부가 서비스 이용 요구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별도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의 설정/해제 메뉴키가 선택되어, 해당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부가서비스 설정 또는 해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별도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의 이용 메뉴키가 선택되어, 해당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부가서비스 이용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현재 이용중인 통신망을 확인하기 전에,
    상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어 현재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현재 DBDM 단말이 통화중인 경우, 부가서비스 이용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부가서비스 이용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의 판단결과, 상기 DBDM 단말이 현재 통화중이 아닌 경우,
    부가서비스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부가서비스 설정 또는 해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방법.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현재 통신중인 망환경에 맞게 명령어를 번역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어와, 상기 DBDM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를 조합하여 현재 통신망이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번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BDM 단말의 메뉴 방식 서비스 방법.
  15. 두 개의 망과의 통신을 통해 부가서비스 제공을 하는 DBDM 단말을 이용한 메뉴방식 서비스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DBDM 단말의 메뉴키가 선택되어, 현재 이용중인 통신망을 확인하는 기능; 및
    (b) 상기 확인된 통신망에 맞는 명령어로 상기 입력받은 부가서비스 이용 명령을 번역하여 해당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40046601A 2004-06-22 2004-06-22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59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01A KR100598583B1 (ko) 2004-06-22 2004-06-22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01A KR100598583B1 (ko) 2004-06-22 2004-06-22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462A true KR20050121462A (ko) 2005-12-27
KR100598583B1 KR100598583B1 (ko) 2006-07-07

Family

ID=3729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601A KR100598583B1 (ko) 2004-06-22 2004-06-22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13B1 (ko) * 2005-12-28 2007-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서비스 정보 제공이 가능한 망 연동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13B1 (ko) * 2005-12-28 2007-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서비스 정보 제공이 가능한 망 연동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583B1 (ko) 200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874B2 (en) Dual mode terminal for accessing a cellular network directly or via a wireless intranet
JP4542299B2 (ja) 通信網内で情報を交換する方法と装置
KR100810936B1 (ko) 다중 통신 모드들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16991B1 (ko) 무선 송수신 유닛과 그 무선 송수신에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6600928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temporary simplex call grou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15642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MXPA05002435A (es) Un metodo y sistema para manos libres de direccion de protocolo inter-dispositivos, inter-sistemas e inter-internet, inciada por el usuario.
JP2003333165A (ja) 国際ダイヤル操作機能付き移動端末、国際ダイヤルプログラム、及び、国際ダイヤルシステム
CN100493124C (zh) 将专用通信网提供的服务动态地应用于连接在公共通信网上终端的方法
JP2006508582A (ja) Wlanにおいてアドレスをサーチし、対応ノードの所在を突き止めるための移動端末および方法
CN101268706A (zh) 能够与多个网络进行通信的无线装置的用户操作
KR20070067927A (ko) 음성 통화 중에 콘텐츠 공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단말
US200800776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telecommunication service mode
KR100598583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망에서의 메뉴방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3999135B2 (ja) 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通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0511330A (ja) 無線装置間のアドレスブックエントリ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275479B1 (ko) 단문메시지서비스에서 발신전화번호를 이용한 응답메시지 전송방법
CN102111746A (zh) 通信系统中控制用户终端使用网络资源的方法和装置
KR2005007172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KR10097162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단문 메세지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06051613A1 (ja) 宛先確認方法及び端末及び管理装置
KR200404228Y1 (ko) 다중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 유닛에 부가서비스를 효율적으로 배송하는 장치
KR100933776B1 (ko)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9892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접속 정보 제공 방법
KR101212131B1 (ko) Sms를 이용한 주소 변경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