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776B1 -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776B1
KR100933776B1 KR1020070065676A KR20070065676A KR100933776B1 KR 100933776 B1 KR100933776 B1 KR 100933776B1 KR 1020070065676 A KR1020070065676 A KR 1020070065676A KR 20070065676 A KR20070065676 A KR 20070065676A KR 100933776 B1 KR100933776 B1 KR 10093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forwar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365A (ko
Inventor
최종윤
김낙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6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7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호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호를 수신하기 전에 제 3 단말에게 상기 호를 포워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3 단말 간에 호 연결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WCDMA, 무선 접속망(RAN), 홈 위치 등록기(HLR)

Description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forwarding pass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제 1 단말 200: 제 2 단말
300: 제 3 단말 400: 서비스 제공 장치
410: 전송 수단 420: 포워딩 수단
430: 연결 수단 440: 통지 수단
450: 인증 수단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술에서의 호 전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단말에 의해 발신된 호를 제 2 단말에서 수신하기 전에 제 3 단말에 게 실시간으로 포워딩하여 제 1 단말과 제 3 단말 간에 호를 연결시킬 수 있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전세계적으로 크게 3 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첫째, 2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유럽 중심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둘째, 3 세대 시스템인 한국 및 미국 중심의 동기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셋째, 3 세대 시스템인 유럽 중심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시스템의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UMTS는 3GPP(3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는데, GSM 방식을 바탕으로 비동기식 기술 방식을 이용하는 개인통신 서비스이다. UMTS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다른 3 세대 시스템 규격인 CDMA 2000 시스템과 비교할 때 동기화에 GPS(Global Position System)를 사용하지 않는 큰 차이점을 가지며, 이로 인해 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이라 불린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은 유럽의 GSM 방식에 CDMA 기술을 일부 결합시켜 개발한 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UMTS 시스템은 셀룰러, 무선 전화, 무선 랜 및 위성 통신 등 다양한 시스템을 통합하고, 세계 어디서나 통화가 가능하도록 국제 로밍을 제공한다. 또한, 음성과 화상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2Mbps까지의 가변적인 전송률로 지원하며, 다양한 광대역 망과 연동되는 등 IMT-2000과 동일한 요구 조건과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된다.
한편, 발신자에 의해 발신된 호를 수신자가 받을 수 없거나 받기 곤란한 상 황에서 다른 번호로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가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통화 중이거나 전화기의 전원이 오프이거나 수신 불가 지역에 있거나 부재 중인 경우에 있어서,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미리 지정해 놓은 다른 번호로 연결시켜 받을 수 있게 전환하여 주는 착신 전환 서비스가 존재하였다. 또한, A라는 사람이 B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B가 이를 수신하자 마자 C에게 호를 연결하고 B가 이후에 호를 끊으면 A와 C 사이에 호가 연결되는 호 전환 서비스가 존재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착신 전환 서비스나 호 전환 서비스에서는 수신자가 전환하여 연결시키고자 하는 제 3의 전화 번호를 미리 설정해 놓아야 하며 이를 실시간으로 선택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호 전환 서비스에서는 수신자가 일단 전화를 수신한 후 제 3의 전화 번호에게 다시 호를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신자가 전환하여 연결시키고자 하는 제 3의 전화 번호를 미리 설정해 놓을 필요없이 실시간으로 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수신자가 호를 수신하기에 앞서 제 3의 전화 번호로 호를 포워딩할 수 있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 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에게 호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호를 수신하기 전에 제 3 단말에게 상기 호를 포워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3 단말 간에 호 연결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워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호를 수신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 3 단말에게 상기 호를 포워딩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제 1 단말에 의해 발신된 호를 받아 제 2 단말에게 전송하는 전송 수단;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호를 수신하기 전에 제 3 단말에게 상기 호를 포워딩하는 포워딩 수단; 및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3 단말 간에 상기 포워딩된 호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 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400)는 제 1 단말(100), 제 2 단말(200) 및 제 3 단말(300)과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 수단(410), 포워딩 수단(420), 연결 수단(430), 통지 수단(440) 및 인증 수단(45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단말(100), 제 2 단말(200) 및 제 3 단말(300)은 섹터 단위로 분할 할당된 통신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말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PDA 폰, GSM 폰, CDMA-2000 폰, WCDMA 폰, DMB 폰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무선 접속망은 단말의 이동성을 보장해 주는 역할을 하며,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접속망은 교환기와 단말(Mobile Node) 사이에 존재하는 기지국(RTS; Radio Transceiver Subsystem) 및 기지국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에 의해 구현된다. 기지국(RTS)은 3GPP(3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가입자 단말과의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트래픽을 WCDMA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RNC)는 유무선 채널 관리, 가입자 단말과의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 간의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 처리,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접속, 장 애 관리, 시스템 로딩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전송 수단(410)은 제 1 단말(100)에 의해 발신된 호를 수신하여 제 2 단말(200)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제 1 단말(100)을 담당하는 교환기와 제 2 단말(200)을 담당하는 교환기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제 1 단말(100)이 제 2 단말(200)의 전화 번호를 지정하여 호를 발신하였기에 제 2 단말의 입장에서는 호를 수신하게 되면 일반 통화처럼 제 1 단말(100)과 호가 연결되어 통화를 하게 되지만, 전화를 받지 않고(호를 수신하지 않고) 제 3 단말(300)에게 호를 포워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단말(200)은 상기 호를 수신할 것인지 포워딩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만약 포워딩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포워딩의 대상이 되는 제 3 단말(300)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 3 단말의 전화 번호)를 포워딩 수단(420)으로 올릴 수 있다.
포워딩 수단(420)은 제 2 단말(200)이 상기 호를 수신하기 전에 제 3 단말(300)에게 호를 포워딩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 2 단말(200)을 담당하는 교환기와 제 3 단말(300)을 담당하는 교환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인증 수단(450)은 포워딩 수단(420)의 지시에 의해 제 2 단말(200)이 상기 호를 포워딩할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인지를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포워딩 수단(420)은 인증 수단(450)이 인증에 성공하면 제 3 단말(300)에 대한 식별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게 되고, 식별 정보가 유효할 경우에는 호를 제 3 단말(300)에게 포워딩하게 된다. 여기서, 식별 정보란 제 3 단말(300)을 특정할 수 있는 전화 번호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며, 이 전화 번호는 제 2 단말(200)의 사용자 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사전에 미리 제 2 단말(200)의 메모리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인증 수단(450)이 인증에 실패하면, 제 2 단말(200)에게 상기 호를 포워딩할 수 있는 권한을 일시적으로 제공받을 것인지를 문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인증 수단(450)은 홈 위치 등록기(HLR)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지능망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능망이라는 것은 CDMA에서는 WIN(Wireless Intelligent)이라 불리우고, WCDMA에서는 CAMEL이라고 불리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지능망이든지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홈 위치 등록기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 서비스 정보 및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특히, 홈 위치 등록기는 이동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이 프로파일 정보는 가입 단말의 MIN(가입자 전화번호), ESN(이동 전화기의 일련 번호), 가입된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지능망(Customized Applications for Mobile network Enhanced Logic; CAMEL)은 유럽의 GSM 이동 통신 지능망 표준으로서, GSM 기반 구조를 바탕으로 사업자 고유의 지능망 서비스를 위한 표준화된 도구를 제공하는 표준 규격이다. 단말기 또는 특정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로밍 상태에서 일관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결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단말이 호 포워딩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인지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지 수단(440)은 제 2 단말(200)에서 제 3 단말(300)로 호가 수동으로 포워딩되고 있음을 제 1 단말(100)에게 알려 주는 역할을 하며, 제 2 단말(200)에게는 제 3 단말(300)로의 포워딩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여부를 알려 주는 역할을 한 다. 통지 수단(440)의 통지는 단문 메시지의 전송,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및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에서 처리 가능한 시그널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지 수단(440)은 SMC(Short Message Control) 또는 패킷망의 SGSN(패킷 교환 지원 노드)과 GGSN(패킷 관문 지원 노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SGSN은 GPRS 서비스를 위하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기반의 스위치 및 라우팅 접속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서비스 지역 내에서 단말과의 데이터 패킷 전달을 담당하는 노드이고, GGSN은 GPRS 기간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 망 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이다.
연결 수단(430)은 포워딩 된 호를 제 1 단말(100)과 제 3 단말(300) 간에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제 1 단말(100)을 담당하는 교환기와 제 3 단말(300)을 담당하는 교환기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400)에 근거하여 실행되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단말(100)이 제 2 단말(200)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호를 발신한다(S102). 발신된 호는 무선 접속망(RAN)을 거쳐 제 1 단말(100)을 담당하는 교환기로 올라가게 되고,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에서는 제 2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 2 단말(200)을 담당하는 교환기로 상기 호를 보냄으로써 제 2 단말(200)에게 전화가 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이때, 제 2 단 말(200)이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더라도 호를 보내게 된다.
여기서, 교환기는 기존의 IS-95B 망에서의 음성 통화를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호 처리를 고속으로 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칭 구조를 가지는데, CDMA에서는 MSC가 역할을 담당하며, WCDMA에서는 MSC 서버와 MGW로 분리되어 역할을 담당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경우이든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 2 단말(200)은 자신이 호를 수신하여 제 1 단말(100)과 통화를 시도할 것인지 또는 제 3 단말(300)에게 상기 호를 포워딩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104). 제 2 단말(200)이 상기 호를 수신하기 전에 제 3 단말(300)에게 상기 호를 포워딩할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포워딩의 대상이 되는 제 3 단말(3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동 통신망 내부의 포워딩 수단(420)으로 올린다(S106). 포워딩 수단(420)은 이동 통신망 내부의 인증 수단(450)을 이용하여 제 2 단말(200)이 상기 호를 포워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인증하게 된다(S108). 즉, 제 2 단말(200)이 호를 수동으로 포워딩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에 별도로 가입되어 있는 단말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인증 결과, 제 2 단말(200)이 상기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 2 단말(200)에 의해 제공된 제 3 단말(300)에 대한 식별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한다(S110-2). 또한, 제 2 단말(200)이 호를 포워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 2 단말(200)에게 상기 권한을 임시적으로 부여받을 것인지를 문의하게 되고(S110-1), 제 2 단말(200)이 정당한 대가를 지불할 것을 약속하고 상기 권한을 부여받기로 한다면, 포워딩 수단(420)은 제 2 단말(200)에 의해 제공된 제 3 단말(300)의 식별 정보가 실재로 존재하는 정보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110-2). 여기서, 제 3 단말(300)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 3 단말(300)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전화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전화 번호는 제 2 단말(20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직접 입력될 수도 있으며, 제 2 단말(200)의 사용자가 미리 제 3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메모리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특정 키 번호에 매핑하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 3 단말(300)에 대한 식별 정보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 단말(200)에게 이를 통지한 후에(S112-2), 제 1 단말(100)이 제 2 단말(200)에게 호를 발신하는 S102 단계로 다시 돌아간다. 또는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 간에 서로 호가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식별 정보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호를 제 3 단말(300)에게 포워딩하게 된다(S112-1).
한편, 통지 수단(440)은 제 1 단말(100)에게 제 3 단말(300)로의 포워딩이 시도되고 있음을 통지하게 되는데(S114), 이는 제 1 단말(100)이 긴 시간 동안 호 시도음을 듣게 되면 제 2 단말(200)이 전화를 안받는 것으로 오인하여 전화를 끊는 것을 방지하고, 자신이 발신한 호가 포워딩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포워딩이 이루어지면, 통지 수단(440)은 이를 제 2 단말(200)에게도 알려주게 된다. 여기서, 통지가 이루어 지는 방법은 단문 메시지의 전송,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및 상기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에서 처리 가능한 시그널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제 제 3 단말(300)에게 호의 선택권이 넘어가게 되면, 제 2 단말(200)에게 는 더 이상의 신호음이 들리지 않게 되며, 제 2 단말(200)은 제 1 단말(100)과의 연결 관계에서 완전히 배제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 1 단말(100)과 제 3 단말(300) 간에 호 연결이 완성된다(S116).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이상 존재한다.
수신자의 입장에서 전화를 받기가 힘들거나, 곧바로 제 3 자에게 연결해 주고 싶은 경우에, 호를 수신하기 전에 미리 제 3 자의 전화로 호를 포워딩할 수 있다.
수신자가 전환하여 연결시키고자 하는 제 3의 전화 번호를 미리 설정해 놓을 필요없이 실시간으로 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제 1 단말에 의해 발신된 호를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전달된 호에 의해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간의 통화가 개통되기 전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호를 포워딩할 제 3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호를 제 3 단말로 포워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과 제 3 단말간의 호 연결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호를 포워딩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호를 포워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3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호를 상기 제 3 단말에게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는,
    상기 제 2 단말을 통하여 직접 입력되거나 상기 제 2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결과,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단말에게 상기 권한을 제공받을 것인지를 문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단말에게 통지하고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 간에 호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에게 상기 제 3 단말로의 포워딩이 시도되고 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에게 상기 제 3 단말로의 포워딩 결과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단문 메시지의 전송,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및 상기 제 1 단말 또는 제 2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시그널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1 단말에 의해 발신된 호를 받아 제 2 단말에게 전송하는 전송 수단;
    상기 전송된 호에 의해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간의 통화가 개통되기 전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호를 포워딩할 제 3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호를 상기 제 2 단말이 수신하기 전에 제 3 단말에게 포워딩하는 포워딩 수단; 및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3 단말 간에 상기 포워딩된 호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포워딩 수단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호를 포워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인증하는 인증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워딩 수단은 상기 인증 수단의 인증 결과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제 3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상기 호를 상기 제 3 단말에게 포워딩하고, 상기 인증에 실패하면, 상기 제 2 단말에게 상기 권한을 제공받을 것인지를 문의하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는,
    상기 제 2 단말을 통하여 직접 입력되거나 상기 제 2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에게 상기 제 3 단말로의 포워딩이 시도되고 있음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제 2 단말에게 상기 제 3 단말로의 포워딩 결과를 통지하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단문 메시지의 전송,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및 상기 제 1 단말 또는 제 2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시그널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KR1020070065676A 2007-06-29 2007-06-29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3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676A KR100933776B1 (ko) 2007-06-29 2007-06-29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676A KR100933776B1 (ko) 2007-06-29 2007-06-29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365A KR20090001365A (ko) 2009-01-08
KR100933776B1 true KR100933776B1 (ko) 2009-12-24

Family

ID=4048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676A KR100933776B1 (ko) 2007-06-29 2007-06-29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7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29B1 (ko) * 2006-07-25 2008-01-08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29B1 (ko) * 2006-07-25 2008-01-08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365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800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es equipped with more than one subscriber identity card and capable of providing reliable communication quality
TW55281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onymous network access in the absence of a mobi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20060111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MS messag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LAN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6209908B (zh) 因特网通信环境和移动通信环境之间呼叫建立方法和装置
KR100683377B1 (ko) 2세대와 3세대 이동 통신망 사이의 번호이동성 서비스에따른 음성 착신호 처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CN102113393B (zh) 通信控制系统、第2移动通信交换装置以及通信控制方法
KR20080010217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된 호를 인터넷 전화로 연결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933776B1 (ko) 호 수동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54081B1 (ko) 해외 로밍 단말을 위한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719894B1 (ko) 광대역 이동 통신망에서 화상통화 지역 통보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884113B1 (ko) 국제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KR100685515B1 (ko) Cdma 2g망을 이용하여 wcdma 망에 위치한 복합단말기를 cdma 2000 1x 사설망으로 핸드오프하는 방법
KR100812516B1 (ko) 2세대와 3세대 이동 통신망 사이의 번호이동성 서비스에따른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100871157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이동 단말에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338088B1 (ko) 이동통신에서의 인바운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이시스템에서의 호 착신시 페이징 방법
KR100991646B1 (ko) 로밍시 특정 호를 차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50633B1 (ko) 발신망과 착신망 간의 영상 통화 가능 식별 정보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957636B1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58645B1 (ko) 지능망 지원 수준과 무관하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 비용을 실시간으로 차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46973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프로비져닝을수행하는 프로비져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37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호를 전환하여 수신하는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711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피 주소 획득 방법
KR101258985B1 (ko) Wcdma를 이용한 사설 무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33388B1 (ko) 무선 공중망과 연동되는 사설 유무선 망에서 통화중인 무선 단말기의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