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130A -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130A
KR20050121130A KR1020040046289A KR20040046289A KR20050121130A KR 20050121130 A KR20050121130 A KR 20050121130A KR 1020040046289 A KR1020040046289 A KR 1020040046289A KR 20040046289 A KR20040046289 A KR 20040046289A KR 20050121130 A KR20050121130 A KR 2005012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message
text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437B1 (ko
Inventor
이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4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437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문자 메시지를 음성 합성을 통해 다양한 음색을 가지는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수단;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과 음성 입출력 수단간의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음성 합성 수단에서 합성한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처리 수단;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저장하고 있는 단위음 데이터베이스;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합성하기 위한 상기 음성 합성 수단; 및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합성하고, 상기 합성한 음성 메시지(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oice message using speech synthesizing}
본 발명은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문자 메시지를 음성 합성을 통해 다양한 음색을 가지는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한,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는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최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근래에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반인에게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용자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무선통화 기능에 흥미를 잃고, 좀 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무선통신 단말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출시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대부분 카메라 기능은 물론,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 음악(일예로, MP3 : MPEG layer 3) 재생 기능, 지압 기능, 혈당량 감지 기능, 초음파 촬영 기능, 문자 메시지 전송 기능,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문자 메시지 전송 기능은 나이층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음성은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의사 소통 수단이면서 정보 전달 수단이자, 언어를 구현하는 수단으로서 인간이 내는 의미있는 소리이다.
이러한 음성을 이용한 인간과 기계 사이의 통신 구현에 대한 연구는 과거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최근 음성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음성 정보 처리 기술(SIT : Speech Information Technology) 분야가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룩함에 따라 실생활에도 속속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성 정보 처리 기술을 크게 분류하면,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음성 합성(speech synthesis), 화자 인증(speaker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음성 코딩(speech coding)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은 발화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열로 변환하는 기술이고, 음성 합성은 문자열을 음성 분석에서 얻어진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또한, 화자 인증은 발화된 음성을 통하여 발화자를 추정하거나 인증하는 기술이고, 음성 코딩은 음성 신호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부호화하는 기술이다.
이 중에서, 음성 합성 기술의 발전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초기의 음성 합성은 대부분 기계장치 또는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인간의 발성 기관을 흉내내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예를 들어, 18세기 볼프강 폰 켐펠렌(Wolfgang von Kempelen)이라는 사람은 고무로 만들어진 입과 콧구멍을 가지며 성도의 변화를 흉내낼 수 있도록 한, 고무로 만든 음성 합성 기계를 고안한 바 있다.
이후, 전기적 분석 방법을 이용한 음성 합성 기술로 발전하여, 1930년대에는 더들리(Dudley)가 초기 형태의 보코더(vocoder)를 선보이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는 컴퓨터의 급속한 발달에 힘입어, 컴퓨터 기반 음성 합성 방식이 음성 합성 방식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으며, 시스템 모델 방식(조음 합성 (articulary synthesis))이나 신호 모델 방식(규칙기반 포만트 합성 또는 단위음결합 합성) 등의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음성 합성 기술에서는 고품질의 음성을 생성하기 위하여, 미리 대규모의 단위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두고, 각각의 주어진 텍스트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음성 단위음들을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연결함으로써, 음성을 합성하는 연결 합성 방식(Unit Selection-Based Text To Speech)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종래의 음성 메시지 전송 기술은 직접 음성을 입력하여 저장한 후, 이를 타인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종래의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은 공공 장소에서 음성 메시지 전송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은 음성 변조 모듈 등을 더 포함하지 않는 한, 하나의 음색으로만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문자 메시지를 음성 합성을 통해 다양한 음색을 가지는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공공 장소에서도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수단;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과 음성 입출력 수단간의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음성 합성 수단에서 합성한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처리 수단;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저장하고 있는 단위음 데이터베이스;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합성하기 위한 상기 음성 합성 수단; 및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합성하고, 상기 합성한 음성 메시지(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는 문자 입력 단계; 상기 입력받은 문자를 음소 단위로 분리하는 음소 분리 단계; 상기 분리한 각 음소의 해당 단위음을 단위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단위음 검색 단계; 상기 검색한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을 합성하는 단위음 합성 단계; 및 상기 합성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데이터) 및 음성 메시지(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1), 상기 무선 송수신부(11)에서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송수신부(11)를 통해 전송되도록 하고, 음성 합성부(16)에서 합성한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송수신부(11)를 통해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코덱)(12), 문자 입력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13), 상기 키입력부(13)를 통해 입력받은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 각 음소별 단위음들을 저장하고 있는 단위음 데이터베이스(15),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13)를 통해 입력받은 문자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합성하기 위한 음성 합성부(16),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13)를 통해 입력받은 문자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합성하고, 상기 합성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음 데이터베이스(15)는 다양한 음색, 즉 어린 아이의 음색, 성인 남녀의 음색, 노인들의 음색 등을 가지는 단위음들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려는 상대에 따라 또는 그날의 심리 상태에 따라 다양한 음색 중 어느 한 음색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음색으로 음성 메시지가 합성된 후에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위음 데이터베이스(15)는 각 연령층별 남자와 여자의 음색을 가지는 한국어 및 영어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문 메시지를 다양한 음색의 음성 메시지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 합성부(16)에서 합성한 음성신호가 음성 처리부(12)로 입력될 때 상기 두 음성신호가 상호 영향(일예로, 간섭으로 인한 신호 왜곡)을 주지 않도록, 상기 음성 처리부(12)의 입력단에 다중화부(MUX)(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를 참조하여 상기 음성 합성부(16)의 동작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합성부(16)는 각 음소별 단위음을 저장하고 있는 단위음 데이터베이스(15)를 이용하여, 키입력부(13)를 통해 입력받은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즉, 키 입력부(13)를 통해 "안" 이라는 문자를 입력받으면, 이를 각 음소(ㅇ, ㅏ, ㄴ)로 분리한다.
그런 후, 상기 단위음 데이터베이스(15)에서 상기 각 음소별 단위음을 검색하여 합성한다.
이후, 다음 문자를 입력받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단위음 데이터베이스(15)는 각 연령층별 남자와 여자의 음색을 가지는 한국어 및 영어의 단위음들을 저장하고 있다.
이후,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위해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를 설정한다(301).
이후, 키입력부(13)를 통해 문자를 입력받음에 따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은 문자를 음소로 분리한다(302, 303). 이 때, 입력받은 문자는 한국어, 영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단위음 데이터베이스(15)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한 음소의 해당 단위음을 검색한다(304).
이후, 상기 검색한 음소별 단위음을 합성한다(305).
이후, 상기 합성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에게 전송한다(30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문자 메시지를 음성 합성을 통해 다양한 음색을 가지는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공공 장소에서도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문자 메시지를 음성 합성을 통해 다양한 음색을 가지는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리적인 만족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합성부에서의 음성 합성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무선 송수신부 12 : 음성 처리부
13 : 키입력부 14 : 디스플레이부
15 : 단위음 데이터베이스 16 : 음성 합성부
17 : 제어부

Claims (4)

  1.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수단;
    상기 무선 송수신 수단과 음성 입출력 수단간의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음성 합성 수단에서 합성한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처리 수단;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저장하고 있는 단위음 데이터베이스;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합성하기 위한 상기 음성 합성 수단; 및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문자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합성하고, 상기 합성한 음성 메시지(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음 데이터베이스는,
    각 연령층별 남자와 여자의 음색을 가지는 한국어 및 영어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문자­음성 메시지 변환 전송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는 문자 입력 단계;
    상기 입력받은 문자를 음소 단위로 분리하는 음소 분리 단계;
    상기 분리한 각 음소의 해당 단위음을 단위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단위음 검색 단계;
    상기 검색한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을 합성하는 단위음 합성 단계; 및
    상기 합성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음 데이터베이스는,
    각 연령층별 남자와 여자의 음색을 가지는 한국어 및 영어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단위음들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040046289A 2004-06-21 2004-06-21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5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289A KR100553437B1 (ko) 2004-06-21 2004-06-21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289A KR100553437B1 (ko) 2004-06-21 2004-06-21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130A true KR20050121130A (ko) 2005-12-26
KR100553437B1 KR100553437B1 (ko) 2006-02-20

Family

ID=3729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289A KR100553437B1 (ko) 2004-06-21 2004-06-21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4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1176A (ko) * 2004-06-30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580620B1 (ko) * 2002-03-09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규한 전도성 고분자, 이를 이용한 센서 및 표적 물질검출 방법
US9078111B2 (en) 2012-08-16 201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using text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620B1 (ko) * 2002-03-09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규한 전도성 고분자, 이를 이용한 센서 및 표적 물질검출 방법
KR20060001176A (ko) * 2004-06-30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US9078111B2 (en) 2012-08-16 201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using text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437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biner Applications of voice processing to telecommunications
TWI281146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ed audible response to an utterance in speaker-independent voice recognition
US8082152B2 (en) Device for communication for persons with speech and/or hearing handicap
CN107895578A (zh) 语音交互方法和装置
US8768701B2 (en) Prosodic mimic method and apparatus
JP2023022150A (ja) 双方向音声翻訳システム、双方向音声翻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06882A (ja) 音声入力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およびセンターシステム
JP2003515816A (ja) 音声制御された外国語翻訳デバイス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2366186A (ja) 音声合成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音声合成装置
CN111862938A (zh) 一种智能应答方法与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3473204B2 (ja) 翻訳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CN1972478A (zh) 一种手机读短信的新方法
KR20080054591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
JP2000349865A (ja) 音声通信装置
KR100553437B1 (ko) 음성 합성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3260275B2 (ja) 活字入力で通話が可能な通信通話装置
JP2004015478A (ja) 音声通信端末装置
Westall et al. Speech technology for telecommunications
EP1271469A1 (en) Method for generating personality patterns and for synthesizing speech
JP2002101203A (ja) 音声処理システム、音声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7259427A (ja) 携帯端末装置
CN111179943A (zh) 一种对话辅助设备及获取信息的方法
WO2007015319A1 (ja) 音声出力装置、音声通信装置および音声出力方法
JP2000184077A (ja) ドアホンシステム
JP2006276470A (ja) 音声通話装置および音声通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