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447A -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2단계 저장방식의 오일교환장치 및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2단계 저장방식의 오일교환장치 및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447A
KR20050120447A KR1020040045791A KR20040045791A KR20050120447A KR 20050120447 A KR20050120447 A KR 20050120447A KR 1020040045791 A KR1020040045791 A KR 1020040045791A KR 20040045791 A KR20040045791 A KR 20040045791A KR 20050120447 A KR20050120447 A KR 20050120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oil
pump
pip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충근
Original Assignee
유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충근 filed Critical 유충근
Priority to KR1020040045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0447A/ko
Publication of KR2005012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44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3/00Special adaptations of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16N31/004Drain pans combined with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04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50/00Measuring
    • F16N2250/04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50/00Measuring
    • F16N2250/08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50/00Measuring
    • F16N2250/40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60/00Fail safe
    • F16N2260/02Indic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80/00Valves
    • F16N2280/02Valve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에서 발생하는 공기압을 제거하고, 폐유의 배출량과 신유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래 오일교환장치의 회수 및 공급시스템의 배관라인은 밀폐된 배관구조로 구성되어기 때문에,
펌프의 공회전 및 흡입작용에서 발생하는 공기압이 유체와 함께 밀폐된 배관라인을 통과하므로 유체의 유량측정이 부정확하고, 배관라인에 설치된 각종 기기에 악영향을 주게되므로 기기의 파손과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키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오일교환장치의 밀폐된 배관라인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투명관을 추설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투명관과 저장통을 거치는 2단계 저장구조를 구성하고,
컴퓨터와 연결되는 제어패널부에 메인제어부,구동제어부,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여 본기기의 기능을 일체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투명관내에서 공기압이 제거되고, 폐유와 신유의 용량과 색깔을 비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2단계 저장방식의 오일교환장치 및 제어방법.

Description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2단계 저장방식의 오일교환장치 및 제어방법{omitted}
본 발명은 자동차 오일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에서 발생하는 공기압을 제거하고, 폐유의 배출량과 신유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종래 오일교환장치의 회수 및 공급라인에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투명관을 추설한 자동차 오일교환장치이다.
국내공개특허및 실용공보(출원번호:10-1998-0032935, 10-2002-0072935, 10-2002-0074041, 20-2000-0011902, 20-2002-0019387, 20-2003-0032397)에 기재된 오일교환장치의 배관구성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폐유의 배출 및 신유의 공급라인의 기본적인 흐름도를 간략히 도식으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흡입구 - 흡입배관 - 펌프 - 배출배관 - 배출구(공급구) 순서의 흐름도 이다.
상기한 흐름도에서 확인되는 바와같이 종래 오일교환장치의 흡입구로부터 배출구(공급구)까지의 배관라인이 밀폐된 연결배관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두며,
이에, 종래 오일교환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첫째. 케이스 하단부에 내설된 대용량의 폐유저장통 및 신유저장통의 전면에 설치된 가느다란 수직선 상의 유량 표시창을 통하여 저장통내 유량을 확인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대용량의 저장통내에 소량의 오일이 증감할 때는 증감량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제기되며,
더구나 표시창 내면으로 기름떼가 유착되면 표시창의 역할은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상기한 흐름도와 같이 종래 오일교환장치의 회수 및 공급 배관라인은 밀폐된 배관구조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펌프의 공회전 및 흡입작용에서 발생하는 공기압이 유체와 함께 밀폐된 배관라인을 통과하게 되므로 유체와 유량측정이 부정확하였고,
공기압으로 인하여 배관라인에 설치된 각종 기기에 악영향을 주게되므로 기기의 파손과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오일 교환장치의 제 결함을 감안하여 그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다종의 유체 취급이 가능하고 펌프에서 발생하는 공기압을 자연적으로 제거하여 정확한 유량측정과 각종 기기의 파손을 방지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개발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닫이문이 구비된 케이스 상단부에 다수의 투명관을 내설하는 폐유 회수부와 신유 공급부를 형성하고, 투명관 내면을 세척하는 회전브러쉬를 구비하고, 케이스 하단부에는 다수의 유체 저장통 및 펌프가 내설된다.
그리고 회수부와 공급부에 배관라인을 추설한 유로방향 전환장치 및 회수부와 공급부에 배관라인을 추설한 자가 공급(배출)장치를 구성하여서, 본 기기를 일체로 제어하도록 외부 컴퓨터와 연결되는 제어패널부에 메인제어부, 구동제어부, 디스플레이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기에서 취급하는 유체는 엔진오일, 밋션오일, 파워스티어링오일, 브레이크오일, 부동액, 세척액, 절삭유, 유리세정제 등 각종 유체를 취급하며, 취급하는 유체의 종류 수 만큼 투명관을 추설한다.
단, 유체의 물성이 현저히 상이한 유체는 본 기기에 펌프와 공급라인을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서로 영향이 미치지 않는 유체끼리 별도의 기기에 분리하여 취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유 회수부와 신유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 케이스(53)상단 전면부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원통형의 투명관(8)(30)(31)(32) 및 각각의 펌프를 내설하여서,
폐유 회수펌프(4)의 흡입구에는 흡입측니플(1)이 결착된 폐유 흡입호스(2)를 필터(3)와 함께 연결하고,
회수펌프(4)의 토출구에는 필터(5), 온도센서(6)가 착설된 폐유토출관(7)을 연결하여서 투명관(8)의 상단내에 고정하고, 투명관(8)의 하단부내에는 3방향 전자밸브(9), 전자밸브(10), 유량센서(11), 배출펌프(12)가 착설된 배출관(13)을 삽착하여 저장통(14)과 연결 구성함으로서 폐유의 회수부가 완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회수부의 폐유 흐름도는 흡입측니플(1), 흡입호스(2), 필터(3), 회수펌프(4), 필터(5), 온도센서(6), 토출관(7)을 통하여 1단계로 투명관(8)에 일시 저장된 다음에, 투명관 하단의 3방향 전자밸브(9), 전자밸브(10), 유량센서(11), 배출펌프(12), 배출관(13)을 통하여 2단계로 저장통(14)에 저장되는 2단계 저장구조를 구비한 폐유의 흐름도이다.
{ 상기 투명관(8)하단의 3방향전자밸브(9) 1구는 신유 공급라인의 3방향 전자밸브(38)의 1구와 바이패스관(15)으로 연결되며, 바이패스관(15)에 접속된 3방향 전자밸브(9)(38)의 접속구는 평시에는 닫혀있는 off 상태이다. }
신유 공급펌프(24)의 흡입구에는 취급하는 신유의 종류 수 만큼으로 분기되고 필터(23)가 구비된 흡입분배관(22)을 삽착하고, 각 분배구에는 전자밸브(19)(20)(21)를 착설하여 배관을 통하여 각 저장통(16)(17)(18)으로 연결하고,
공급펌프(24)의 토출구에는 필터(25)가 구비된 토출분배관(26)을 삽착하고, 각 분배구에는 전자밸브(27)(28)(29)가 착설된 각각의 토출관을 각 투명관(30)(31)(32)의 상단내에 고정하고,
각 투명관의 하단부내에는 전자밸브(33)(34)(35)가 착설된 튜브관을 연결하여 그 끝단을 일방향으로 합류한 공급관(36)의 끝단에 유량센서(37,) 3방향전자밸브(38), 제2공급펌프(39), 체크밸브(40), 압력센서(41)를 삽착하고 이에, 공급호스(42)를 연결하여 공급측니플(43)을 결착하여 구성함으로서 신유의 공급부가 완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공급부의 신유 흐름도는 {투명관(30)의 공급라인을 선택하여 설명한다}
1단계로 저장된 신유저장통(16)으로부터 흡입되어져 전자밸브(19), 필터(23), 공급펌프(24), 필터(25), 전자밸브(27)를 통하여 2단계로 투명관(30)에 일시 담겨진 다음에, 투명관 하단의 전자밸브(33), 공급관(36), 유량센서(37), 3방향전자밸브(38), 제2공급펌프(39), 체크밸브(40), 압력센서(41)를 거쳐 공급호스(42)와 공급측니플(43)을 통하여 공급되는 2단계 저장구조를 구비한 신유의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교환장치의 회수 및 공급라인의 기본적인 흐름도를 종래와 비교하여 간단하게 도식으로 표기하자면,
종래에는 흡입구 - 흡입배관 - 펌프 - 배출배관 - 배출구(공급구) 순서의 흐름도이고,
본 발명에서는 흡입구 - 흡입배관 - 펌프 - 공기배출구가 구비된 투명관 - 배출배관 - 배출구(공급구) 순서의 흐름도이다,
상기에서 비교 확인되는 바와 같이 종래 오일교환장치의 폐유회수 및 신유공급 라인은 개방(open)되지 않은 밀폐된 배관으로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펌프에 전원이 인가된 후부터 흡입작용전까지 펌프는 공회전되며,
흡입 작동중에도 수시로 공기압이 발생하는 바, 공기압이 개방되지 않은 밀폐된 배관라인을 통과하게 되므로 배관내에 설치된 각종 기기에 악영향을 가하여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유량의 측정이 부정확해지고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2단계 저장구조인 본 발명의 회수 및 공급 배관라인의 일점에 개방(open)된 배관구조를 형성한 것이므로,
펌프에 의한 강력한 공기압이 발생되더라도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투명관 지점에 도달하면 자연적으로 공기압이 외부로 배출 제거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자동차용 오일교환장치의 회수 및 공급 배관라인의 일점에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투명관을 추설하는 것을 본 발명의 주요 특징점으로 하는 자동차 오일교환장치이다.
이에, 투명관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투명관의 상면을 완전개방(open) 또는 일부를 개방하여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만약 전원기기의 오작동 시, 투명관내 오일이 넘쳐흐르는 것에 대비하여 각 투명관 상단측면에는 각 저장통과 연결된 비상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각 투명관(11)(30)(31)(32)과 저장통(14)(16)(17)(18)내에는 전기적 회로의 구성으로 연결된 수위센서가 내설되어 각 투명관에 오일이 정량으로 채워 지거나 또는 비워질 때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부저음(점등구)으로 제어신호된다.
그리고 신유 투명관에 내설된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투명관내 저수위점의 위치는 투명관의 바닥면 보다 위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구성함으로서, 저수위가 감지되어 투명관내 오일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었어도 투명관내의 바닥면과 저수위점 사이에는 소량의 오일이 남아있게 된다.
이는, 만약에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공급된 오일이 조금 부족할 때 보충해 주기 위한 것으로서, 미도시된 보충(미세)버튼을 작동하여 미세보충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저장통에 담겨진 오일의 유량은 디스플레이부(58)에 표시되며, 저장통에 오일이 만수위 또는 저수위일 때 부저음(점등구)으로 제어 신호된다.
도2는 투명관내에 삽착되어 내면을 닦아주는 회전브러쉬를 도시한 것으로서, 회전브러쉬가 투명관 부호8에 삽착된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시커먼 색깔의 폐유가 투명관(8)내에 수차례 반복 담겨지게 되면, 투명관(8)의 내표면에 시커멓게 기름 떼가 유착되어 청결하지 못하고 투명관(8)내에 담겨진 유량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세척방법은 투명관 내표면을 상하 왕복 작동하는 세척방법과 회전작동하여 세척하는 방법이 제안되는데, 구조도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회전작동하는 회전브러쉬를 선택하여 구성한 것이며, 이의 작동은 수동버튼(미도시) 또는 자동으로 작동된다.
이에, 회전브러쉬의 구조는 정역회전되는 감속모터(44)의 회전축(45)에 연결구(46)로 연장한 축심대(47)에 가로대(50)와 세로대(51)로 조합된 " " 형태의 날개를 조립함에 있어서,
세로대(51)에는 ""형 홈을 수직 홈설하고, 이 홈에 동형상의 홈을 가진 고무판대(52)를 길게 삽입하고, 가로대(50)의 끝부에는 외경을 줄인 나사부를 나설하고, 이 나사부에 스프링(49)과 와샤링(미도시)을 삽착한 후 축심대(47)의 상하구멍에 끼워 너트(48)로 조여 조립한 회전브러쉬를 완성한다.
회전브러쉬를 투명관(8)내의 바닥 중앙에 금속재로 둔턱을 이룬 요입홈(미도시)에 축심대(47)의 끝단을 안착시켜서 투명관(8)내에 회전브러쉬가 삽착되며, 감속모터(44)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볼트 등으로 고정하여 설치가 완료된다.
이에, 회전브러쉬의 작동은 자동 또는 수동버튼(미도시)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감속모타(44)가 정역회전으로 2-3회 회전되면서 고무판대(52)에 의하여 투명관(8)내표면이 세척되는 것인데,
고무판대(52)는 스프링(49)의 탄지력에 의하여 투명관(8)내표면에 연동적으로 밀착 회전되면서 깨끗하게 세척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무판대(52)를 교환할 때는 감속모터(44)의 고정볼트 또는 연결구(46)를 풀거나 또는 고무판대(52)만을 탈착하는 등 교체작업이 용이하다.
도3은 회전브러쉬의 저면도로서 빗금친 부분이 세로대(51)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성이 내설된 케이스의 외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스(53)의 전면으로 여닫이문(미도시)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각 투명관을 외부에서 관측하는 투시창(54)이 형성되며, 본 기기를 일체로 제어하는 제어패널부(55)가 구성되고,
케이스(53)의 내측에는 조명등(미도시), 좌우 외측에는 흡입호스(2),공급호스(42), 바닥면에는 바퀴(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스의 외면에는 호스걸이대 등 관련기구가 적절한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 내부의 저장통과 배관라인에는 보온재로 단열처리한 것으로서, 겨울철에도 별도의 히터장치가 없어도 오일의 점도성을 평시와 같이 유지토록 하였다.
제어패널부(55)에는 데이터에 의해 프로그램이 입력된 메인제어부(56)에서 컴퓨터조작 또는 수동조작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아 각종 데이터 값을 입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8), 상기 디스플레이부(58)에서 출력된 설정값을 동작하는 구동제어부(57)를 구성하며,
상기 구동제어부(57)에는 회수버튼, 공급버튼, 동시버튼, 순환버튼이 구비되어 전기적회로의 구성으로 작동되는 바,
제어패널부(55)에서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초기의 작업요령과 전기적회로의 구성을 일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제어부(56)에는 작업하고자 하는 유체 및 유량을 선택하고 설정하는 단계로서, 컴퓨터입력 또는 수동으로 버튼을 조작하여서 설정한다.
컴퓨터로 설정하는 경우 : 메인제어부(56)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차종과 유체의 종류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58)에 차종에 맞는 유체의 정량이 입력 표시된다.
수동버튼으로 설정하는 경우 : 유체의 종류별로 버튼을 구비하고, 선택한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디스플레이부(58)에 표시되는 유량수치가 변동되며, 이에 원하는 유량을 디스플레이부(58)에 입력 표시한다.
구동제어부(57)에서는 상기 메인제어부(56)의 컴퓨터 또는 수동버튼 조작으로 디스플레이부(58)에 입력 표시된 유체의 정량을 공급하는 기능으로서, 회수버튼, 공급버튼, 동시버튼, 순환버튼으로 구분하여 구성되며, 이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회수버튼은 유체를 회수하는 기능으로서, 본 기기의 흡입측니플(1)을 차량기관의 배출구에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공급버튼은 유체를 공급하는 기능으로서, 본 기기의 공급측니플(43)을 차량기관의 공급구에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동시버튼은 유체의 회수와 공급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으로서, 본 기기의 흡입측니플(1)과 공급측니플(43)을 차량기관의 배출구와 공급구에 결착 연결하여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순환버튼은 차량의 각 기관을 세척하는 기능으로서, 본 기기의 흡입측니플(1)과 공급측니플(43)을 차량기관의 배출구와 공급구에 결착 연결하여서 차량기관내를 순환토록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58)에는 유체의 유량 및 각종 데이터 값을 설정 및 입출력하는 제어부로서, 유체의 정량, 유량센서의 흐름량, 압력센서의 유압, 온도센서의 온도, 저장통의 유량, 투명관의 유량 등 각종 데이터 값이 각각 표시된다.
도5는 케이스를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작업장소의 여건에 따라 상단부는 벽걸이 등에 설치하고, 하단부의 저장통은 동 떨어져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회수부와 공급부의 기존라인에 점선으로 도시된 배관라인을 추설한 유로방향 전환장치로서,
3방향전자밸브(59)(60) 와 배관부속 T (61)(62)를 도6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공급라인과 흡입라인에 크로스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는, 구동제어부(57)에서의 동시버튼을 조작 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로 흡입측니플(1)과 공급측니플(43)을 차량기관에 반대로 연결하고 작동하였을 경우에는 체크밸브(40)에 의해 역류가 차단되고, 이때 압력센서(41)의 압력상승 감지신호에 의해 펌프의 작동이 잠시 멈춘 다음에, 추설된 2개의 3방향 전자밸브(59)(60) 유로방향이 전환되고 펌프가 재작동되어 작업이 순조롭게 계속되는 것이다.
도7은 저장통에 신유를 공급 받거나 또는 폐유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자가 공급(배출)장치로서, 본 발명의 회수부와 공급부의 배관라인에 점선으로 표시된 추가라인을 도시한 것이다.
자가공급(배출)장치의 기본구성은 기존의 회수펌프(4)와 공급펌프(24)의 각 흡입구와 토출구에 3방향전자밸브(63)(64)(65)(67)를 추설하여 유체 흐름 방향을 역으로 전환하여서 작동되는 것이다.
이에, 저장통(14)내 폐유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은 회수펌프(4)의 흡입구 와 토출구의 기존라인에 3방향전자밸브(63)(64)를 각각 증착하고, 전자밸브(63)의 A 방향구에는 배출펌프(12)하단의 임의지점 기존라인에 배관부속 T 로 연결하고, 전자밸브(64)의 A 방향구에는 전자밸브(63)의 C 방향구 하단 임의 지점 기존라인에 T 로 연결함으로서, 자가배출장치의 구성을 완성한다.
이의 사용 방법은 평시에는 각 전자밸브(63)(64)의 B 와 C 방향구는 열려있고, A 방향구는 닫혀있는 상태이다.
저장통(14)내 폐유를 외부로 배출하고자할 때 는 전환스위치(미도시)를 전환시키면 각 전자밸브(63)(64)의 각 방향구가 역으로 전환된다.
이에, 회수펌프(4)의 전원을 작동시키면 저장통(14)에 담겨져 있는 폐유가 점선을 따라 전자밸브(63) A - B를 통하여 회수펌프로 흡입되고, 전자밸브(64)의 B - A를 통하여 흡입측니플(1)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신유를 외부로부터 저장통으로 공급하는 구성은 공급펌프(24)의 흡입구와 토출구의 기존라인에 3방향전자밸브(65)(66)를 각각 연결 증착하고, 전자밸브(65)의 A 방향구에는 압력센서(41) 하단의 임의지점 기존라인에 T 로 연결하고,
전자밸브(66)의 A 방향구에는 전자밸브(65)의 B 방향구 하단 임의지점 기존라인에 T 로 연결함으로서 자가 공급장치의 구성을 완성한다.
이의 사용방법은 평시에는 각 전자밸브(65)(66)의 B 와 C 방향구는 열려있고, A 방향구는 닫혀있는 상태인데, 신유를 외부로부터 선택된 저장통(16)에 공급하고자할 때 는 전환스위치(미도시)를 전환시키면 각 전자밸브(65)(66)의 각 방향구가 역으로 전환된다.
이에, 공급펌프를 작동시키면 외부의 유체가 공급측니플(43)을 통하여 점선을 따라 전자밸브(65) A - C를 거쳐 공급펌프(24)로 흡입되고, 전자밸브(66) C - A를 거쳐 선택된 라인의 전자밸브(19)를 통하여 저장통(16)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1부터 도7까지 본 발명의 구성 및 일부 작용을 설명하였다.
본 기기의 작동요령 및 초기 작동의 전기적회로의 구성을 상기한 제어패널부(55)에서 일차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전기적회로의 구성이 어떤 제어방법에 의해 작용하는 가를 작용의 실시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본 기기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체와 유량을 선택해야 하는 바,
도8의 메인제어부(56)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수동선택버튼의 조작으로 출력되는 유체 및 유량의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8)에 유체와 유량이 설정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8)에서 출력된 설정값을 수행하게 될 작업인 구동제어부(57)내의 회수버튼, 공급버튼, 동시버튼, 순환버튼 중에서 작업을 선택하여 작동되는 것인 바,
이하, 구동제어부(57)의 회수버튼, 공급버튼, 동시버튼, 순환버튼의 작용을 실시 예를 들어서 전기적회로의 구성이 어떻게 작용하여 제어되는 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9의 "회수버튼"을 작동하는 경우
흡입측니플(1)을 차량기관의 배출구에 연결한 다음에 회수버튼을 조작하면,
회수부에 전원이 인가되고, 회수펌프(4)가 작동되어 차량기관내 폐유가 흡입관(2)를 통하여 투명관(8)에 1단계로 일시 담겨지게되며,
투시창(54)을 통하여 유량을 확인하고, 투명관(8)내 폐유의 수위가 더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수위센서가 감지하면,(또는 미도시된 유량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전원이 전환되어 회수펌프(4)는 off되고, 전자밸브(10), 배출펌프(12)는 on 상태로 전환되어 폐유가 2단계로 저장통(14)으로 배출 저장되고,
투명관(8)내 폐유의 저수위가 감지되면 전원이 전환되어 전자밸브(10), 배출펌프(12)는 off되고, 세척대(도2)는 on 되어 세척대가 투명관(8)내면을 2 회전한 다음에 회수버튼에 인가된 전원이 off되어 작업이 종료된다.
도 10의 "공급버튼"을 작동하는 경우: (이하 투명관 부호31에 담겨질 라인을 설정하여 설명하겠다.)
공급측니플(43)을 차량기관의 공급구에 연결한 다음에 공급버튼을 조작하면, 공급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밸브(20)(28)가 오픈된 후 공급펌프(24)가 작동되면서, 저장통(17)의 신유가 흡입되어 디스플레이부(58)에 표시된 유체의 정량이 투명관(31)에 담겨지면,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이를 알리는 부저음이 신호되고, 이 신호에 의하여 공급펌프(24) 및 전자밸브(20)(28)는 전원이 전환(off)되고, 투명관(31)하단의 전자밸브(34), 제2공급펌프(39)가 on되어,
투명관(31)내의 신유가 저수위되면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부저음이 신호되고, 이 신호에 의해 공급버튼에 인가된 전원이 off 되어 작업이 종료된다.
도 11의 "동시버튼"을 작동하는 경우 :
차량기관의 배출구와 공급구에 본 기기의 흡입측니플(1)과 공급측니플(43)을 결착 연결한 후,
동시버튼을 조작하면 전원이 인가되어 신유라인의 전자밸브(20)(28)가 오픈된 후, 공급펌프(24)가 작동되면서 신유가 흡입되고, 디스플레이부(58)에 표시된 신유의 정량이 투명관(31)에 담겨지면,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이를 알리는 부저음이 신호되고, 이 신호에 의하여 전원이 전환되어 전자밸브(20)(28), 공급펌프(24)는 off되고, 회수펌프(4)는 on으로 작동되어 투명관(8)내 폐유가 약 2리터(조정가능) 채워지면,
신유 투명관(31)하단의 전자밸브(34), 제2공급펌프(39)가 on으로 작동되며, 투명관(31)내의 신유가 저수위가 되면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부저음이 신호되고, 이 신호에 의해 회수펌프(4), 제2공급펌프(39), 전자밸브(34), 의 전원이 전환(off)되고,
폐유 투명관(8)하단의 전자밸브(10), 배출펌프(12)가 on으로 작동되어 투명관(8)내 폐유가 저수위임을 감지하면 부저음이 신호되고, 이 신호에 의해 전원이 전환되어 전자밸브(10), 배출펌프(12)는 off되고 세척대(도2)는 on으로 2회전 작동된후 동시버튼에 인가된 전원이 off되어 작업이 종료된다.
이와같이 동시작동으로 공급된 신유의 적량과 차량기관에서 배출된 폐유량을 비교해 살펴보자면,
차량기관내 폐유량은 공급될 신유의 정량보다 적거나 동일한 양이다. 그러므로 투명관(32)내에 담겨졌던 신유가 차량기관내로 공급되었다는 의미는 폐유의 일부가 먼저 배출되었으므로 신유와 폐유가 혼합되는 경우의 예가 없이 차량기관내 폐유가 완전히 배출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이며,
신유의 공급량 역시 투명관(32)내에 정량이 담겨져 있었으므로 공급량이 부족한 경우의 예가 없이 정량으로 차량기관내에 공급되는 것이다.
도 12의 "순환버튼"을 작동하는 경우 :
세척하고자 하는 차량기관의 배출구와 공급구에 본 기기의 흡입측니플(1)과 공급측니플(43)을 결착 연결한 후, 공급버튼 또는 동시버튼의 작동으로 세척액(일명: cemical액)을 차량기관내에 공급하였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순환버튼을 조작하면 바이패스관(15)과 접속된 각각의 3방향전자밸브(38), (9)의 개폐구가 전환(on)되어 폐유라인과 신유공급라인이 서로 통하게 된다,
이에, 회수펌프(4)가 on으로 작동되어 폐투명관(8)에 세척액이 약2리터(조정가능)담겨진 후에 제2공급펌프(39)가 on으로 작동되면,
차량기관내 세척액이 흡입관(2), 회수펌프(4), 투명관(8) 바이패스관(15) 제2공급펌프(39), 공급호스(42) 순서의 흐름으로 순환작용 약5분(시간조정가능) 후 순환버튼에 인가된 전원이 off되어 순환작업이 종료된다.
순환작업 종료후 회수 및 공급작업을 계속할시는 회수버튼, 공급버튼, 동시버튼 중 선택하여 작업이 계속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장치를 일체로 작동하는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2단계 저장구조의 오일교환장치 및 제어방법의 효과는
밀폐된 배관라인으로 구성된 종래 오일교환장치의 배관라인에 공기 배출구를 구비한 투명관을 추설함으로서, 펌프에서 발생하는 공기압이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 제거되므로, 공기압에 의한 유량 측정불량 및 각종 기기의 파손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기계에 다수의 오일(유체)취급이 가능하며, 취급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기관, 엔진냉각기관, 밋션기관, 밋션기관을 냉각시키는 오일쿨러기관 등 자동차의 각 기관에 오일(유체)을 회수하는기능, 공급하는 기능, 회수와 공급을 동시에 하는 기능, 순환세척하는 기능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데이터에 의해 프로그램된 제어패널부(55)의 메인제어부, 구동제어부, 디스플레이부를 일체로 제어하는 전기적회로를 구성함으로서, 폐유의 회수량 및 신유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회수부와 공급부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투명관내에 삽착되는 회전브러쉬를 도시한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회전브러쉬의 저면도
도4는 본 발명이 내설되는 게이스의 외형도
도5는 본 발명의 케이스 상단 과 하단을 분리하여 설치한 경우도
도6은 본 발명의 기존라인에 점선으로 도시한 유로전환장치
도7은 본 발명의 기존라인에 점선으로 도시한 자가공급(배출)장치
도8은 본 발명의 제어패널부의 구성 및 제어도
도9는 본 발명의 회수버튼부의 흐름 및 제어도
도10은 본 발명의 공급버튼부의 흐름 및 제어도
도11은 본 발명의 동시버튼부의 흐름 및 제어도
도12는 본 발명의 순환버튼부의 흐름 및 제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흡입측니플 2. 흡입호스 4. 회수펌프 8, 30, 31, 32 : 투명관
9, 38, 59, 60, 63, 64, 65, 66 : 3방향전자밸브 10, 19, 20, 21, 27, 28, 29, 33, 34, 35 :전자밸브 11.유량센서 12.배출펌프 13.배출관
14.저장통 15.바이패스관 16.저장통 17.저장통 18.저장통
22.흡입분배관 24.공급펌프 26.토출분배관 36.공급관 37.유량센서
39.제2공급펌프 40.체크밸브 41.압력센서 42.공급호스 43.공급측니플
44.감속 모터 47.축심대 49.스프링 50. 가로대 51.세로대
52.고무판대 53. 케이스 54. 투시창 55.제어패널부 56.메인제어부
57.구동제어부 58.디스플레이부 61, 62 : T

Claims (1)

  1. 일반적으로 자동차 오일교환장치의 회수 및 공급라인의 기본적인 배관 구성은 흡입구 - 흡입배관 - 펌프 - 배출배관 - 배출구(공급구) 순서로 구성된 종래 오일교환장치의 밀폐된 배관라인의 배출배관 라인상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투명관(8)(30)(31)(32)을 추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53) 외측의 전면에는 여닫이 문, 투시창(54), 제어패널부(55)를 형성하고, 케이스(53)내측의 전면에 다수의 투명관(8)(30)(31)(32)을 내설하고,
    회수펌프(4)의 흡입구에는 필터(3), 흡입호스(2), 흡입측니플(1)을 연결하며,
    회수펌프(4)의 토출구에는 필터(5), 온도센서(6)가 착설된 토출관(7)을 연결하여 투명관(8)상단에 고정하고,
    투명관(8) 하단에는 3방향 전자밸브(9), 전자밸브(10), 유량센서(11), 배출펌프(12)를 착설하고 배출관(13)를 통하여 저장통(14)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2단계 저장구조를 구비한 회수부를 완성하고,
    그리고 폐유라인의 3방향 전자밸브(9)와 신유라인의 3방향 전자밸브(38)를 서로 통하는 바이패스관(15)를 형성하며,
    공급펌프(24)의 흡입구에는 필터(23), 흡입분배관(22)을 삽착하고 각 분배구에는 전자밸브(19)(20)(21)를 착설하고 배관을 통하여 각 저장통(16)(17)(18)으로 연결하며,
    공급펌프(24)의 토출구에는 필터(25), 토출분배관(26)을 삽착하고 각 분배구에는 전자밸브(27)(28)(29)가 착설된 토출관을 각 투명관(30)(31)(32)상단에 고정하고,
    각 투명관의 하단에는 전자밸브(33)(34)(35)가 착설된 튜브관의 끝단을 일방향으로 합류한 공급관(36)에는 유량센서(37), 3방향 전자밸브(38), 제2공급펌프(39), 체크밸브(40), 압력센서(41)를 삽착하고
    이에, 공급호스(42), 공급측니플(43)을 연결하여 구성된 2단계 저장구조를 구비한 공급부를 완성하고,
    상기 완성된 회수부와 공급부에 회전브러쉬(도2), 유로전환장치(도6), 자가 공급(배출)장치(도7)를 구비하며,
    상기 구성을 일체로 제어하는 제어패널부(55)에는 메인제어부(56)에서 컴퓨터입력 또는 수동조작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데이터 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8), 상기 디스플레이부(58)에서 출력된 설정값을 동작하는 구동제어부(57), 상기 구동제어부(57)에는 회수버튼, 공급버튼, 동시버튼, 순환버튼을 구분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2단계 저장방식의 오일교환장치 및 제어방법.
KR1020040045791A 2004-06-18 2004-06-18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2단계 저장방식의 오일교환장치 및제어방법 KR20050120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791A KR20050120447A (ko) 2004-06-18 2004-06-18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2단계 저장방식의 오일교환장치 및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791A KR20050120447A (ko) 2004-06-18 2004-06-18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2단계 저장방식의 오일교환장치 및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447A true KR20050120447A (ko) 2005-12-22

Family

ID=3729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791A KR20050120447A (ko) 2004-06-18 2004-06-18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2단계 저장방식의 오일교환장치 및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04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41B1 (ko) * 2012-11-07 2014-03-10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차량의 브레이크액 교환장치
KR101389357B1 (ko) * 2012-10-31 2014-04-29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차량의 브레이크액 측정 및 교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357B1 (ko) * 2012-10-31 2014-04-29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차량의 브레이크액 측정 및 교환장치
KR101370541B1 (ko) * 2012-11-07 2014-03-10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차량의 브레이크액 교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0144C (en) Apparatus for flushing, replacing fluid and bleeding hydraulic systems
EP2218913A2 (en) Pump head assembly and pressure washer having such pump head assembly
CN1310980A (zh) 处理各种体液的方法和设备
US20130287593A1 (en) Transmission fluid exchange machine
US9410279B2 (en) Washing machine with water storage tank
CN212329147U (zh) 一种内窥镜的管道灌流清洗装置
CN112220416B (zh) 供液系统、供液系统的控制方法以及清洁机器人
KR20050120447A (ko)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2단계 저장방식의 오일교환장치 및제어방법
US7213619B2 (en) Methods for replacing engine system cooling fluids with a continuous flow
CN212321236U (zh) 一种革兰氏细菌染色仪
JPH0710193A (ja) エンジンオイル回収装置
CN210923620U (zh) 水处理剂溶液的采集滴漏装置
CN100534646C (zh) 密封式自动清洗机
CN203540359U (zh) 洗车机用水剂的自动混合装置
CN114252321A (zh) 医学实验染色方法
US20030188771A1 (en) Radiator cleaning device
CN201561874U (zh) 一种流体在线取样检测设备
CN217907659U (zh) 自动上下水结构、清洁机用基站及清洁组件
CN108981237A (zh) 一种汽车冷却系统冷却液交换机
CN208671422U (zh) 一种汽车冷却系统冷却液交换机
KR200353823Y1 (ko) 오일 자동판매 시스템
KR200171411Y1 (ko) 오토미션의 크리닝 겸용 오일 교환장치
CN214600822U (zh) 清洗换液设备
CN108940995A (zh) 一种自动化火花塞
CN214505738U (zh) 一种蓄电池补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