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974A -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 Google Patents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974A
KR20050119974A KR1020040045137A KR20040045137A KR20050119974A KR 20050119974 A KR20050119974 A KR 20050119974A KR 1020040045137 A KR1020040045137 A KR 1020040045137A KR 20040045137 A KR20040045137 A KR 20040045137A KR 20050119974 A KR20050119974 A KR 2005011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ck
needle
binding
fishing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583B1 (ko
Inventor
성낙조
성효경
Original Assignee
성낙조
성효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조, 성효경 filed Critical 성낙조
Priority to KR102004004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58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꾼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중량의 추를 직접 부착시킬 수 있는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에 관한 것으로,
낚시바늘의 목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철선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낚시바늘 목부 양측을 감싸줄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목부를 감싸면서 그 절곡된 상단은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게 목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각 낚시바늘들과 한묶음 상태로 조립되는 낚시줄 결속고리와; 상기 낚시줄 결속고리의 대향측에 위치하면서 두개의 낚시바늘 목부 사이의 틈새 전체에 밀착됨과 동시에 추를 낚시바늘들의 목부 하측에서 밀착되게 매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낚시바늘의 하측으로 길게 늘어진 길이를 가지는 추결속줄과; 상기 각 낚시바늘 목부의 상단 일부만 노출되게 하는 위치에서부터 목부의 하단과 바늘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까지 긴 길이를 가지면서 각 낚시바늘의 목부 전체를 감싸준 상태에서 결속관체에 의하여 각 낚시바늘들의 목부를 회전가능하게 압착하는 내측 결속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Fish hook}
본 발명은 수개의 낚시바늘들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조립되어 낚시를 하지 않을시에는 낚시바늘들을 한쪽으로 모아서 부피를 최소화시켜 안전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낚시할 때에는 각 낚시바늘들이 등각도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낚시꾼이 자신의 낚시취향이나 낚시하는 장소의 기후조건(바람의 세기 등)에 알맞는 중량의 추를 선택하여 낚시바늘 밑에 정확하게 매달아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개선된 구조를 갖는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치기 낚시는 낚시줄 끝부분에 수개의 낚시바늘이 한 묶음으로 구성된 훌치기 낚시바늘을 일정간격으로 두세개 정도 매어달은 상태에서 낚시줄을 강물에 던지거나 또는 낚시꾼이 배를 타고 나가서 강물속에 낚시바늘들이 적당한 수심까지 가라앉도록 한 상태에서 낚시줄을 잡아채는 방법으로 물고기를 낚는 것이며, 이러한 훌치기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바늘은 통상 3∼5개(바람직하게는 3개)가 한 묶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훌치기 낚시바늘은 그 일례를 도시한 도 8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수개의 낚시바늘들의 뾰족한 첨단부분(101)은 등각도상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게 하고 각 목부(102)들은 서로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납땜(103)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서 훌치기 낚시바늘(100)을 만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훌치기 낚시바늘(100)은 각 낚시바늘들의 뾰족한 첨단부분(101)이 등각도상으로 펼쳐져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 취급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될 뿐 아니라 사방으로 펼쳐진 첨단부분(101)들이 함께 보관된 다른 낚시바늘이나 낚시줄 및 기타 낚시도구들과 엉키게 되는 폐단이 있게 되며, 또한 엉킨 낚시바늘을 풀어줄 때 또는 낚시하기 위해 낚시도구를 챙길 때 등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하여 낚시바늘의 첨단부분(101)에 찔리게 되는 폐단이 다반사하게 발생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훌치기 낚시는 그 낚시방법의 특성상 한 장소에 머무르지 않고 장소를 자주 이동하면서 낚시를 하기 때문에 낚시를 하는 도중 낚시바늘이 수중에 있는 나무가지나 돌덩이 등과 같은 장애물에 걸리게 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장애물에 걸린 낚시바늘을 빼내기 위해 낚시줄을 세게 당기는 과정에서 낚시바늘의 뾰족한 첨단부분(101)이 무디어지는 현상이나 뻐드러지는 현상(일정각도로 굴곡되게 형성된 첨단부분이 곧게 펴지는 것을 말함)이 발생되거나 또는 낚시바늘 자체가 부러지는 현상 또는 낚시줄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새로운 낚시바늘로 교체하여 낚시를 해야 하는데, 종래의 훌치기 낚시바늘(100)은 붕어나 잉어 등을 잡는 대낚시나 릴낚시에 사용되는 낚시바늘보다 훨씬 큰 규격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수개의 낚시바늘이 방사상으로 펼쳐진 채 묶음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매우 크고 특히 뾰족한 첨단부분이 등각도상으로 펼쳐져 있는 상태이므로 훌치기 낚시바늘(100) 자체를 낚시꾼의 주머니 등에 휴대하기가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낚시도구는 한 곳에 놓아두고 이리저리 장소를 이동하면서 낚시하는 도중에 낚시바늘이 장애물에 걸려서 회수하지 못하고 낚시줄이 끊어졌을 때 그 장소에서 훌치기 낚시바늘을 갈아줄 수 없고 낚시도구가 놓여있는 장소로 되돌아 가서 낚시바늘을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또 종래의 훌치기 낚시바늘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수개의 낚시바늘이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훌치기 낚시바늘을 휴대할 수 없다는 점과 낚시줄에 매달아 줄 때 첨단부분에 의해 다치는 사례가 자주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 사용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 236844호 및 특허출원 제2002-34079호로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236844호의 회전식 접이 훌치기 낚시바늘은 한 묶음으로 된 수개의 낚시바늘을 방사상으로 펼쳐줄 수 있고 특히 수개의 낚시바늘들을 한쪽으로 모아지도록 접어줄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에는 탁월한 장점을 나타내고 있지만 낚시바늘들을 방사상으로 펼쳐서 낚시를 할 때 펼쳐진 낚시바늘들을 물속에 투입하고 낚시줄을 당겨 줄 때 수압에 의해 낚시바늘이 회전되거나 또는 물속의 장애물 예를 들면, 나무가지나 돌멩이 등과 접촉될 때 회전하게 되는 현상(한쪽으로 접히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훌치기 낚시 도중 낚시바늘이 등각도상으로 펼쳐진 상태 그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펼쳐진 각도가 변경되어 한쪽으로 모여지게 될 경우에는 훌치기 낚시의 어획량이 크게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한 특허출원 제2002-34079호의 훌치기 낚시바늘은 제조 당시 낚시바늘 밑에 추가 미리 부착되어 있고, 또 그 추가 3개의 낚시바늘의 바로 밑에 달라붙지 아니한 상태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낚시꾼의 취향과 낚시장소의 기상조건(바람의 세기 등)에 부응할 수 없다는 것이 보완해야 할 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통상 훌치기 낚시는 강수심이 깊고 또 물고기들이 몰려있는 포인트지점에 낚시바늘을 투척해야만 낚시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데, 상기한 출원발명은 추가 3개의 낚시바늘 바로 밑에 밀착된 상태로 있지 않고 낚시바늘 밑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바늘을 투척할 때 낚시바늘의 무게 중심과 추위 무게 중심이 일치되지 않고 이원화된 상태가 되어 낚시바늘을 던졌을 때 낚시바늘과 추 상호간의 간섭으로 인해 멀리 날아가지 않게 되므로서 낚시꾼이 낚시바늘을 멀리 던지는데 다소 어려움이 뒤따르게 될 뿐 아니라 던지고자 하는 포인트 위치에 정확하게 던지는 데에도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낚시바늘 밑에 매달린 추의 중량은 낚시바늘을 멀리 그리고 원하는 포인트 위치로 던질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추가 가벼울 때에는 낚시바늘을 던지는데 힘이 덜 들게 되고 낚시바늘을 가까운 포인트에 던지기에는 좋은 반면에, 멀리 던지기에는 어렵고 또 바람이 불 때에는 바람의 영향으로 멀리 나가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투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날아가지 않고 바람부는 방향으로 날아가게 되어 목표지점을 벗어난 엉뚱한 지점에 떨어지는 사례가 발생될 수 있지만, 추가 무거울 때에는 던질 때 다소 힘이 들지만 낚시바늘을 멀리 던질 수 있고, 또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낚시꾼은 자신이 원하는 포인트 위치를 향해 낚시바늘을 던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훌치기 낚시의 경우에는 추의 부착위치 및 중량조절은 낚시의 성과에 크게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대부분의 낚시꾼들은 낚시바늘의 구조 및 추의 중량과 부착위치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훌치기 낚시바늘을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있어 낚시꾼 스스로 자신의 낚시취향과 낚시장소의 기상조건에 따라 추의 중량을 가벼운 것에서부터 무거운 것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중량의 추를 직접 선택하여 매달아 줄 수 있으며, 또한 추를 낚시바늘의 바로 밑에 달아줌에 있어서도 추의 무게중심을 낚시바늘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낚시바늘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낚시바늘에 추를 미리 매달아줌에 있어 그 추가 낚시바늘의 바로 밑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조 추를 선택적으로 달아줄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낚시바늘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개의 낚시바늘들 각각의 목부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속관체로 압착하여 묶어주는 구성으로 되는 훌치기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의 목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철선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낚시바늘 목부 양측을 감싸줄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목부를 감싸면서 그 절곡된 상단은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게 목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각 낚시바늘들과 한묶음 상태로 조립되는 낚시줄 결속고리와;
상기 낚시줄 결속고리의 대향측에 위치하면서 두개의 낚시바늘 목부 사이의 틈새 전체에 밀착됨과 동시에 추를 낚시바늘들의 목부 하측에서 밀착되게 매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낚시바늘의 하측으로 길게 늘어진 길이를 가지는 추결속줄과;
상기 각 낚시바늘 목부의 상단 일부만 노출되게 하는 위치에서부터 목부의 하단과 바늘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까지 긴 길이를 가지면서 각 낚시바늘의 목부 전체를 감싸준 상태에서 상기 결속관체에 의하여 각 낚시바늘들의 목부를 회전가능하게 압착하는 내측 결속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관체는 낚시바늘의 목부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폭씩 감쌀 수 있도록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내측 결속관을 상,하 복수단으로 압착하되, 복수개의 결속관체 중 최하단측 결속관체는 각 낚시바늘의 목부와 바늘부를 잇는 연장부를 감싸고 있는 내측 결속관의 하단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내측 결속관은 각 결속관체의 압착력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압착되면서 각 낚시바늘들을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고무재, 플라스틱재, 섬유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결속관체는 각 낚시바늘의 목부 전체를 감싸고 있는 내측 결속관을 압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금속재, 플라스틱재, 고무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개의 낚시바늘들 각각의 목부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속관체로 압착하여 묶어주는 구성으로 되는 훌치기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의 목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철선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낚시바늘 목부 양측을 감싸줄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목부를 감싸면서 그 절곡된 상단은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게 목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각 낚시바늘들과 한묶음 상태로 조립되는 낚시줄 결속고리와;
상기 낚시바늘 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가는 철선으로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낚시줄 결속고리의 대향측에 위치하면서 두개의 낚시바늘 목부 사이의 틈새 전체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각 낚시바늘의 바늘부보다 하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추결속선과;
상기 추결속선의 하단부에는 보조추를 연결시키기 위한 추연결고리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각 낚시바늘들의 바늘부 저부측에 미리 고정 설치되는 고정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각 구성요소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도이며,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를 조립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의 (A)(B)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바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상태 측면도이며,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비사용시 측면도 및 사용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훌치기 낚시바늘을 접어서 비닐봉지에 수보관 및 휴대하기 위한 수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훌치기 낚시바늘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훌치기 낚시바늘(1)은 수개의 낚시바늘(2)로 구성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낚시바늘(2)로서 상기 훌치기 낚시바늘(1)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각 낚시바늘(2)들은 상단(21a)과 하단(21b)이 직선상으로 길게 형성된 목부(21)와 뾰족한 첨단과 미늘이 형성된 바늘부(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한 목부(21)의 하단(21b)에서 연장되는 바늘부(22)의 연결부(22a)는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바늘부(22)의 뾰족한 첨단(22b)에는 미늘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낚시바늘(2)은 서로의 목부(21)들이 삼각형상의 단면을 이루도록 밀착된 상태에서 낚시줄 결속고리(3)와 추결속줄(4)이 한묶음으로 결속된 상태에서 내측 결속관(5)에 의하여 구속되며, 이어서 내측 결속관(5)의 외주를 복수개의 결속관체(6)로 상,하 복수단으로 압착시켜주는 구조로서 훌치기 낚시바늘(1)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훌치기 낚시바늘(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이 3개의 낚시바늘(2)들을 강제로 회전시켜서 등각도상으로 펼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고 또 한쪽으로 모아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훌치기 낚시바늘(1)를 제조할 당시에는 추(7)를 부착시키지 않고 낚시꾼으로 하여금 자신의 취향에 알맞는 중량을 가진 것을 선택하여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낚시 장소 및 기상조건에 따라 추(7)를 가벼운 중량에서부터 무거운 중량의 여러개의 추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중량의 추를 선택하여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추(7)를 부착시킬 때 각 낚시바늘(1)을 등각도상으로 펼쳤을 때 추(7)가 바늘부(22) 저부에 인접한 상태에서 낚시바늘(1)의 중심에 일치된 상태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으며, 또한 낚시줄이 꼬이지 않도록 연결시킬 수 있고, 또 각 낚시바늘(2)을 등각도상으로 펼치거나 한쪽으로 모아지게 강제로 회전조작하였을 때 각 낚시바늘(2)들이 조작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한 구성 및 조립과정을 도 1의 도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도시는 훌치기 낚시바늘(1)의 각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 구성요소들을 조립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낚시바늘(2)은 3개가 한묶음으로 조립되는데, 각 낚시바늘들의 목부(21)들은 서로 밀착된 상태이고, 각 바늘부(22)들은 한쪽으로 모아진 상태에서 다른 각 구성요소들과 조립된다.
상기 낚시줄 결속고리(3)는 낚시바늘(2)의 목부(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가는 철선을 ∩자형으로 절곡되는데, ∩자형으로 절곡된 간격은 낚시바늘(2)의 목부(21) 직경과 같은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낚시줄 결속고리(3)가 3개의 낚시바늘(2)들 중 어느 하나의 목부(21)만을 감싼 상태로 3개의 낚시바늘(2)들의 목부(21)들과 한묶음으로 결속되는데, 이때 상기 낚시줄 결속고리(3)의 절곡된 상단(31)은 목부(21)의 상단(21a)보다 높게 돌출된 상태이고, 하단(32)은 목부(21)의 하단(21b)까지 연장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낚시줄 결속고리(3)는 절곡된 상단(31)에 낚시줄이 직접 연결되는 도래(33)를 미리 결합시킨 상태에서 3개의 낚시바늘(2)의 목부(21)에 한묶음으로 결속되는 것이며, 도래(33)는 연결된 낚시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추결속줄(4)은 낚시줄보다 굵은 나일론줄된 것으로서, 낚시바늘(2)의 길이보다 훨씬 긴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그 상단은 낚시줄 결속고리(3)의 대향측에서 두개의 목부(21)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밀착된 상태로 결속되고, 그 하단은 바늘부(22)보다 더 길게 하향으로 늘어진 상태로 결속된다. 이와 같이 추결속줄(4)을 바늘부(22)보다 훨씬 길게 늘어뜨린 이유는 낚시꾼이 자신의 낚시취향 또는 기상 조건에 알맞는 중량을 갖는 추(7)를 스스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내측 결속관(5)은 3개의 낚시바늘(2)의 각 목부(21)와 낚시줄 결속고리(3) 및 추결속줄(4)들이 한묶음으로 결속된 것을 감싸주는 상태로 구속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결속관(5)의 상단(51)은 각 목부(21) 상단(21a)과 추결속줄(4) 상단 각각의 일부분과 낚시줄 결속고리(3)의 절곡된 상단(31)은 노출시키는 상태이고, 하단(52)은 낚시바늘(2) 목부(21)의 하단(21b)과 바늘부(22)를 이어주는 연결부(22a)까지 연장된 긴 길이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바로 내측 결속관(5)의 하단(52)이 목부(21)와 바늘부(22) 사이에 완만한 곡선상으로 형성된 연결부(22a)까지 감싼 상태로 구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결속관(5)은 각 낚시바늘(2)의 목부를 압착하는 상태로 조립되었을시 각 낚시바늘(2)들을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고, 또 강제로 회전시킨 후에는 그 상태 그대로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내측 결속관(5)은 한묶음으로 결속된 낚시바늘들의 각 목부(21)를 탄력적으로 압착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내측 결속관(5)을 탄력적으로 압착될 수 있는 재질로서 고무재, 플라스틱재, 섬유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결속관체(6)는 상기에서 낚시바늘의 각 목부(21)들과 낚시줄 결속고리(3) 및 추결속줄(4)을 한묶음으로 감싼 상태로 구속하는 내측 결속관(5)의 외주를 압착하여 내측 결속관(5)이 탄력적으로 압착되면서 각 목부(21)와 낚시줄 결속고리(3) 및 추결속줄(4)을 함께 압착 구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관체(6)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내측 결속관(5)의 외주를 상,하 복수단으로 구분하여 압착하게 되는데, 이렇게 결속관체(6)를 복수개로 분할하여 압착하게 되면 낚시바늘(2)들의 목부(21)가 휘어진 상태로 결속되었을 경우에도 강제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왜냐하면, 낚시바늘(2)들은 제조기계에서 제조된 후 운반 및 조립 등의 취급시 목부(21)가 육안으로는 쉽게 식별하기 곤란한 정도로 완만하게 휘어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이렇게 목부가 휘어진 낚시바늘을 복수개로 분할된 결속관체(6)를 사용하여 결속하게 되면 각 낚시바늘(2)들을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지만, 만약 목부(21)와 같은 길이를 갖는 하나의 결속관체로 결속하게 될 경우에는 목부가 휘어진 낚시바늘은 회전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다른 낚시바늘들도 회전작옹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관체(6)는 두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낚시바늘(2)의 목부(21)를 복수단으로 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낚시바늘의 목부(21)를 감싸고 있는 내측 결속관(5)을 복수개의 결속관체(6)로 결속시킴에 있어 목부(21)의 최하단측을 결속하게 되는 최하단측 결속관체(6a)는 직선상으로 된 목부(21)의 하단(21b)까지 결속되게 하고, 그 하단(21b)에서 이어지는 연결부(22a)까지 연장되어 있는 내측 결속관(5)의 하단(52)이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결속한다.
상기에서 최하단측 결속관체(6a)가 내측 결속관(5)의 하단(52)이 노출되게 한 이유는, 상기한 하단(52)이 감싸고 잇는 연결부(22a)는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하단측 결속관체(6a)를 곡선으로 휘어진 연결부(22a)를 압착 결속하게 되면 각 낚시바늘(2)을 회전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 결속관(5)의 하단(52)을 곡선으로 휘어진 연결부(22a)까지 연장시킨 이유는, 추결속줄(4)의 하단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중량의 추(7)를 끼워준 상태에서 그 추(7)가 내측 결속관의 하단(52)에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추(7)의 하단에 매듭이 형성되도록 추결속줄(4)를 묶어주면 추(7)는 자연스럽게 바늘부(22)의 연결부(22a) 바로 밑에 위치하게 되어 각 낚시바늘(2)들을 등각도상으로 펼쳤을 때 추(7)가 바늘부(22)들 각각에 밀착됨과 동시에 낚시바늘(2)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추(7)가 등각도로 펼쳐진 낚시바늘(2)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면 훌치기 낚시바늘(1)을 멀리 던지는 것과 원하는 곳으로 던지기는 것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 결속관(5)은 그 외주를 결속관체(6)로 압착하여 결속시켰을 때 각 낚시바늘(2)들을 탄력적으로 압착할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각 낚시바늘(2)들을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결속관체(6)로 결속시켰을 때 탄력적으로 압착될 수 있는 고무재, 플라스틱재, 섬유재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내측 결속관(5)을 형성하게 되는데, 내측 결속관(5)이 고무재 및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경우에는 그 외주를 결속관체(6)로 압착하여 결속시켰을 때 탄력적으로 압착되면서 낚시바늘(2)들의 목부(21)를 포함하여 낚시줄 결속고리(3) 및 추결속줄(4)을 강하게 압착하게 됨과 동시 각 낚시바늘(2)들을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면서 일단 낚시바늘(2)을 회전시킨 후에는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내측 결속관(5)을 섬유재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섬유재 자체는 고무재 및 플라스틱재에 비하여 탄력은 미흡하기 때문에 섬유재로 된 내측 결속관(5)은 고무재 및 플라스틱재로 된 것보다 낚시바늘의 회전조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또 섬유재는 물속에서 물을 흡수하여 팽창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낚시바늘을 강물에 던졌을 때 섬유재질로 된 내측 결속관(5)이 물을 흡수하여 팽창되면서 낚시바늘을 견고하고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음, 상기 결속관체(6)는 내측 결속관(5)를 강하게 압착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결속관체(6)는 금속재, 플라스틱재, 고무재 중에서 선택하는데, 금속재의 경우에는 낚시바늘의 목부(21)를 감싸고 있는 내측 결속관(5)의 외주를 감싸도록 끼워준 상태에서 그 외주를 가압하여 압착하게 되면 결속관체(6)가 내측 결속관(5)을 압착하게 되며, 플라스틱재 및 고무재의 경우에는 낚시바늘의 목부를 감싸도록 가조립된 내측 결속관(5)을 사출금형 및 프레스금형에 삽입하여 성형하게 되면 플라스틱재 및 고무재로 된 결속관체(6)가 내측 결속관(5)을 압착하는 상태로 성형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추결속줄(4) 대신에 철선으로 된 추결속선(8)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결속선(8)의 상단부분은 내측 결속관(5)의 상단(51)까지 삽입된 상태이고, 하단부분은 바늘부(22)보다 하향으로 길게 돌출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추결속선(8)은 내측결속관(5)의 하단에서 길게 노출되게 돌출되는 하단부분에 미리 고정추(7a)를 끼워준 상태에서 각 낚시바늘(2)들의 목부(21)와 한묶음으로 결속되는 것이며(도 6의 (A) 참조), 이와 같이 추결속선(8)에 미리 조립되는 고정추(7a)는 훌치기 낚시바늘(1)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중량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추(7a)는 각 낚시바늘(2)의 바늘부(22)에 밀착된 상태로서 낚시바늘(2)과 고정추(7a)의 무게 중심이 일치된 상태이다. 또 추결속선(8)의 하단에는 고정추(7a)가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 보조추(7b)를 추가적으로 매달아 줄 수 있는 고리(8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고리(81)에는 낚시꾼이 훌치기 낚시바늘(1)을 사용함에 있어 고정추(7a)의 중량이 가볍다고 느낄 경우 별도의 보조추(7b)를 추가적으로 매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6의 (B)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훌치기 낚시바늘(1)은 각 낚시바늘(2)들을 한쪽으로 모아지 접어줄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비닐봉지(9) 등에 수납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으므로 낚시꾼은 훌치기 낚시를 할 때 여러 개의 훌치기 낚시바늘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낚시를 하는 도중에 낚시바늘이 물속의 장애물에 걸려 회수하지 못하게 될 때에는 낚시줄을 끊어내고 휴대하던 훌치기 낚시바늘을 다시 매달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 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의 도시는 낚시꾼이 자신의 낚시취향 또는 낚시장소의 기상조건 등에 따라 추(7)의 중량을 선택하여 스스로 매달아 줄 수 있는 훌치기 낚시바늘(1)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훌치기 낚시바늘(1)에는 추(9)는 부착되어 있지 않고 3개의 낚시바늘(2)이 결속된 상태로 제조되어 있다.
따라서 낚시꾼이 낚시를 하고자 할 때에는 자신의 낚시취향 및 낚시장소의 강폭이나 기상조건에 따라 알맞는 중량을 갖는 추(7)를 각 낚시바늘(2)의 바늘부(22) 밑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 추결속줄(4)에 추(7)를 직접 매달아 부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낚시꾼은 추결속줄(4)을 추(7)에 뚫어져 있는 구멍으로 끼워주되, 추(7)의 상단이 내측 결속관(5)의 하단(52)에 걸리도록 끼워준 상태에서 추(7)의 하단에서 매듭이 형성되도록 추결속줄(4)을 묶어주게 되면 추(7)는 한쪽으로 모아진 바늘부(22)의 저부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도 3의 (A) 참조)
상기와 같이 부착된 추(7)는 각 낚시바늘(2)들을 등각도상으로 펼쳐주게 되면 각 바늘부(22)의 저부에 위치하여 훌치기 낚시바늘(1)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는 것이며(도 3의 (B) 참조), 따라서 추(7)가 훌치기 낚시바늘(1)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므로서 훌치기 낚시바늘을 던질 때 낚시바늘(2)과 추(7)의 중심이 일원화되어 멀리 던질 수 있게 되며, 또한 추(7)의 중량은 낚시꾼이 낚시하고자 하는 강폭과 수심 및 기상조건에 맞추어 선택하였으므로 낚시꾼은 훌치기 낚시바늘을 고기를 잘 잡을 수 있는 포인트 위치를 향해 정확하게 던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6의 (A)(B)에 도시된 실시예는 3개의 낚시바늘(2)과 한묶음으로 결속된 추결속선(8)의 하부에 미리 고정추(7a)가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한 고정추는 훌치기 낚시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중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훌치기 낚시를 하는 낚시꾼은 통상적으로 기본적인 중량을 갖는 추(7a)가 부착된 훌치기 낚시바늘(1)을 사용하다가 낚시바늘이 원하는 목표지점까지 멀리 나가지 않게 되거나 또는 낚시바늘이 바람의 영향을 받게 될 때에는 고정추(7a) 밑에 형성된 고리(81)에 보조추(7b)를 매달아주게 되면 낚시바늘(2)의 중량을 무겁게 할 수 있게 되어 낚시꾼은 훌치기 낚시바늘(1)을 원하는 목표지점을 향해 멀리 던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원하는 포인트 위치로 정확하게 던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훌치기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바늘들을 방사상으로 펼쳐주거나 또는 한쪽으로 모아줄 수 있으므로 낚시를 하지 않을시에는 각 낚시바늘을 한쪽으로 모아지게 하여 부피를 최소화시켜 비닐봉지 등에 수납하여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으며, 추결속줄로 형성된 훌치기 낚시바늘의 경우에는 추가 달려 있지 않고 낚시꾼이 낚시장소의 강폭과 수심 및 기상조건에 알맞는 중량을 갖는 추를 직접 선택하여 매달아줄 수 있고, 또 추의 무게중심을 낚시바늘의 무게중심에 일치되게 매달 수 있으므로 낚시를 멀리 던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포인트 위치에 정확하게 던질 수 있게 하므로서 낚시의 재미를 즐길 수 있으면서 어획성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며, 또한 낚시바늘에 기본적인 중량을 갖는 추가 미리 부착된 훌치기 낚시바늘의 경우에는 낚시꾼 스스로 자신의 취향 및 낚시장소에 따른 강폭과 기상조건 등에 따라 추가적으로 보조추를 달아주게 되면 포인트 위치가 멀리 있을 때에도 훌치기 낚시바늘을 그 포인트 위치까지 던질 수 있게 되므로서 훌치기 낚시를 재미를 더 할 수 있는 등 낚시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각 구성요소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를 조립한 상태의 측면도.
도 3의 (A)(B)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훌치기 낚시바늘을 사용하기 위하여 펼친 상태 및 비사용시 낚시바늘을 모아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비사용시 측면도 및 사용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훌치기 낚시바늘을 접어서 비닐봉지에 수보관 및 휴대하기 위한 수납상태도.
도 8은 종래 기술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훌치기 낚시바늘 2 : 낚시바늘
3 : 낚시줄 결속고리 4 : 추결속줄
5 : 내측 결속관 6,6a : 결속관체
7 : 추 7a : 고정추
7b : 보조추 8 : 추결속선

Claims (5)

  1. 수개의 낚시바늘들 각각의 목부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속관체로 압착하여 묶어주는 구성으로 되는 훌치기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의 목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철선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낚시바늘 목부 양측을 감싸줄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목부를 감싸면서 그 절곡된 상단은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게 목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각 낚시바늘들과 한묶음 상태로 조립되는 낚시줄 결속고리와;
    상기 낚시줄 결속고리의 대향측에 위치하면서 두개의 낚시바늘 목부 사이의 틈새 전체에 밀착됨과 동시에 추를 낚시바늘들의 목부 하측에서 밀착되게 매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낚시바늘의 하측으로 길게 늘어진 길이를 가지는 추결속줄과;
    상기 각 낚시바늘 목부의 상단 일부만 노출되게 하는 위치에서부터 목부의 하단과 바늘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까지 긴 길이를 가지면서 각 낚시바늘의 목부 전체를 감싸준 상태에서 상기 결속관체에 의하여 각 낚시바늘들의 목부를 회전가능하게 압착하는 내측 결속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관체는 낚시바늘의 목부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폭씩 감쌀 수 있도록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내측 결속관을 상,하 복수단으로 압착하되, 복수개의 결속관체 중 최하단측 결속관체는 각 낚시바늘의 목부와 바늘부를 잇는 연장부를 감싸고 있는 내측 결속관의 하단을 노출시킨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결속관은 각 결속관체의 압착력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압착되면서 각 낚시바늘들을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고무재, 플라스틱재, 섬유재 중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관체는 각 낚시바늘의 목부 전체를 감싸고 있는 내측 결속관을 압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금속재, 플라스틱재, 고무재 중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5. 수개의 낚시바늘들 각각의 목부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속관체로 압착하여 묶어주는 구성으로 되는 훌치기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의 목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철선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낚시바늘 목부 양측을 감싸줄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목부를 감싸면서 그 절곡된 상단은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게 목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각 낚시바늘들과 한묶음 상태로 조립되는 낚시줄 결속고리와;
    상기 낚시바늘 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가는 철선으로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낚시줄 결속고리의 대향측에 위치하면서 두개의 낚시바늘 목부 사이의 틈새 전체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각 낚시바늘의 바늘부보다 하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 채 각 낚시바늘과 한묶음 상태로 조립되는 추결속선과;
    상기 추결속선의 하단부에는 보조추를 연결시키는 추연결고리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각 낚시바늘들의 바늘부 저부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추;를 포함하며,
    상기 각 낚시바늘과 낚시줄 결속고리 및 추결속선들이 한묶음으로 모아진 것을 내측 결속관이 감싸도록 한 다음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결속관체으로 각 낚시바늘들이 강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결속관을 상,하 복수단으로 압착하는 구조로서 각 낚시바늘들을 강제로 펼쳐서 고정시키거나 한곳으로 모아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KR1020040045137A 2004-06-17 2004-06-17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KR100555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137A KR100555583B1 (ko) 2004-06-17 2004-06-17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137A KR100555583B1 (ko) 2004-06-17 2004-06-17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974A true KR20050119974A (ko) 2005-12-22
KR100555583B1 KR100555583B1 (ko) 2006-03-03

Family

ID=3729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137A KR100555583B1 (ko) 2004-06-17 2004-06-17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676B1 (ko) * 2022-10-24 2024-01-08 함성국 지그 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351B1 (ko) 2013-02-19 2013-05-16 민선자 훌치기 낚시채비
US20190069531A1 (en) * 2017-09-05 2019-03-07 Andrew Michael Ashmore Dropper hook
KR102163092B1 (ko) 2018-02-08 2020-10-07 김철재 훌치기 낚시채비용 낚싯줄 엉킴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훌치기 낚시채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U (ja) * 1991-06-18 1993-01-08 秀和 工藤 鮎友釣り用錨鉤
JPH0742304Y2 (ja) * 1991-10-17 1995-10-04 株式会社ゴーセン 釣針連結具
KR200236844Y1 (ko) * 2001-03-30 2001-10-26 성낙조 회전식 접이 훌치기 낚시바늘
KR100437579B1 (ko) * 2002-06-18 2004-06-30 성낙조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676B1 (ko) * 2022-10-24 2024-01-08 함성국 지그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583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240B1 (ko) 낚시바늘 집
CN201426264Y (zh) 捕果网
KR100555583B1 (ko)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US20070277424A1 (en) Fish Set Line
US20080271359A1 (en) Fly Fishing Method and Apparatus
GB2501537A (en) Fishing lure with deployable hooks
US4333614A (en) Whip finish knot tying aid
KR200440390Y1 (ko) 참게 포획용 2단 접이식 그물 구조의 낚시 기구
KR200419022Y1 (ko) 참게 포획기구
US5119583A (en) Hookless fly body construction
KR200236844Y1 (ko) 회전식 접이 훌치기 낚시바늘
KR100437579B1 (ko) 회전 접이식 훌치기 낚시바늘
KR200396046Y1 (ko) 안전낚시바늘
KR200440389Y1 (ko) 참게 포획용 2단 접이식 그물 구조의 낚시 기구
KR101348631B1 (ko) 훌치기 낚시바늘의 결속구
CN110301408B (zh) 一种无节线组以及该无节线组的捆绑方法
US20040134119A1 (en) Releasable fishing line sinker assemblag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90090038A1 (en) Lure retrieval systems and method
JP2016077287A (ja) 鳥獣除け用ゴミネット
JP4672810B1 (ja) 海洋生物捕獲篭
US20170290311A1 (en) Fish And Game Device
US6931780B2 (en) Fishing lure recuperator
JP2020178604A (ja) 植物保持用紐及び紐集合体
CN202680309U (zh) 捕昆虫袋
KR200367906Y1 (ko) 수목용 해충포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