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055A -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055A
KR20050118055A KR1020040065998A KR20040065998A KR20050118055A KR 20050118055 A KR20050118055 A KR 20050118055A KR 1020040065998 A KR1020040065998 A KR 1020040065998A KR 20040065998 A KR20040065998 A KR 20040065998A KR 20050118055 A KR20050118055 A KR 2005011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soil
constructed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2004008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8070A/ko
Priority to KR1020040089152A priority patent/KR20050118078A/ko
Priority to KR1020050004044A priority patent/KR100660379B1/ko
Priority to PCT/KR2005/000585 priority patent/WO2005116347A1/en
Priority to EP05726877A priority patent/EP1749135A1/en
Priority to US11/134,338 priority patent/US20050265792A1/en
Publication of KR2005011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 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블록보다 좌우의 폭이 큰 대형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신속하게 축조하되, 장비를 사용하여 축조함으로써 작업자의 육체적인 부담을 덜어주고, 블록의 내측에는 토체충진부(60)를 형성하되 이 토체충진부(60)가 옹벽의 전면으로 부분 노출될 수 있도록 블록의 전면(10)좌우측에 후퇴면(12,12')이 형성된 구조를 갖도록 하여 옹벽(W)의 전면에 식생이 가능하며, 지반의 부동침하시 블록의 수평변위에 의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러한 블록을 사용하여 축조된 옹벽의 하층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블록 자체의 하중으로 인한 전단력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시킨 유니트화 된 블록(U)을 층별로 좌우로 엇갈리게 적층함으로써 이 유니트화 된 블록(U)의 겹침효과에 의해 비교적 큰 전단력을 받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옹벽의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 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본 발명은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 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블록보다 좌우의 폭이 큰 대형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신속하게 축조하되, 장비를 사용하여 축조함으로써 작업자의 육체적인 부담을 덜어주고, 블록의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토체충진부를 형성하되 이 토체충진부가 옹벽의 전면으로 일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옹벽의 전면에 식생이 가능한 블록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러한 블록을 사용하여 축조된 옹벽의 하층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블록 자체의 하중으로 인한 전단력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옹벽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볼록조립식 보강토 옹벽에 관한 기술 및 패널형 옹벽, 그리고 블록과 패널을 절충한 방식의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에 관한 기술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한편, 기존의 블록 조립식 보강토 옹벽은 블록 자체가 소형이고 이를 작업자가 하나씩 직접 들어올려 개별적으로 축조하여야 했었으므로 육체적인 피로의 가중으로 인하여 작업의 진척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단기간에 옹벽을 축조하여야 할 경우에는 대대적인 인력이 투입되어야 했었으므로 축조에 소요되는 인건비 부담 및 많은 인력의 동원에 따른 부수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 패널조립식 옹벽은 장비를 사용하여 축조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육체적인 부담이 적고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는 장점은 있으나, 패널의 구조상 식생이 불가능하여 옹벽자체가 주변의 자연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와같은 종래 블록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패널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단점을 해소하고 각각의 장점만을 살릴 수 있도록 비교적 큰 규격의 블록을 수직으로 축조하여서 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기 출원한 바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발명을 더욱 개량 보완한 것으로, 옹벽 하층부에서 블록의 하중으로 인해 받게 되는 전단력으로 인한 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축조된 옹벽 및 이의 축조에 사용되는 식생이 가능한 구조의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기존의 블록보다 좌우의 폭이 큰 대형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신속하게 축조하되 장비를 사용하여 축조함으로써 작업자의 육체적인 부담을 덜어주고, 둘째, 옹벽의 전면을 주변의 자연경관과 조화될 수 있도록 식생이 가능한 블록을 제공하며, 셋째, 지반의 부동침하시 블록의 수평변위에 의한 블록의 우각부 및 중앙부의 파손에 대한 내성을 갖는 블록 구조를 제공하고, 넷째, 이러한 블록을 사용하여 축조된 옹벽의 하층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블록 자체의 하중으로 인한 전단력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섯째, 개별 블록 또는 개별 블록을 2개 이상 상하로 유니트화(일체화)하여 보다 큰 블록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상하로 엇갈리게 수직으로 축조함으로써 다양한 패턴의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 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과; 인접하는 블록간의 요철결합을 위해 각각 대응되는 요철결합부가 형성되는 좌,우측면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과 대응되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 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이 상하로 관통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측에는 토체충진부가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관통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전면 양측에는 블록의 상,하 교차축조시 상기 토체충진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측후방으로 후퇴면이 형성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토체충진부의 외측에는 블록의 경량화를 위한 관통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은 상하로 축조되는 블록이 직선형은 물론 곡선형으로 축조될 경우에도 연결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블록의 좌우방향으로 장반경을 갖도록 장공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토체충진부는 토체를 충진할 경우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기반을 형성하고, 토체를 충진하지 않은 경우에는 옹벽의 설치장소에 따라 조류나 어류 등의 소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토체충진부의 양측에는 블록이 상,하로 엇갈리게 축조된 후 지반의 부동침하시 블록 중간부분에 전단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엇갈리게 축조된 블록의 양 측면 하부가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외력흡수용 홈을 형성하여 블록의 수평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록의 중간부분이 전단력에 의해 전단되거나 상부의 블록 하부 모서리(우각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옹벽 축조방법은 적어도 2단 이상의 단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연결핀으로 유니트화 하는 단계와; 유니트화 된 블록을 콘크리트 기초 위에 축조하는 1차 축조단계와; 1차 축조된 블록의 후부에 보강토체를 포설하고, 블록에 보강재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토체 위에 깔고 보강토체를 다짐하는 단계와; 1차 축조된 블록의 토체충진부에 흙을 채우고 초목류를 식재(파종 또는 이식)하는 단계와; 적어도 2단 이상의 단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연결핀으로 유니트화 하는 단계와; 1차 축조된 블록 유니트 위에 2차로 유니트화 된 블록을 좌,우로 교차되도록 축조하는 2차 축조단계와; 2차 축조된 블록의 후부에 보강토체를 포설하고, 2차 축조된 블록에 보강재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토체 위에 깔고 보강토체를 다짐하는 단계와; 2차로 축조된 블록의 토체충진부에 흙을 채우고 초본류를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토체충진부에는 옹벽의 설치현장에 따라 토체의 충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옹벽 축조방법에서 상기 1,2차 축조단계에서의 유니트화 된 블록의 높이를 위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축조함으로써 옹벽의 하층부에서 전단력을 받더라도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전,후면부 사시도 평면도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블록은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10)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20)과; 인접하는 블록간의 요철결합을 위해 각각 대응되는 요철결합부(32,32')가 형성되는 좌,우측면(30,30')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40)과; 상기 상면(40)과 대응되는 하면(5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40,50)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P)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h)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측에는 토체충진부(60)가 상면(40)에서부터 하면(50)까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전면(10)양측에는 블록(10)의 상,하 교차축조시 상기 토체충진부(60)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측후방으로 후퇴면(12,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의 토체충진부(60)는 전방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전면(61)과 수직의 양 측면(62,62')및 배면(63)으로 이루어지고, 이 토체충진부(60)의 좌,우 외측에는 블록의 경량화를 위한 관통공(64,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h)은 상하로 엇갈리게 축조되는 블록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체로 블록의 전후 폭 중심부분에 위치하되 블록의 좌우방향을 향하여 장반경을 갖는 장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토체충진부(60)의 좌,우 양측에는 평면에서 볼 때 대체로 직각삼각형태를 이루는 외력흡수용 홈(61a,63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외력흡수용 홈(61a,63a)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이 상,하로 엇갈리게 축조된 후 옹벽이 축조된 지반의 부동침하시 블록간의 교차위치인 블록 중간부분에 상부 블록이 가하는 전단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토체충진부(60)와 관통공(64,64')사이에 형성되는 수직 리브(66)의 상면에는 앵커 삽입홈(44')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블록의 축조시 앵커(90)를 미리 끼운 상태에서 상부에 블록을 축조하면 앵커(90)가 블록 사이에 끼워지고 블록의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보강재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옹벽의 배면(20)중앙의 상부에는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레버 삽입홈이 형성되어 필요시 여기에 레버를 끼워 누르면 상부의 블록이 들려지면서 앵커를 임의의 위치에 끼워 넣거나 또는 이미 끼워져 있는 앵커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블록의 배면(20)양측에는 토체충진부(60)가 블록 후방의 보강토체와 연통되도록 측부 전방으로 후퇴면(22,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후퇴면(22,22')은 전면(10)의 후퇴면(12,12')과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본 발명의 블록을 상부에서 보면 선수와 선미가 좁아지는 전형적인 보트(Boat)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의 전면(10)은 적어도 일부가 자연석 무늬를 갖도록 스플릿(split)절단되어 축조후 완성된 옹벽이 콘크리트 옹벽과 같이 삭막한 느낌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이 유니트화 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블록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을 수직으로 겹쳐서 연결핀(P)으로 일체화가 되도록 한 유니트화 된 블록(U)으로 운반하며, 옹벽의 축조시에도 이를 기중기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한꺼번에 인양하여 축조하면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축조과정은 도 6 내지 도 11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축조완성된 직후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축조완성된 옹벽에 초본류의 식생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축조완성된 옹벽에 목본류의 식생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축조완료 후 식생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옹벽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옹벽 축조과정은 첫째, 적어도 2단 이상의 단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이를 연결핀(P)으로 유니트화 하는 단계; 둘째, 유니트화 된 블록(U)을 한꺼번에 들어 올려 콘크리트 기초(C)위에 축조하는 1차 축조단계; 셋째, 1차 축조된 유니트화 블록(U)의 후부에 보강토체(70)를 포설하고, 11차 축조된 블록(U)에 보강재(80)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토체(70)위에 깔고 보강토체(70)를 다짐하는 단계; 넷째, 1차 축조된 블록(U)의 토체충진부(60)에 흙을 채우고 초목류를 식재(씨앗의 파종 또는 이식)하는 단계; 다섯째, 적어도 2단 이상의 단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연결핀(P)으로 유니트화 하는 단계; 여섯째, 1차 축조된 유니트화 블록(U)위에 2차로 유니트화 된 블록(U)을 좌,우로 교차되도록 축조하는 2차 축조단계; 일곱째, 2차 축조된 블록(U)의 후부에 보강토체(70)를 포설하고, 2차 축조된 블록(U)에 보강재(80)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토체(70)위에 깔고 보강토체(70)를 다짐하는 단계; 여덟째, 2차로 축조된 블록(U)의 토체충진부(60)에 흙을 채우고 초목류를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축조단계 이후의 과정은 옹벽의 축조높이에 따라 상기 2차 축조단계에서부터 동일한 과정을 반복 실시하면 된다.
상기 앵커(90)는 블록을 유니트화 시킬 때 미리 필요한 높이마다 블록에 끼운 상태로 조립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나, 옹벽의 축조시 앵커를 상,하의 블록 사이에 끼움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좌우로 인접하는 유니트화 된 블록(U)사이에는 부직포로 된 배수필터(100)를 블록의 겹친 부위의 후방에 설치하여 뒷채움 흙인 보강토체(70)가 옹벽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고 단지 물만이 옹벽의 전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배수필터(100)를 블록(U)내부의 토체충진부(60)내부로도 그대로 연장설치함으로써 보강토체(70)쪽으로 빗물이 유입된 경우 이 배수필터에 의해 옹벽의 전방으로는 빗물만이 배수되고 토체의 유실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 상기 1,2차 축조단계에서의 유니트화 된 블록(U)의 높이를 위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축조시에는 유니트화 블록을 5개, 2차 축조시에는 4개, 3차 축조시에는 3개와 같은 방법으로 축조하거나, 1,2차 축조시에는 5개, 3,4차 축조시에는 4개와 같은 방법과 같이 축조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각 축조단계에서의 유니트화 된 블록(U)의 높이를 점차적으로 축소시킴으로써 옹벽용 블록 자체가 받게 되는 하중에 대하여 상,하로 엇갈리게 블록이 축조된 경우 받게 되는 전단력에 대하여 옹벽 하단부로 갈수록 블록의 중간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옹벽의 하단부로 갈수록 유니트화 된 블록의 갯수가 많아지므로 블록 자체가 받게 되는 하중에 의한 전단력에 대하여 블록의 겹침갯수가 많아지므로 겹침효과에 의해 옹벽 하부를 이루는 블록의 전단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블록은 상기한 전단력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록 자체가 전단력에 대한 내성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의 상면(40)에 형성된 토체충진부(60)의 좌,우 양측에는 평면에서 볼 때 대체로 직각삼각형태를 이루는 외력흡수용 홈(61a,63a)이 구비되어 있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이 상,하로 엇갈리게 축조된 후 옹벽이 축조된 지반의 부동침하시 수평으로 축조된 블록이 전단력을 받게 될 때, 이 블록이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부동침하를 흡수하게 되는데, 이때 블록 하부의 모서리부분이 하부 블록의 토체충진부(60)와 외력흡수용 홈(61a,63a)쪽으로 들어가면서 블록 모서리부분의 파손이 방지됨과 아울러 하부 블록의 중간부분은 상부로부터 받게 되는 하중이 집중되지 아니하므로 절반으로 전단(쪼개짐)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축조방법에 의하면 옹벽의 상부로 갈수록 유니트화 된 블록(U)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므로 유니트화 된 블록간 교차되는 곳에 전방으로 노출되는 토체삽입부(60)의 갯수도 많아지므로 식생밀도를 높일 수 있어 도로의 내측에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일정한 높이까지는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멀리서는 옹벽 전체가 녹화되어 주변의 자연경관과 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을 본 발명의 축조방법을 사용하여 축조할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화 된 블록(U)의 내측에 형성된 토체충진부(60)는 상하로 길게(또는 깊게)연결되어 있으므로 초목류의 왕성한 뿌리내림이 가능하며 더욱이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이 최소화되어 있으므로 건기(乾期)시에도 초목류가 고사(枯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토체충진부(60)의 흙은 그 하단부에서 후방의 보강토체(70)와도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초목류에의 수분공급과 과잉공급된 빗물의 배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유니트화 된 블록(U)이 3단으로 이루어진 상태로 교차축조한 것 외에는 도 6,7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축조중인 옹벽을 도시한 배면부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망형의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때에는 지오그리드 보강재(80)의 선단을 축조된 블록위에 올린 상태에서 상부에서 환봉 형태로 이루어진 앵커(90)를 앵커삽입홈(44')에 눌러 끼운 후 그 위에 다시 유니트화 된 블록을 쌓으면 간단하게 보강재의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축조중인 옹벽을 도시한 배면부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폭이 비교적 좁은(약 40~50mm내외) 띠형 섬유보강재를 별도의 앵커를 사용하지 않고 블록에 연결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때에는 띠형 섬유보강재(80)를 블록 상면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홈(44)과 앵커 삽입홈(44')을 통해 끼워서 걸어주고 보강재(80)의 양단을 블록의 후방으로 연장하여 보강토체 위에 후방으로 길게 늘어뜨린 후 그 위에 다시 유니트화 된 블록을 쌓으면 된다.
도 17a,b,c는 본 발명에 의해 축조된 옹벽의 상단부 경사면의 계단식 처리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작은 블록을 복수개로 유니트화 시켜 옹벽을 축조함으로써 공기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옹벽 상단부의 경사면을 시공현장의 지형에 맞게 완만한 계단형태로 축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직선형 옹벽의 평면도이고, 도 19a는 외측으로 볼록한 옹벽의 평면도이며, 도 19b는 내측으로 볼록한 옹벽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블록은 그 좌우측에 연결핀 삽입구멍이 좌우방향으로 긴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의 연결핀에 의한 결합이 상호 직선이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의 각도에서는 상호 결합이 가능하므로 현장의 지형에 맞는 곡선형의 옹벽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블록을 사용하여 하천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부분적으로 토체충진부(60)에 토사를 넣어 주면 수면 위에서는 하천주변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수중에서는 상기 토체충진부(60)가 어류를 비롯한 각종 수생식물의 서식처로 사용됨으로써 하천 생태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도 20에서 부호 70'는 자갈 등의 골재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도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블록은 비단 옹벽 뿐만 아니라 그다지 높지 않은 담장을 축조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토체충진부에 토체를 채우고 식생매트를 설치하여 담장의 양면에 초목류가 자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블록보다 좌우의 폭이 큰 대형의 블록을 사용하므로 인력으로 직접 축조하는 대신 장비를 사용하여 축조함으로써 작업자의 육체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고, 블록의 내측에 형성된 토체충진부와 블록의 전면 양측에 형성된 후퇴면에 의해 블록을 상하로 엇갈리게 축조한 경우 토체충진부가 옹벽의 전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여기에 초목류를 식생하면 옹벽의 전면을 녹화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 토체충진부를 비워놓음으로써 무식생옹벽을 구축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축조방법에 의하면 여러 개의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시킨 유니트화 블록을 층별로 좌우로 엇갈리게 적층함으로써 옹벽의 하층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블록 자체의 하중으로 인한 전단력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블록 자체의 형태도 부동침하시 블록의 수평변위를 효과적으로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블록의 우각부 및 중앙부가 전단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후의 하자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옹벽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배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평면도,
도 4a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이 유니트화 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축조완성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축조완성된 옹벽에 초본류의 식생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축조완성된 옹벽에 목본류의 식생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축조완성된 옹벽의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축조완성된 옹벽의 부동침하시의 변형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축조방법을 도시한 축조중인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축조방법으로 축조완성된 옹벽에 식생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15는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축조중인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16은 좁은 폭으로 이루어진 띠형 섬유보강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축조중인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17a, 도 17b, 도 17c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해 축조완성된 옹벽의 상단부 경사면의 계단식 처리상태를 다양하게 도시한 옹벽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해 축조된 직선형 옹벽의 평면도,
도 19a, 도 19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해 축조된 곡선형 옹벽의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블록으로 하천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 12,12' : 후퇴면
20 : 배면 22,22' : 후퇴면
30,30' : 측면 32,32' : 요철결합부
40 : 상면 44 : 보강재 삽입홈
44' : 앵커 삽입홈 50 : 하면
60 : 토체충진부 61 : 전면
61a : 외력흡수용 홈 62,62' : 측면
63 : 배면 63a : 외력흡수용 홈
64,64' : 관통공 66 : 수직 리브
70 : 보강토체 80 : 보강재
90 : 앵커 92 : 앵커 연결핀
100 : 배수필터 C : 콘크리트 기초
h : 연결핀 삽입구멍 P : 연결핀(블록 상하간)
U : 유니트화 된 블록

Claims (10)

  1.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10)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20)과; 인접하는 블록간의 요철결합을 위해 각각 대응되는 요철결합부(32,32')가 형성되는 좌,우측면(30,30')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40)과; 상기 상면(40)과 대응되는 하면(5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40,50)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P)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h)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측에는 토체충진부(60)가 상면(40)에서부터 하면(50)까지 관통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전면(10)양측에는 블록(10)의 상,하 교차축조시 상기 토체충진부(60)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측후방으로 후퇴면(12,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토체충진부(60)는 전방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전면(61)과 수직의 양 측면(62,62')및 배면(63)으로 이루어지고, 이 토체충진부(60)의 외측에는 블록의 경량화를 위한 관통공(64,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체충진부(60)의 좌,우 양측에는 블록이 상,하로 엇갈리게 축조된 후 옹벽이 축조된 지반의 부동침하시 교차위치인 블록 중간부분에 상부 블록이 가하는 전단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블록 하부의 모서리부분이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외력흡수용 홈(61a,6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h)은 블록의 좌우방향으로 장반경을 갖는 장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체충진부(60)와 관통공(64,64')사이에 형성되는 수직 리브(66)의 상면에는 앵커 삽입홈(44')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배면(20)양측에는 토체충진부(60)가 블록 후방의 보강토체와 연통되도록 측부 전방으로 후퇴면(22,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7. 상기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전면(10)은 적어도 일부가 자연석 무늬를 갖도록 스플릿(split)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해 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
  9. 적어도 2단 이상의 단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연결핀으로 유니트화하는 단계;
    유니트화 된 블록을 콘크리트 기초위에 축조하는 1차 축조단계;
    1차 축조된 블록의 후부에 보강토체를 포설하고, 블록에 보강재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토체 위에 깔고 보강토체를 다짐하는 단계;
    1차 축조된 블록의 토체충진부에 흙을 채우고 초목류를 식재하는 단계;
    적어도 2단 이상의 단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연결핀으로 유니트화 하는 단계;
    1차 축조된 블록 유니트 위에 2차로 유니트화된 블록을 좌,우로 교차되도록 축조하는 2차 축조단계;
    2차 축조된 블록의 후부에 보강토체를 포설하고, 2차 축조된 블록에 보강재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토체 위에 깔고 보강토체를 다짐하는 단계;
    2차로 축조된 블록의 토체충진부에 흙을 채우고 초목류를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1,2차 축조단계에서의 유니트화 된 블록의 높이를 위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KR1020040065998A 2004-05-27 2004-08-20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20050118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576A KR20050118070A (ko) 2004-05-27 2004-10-13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20040089152A KR20050118078A (ko) 2004-05-27 2004-11-04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20050004044A KR100660379B1 (ko) 2004-05-27 2005-01-17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PCT/KR2005/000585 WO2005116347A1 (en) 2004-05-27 2005-03-03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EP05726877A EP1749135A1 (en) 2004-05-27 2005-03-03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US11/134,338 US20050265792A1 (en) 2004-05-27 2005-05-23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7835 2004-05-27
KR1020040037835 2004-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055A true KR20050118055A (ko) 2005-12-15

Family

ID=3729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998A KR20050118055A (ko) 2004-05-27 2004-08-20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80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940B1 (ko) * 2008-01-29 2009-02-23 (주)평화엔지니어링 부등의 측방유동량을 흡수할 수 있게 설치된 보강토 옹벽의힌지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CN114969951A (zh) * 2022-07-27 2022-08-30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加筋土结构的数值计算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940B1 (ko) * 2008-01-29 2009-02-23 (주)평화엔지니어링 부등의 측방유동량을 흡수할 수 있게 설치된 보강토 옹벽의힌지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CN114969951A (zh) * 2022-07-27 2022-08-30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加筋土结构的数值计算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4969951B (zh) * 2022-07-27 2022-10-25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加筋土结构的数值计算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US20050265792A1 (en)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CN117926849A (zh) 一种高强度重力式挡土墙的施工方法及应用
CN210104786U (zh) 一种可绿化的路肩挡土构件
KR100654625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CN111305152A (zh) 台阶式三维立体加筋桥台锥坡生态防护的施工方法
KR2009001959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50118070A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50097291A (ko) 옹벽 블록 시공 방법
KR200401232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50118055A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CN212294705U (zh) 一种膨胀土路堑边坡加固结构
KR20050118078A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0431035B1 (ko) 옹벽 축조용 블럭, 이 블럭에 의해 축조된 조립식 보강토옹벽 및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CN1293265C (zh) 挡土块
KR200357964Y1 (ko) 옹벽 블록
KR102666680B1 (ko) 자립형 중력식 옹벽블록
CN212200284U (zh) 行洪河道二级边坡生态防护结构
KR102484636B1 (ko) 옹벽구조
KR200361076Y1 (ko) 축대용 조립식 식생블럭
KR100626325B1 (ko) 콘크리트 블록과 이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