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721A -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721A
KR20050117721A KR1020040042909A KR20040042909A KR20050117721A KR 20050117721 A KR20050117721 A KR 20050117721A KR 1020040042909 A KR1020040042909 A KR 1020040042909A KR 20040042909 A KR20040042909 A KR 20040042909A KR 20050117721 A KR20050117721 A KR 2005011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sub
reference data
previous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2518B1 (ko
Inventor
박광훈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4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518B1/ko
Priority to US11/079,219 priority patent/US8189673B2/en
Priority to CNB2005100751887A priority patent/CN100396102C/zh
Publication of KR2005011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은, 관심 영역의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부터 스캔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된 다른 데이터 유닛들이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을 감싸는 다수의 사각형의 링 형태가 되도록 스캔하는 관심 영역 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현재 데이터 유닛에 앞서 스캔된 후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심영역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스캔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경우에도 영상 데이터의 인트라 예측 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dict DC coefficient of video data unit}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의 예측 부호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데이터는 데이터 양이 매우 많아 영상 데이터의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해서는 압축 부호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는 16x16 화소의 크기를 가지는 매크로 블록 또는 8x8 화소의 크기를 가지는 블록 등의 데이터 유닛(data unit)별로 수행된다. 소정 데이터 유닛 단위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영상에 포함된 데이터 유닛들을 스캔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래스터(Raster) 스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래스터 스캔 방식은 영상(picture)에 포함된 데이터 유닛들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스캔한다. 래스터 스캔은 영상의 좌상측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데이터 유닛부터 스캔한다.
한편, 영상 데이터의 압축을 위한 방법론 중 하나로 인트라 공간 예측(Intra spatial prediction)이 있다. 인트라 공간 예측이란 하나의 영상 내의 데이터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기술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호화할 현재 데이터 유닛과 상관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의 화소들의 값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유닛의 화소 값을 예측한 후 현재 데이터 유닛의 실제 화소들의 값과 예측 값과의 차이를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인트라 공간 예측 부호화를 함으로써 실제 화소값을 엔트로피 코딩하여 전송할 때에 데이터 압축 효율이 향상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재 데이터 유닛의 인트라 공간 예측 부호화를 위한 이전 데이터 유닛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재 데이터 유닛 E의 인트라 공간 예측 부호화를 위해 이전 데이터 유닛 A,B,C 및 D가 이용된다. 종래의 래스터 스캔(raster scan) 방식에 따르면, 왼쪽에서 오른쪽 및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하나의 영상에 포함된 데이터 유닛들을 스캔한다. 따라서, 종래의 래스터 스캔(raster scan) 방식에 따르면 데이터 유닛 A,B,C 및 D는 현재 데이터 유닛 E 이전에 이미 스캔되어 부호화가 완료된 데이터 유닛들이다. "X"표시가 된 데이터 유닛들은 아직 부호화가 되지 않았으므로 현재 데이터 유닛 E의 예측 부호화에 이용할 수 없고, "O"로 표시된 데이터 유닛은 현재 데이터 유닛 E와의 상관도가 대개 낮으므로 이용하지 않는다. 한편, 이전 데이터 유닛들은 부호화가 완료되었거나 부호화된 후 다시 복호되어 재생된 데이터 유닛들이다.
한편, MPEG-4 Part 2에 채용된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은 DCT 변환 계수를 이용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유닛 E가 인트라 공간 예측 부호화가 수행될 현재 데이터 유닛인 경우, MPEG-4 Part 2에 따르면, 현재 데이터 유닛 E의 인트라 공간 예측 부호화를 위해 이전 데이터 유닛 A,B 및 D가 이용된다. 이전 데이터 유닛 A,B, D 및 현재 데이터 유닛 E는 16x16 크기의 매크로블록이다.
MPEG-4-part 2의 경우는 8X8 블록 단위로 DCT(Discret Cosine Transform) 변환된 영역에서, 이전 데이터 유닛 A, B 및 D의 DC값의 차를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유닛 E의 DC 값 예측을 수행한다.
도 3은 MPEG-4 Part 2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6X16 단위의 매크로블록인 이전 데이터 유닛 A,B, D 및 현재 데이터 유닛 E는 각각 8X8단위의 블록 단위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된다. 즉, 이전 데이터 유닛 A는 A1 내지 A4, 이전 데이터 유닛 B는 B1 내지 B4, 이전 데이터 유닛 D는 D1 내지 D4 로 나뉘고, 현재 데이터 유닛 E 역시 E1 내지 E4로 나뉜다.
현재 데이터 유닛 E의 인트라 예측 수행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현재 데이터 유닛 E의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전 데이터 유닛 A, B 및 D의 존재여부를 파악한다. 만약 이전 데이터 유닛 A, B 및 D 중 하나라도 다른 VOP(Video Object Plane) 에 위치하고 있다면, 현재 데이터 유닛 E의 DC 예측 값을 소정 값, 예컨대 128로 결정한다. 한편 VOP는 비디오 코딩의 단위 영상의 한 종류로서 MPEG-4 Part2에 의하면 하나의 영상 프레임은 다수의 VOP로 분할되고, VOP 단위로 부호화 또는 복호화가 수행된다.
만약, 이전 데이터 유닛 A, B 및 D가 모두 현재 데이터 유닛E와 함께 동일 VOP에 위치하고 있다면, 현재 데이터 유닛 E에 포함된 8x8 블록들 중, 먼저 E1 블록을 처리하기 위하여, D4, B3 그리고 A2 블록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D4, B3 그리고 A2 블록중 일부가 존재하지 않거나, 인트라 코딩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E1 블록의 예측값을 128로 결정한다.
그 다음, 상기 두 가지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E1 블록의 인트라 DC 예측값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즉 A2 블록의 DC값과 D4 블록의 DC값의 차이가 D4 블록의 DC값과 B3 블록의 DC값의 차이보다 작다면 E1 블록의 DC값이 B3 블록의 DC값과 유사할 확률이 높으므로 B3블록의 DC값을 E1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그 반대의 경우는 A2블록의 DC값을 E1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예측 방법은 엔코더와 디코더에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엔코더가 예측값을 위한 파라메터를 디코더로 전송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디코더에서도 엔코더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DC 계수의 예측값을 구한다.
E2 블록의 DC값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E1, B3 및 B4 블록을 이용하고, E3 블록의 DC값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A2, A4 및 E1 블록을 이용하고, E4 블록의 DC값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E1, E2 및 E3 블록을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들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래스터 스캔 방식과 다른 새로운 영상 데이터 스캔 방식이 개발되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2002-5365호, "파문 스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영상 코딩/디코딩 장치 및 그 방법"에는 파문 스캔(water ring scan)이라고 명명된 스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파문 스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영상은 다수의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한다. 파문 스캔 방식은 영상의 소정 위치, 예컨대 영상의 중앙의 데이터 유닛부터 스캔을 시작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점점 영상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데이터 유닛들을 스캔하는 방식이다. 파문 스캔 방식에 따라 데이터 유닛들을 스캔하면, 파문 스캔이 시작된 최초의 데이터 유닛을 다수의 파문들이 감싸는 형태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파문 스캔이 시작된 데이터 유닛은 0으로 표시되어 있고, 0으로 표시된 데이터 유닛를 다수의 파문들이 감싸고 있다. 제1 파문(11)을 이루는 데이터 유닛들의 내부에는 1로 표시되어 있고 제2 파문(13)을 이루는 데이터 유닛들에는 2로 표시되어 있고 제3 파문(15), 제4 파문(17) 및 제5 파문(19)을 이루는 데이터 유닛 내부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 각 파문은 사각형 모양의 링의 형태이다.
최근에 제정된 새로운 비디오 압축 부호화 표준인 MPEG-4 Part 10 AVC(advanced video coding) 또는 ITU-T H.264는 특히 이동 통신망과 같은 새로운 통신 채널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기존의 회선교환 방식에서 패킷 교환 서비스로 전환되고 다양한 통신 인프라에 대처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AVC/H.264는 기존의 표준인 MPEG-4 Part 2 비쥬얼 코덱에 비하여 50% 이상의 부호화 효율을 증대시켰으며, 급변하는 무선 환경 및 인터넷 환경 등을 고려하여 오류 강인성 및 네트워크에 친숙한 방식을 고려한 비디오 압축 표준이다.
특히, 무선 전송 환경이나 인터넷 등의 패킷 단위의 전송 환경에서 전송 오류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MPEG-4 Part 10 AVC(Advanced Video Coding)는 FMO(Flexible Macroblock Ordering)라 명명된 영상 데이터 스캔 방식을 새로이 채택하였다. FMO에는 구체적으로 7가지 모드가 있으며, 그 중 모드 3를 박스-아웃(box-out) 스캔 방식이라 한다. 박스-아웃 스캔 방식은 전술한 파문 스캔 방식의 일 예에 해당한다. 박스-아웃 스캔 방식의 경우, 영상(picture)에서 사용자가 주로 관심 있는 관심 영역과 여타 배경 영역을 분리하여 각 영역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복호화한다.
도 5는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21)과 바깥 영역(Left-over Region)(23)으로 분리된 영상을 나타낸다. 하나의 영상에서 주된 관심 영역은 일반적으로 영상의 중앙 부근이다. 따라서 영상의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의 영역을 관심 영역(21)으로 하고 그 외 영역을 바깥 영역(23)으로 정한다. 관심 영역(21)은 바깥 영역(23)과 독립적으로 부호화 및 복호화 하기 위해 바깥 영역을 이용하여 공간 예측 부호화(Spatial Predictive Coding)를 할 수 없다.
도 6a는 시계 방향으로 데이터 유닛을 스캔하는 박스-아웃 스캔 방식을 나타내고, 도 6b는 반시계 방향으로 데이터 유닛을 스캔하는 박스-아웃 스캔 방식을 나타낸다.
박스-아웃 스캔 방식은 관심 영역 부호화의 한 방법론으로서,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압축 효율을 높이거나, 보다 향상된 오류 보호를 가능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호화 시 바깥 영역보다 관심 영역에 대해서 더 나은 오류 보호 처리를 할 수 있고, 관심 영역의 부호화는 바깥 영역과 독립적이기 때문에, 바깥 영역의 데이타는 비트율과 계산 복잡도를 줄여서 부호화할 수 있다. 특히 점진적인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때, 디코더에서는 단지 관심 영역만을 재구성하기만 하면 되고, 인코더가 디코더에게 관심 영역만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전술한 파문 스캔 방식 또는 박스-아웃 스캔 방식과 같이 영상의 중앙에서부터 바깥 쪽으로 데이터 단위들을 스캔하는 방식을 관심영역지향 스캔(Region of Interest oriented Scan) 방식이라 할 때, 관심 영역 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스캔되어 부호화 또는 복호화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종래 인트라 공간 예측 부호화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시계 방향 박스-아웃 스캔 방식에 따라 스캔된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종래 기술에 따라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을 위해 필요한 참조 데이터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유닛 C1이 인트라 예측을 할 현재 데이터 유닛이라 할 때, 종래 기술에 따라 현재 데이터 유닛 C1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필요한 이전 데이터 유닛들은 C2, C10 및 C11이다.
그러나, 시계 방향 박스-아웃 스캔 방식에 따라 데이터 유닛을 스캔하는 경우, 데이터 유닛 C2, C10 및 C11은 현재 데이터 유닛 C1 이후에 스캔되어 부호화될 데이터 유닛들이므로 현재 데이터 유닛 C1 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이용할 수 없다.
즉, 관심영역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스캔한 후 부호화하는 경우, 종래 래스터 스캔 방식에 기초한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심영역지향 스캔 방식에 적합한 영상 데이터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은,
관심 영역의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부터 스캔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된 다른 데이터 유닛들이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을 감싸는 다수의 사각형의 링 형태가 되도록 스캔하는 관심 영역 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현재 데이터 유닛에 앞서 스캔된 후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 단계는,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들 및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이전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이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접하고, 상기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이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접하면,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만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과 모두 접하는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면,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 단계는,
상기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만 존재한다면,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을 다수의 서브 데이터 유닛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에 포함된 다수의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의 DC 계수 값들 및 상기 다수의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 이미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의 DC 계수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간의 유사도 및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간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의 차이보다 적으면,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 또는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 중 하나의 값을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은 16x16 사이즈의 블록이고,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은 8x8 사이즈의 블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장치는,
관심 영역의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부터 스캔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된 다른 데이터 유닛들이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을 감싸는 다수의 사각형의 링 형태가 되도록 스캔하는 관심 영역 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현재 데이터 유닛에 앞서 스캔된 후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들의 변환 계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는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 및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독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예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는,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들 및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이전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는,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이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접하고, 상기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이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접하면,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만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는,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과 모두 접하는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면,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는,
상기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만 존재한다면,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측부는,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을 다수의 서브 데이터 유닛으로 분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에 포함된 다수의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의 DC 계수 값들 및 상기 다수의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 이미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의 DC 계수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예측부는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간의 유사도 및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간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예측부는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의 차이보다 적으면,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예측부는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 또는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 중 하나의 값을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은 16x16 사이즈의 블록이고,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은 8x8 사이즈의 블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파문 스캔 방식 또는 박스-아웃 스캔 방식과 같이 영상의 중앙에서부터 바깥 쪽으로 데이터 유닛들을 스캔하는 방식을 관심영역지향 스캔(Region of Interest oriented scan) 방식이라 한다. 데이터 유닛은 매크로 블록, 블록, 화소 또는 소정 개수의 화소들의 집합 등을 말한다.
영상 데이터의 예측 부호화는 현재 데이터 유닛의 부호화를 위해 주변의 다른 데이터 유닛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예측 부호화 기술의 일 예로는, (1)주변 데이터 유닛들의 움직임 벡터 값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유닛의 움직임 벡터 값 예측, (2)주변 블록의 DCT계수 값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DCT 계수 값 예측, (3)주변 화소의 값을 이용하여 현재 화소의 값 예측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 가지 예측 기술 중, 주변 블록의 DCT계수 값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DCT 계수 값 예측에 관한 것이다. 특히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8x8 크기의 이전 블록들의 DC 계수 값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DC 계수 값을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DC 계수 예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DC 계수 예측 장치는 메모리(31),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33) 및 예측부(35)를 포함한다.
메모리(31)에는 관심영역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현재 데이터 유닛 이전에 스캔되어 부호화된 이전 데이터 유닛들의 DCT 계수값들이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데이터 유닛 및 이전 데이터 유닛은 16x16 크기의 매크로블록이고, DCT는 8x8 블록 단위로 수행된다.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33)는 현재 데이터 유닛의 인덱스 정보를 입력받아,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인트라 예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을 선택한 후 예측부(35)로 선택된 참조 데이터 유닛의 인덱스 정보를 출력한다.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33)는 현재 데이터 유닛의 인덱스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지향 스캔된 현재 영상 영역에서 현재 데이터 유닛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33)로는 스캔 방향 정보가 더 입력될 수도 있다. 전술한 MPEG-4/H.264에 채용된 박스-아웃 스캔 방식의 경우, 영역의 가운데 데이터 유닛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스캔한다. 따라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스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스캔 방향 정보가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33)로 더 입력될 수도 있다.
예측부(35)는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33)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인덱스 정보를 입력받은 후, 메모리(31)로부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필요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DC 계수 값을 읽어온다. 예측부(35)는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값의 예측값을 결정한다.
도 8에 도시한 DC 계수 예측 장치의 구조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재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의 흐름도이다.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33)로 현재 데이터 유닛의 인덱스 정보가 입력되면(S41),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33)는 현재 사각형 링 및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을 선택한다(S43).
현재 사각형 링은 현재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사각형 링을 말하고, 이전 사각형 링은 현재 사각형 링의 바로 안쪽에 위치한 사각형 링을 말한다.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데이터 유닛들 중, 데이터 유닛 C11이 현재 데이터 유닛이라면 현재 사각형 링은 데이터 유닛 C9 내지 C24로 이루어진 데이터 유닛들의 집합이고, 이전 사각형 링은 데이터 유닛 C1 내지 C8로 이루어진 데이터 유닛들의 집합이다.
예측부(35)는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33)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인덱스 정보를 입력받은 후, 메모리(31)로부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필요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DC 계수 값을 읽어온다. 예측부(35)는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값의 예측값을 결정한다(S45).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보다 상세한 흐름도로서, 도 9에 도시한 제43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이전 데이터 유닛을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이전 데이터 유닛을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과 모두 접하는 이전 데이터 유닛을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이라 각각 정의한다.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33)는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을 위한 참조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이 모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1).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이 모두 존재하면,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한다(S433).
그러나,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제3 이전 데이터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또는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중 하나를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한다(S435).
관심영역지향 스캔 방법에 따라 데이터 유닛들을 스캔하는 경우, 현재 데이터 유닛의 예측 부호화를 위해 필요한 이전 데이터 유닛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둘 존재하는 경우 및 셋 이상 존재하는 경우의 세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세 가지 각각의 경우별로 나누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현재 데이터 유닛 및 이전 데이터 유닛들은 16x16 크기의 매크로블록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Ⅰ. Case 1
현재 매크로블록의 예측 부호화를 위해 필요한 이전 매크로블록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이다. 즉,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3 이전 데이터 유닛 중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부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해 관심영역지향 스캔 방법에 따라 스캔이 시작되는 원점에 위치한 매크로블록 다음으로 스캔된 매크로블록이 현재 매크로블록인 경우가 Case 1에 해당한다. Case 1의 경우, 하나뿐인 이전 매크로블록을 현재 매크로블록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참조 매크로블록으로 선택한다.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매크로블록 C1이 현재 매크로블록인 경우, 원점에 위치한 매크로블록 O가 참조 매크로블록이 된다.
Ⅱ. Case 2
현재 매크로블록의 예측 부호화를 위해 필요한 이전 매크로블록으로서 현재 매크로블록에 접한 이전 매크로블록이 두 개 존재하는 경우이다. Case 2의 경우, 두 개의 이전 매크로블록들은 현재 사각형 링에 접한 안쪽 사각형 링에 존재하고 현재 매크로블록과 접한 이전 매크로블록 1개와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매크로블록으로서 현재 매크로블록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 직전에 부호화 또는 복호화 완료되어 참조가 가능한 매크로블록 1개이다.
현재 매크로블록을 매크로블록 E라 할 때, 현재 매크로블록 E와 동일한 사각형 링 내에 존재하고 현재 매크로블록 E와 접한 매크로블록을 매크로블록 A라 정의하고, 현재 매크로블록 E와 인접한 안쪽 사각형 링에 존재하고 현재 매크로블록 E와 접한 매크로블록을 매크로블록 D라 정의한다. 그리고, 현재 매크로블록 E는 4개의 8x8 크기의 블록인 E1 내지 E4로 나뉘고, 매크로블록 A는 A1 내지 A4로 나뉘고, 매크로블록 D는 D1 내지 D4 로 나뉠 때, Case 2에 해당하는 현재 매크로블록 및 이전 매크로블록의 위치는 도 12a 내지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도 12a 내지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블록 D는 항상 현재 매크로블록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다. 영상 데이터의 특성상, 대각선 방향보다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영상의 상관관계가 높다. 따라서, 매크로블록 D의 정보를 항상 신뢰할 수는 없으므로 매크로블록 A의 정보만을 신뢰하여 현재 매크로블록 E의 인트라 예측을 위한 참조 매크로블록으로 선택한다. 즉,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3 이전 데이터 유닛 중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또는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중 하나와 상기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Ⅲ. Case 3
현재 매크로블록의 예측 부호화를 위해 필요한 이전 매크로블록으로서 현재 매크로블록에 접한 이전 매크로블록이 적어도 세 개 존재하는 경우이다. 상기 셋 이상의 이전 매크로블록들은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매크로블록으로서 현재 매크로블록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 직전에 부호화 또는 복호화 완료되어 참조가 가능한 매크로블록 1개와 현재 사각형 링에 접한 안쪽 사각형 링에 존재하고 현재 매크로블록과 접한 적어도 2개의 이전 매크로블록이다.
현재 매크로블록을 매크로블록 E라 하고, 현재 매크로블록 E와 동일한 사각형 링 내에 존재하고 현재 매크로블록 E와 접한 매크로블록을 매크로블록 A라 정의하고, 현재 사각형 링에 접한 안쪽 사각형 링에 존재하고 현재 매크로블록 E와 접한 매크로블록을 매크로블록 B라 정의하고, 매크로블록 A 및 매크로블록 B에 접하고 현재 사각형 링에 접한 안쪽 사각형 링에 존재하는 매크로블록을 매크로블록 D라 정의한다. 즉, 매크로블록 A는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고, 매크로블록 B는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고, 매크로블록 C는 상기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에 대응한다.
Case 3의 경우, 매크로블록 A, 매크로블록 B 및 매크로블록 D의 세 개의 매크로블록을 현재 매크로블록 E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참조 매크로블록으로 선택한다.
현재 매크로블록 E는 4개의 8x8 크기의 블록인 EA 내지 ED로 나뉘고, 매크로블록 A는 AA 내지 AD로 나뉘고, 매크로블록 B는 BA 내지 BD 로 나뉘고, 매크로블록 D는 DA 내지 DD 로 나뉠 때, Case 3에 해당하는 현재 매크로블록 및 이전 매크로블록의 위치는 도 13a 내지 13h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참조 매크로블록이 결정되면, Case 1 내지 Case 3 각각의 경우에 대해 다음과 같이 현재 매크로블록의 DC 계수값의 예측값이 예측부(35)에 의해 결정된다.
Ⅰ. Case 1
도 11a 및 11b는 참조 매크로블록이 원점에 위치한 매크로블록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Case 1에 해당하는 현재 매크로블록 및 참조 매크로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현재 매크로블록은 매크로블록 F이고 원점에 위치한 참조 매크로블록은 매크로블록 O이다. 도 11a는 현재 매크로블록 F가 참조 매크로블록의 왼쪽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11b는 현재 매크로블록 F가 참조 매크로블록의 오른쪽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현재 매크로블록 F는 4개의 8x8 크기의 블록 F1 내지 F4로 나뉘고, 참조 매크로블록 O는 4개의 8x8 크기의 블록 O1 내지 O4로 나뉜다. 현재 매크로블록에 포함된 4개의 블록 F1 내지 F4의 DC 계수의 예측값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도 11a의 경우 현재 매크로블록 F 내의 블록 F1 내지 F4의 처리 순서에 따라 총 3가지 방법으로 블록 F1 내지 F4 의 DC 계수의 예측값을 결정할 수 있다.
첫째, 블록 F2, F4, F1 및 F3의 순서로 예측하는 경우
F2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은 O1 블록의 DC값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F4 블록의 DC 예측값은 O1, O3, F2 블록의 DC값을 이용한다. 즉, O1 블록의 DC값과 F2 블록의 DC값의 차이가 O1 블록의 DC값과 O3 블록의 DC값의 차이보다 작다면 F4 블록의 DC값은 O3 블록의 DC값과 유사할 확률이 높으므로 O3블록의 DC값을 F4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그 반대의 경우는 F2블록의 DC값을 F4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F1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은 F2 블록의 DC값으로 결정한다. 끝으로, F3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은 F2, F4 및 F1블록의 DC값을 이용한다. 즉, F2 블록의 DC값과 F1 블록의 DC값의 차이가 F2 블록의 DC값과 F4 블록의 DC값의 차이보다 작다면 F3 블록의 DC값은 F4 블록의 DC값과 유사할 확률이 높으므로 F4 블록의 DC값을 F3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그 반대의 경우는 F1블록의 DC값을 F3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둘째, 블록 F2, F4, F3 및 F1의 순서로 예측하는 경우
F2 블록의 DC값의 예측값과 F4 블록의 DC 예측값의 결정 방법은 위 첫째 경우와 동일하다.
F3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은 F4 블록의 DC값으로 결정한다. F1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은 F2, F3 및 F4블록의 DC값을 이용한다. 즉, F3 블록의 DC값과 F4 블록의 DC값의 차이가 F2 블록의 DC값과 F4 블록의 DC값의 차이보다 작다면 F1 블록의 DC값은 F2 블록의 DC값과 유사할 확률이 높으므로 F2 블록의 DC값을 F1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그 반대의 경우는 F3블록의 DC값을 F1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셋째, 블록 F2, F1, F4 및 F3의 순서로 예측하는 경우
전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블록 F2, F1, F4 및 F3의 순서로 예측하는 것도 가능은 하지만, 원점에 위치한 매크로블록 O에 가장 인접한 F2와 F4블록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상기 첫째 및 둘째 경우에 비하여 참조 블록의 정보를 충분히 사용하지는 못한다.
도 11a에 도시된 블록 F1 내지 F4의 DC 값 예측과 유사하게 도 11b에 도시된 블록 F1 내지 F4의 DC 값 예측을 수행한다. 즉, 블록 F1 내지 F4의 처리 순서를 첫째, 블록 F1, F3, F2 및 F4의 순서로 예측하는 경우, 둘째, 블록 F1, F3, F4 및 F2의 순서로 예측하는 경우 및 셋째, 블록 F1, F2, F3 및 F4의 순서로 예측하는 경우의 세 가지로 나누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블록 F1 내지 F4의 DC 값 예측을 수행한다.
Ⅱ. Case 2
도 12a 내지 12d는 Case 2에 해당하는 현재 매크로 블록 및 참조 매크로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12d를 참조하면, 현재 매크로블록은 매크로블록 E이고 참조 매크로블록은 매크로블록 A이다. 현재 매크로블록 E는 4개의 8x8 크기의 블록 E1 내지 E4로 나뉘고, 참조 매크로블록 A는 4개의 8x8 크기의 블록 A1 내지 A4로 나뉜다.
현재 매크로블록에 포함된 4개의 블록 E1 내지 E4의 DC 계수의 예측값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도 12a에 도시된 블록 E1 내지 E4의 DC 계수의 예측값은 도 11a에 도시된 블록 F1 내지 F4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된다. 도 12b에 도시된 블록 E1 내지 E4의 DC 계수의 예측값은 도 11b에 도시된 블록 F1 내지 F4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된다.
도 12c 및 12d에 각각 도시된 블록 E1 내지 E4의 DC 계수의 예측값 역시 도 11a 또는 11b에 도시된 블록 F1 내지 F4와 유사한 방식으로 결정된다. 일 예로, 도 12c에 도시된 블록 E1 내지 E4의 DC 계수 예측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c에 도시된 블록 E1 내지 E4의 DC 계수 예측을 설명하면, 현재 매크로블록 E 내의 블록 E1 내지 E4의 처리 순서에 따라 총 3가지 방법으로 블록 E1 내지 E4 의 DC 계수의 예측값을 결정할 수 있다.
첫째, 블록 E1, E2, E3 및 E4의 순서로 예측하는 경우
E1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은 A3 블록의 DC값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E2 블록의 DC 예측값은 A3, A4 및 E1 블록의 DC값을 이용한다. 즉, A3 블록의 DC값과 A4 블록의 DC값의 차이가 A3 블록의 DC값과 E1 블록의 DC값의 차이보다 작다면 E2 블록의 DC값은 E1 블록의 DC값과 유사할 확률이 높으므로 E1 블록의 DC값을 E2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그 반대의 경우는 A4블록의 DC값을 E2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E3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은 E1 블록의 DC값으로 결정한다. 끝으로, E4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은 E1, E2 및 E3 블록의 DC값을 이용한다. 즉, E1 블록의 DC값과 E2 블록의 DC값의 차이가 E1 블록의 DC값과 E3 블록의 DC값의 차이보다 작다면 E4 블록의 DC값은 E3 블록의 DC값과 유사할 확률이 높으므로 E3 블록의 DC값을 E4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그 반대의 경우는 E2 블록의 DC값을 E4 블록의 DC값의 예측값으로 결정한다.
나머지, 블록 E1, E2, E4 및 E3의 순서로 예측하는 경우 및 블록 E1, E3, E2 및 E4의 순서로 예측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Ⅲ. Case 3
도 13a 내지 13h는 Case 3에 해당하는 현재 매크로블록 및 참조 매크로블록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13h를 참조하면, 현재 매크로블록은 매크로블록 E이고 참조 매크로블록은 매크로블록 A, 매크로블록 B 및 매크로블록 D이다. 현재 매크로블록 E는 4개의 8x8 크기의 블록 EA 내지 ED로 나뉘고, 참조 매크로블록 A는 AA 내지 AD로 나뉘고, 참조 매크로블록 B는 BA 내지 BD 로 나뉘고, 참조 매크로블록 D는 DA 내지 DD 로 나뉜다.
도 13a 내지 13h에 도시된 현재 매크로블록 내의 블록들인 EA 내지 ED의 예측순서를 모두 EA, EB, EC 및 ED의 순서로 한다면, 블록 E A 내지 ED 의 DC 계수 예측에 필요한 수평, 수직 및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참조 블록들이 항상 존재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8x8 크기의 참조 블록들의 DC 계수 값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블록의 DC 값의 예측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 계수 예측 방법은 엔코더와 디코더에서 동일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심영역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스캔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경우에도 영상 데이터의 인트라 예측 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래스터(Raster) 스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재 데이터 유닛의 인트라 공간 예측 부호화를 위한 이전 데이터 유닛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MPEG-4 Part 2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문 스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관심 영역과 바깥 영역으로 분리된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시계 방향으로 데이터 유닛을 스캔하는 박스-아웃 스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반시계 방향으로 데이터 유닛을 스캔하는 박스-아웃 스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라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을 위해 필요한 참조 데이터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DC 계수 예측 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보다 상세한 흐름도,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매크로블록 및 참조 매크로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내지 1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재 매크로 블록 및 참조 매크로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a 내지 13h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재 매크로블록 및 참조 매크로블록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1)

  1.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에 있어서,
    관심 영역의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부터 스캔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된 다른 데이터 유닛들이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을 감싸는 다수의 사각형의 링 형태가 되도록 스캔하는 관심 영역 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현재 데이터 유닛에 앞서 스캔된 후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 단계는,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들 및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이전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이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접하고, 상기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이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접하면,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만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과 모두 접하는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면,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 단계는,
    상기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만 존재한다면,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을 다수의 서브 데이터 유닛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에 포함된 다수의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의 DC 계수 값들 및 상기 다수의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 이미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의 DC 계수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간의 유사도 및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간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의 차이보다 적으면,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 또는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 중 하나의 값을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은 16x16 사이즈의 블록이고,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은 8x8 사이즈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장치에 있어서,
    관심 영역의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부터 스캔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된 다른 데이터 유닛들이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을 감싸는 다수의 사각형의 링 형태가 되도록 스캔하는 관심 영역 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현재 데이터 유닛에 앞서 스캔된 후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들의 변환 계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는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 및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독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는,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들 및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이전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는,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이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접하고, 상기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이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접하면,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만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는,
    상기 현재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이전 사각형 링에 포함된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과 접하는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과 모두 접하는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면, 상기 제1 이전 데이터 유닛, 상기 제2 이전 데이터 유닛 및 제3 이전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 선택부는,
    상기 이전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만 존재한다면,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을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부는,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을 다수의 서브 데이터 유닛으로 분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에 포함된 다수의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의 DC 계수 값들 및 상기 다수의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 이미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의 DC 계수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예측부는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간의 유사도 및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간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예측부는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의 차이가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과 상기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의 차이보다 적으면,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들 및 상기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서브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제3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예측부는 상기 제1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 또는 상기 제2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 중 하나의 값을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참조 데이터 유닛은 16x16 사이즈의 블록이고, 상기 서브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서브 참조 데이터 유닛은 8x8 사이즈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에 있어서,
    관심 영역의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부터 스캔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된 다른 데이터 유닛들이 상기 소정 위치의 데이터 유닛을 감싸는 다수의 사각형의 링 형태가 되도록 스캔하는 관심 영역 지향 스캔 방식에 따라 현재 데이터 유닛에 앞서 스캔된 후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이전 데이터 유닛들 중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42909A 2004-06-11 2004-06-11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0982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909A KR100982518B1 (ko) 2004-06-11 2004-06-11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US11/079,219 US8189673B2 (en) 2004-06-11 2005-03-15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DC coefficient of video data unit
CNB2005100751887A CN100396102C (zh) 2004-06-11 2005-06-10 用于预测视频数据单元的直流系数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909A KR100982518B1 (ko) 2004-06-11 2004-06-11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721A true KR20050117721A (ko) 2005-12-15
KR100982518B1 KR100982518B1 (ko) 2010-09-16

Family

ID=3546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909A KR100982518B1 (ko) 2004-06-11 2004-06-11 영상 데이터 유닛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89673B2 (ko)
KR (1) KR100982518B1 (ko)
CN (1) CN10039610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87B1 (ko) * 2006-03-31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4982B2 (en) * 2005-08-22 2011-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cement and tilt detection method for a portable autonomous device having an integrated image sensor and a device therefor
US7808478B2 (en) * 2005-08-22 2010-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nomous handheld device having a drawing tool
US7809214B2 (en) 2005-08-22 2010-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movement patterns
CN101742296B (zh) * 2008-11-14 2016-01-20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降低码流数据量波动的视频编解码方法及装置
US9774856B1 (en) 2012-07-02 2017-09-26 Google Inc. Adaptive stochastic entropy coding
US9509998B1 (en) 2013-04-04 2016-11-29 Google Inc. Conditional predictive multi-symbol run-length coding
US9392288B2 (en) 2013-10-17 2016-07-12 Google Inc. Video coding using scatter-based scan tabl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312A (en) * 1990-10-09 1994-09-27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Spatial filter of an image signal processor providing alternating line images without moire
US6148109A (en) * 1996-05-28 2000-11-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predictive coding method
KR100353851B1 (ko) * 2000-07-07 2002-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문 스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영상코딩/디코딩 장치 및 그 방법
JP4696388B2 (ja) * 2000-11-1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処理装置、情報信号処理方法、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画像表示装置、それに使用される係数種データ生成装置、係数データ生成装置、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2003032681A (ja) * 2001-07-18 2003-01-3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コード、記憶媒体
US6882755B2 (en) * 2001-10-19 2005-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transmission for low bandwidth with region of interest
KR100754419B1 (ko) * 2002-07-16 2007-08-31 노키아 코포레이션 비디오 코딩시 랜덤 액세스 및 점진적 화상 리프레시를위한 방법
WO2004010706A1 (ja) * 2002-07-19 2004-01-29 Sony Corporation 情報信号処理装置、情報信号処理方法、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それに使用される補正データの生成装置および生成方法、係数データの生成装置および生成方法、並びに各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
US7010044B2 (en) * 2003-07-18 2006-03-07 Lsi Logic Corporation Intra 4×4 modes 3, 7 and 8 availability determination intra estimation and compens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87B1 (ko) * 2006-03-31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8135A (zh) 2005-12-14
US20050276333A1 (en) 2005-12-15
KR100982518B1 (ko) 2010-09-16
US8189673B2 (en) 2012-05-29
CN100396102C (zh)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25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using selective information sharing between channels
US9219914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coding a video signal
CA2968598C (en) Method for deriving a merge candidate block and device using same
US7426308B2 (en) Intraframe and interframe interlace coding and decoding
US910065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video coding
JP4927753B2 (ja) 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KR101349599B1 (ko) 동화상 복호 장치
KR102081945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50112445A (ko) 예측 부호화/복호화 장치,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기록매체
KR20190067732A (ko) 채널들 간의 선택적인 정보 공유를 사용하는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5222958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化方法
KR100272812B1 (ko) 비디오 신호 코더
TWI776071B (zh) 用以編碼及解碼視訊取樣之轉換區塊的方法、設備和系統
KR20050114751A (ko) 예측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US8189673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DC coefficient of video data unit
KR100987764B1 (ko) 영상 데이터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참조 데이터 유닛 결정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08523A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JP4884703B2 (ja) 画像の空間予測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復号化方法及び復号化装置
KR20140124920A (ko) 움직임 벡터 예측을 이용한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12186759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CN116980590A (zh) Ibc参考区域的自适应选择
NO342643B1 (no) Makroblokknivå adaptiv ramme-/feltkoding på makroblokknivå for digitalt videoinnhold
KR20140124436A (ko) 움직임 벡터 예측을 이용한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NO343010B1 (no) Adaptiv ramme-/feltkoding på makroblokknivå for digitalt videoinnh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