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990A -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990A
KR20050116990A KR1020040042138A KR20040042138A KR20050116990A KR 20050116990 A KR20050116990 A KR 20050116990A KR 1020040042138 A KR1020040042138 A KR 1020040042138A KR 20040042138 A KR20040042138 A KR 20040042138A KR 20050116990 A KR20050116990 A KR 20050116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r
resistor
copper plate
terminal
st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9485B1 (ko
Inventor
남광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48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6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B62D5/091Hydraulic steer-by-wire systems, e.g. the valve being actuated by an electric motor
    • B62D5/092Hydraulic steer-by-wire systems, e.g. the valve being actuated by an electric motor the electric motor being connected to the final driven element of the steering gear, e.g.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 휠의 조향각을 조절하기 위한 좌우로 이동하는 랙바; 랙바를 감싸면서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랙바 하우징; 랙바의 외부 원주면 상부에 형성된 제 1 동판부, 저항체부 및 제 2 동판부가 상기 랙바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저항체부의 일단은 상기 제 1 동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저항체부의 타단은 제 2 동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 변위부;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접지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접지단자는 각각 제 1 동판부, 저항체부 및 제 2 동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랙바 하우징에 고정된 감지단자; 및 감지단자로부터 검출된 출력전압과 랙바 위치 간의 관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후 감지단자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랙바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랙바 위치 검출을 위한 보다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와, 또한 랙바의 미세한 움직임에 대하여 출력단자에 의하여 검출되는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DETECTOR APPARATUS OF RACK BAR POSITION FOR STEER BY WIRE SYSTEM}
본 발명은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랙바의 외주면 상에 저항 변위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랙바 위치 검출을 위한 보다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의 랙바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저항 변위부에서의 저항체부를 카본 저항체와 동판이 교호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감지단자와 저항체와의 접촉상태 및 눌림량의 미소변화에 따라 출력전압이 크게 변동되지 않고, 외란등에 의한 랙바의 미소한 움직임이 바로 출력전압으로 반영되어 조향 휠의 조작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저항 변위부에서의 저항체부를 카본 저항체와 동판이 상호 교호하도록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감지단자와 저항체와의 접촉상태 및 눌림량의 미소변화에 따라 출력전압이 크게 변동되지 않고, 외란등에 의한 랙바의 미소한 움직임이 바로 출력전압으로 반영되어 조향 휠의 조작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차륜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도록 장착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조향 휠과 전륜 조향장치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이 없이 전기적인 선으로 대체하여 전륜을 조향하는 시스템을 SBW(Steer By Wire) 시스템이라 한다. 이는, 랙바의 기어박스 연결부위에 모터를 체결하여 모터를 통하여 랙바를 구동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조향 장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장치도이다. 도 1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50631(발명의 명치: 전동 조향 장치)에 공개된 내용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조향 휠(55)은 운전자의 조향력 입력에 따라 조향각을 발생한다. 이 때, 발생된 조향각은 조향 휠 각도 및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되어 엔코더(51)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가 전자제어장치(60)로 입력된다. 전자제어장치(6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를 증폭 및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 회로(61)와, 디지털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위치제어를 수행하는 보조 처리부(62: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및, 메모리에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메인 처리부(63)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된 신호는 전자제어장치(60)에 의해 제어되어 차량의 조향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향 구동력 제어신호로 출력된다. 조향 구동 액츄에이터(80)는 상기 전자제어장치(6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조향 구동력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차량 바퀴(95,95')의 조향각을 발생시키기 위해 랙바(91)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기어박스(90)를 구동시킨다. 랙바(91) 좌우에는 타이로드(92,92')가 연결되어 있고, 타이로드(92,92')에는 타이어(95,95')와의 사이에 너클 암(93,93')이 결합 구비되어 있어 타이어의 조향각을 발생시킨다. 운전자의 입력에 대해 발생하는 타이어(95,95')의 조향각과 주행속도 등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의 속도, 요잉 각속도 및 횡 방향 가속도 등의 차량 응답 특성들은 타이어 내측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속도 센서(70,70')에 의해 검출되어 전자제어장치(60)로 입력된다. 전자제어장치(60)는 속도 센서(70,70')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속도, 요잉 각속도 및 횡 방향 가속도 등의 차량 응답 특성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여 주행상황에 해당하는 조향 반력을 조향 반력 액츄에이터(50)로 출력한다. 전자제어장치(60)로부터 조향 반력 액츄에이터(50)로 전달되는 조향 반력은 조향 휠(55)로 전달됨에 따라 운전자는 조향 반력을 느끼면서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도 2은 종래의 랙바 위치 감지를 위한 검출장치가 설치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랙바 하우징(40)은 랙바(10)가 삽입된 카본복합튜브(20)를 감싸 보호하면서, 랙바(10)가 카본복합튜브(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카본복합튜브(20)를 내부에 고정된 채로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카본복합튜브(20)를 감싸 고정하고 있는 랙바 하우징(40)은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랙바(10)는 카본복합튜브(20)에 삽입되어 상대적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하므로, 랙바 하우징(40)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카본복합튜브(20)를 이용하여 차체를 기준으로 랙바(10)의 절대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랙바(10)의 타측에는 기어박스에 의하여 랙바(10)가 좌우 직선 왕복을 하도록 외주 나선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카본복합튜브(20)는 랙바(10)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 직선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이다. 카본복합튜브(20)의 원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카본 저항체(21), 제1 동판(22), 제2 동판(23)이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되도록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감지단자(26)는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접지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자를 통해 카본 저항체(21), 제1 동판(22) 및 제2 동판(23)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감지단자(26)는 일단에 외부 접속단자(28)가 형성된 외부 접속 케이블(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있고, 감지단자(26)가 카본복합튜브(20)에 형성된 카본 저항체(21), 제1 동판(22) 및 제2 동판(23)과 고정된 채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랙바 하우징(40)에 의하여 고정된다.
접점(30)은 랙바(10)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카본복합튜브(20)의 내부 원주면에 형성된 카본 저항체(21)과 제1 동판(22)을 접촉된 채로 랙바(10)와 함께 좌우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카본 저항체(21)와 제1 동판(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3은 종래의 랙바 위치 검출을 위한 저항 변위부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랙바의 좌우 변위에 따른 출력단자의 출력전압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랙바의 외부 원주면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제 1 동판부(1), 카본 저항체부(2) 및 제 2 동판부(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동판부(1)는 일정한 전압을 공급받는 입력단자(4)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카본 저항체부(2)는 감지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5)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제 2 동판부(3)는 접지 역할을 하는 접지단자(6)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입력단자(4)는 제 1 동판부(1)에 입력전압을 공급하고, 출력단자(5)는 현재 카본 저항체부(2)에서의 전압을 검출하여 전자제어장치로 출력하며, 접지단자(6)는 제 2 동판부(3)를 접지 역할을 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에서, 카본 저항체부(2)는 카본 저항체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져 있다. 카본 저항체부(2)는 연속적으로 저항이 변하는 일종의 가변저항의 역할을 하게 된다.
미설명된 부호 7은 제 1 동판부(1)와 카본 저항체부(2)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7)이고, 미설명된 부호 8은 제 2 동판부(3)와 카본 저항체부(2)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8)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랙바의 좌우 이동에 따라서 출력단자(5)의 출력전압 세기를 보여준다.
랙바의 좌우 이동에 따라 랙바의 A위치가 출력단자(5)에 위치하는 경우에 출력단자(5)의 출력전압이 가장 크게 된다. 그리고 B위치가 출력단자(5)에 위치하는 경우에 출력단자(5)의 출력전압이 가장 작게 된다. 여기에서, 출력단자(5)에 의한 출력전압은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랙바의 위치변화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에서의 랙바 위치검출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랙바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카본복합튜브를 이용하여 랙바의 절대위치를 검출하도록 하였으나, 카본복합튜브를 랙바와 랙바 하우징 사이에서 설치하는 경우 그 기계적 구성의 어려움이 있고, 별도의 카본복합튜브를 설치하는바 그 설치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카본 저항체에 접촉하는 감지단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을 통하여 랙바의 위치를 측정하였는바, 온도 변화 및 감지단자의 접촉상태 등에 의한 랙바의 미세한 움직임에 대하여 출력단자에 의해 검출되는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변동하게 됨으로써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제어함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랙바의 외주면 상에 저항 변위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랙바 위치 검출을 위한 보다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저항 변위부에서의 저항체부를 카본 저항체와 동판이 교호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감지단자와 저항체와의 접촉상태 및 눌림량의 미소변화에 따라 출력전압이 크게 변동되지 않고, 외란등에 의한 랙바의 미소한 움직임이 바로 출력전압으로 반영되어 조향 휠의 조작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구동 휠의 조향각을 조절하기 위한 좌우로 이동하는 랙바; 상기 랙바를 감싸면서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랙바 하우징; 상기 랙바의 외부 원주면 상부에 형성된 제 1 동판부, 저항체부 및 제 2 동판부가 상기 랙바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항체부의 일단은 상기 제 1 동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저항체부의 타단은 상기 제 2 동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 변위부;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접지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접지단자는 각각 상기 제 1 동판부, 저항체부 및 제 2 동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랙바 하우징에 고정된 감지단자부; 및 상기 감지단자부로부터 검출된 출력전압과 상기 랙바 위치 간의 관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후 상기 감지단자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랙바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로 이루어진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바 위치 검출을 위한 감지장치가 설치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랙바 하우징(200)은 삽입된 랙바(100)를 덮어 보호하면서, 랙바(100)가 감지장치(300)의 감지단자(3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랙바(100)의 일측은 타이로드(미도시)와 너클 암(미도시)을 통해 구동 휠에 연결되고, 타측은 조향구동 엑츄에이터(미도시)(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어박스(400)에 연결된다. 도 4에서 기어박스(400)는 기어박스 하우징(500)에 덮여져 있고, 랙바 하우징(200)은 기어박스 하우징(500)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랙바(100)의 타측에는 기어박스(400)에 의하여 랙바(100)가 좌우 직선 왕복을 하도록 외주 나선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감지장치(300)는 랙바 하우징(200)과 기어박스 하우징(500)이 연결되어 지는 연결부에 설치되어 있다. 감지장치(30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진 평판(310)을 다수개(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4개)의 볼트(320)와 너트(330)를 가지고 고정시키게 된다. 볼트(320)와 너트(330)는 평판(310)의 소정 위치(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4군데 모서리 부분)에서 형성되어 있는데, 볼트(320)는 랙바 하우징(200)의 외부에 위치하고 너트(330)는 랙바 하우징(3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호 결합되어 감지장치(300)를 고정 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감지장치(300)의 중앙부에서 랙바 하우징(200)을 관통하는 방향으로는 돌출부(340)가 형성되어 있는데, 돌출부(340)의 하단에는 감지단자(350)가 형성되어 있다.
감지단자(350)는 각각 입력단자(352), 출력단자(354) 및 접지단자(356)로 구성되어 지는데, 또한 상기 각각의 단자는 랙바(100)의 원주면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저항 변위부(150)의 제 1 동판부(152), 카본 저항체부(154) 및 제 2 동판부(156)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지장치(300)에는 감지단자(350)에서 검출된 전압을 전자제어장치(600)에 출력하도록 하기위한 외부 접속케이블(36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 외부 접속 케이블(360)은 평판(31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외부의 전자제어장치(600)와 연결되어 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단자(350)와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600)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감지단자(350)는 외부 접속케이블(360)을 통해 전자제어장치(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제어장치(600)는 일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ROM, RAM)를 갖는다. 전자제어장치(600)는 감지단자(350)로부터 검출된 출력전압과 랙바(100) 위치 간의 관계를 미리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후, 감지단자(350)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랙바(100)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나아가, 전자제어장치(600)는 랙바(100)의 좌우 이동 정지 제한지점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미리 저장한 후, 감지단자(350)로부터 검출되는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랙바(100)의 좌우 이동정지 제한지점을 인식하여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바 위치 검출을 위한 저항 변위부의 구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동판부(152)는 랙바(100)의 외부 원주면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동판부(152)의 재질은 동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동판에서의 저항변화는 카본 저항체에 비하여 적다고 할 수 있다. 제 1 동판부(152)는 일정한 전압을 공급받는 입력단자(35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카본 저항체부(154)에서, 카본 저항체는 랙바(100)의 외부 원주면상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주기를 갖고 단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본 저항체는 전기적으로 저항 특성을 가지게 되고, 카본 저항체 사이사이에는 동판이 형성되어 있다. 카본 저항체부(154)는 감지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354)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여기에서, 카본 저항체부(154)를 종래와 같이 연속적으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카본 저항체(154b)와 동판(154a)을 불연속적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의 일실시예에서는 상호 교호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온도 변화에 따른 전압변화 및 감지단자(350)와의 접촉상태와 누름여부에 따라서 출력단자(354)에 의하여 검출되는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동판부(156)는 랙바(100)의 외부 원주면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동판부(156)의 재질은 동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동판에서의 저항변화는 카본 저항체에 비하여 적다고 할 수 있다. 제 2 동판부(156)는 접지 역할을 하는 접지단자(356)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제 1 동판부(152)와 카본 저항체부(154)는 제 1 연결부(15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카본 저항체부(154)와 제 2 동판부(156)는 제 2 연결부(155)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제 2 연결부(155)는 제 1 연결부(153)와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제 1 연결부(153)는 A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연결부(155)는 B위치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감지단자(350)는 입력단자(352), 출력단자(354) 및 접지단자(356)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단자는 제 1 동판부(152), 카본 저항체부(354) 및 제 2 동판부(15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입력단자(352)는 제 1 동판부(152)에 입력전압을 공급하고, 출력단자(354)는 현재 카본 저항체부(154)에서의 전압을 검출하여 전자제어장치(500)로 출력하며, 접지단자(356)는 제 2 동판부(156)를 접지 역할을 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에서, 감지단자(350)에서의 출력단자(354)의 폭은 카본 저항체(154b)와 카본 저항체(154b)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한다. 또한, 카본 저항체부(354)의 카본 저항체(154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호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출력단자(354)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카본 저항체(154b)는 출력단자(354)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 카본 저항체(154b) 사이에는 출력단자(354)의 폭보다 넓은 동판(35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8은 도 7에서 랙바의 좌우 변위에 따른 출력단자의 출력전압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랙바(100)의 좌우 이동에 따라서 출력단자(354)의 출력전압의 세기를 보여준다. 랙바(100)의 좌우 이동에 따라 A위치가 감지단자(350)에 위치하는 경우에 출력단자(354)의 출력전압이 가장 크게 된다. 그리고 B위치가 감지단자(350)에 위치하는 경우에 출력단자(354)의 출력전압이 가장 작게 된다.
여기에서, 출력단자(354)에 의한 출력전압은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본 저항체(154b)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출력전압이 일정 기울기로 변화하다가 카본 저항체(154b)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동판(154a)에서는 출력전압이 변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감지단자(350)의 출력단자(354)가 카본 저항체(154b)를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랙바(100)가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인다 하더라도 출력단자(354)에 의하여 검출되는 출력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 특히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있어서 랙바의 외주면 상에 저항 변위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랙바 위치 검출을 위한 보다 간단하고 편리한 랙바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 변위부에서의 저항체부를 카본 저항체와 동판이 상호 교호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감지단자와 저항체와의 접촉상태 및 눌림량의 미소변화에 따라 출력전압이 크게 변동되지 않고, 외란등에 의한 랙바의 미소한 움직임이 바로 출력전압으로 반영되어 조향 휠의 조작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조향 장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장치도,
도 2는 종래의 랙바 위치 검출을 위한 감지장치가 설치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랙바 위치 검출을 위한 저항 변위부의 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랙바의 좌우 변위에 따른 출력단자의 출력전압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바 위치 검출을 위한 감지장치가 설치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단자와 전자제어장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 블록 다이어그램,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바 위치 감지를 위한 저항 변위부의 구조도,
도 8은 도 7에서 랙바의 좌우 변위에 따른 출력단자의 출력전압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랙바, 150: 저항 변위부,
152: 제 1 동판부, 154: 카본 저항체부,
156: 제 2 동판부, 200: 랙바 하우징,
300: 감지장치, 310: 평판,
320: 볼트, 330: 너트,
340: 돌출부, 350: 감지단자,
352: 입력단자, 354: 출력단자,
356: 접지단자, 400: 기어박스,
500: 기어박스 하우징, 600: 전자제어장치.

Claims (4)

  1. 구동 휠의 조향각을 조절하기 위한 좌우로 이동하는 랙바;
    상기 랙바를 감싸면서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랙바 하우징;
    상기 랙바의 외부 원주면 상부에 형성된 제 1 동판부, 저항체부 및 제 2 동판부가 상기 랙바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항체부의 일단은 상기 제 1 동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저항체부의 타단은 상기 제 2 동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 변위부;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접지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접지단자는 각각 상기 제 1 동판부, 저항체부 및 제 2 동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랙바 하우징에 고정된 감지단자부; 및
    상기 감지단자부로부터 검출된 출력전압과 상기 랙바 위치 간의 관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후 상기 감지단자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랙바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로 이루어진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부를 형성하는 저항체가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가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저항체와 동판이 상호 교호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부의 저항체는 카본 저항체이고, 상기 저항체와 저항체 간격은 상기 감지단자의 출력단자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KR1020040042138A 2004-06-09 2004-06-09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KR100599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138A KR100599485B1 (ko) 2004-06-09 2004-06-09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138A KR100599485B1 (ko) 2004-06-09 2004-06-09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990A true KR20050116990A (ko) 2005-12-14
KR100599485B1 KR100599485B1 (ko) 2006-07-13

Family

ID=3729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138A KR100599485B1 (ko) 2004-06-09 2004-06-09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36A1 (ko) * 2019-06-20 2020-12-24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9008B2 (en) 2018-04-25 2024-03-26 Hl Mando Corporation Steer-by-wire type power steer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36A1 (ko) * 2019-06-20 2020-12-24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CN114007923A (zh) * 2019-06-20 2022-02-01 株式会社万都 线控转向型转向装置
US11897549B2 (en) 2019-06-20 2024-02-13 Hl Mando Corporation Steer-by-wire type stee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485B1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9020B1 (en)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failure detection device for rotation angle sensors
KR102628961B1 (ko) 전자기계식 액추에이터 패키지
US7677114B2 (en) Torque sensor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JP2004170185A (ja) 操舵角補正装置
US11001323B2 (en) Electric seatpost assembly
CN112758173A (zh) 电动动力转向系统
MX2012014981A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ajustar el dispositivo de direccion de energia electrica.
US6957713B2 (en) Steering angle detection device for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WO2018233849A1 (en) CABLE-DIRECTION STEERING SYSTEM WITH ABSOLUTE RACK POSITION SENSOR
KR100599485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JP2009292331A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0565376B1 (ko)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JP2007261508A (ja) 舵角検出装置
CN110914137A (zh) 用于转动可转向车轮的设备
EP1927527B1 (en) Steering apparatus
KR100599474B1 (ko) 전륜직진정렬스위치가 부착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US20020195294A1 (en)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KR100688453B1 (ko) 지게차의 조향각도 감지장치
KR20050092949A (ko) 스티어링 휠의 악력감지에 의한 반력조절 스티어 바이와이어 시스템
CN110509992B (zh) 转向装置
KR102660337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조향 장치
KR100530034B1 (ko) 횡가속도에 따라 반력 토크를 조절하는 스티어 바이와이어 시스템의 조향반력제어장치
KR100511859B1 (ko) 랙 바의 변위를 이용한 차량의 전륜 조타각 측정장치
KR100469075B1 (ko) 조향장치용 토션바의 토크 감지장치
KR20240007053A (ko) 포지션 센서 및 스티어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