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376B1 -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376B1
KR100565376B1 KR1020040004701A KR20040004701A KR100565376B1 KR 100565376 B1 KR100565376 B1 KR 100565376B1 KR 1020040004701 A KR1020040004701 A KR 1020040004701A KR 20040004701 A KR20040004701 A KR 20040004701A KR 100565376 B1 KR100565376 B1 KR 100565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r
copper wire
resistor
carbon composite
composit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094A (ko
Inventor
박종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37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 특히 Steer By Wire(SBW) 시스템에서 랙바의 절대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조향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또한, 랙바의 절대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조향 휠 조작위치와 랙바의 절대 위치의 불일치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동휠 조향각을 조절하기 위한 랙바; 랙바가 삽입되어 있고, 좌우 왕복운동하는 랙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원주면에 저항체, 제1동선, 제2동선이 형성되어 있는 카본복합튜브; 카본복합튜브를 감싸 고정하면서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랙바하우징; 카본복합튜브에 형성된 저항체, 제1동선 및 제2동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검출단자; 랙바와 연동하도록 상기 랙바 원주면에 고정 형성되되 랙바와 카본복합튜브가 접촉하는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저항체와 제1동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 및 검출단자로부터 검출되는 출력전압과 랙바의 이동 위치와의 관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후 검출단자로부터 측정되는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랙바 위치를 측정하여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니언, 랙바, 센서, 카본(Carbon)

Description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DETECTOR APPARATUS OF RACK BAR POSITION FOR STEERING A VEHICLE}
도 1은 종래의 전동 조향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장치도,
도 2는 종래의 전동 조향 장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장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4는 검출단자와 전자제어유닛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카본복합튜브와 검출단자가 연결된 외부접속케이블이 나타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카본복합튜브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카본복합튜브와 검출단자와의 관계를 전기적 소자로 모델링화 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랙바, 110: 외주나선홈,
200: 카본복합튜브, 210: 카본 저항체,
220: 제1 동선, 230: 제2 동선,
240: 연결부, 260: 검출단자,
261: 입력단자, 262: 출력단자,
263: 접지단자, 270: 외부접속 케이블,
280: 외부접속단자, 300: 접점,
400: 랙바 하우징, 500: 전자제어유닛(ECU).
본 발명은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 특히 Steer By Wire(SBW) 시스템에서 랙바의 절대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조향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또한, 랙바의 절대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조향휠 조작위치와 랙바의 절대 위치의 불일치를 방지하고자 하는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조향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장치도이다. 도 1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59695(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공개된 내용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휠(6)에 결합된 스티어링 컬럼(2)의 하단에 형성된 피니언(2a)에는 스티어링 축(1)의 외주면에 형성된 랙바(1a)가 맞물려 스티어링 축(1)이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즉, 스티어링 칼럼(2)의 회전력은 스티어링 축(1)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랙바(1a)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스티어링 축(1)의 외주면에는 볼 스크류(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 스크류(3)에는 다수의 볼(4)을 매개로 너트 스크류(4)가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스티어링 축(1)을 직선 운동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너트 스크류(4)는 모터(10)의 회전자(7)의 단부에 볼트등의 체결 부재로 체결되어 있다. 모터(10)는 외부 케이싱의 제 2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는 바, 스티어링 축(1)의 주위에 회전하도록 배치된 회전자(7)와, 회전자(7)의 외주면에 고정, 탑재된 영구자석(9), 및 회전자(7)의 영구자석(9)의 주위에 제 2하우징(11)에 고정적으로 수용된 고정자(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8)는 제 2하우징(11)의 내주면에 배치된 권선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10)는 제 3하우징(13)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원공급부(14)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4)는 모터(9)를 구동시키기 위해 고정자(8)에 기동 전류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미설명 부호 16은 운전자가 조향 휠(6)을 조작함에 따라 회전되는 스티어링 축(1)의 회전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이고, 제어부(17)는 토크 센서(16)로부터 검출된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전원공급부(14)를 제어한다. 미설명 부호 5는 너트 스크류(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동 조향 장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장치도이다. 도 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50631(전동 조향 장치)에 공개된 내용이다.
조향 휠(20)은 운전자의 조향력 입력에 따라 조향각을 발생한다. 이 때, 발생된 조향각은 조향 휠 각도 및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되어 엔코더(31)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가 제어부(40)로 입력된다. 제어부(4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를 증폭 및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 회로(41)와, 디지털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위치제어를 수행하는 보조 처리부(42: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및, 메모리에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메인 처리부(43)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된 신호는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어 차량의 조향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향 구동력 제어신호로 출력된다. 조향 구동 액츄에이터(80)는 상기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조향 구동력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차량 바퀴(95,95')의 조향각을 발생시키기 위해 랙바(91)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기어박스(90)를 구동시킨다. 랙바(91) 좌우에는 타이로드(92,92')가 연결되어 있고, 타이로드(92,92')에는 타이어(95,95')와의 사이에 너클 암(93,93')이 결합 구비되어 있어 타이어의 조향각을 발생시킨다. 운전자의 입력에 대해 발생하는 타이어(95,95')의 조향각과 주행속도 등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의 속도, 요잉 각속도 및 횡 방향 가속도 등의 차량 응답 특성들은 타이어 내측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속도 센서(70,70')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부(40)로 입력된다. 제어부(40)는 속도 센서(70,70')로부터 인가되는 차량의 속도, 요잉 각속도 및 횡 방향 가속도 등의 차량 응답 특성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여 주행상황에 해당하는 조향 반력을 조향 반력 액츄에이터(50)로 출력한다. 제어부(40)로부터 조향 반력 액츄에이터(50)로 전달되는 조향 반력은 조향 휠(20)로 전달됨에 따라 운전자(10)는 조향 반력을 느끼면서 운전할 수 있게된다.
종래의 피니언과 랙이 존재하는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에서는 조향각 검출 은 스티어링 컬럼에 형성된 조향각 센서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 특히 Steer By Wire(SBW) 시스템에서는 조향 랙바 절대 위치를 검출하는데는 스티어링 컬럼의 조향각 센서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조향 휠 밑 부분에 유니버셜 조인트 이하 부분을 제거하고 전선을 통하여 랙바의 기어박스 연결부위에 연결된 모터를 체결하였는바 랙바의 움직임과 조향 휠의 움직임이 상호 불일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차량이 정차중에 조향 휠을 움직이는 경우 조향 휠은 움직이게 되나 랙바의 움직임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스티어링 컬럼을 통한 조향각 센서만으로는 조향 휠 조작위치와 랙바의 절대 위치의 불일치를 방지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 특히 Steer By Wire(SBW) 시스템에서 랙바의 절대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조향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또한, 랙바의 절대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조향휠 조작위치와 랙바의 절대 위치의 불일치를 방지하고자 하는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구동휠의 조향각을 조절하기 위한 랙바; 상기 랙바가 삽입되어 있고, 좌우 왕복운동하는 상기 랙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원주면에 저항체, 제1 동선, 제2 동선이 형성되어 있는 카본복합튜브; 상기 카본복합튜브를 감싸 고정하면서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랙바 하우징; 상기 카본복합튜브에 형성된 저항체, 제1 동선 및 제2 동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검출단자; 상기 랙바와 연동하도록 상기 랙바의 원주면에 고정 형성되되 상기 랙바와 상기 카본복합튜브가 접촉하는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저항체와 제1 동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 및 상기 검출단자로부터 검출되는 출력전압과 랙바의 이동 위치와의 관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후 상기 검출단자로부터 측정되는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랙바의 위치를 측정하여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차륜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도록 장착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조향 휠과 전륜 조향장치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이 없이 전기적인 선으로 대체하여 전륜을 조향하는 시스템을 SBW(Steer By Wire) 시스템이라 한다. 이는, 랙바의 기어박스 연결부위에 모터를 체결하여 모터를 통하여 랙바를 구동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센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랙바 하우징(400)은 랙바(100)가 삽입된 카본복합튜브(200)를 감싸 보호하면서, 랙바(100)가 카본복합튜브(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카본복합튜브(200)를 내부에 고정된 채로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 된다.
카본복합튜브(200)를 감싸 고정하고 있는 랙바 하우징(400)은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랙바(100)는 카본복합튜브(200)에 삽입되어 상대적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하므로, 랙바 하우징(400)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카본복합튜브(200)를 이용하여 차체를 기준으로 랙바(100)의 절대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랙바(100)의 일측은 타이로드(미도시)와 너클 암(미도시)을 통해 구동휠에 연결되고, 타측은 조향구동 엑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어박스(미도시)에 연결된다.
랙바(100)의 타측에는 기어박스에 의하여 랙바(100)가 좌우 직선 왕복을 하도록 외주 나선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카본복합튜브(200)는 절연체(예를들어, 에폭시 소재)로 구성되고, 랙바(100)에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 직선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이다. 카본복합튜브(200)의 원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카본 저항체(210), 제1 동선(220), 제2 동선(230)이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되도록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검출단자(260)는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접지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자를 통해 카본 저항체(210), 제1 동선(220) 및 제2 동선(230)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검출단자(260)는 일단에 외부 접속단자(280)가 형성된 외부 접속 케이블(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있고, 검출단자(260)가 카본복합튜브(200)에 형성된 카본 저항체(210), 제1 동선(220) 및 제2 동선(230)과 고정된 채로 전기적 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랙바 하우징(400)에 의하여 고정된다.
접점(300)은 랙바(100)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카본복합튜브(200)의 내부 원주면에 형성된 카본 저항체(210)과 제1 동선(220)을 접촉된 채로 랙바(100)와 함께 좌우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카본 저항체(210)와 제1 동선(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4는 검출단자(260)와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500)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검출단자(260)는 외부 접속케이블(270)을 통해 전자제어유닛(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자제어유닛(500)은 일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ROM, RAM)를 갖는다. 상기 메모리에 기 설정되어진 프로그램에 의하여 검출단자(260)로부터 검출되는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랙바(100)의 위치를 측정하여 조향장치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카본복합튜브(200)와 검출단자(260)가 연결된 외부 접속케이블(270)이 나타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카본복합튜브(200)의 정면도이다.
카본 저항체(210)는 전기적으로 저항특성을 갖고 있고, 카본복합튜브(200)의 내부 원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본복합튜브(200)의 외부 원주면에도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본복합튜브(200)의 외부 원주면에 구성된 카본 저항체(210)는, 카본복합튜브(200)의 외부 원주면에 구성된 카본 저항체(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카본복합튜브(200)의 전체의 길이 만큼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에만 구성될 수도 있다.
카본 저항체(210)는 검출단자(260)로부터 일정 전원을 공급받는 검출단자(260)의 입력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저항소자로 작용한다.
제1동선(220)은 카본 저항체(21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면서 나란하게 카본복합튜브(200)의 내부 원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카본복합튜브(200)의 외부 원주면에도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본복합튜브(200)의 외부 원주면에 구성된 제1 동선(220)은, 카본복합튜브(200)의 외부 원주면에 구성된 제1 동선(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본복합튜브(200)의 전체의 길이만큼 구성될 수 있고, 일부에만 구성될 수도 있다.
카본복합튜브(200)의 내부 원주면에 형성된 제1 동선(220)은 접점(300)에 의하여 카본 저항체(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카본복합튜브(200)의 외부 원주면 형성된 제1 동선(220)은 검출단자(260)의 출력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동선(220)은 검출된 전압을 검출단자(260)의 출력단자로 제공하는 출력 전압 검출단자로 기능한다.
제2 동선(230)은 제1 동선(22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면서 나란하게 카본복합튜브(200)의 외부 원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된다.
제2 동선(230)은 검출단자(260)의 접지단자(미도시)로부터 접지전압을 제공 받으므로 랙바(100)와 접촉하는 카본복합튜브(200)의 내부 원주면에는 형성될 필요가 없다.
제2 동선(230)은 연결부(240)에 의하여 카본 저항체(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부(240)는 카본 저항체(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쪽의 반대 쪽 카본복합튜브 끝단에 형성되어 카본 저항체(210)와 제2 동선(230)을 연결한다.
검출단자(260)는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접지단자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자를 통해 카본 저항체(210), 제1 동선(220) 및 제2 동선(230)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입력단자를 통해 카본 저항체(210)에 입력전압을 공급하고, 출력단자를 통해 제1 동선(220)에 의하여 검출된 출력전압을 전자제어유닛(500)으로 출력하며, 접지단자를 통해 제2 동선(230)에 접지전압을 공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카본복합튜브(200)에 형성된 카본 저항체(210), 제1 동선(220) 및 제2 동선(230), 랙바(100)의 원주면에 형성된 접점(300), 입력단자(261), 출력단자(262) 및 접지단자(263)로 이루어진 검출단자(260)와의 관계를 전기적 소자로 모델링화 한 회로도이다.
카본 저항체(210)는 저항소자로 일단은 검출단자(260)의 입력단자(261)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동선(230)과 연결된다.
카본 저항체(210)는 검출단자(260)의 입력단자(261)로부터 입력전압(Vin)을 공급받고, 제2 동선(230)을 통해 검출단자(260)의 접지단자(263)로부터 접지전압(Ground)을 공급받는다.
제1 동선(220)은 일단은 검출단자(260)의 출력단자(262)와 연결되고, 랙바(100)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에서 접점(300)에 의하여 카본 저항체(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동선(230)은 검출단자(260)의 접지단자(263)와 연결되어 있다.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랙바(100)와 연동하는 접점(300)의 이동에 따라 카본 저항체(210)의 저항은 저항 R1과 저항 R2로 분배된다.
카본 저항체(210)의 일단에는 입력전압(Vin)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접지전압(Ground)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접점(300)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전압분배원리에 따라
Vout = ( R1 / (R1 + R2) ) * Vin
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접점(300)에 의하여 검출된 출력전압(Vout)은 제1 동선(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검출단자(260)의 출력단자(262)를 통해 전자제어유닛(500)으로 제공되어 랙바(100)의 절대 위치가 측정되게 된다.
전자제어유닛(500)은 검출단자(260)의 출력단자(262)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전압(Vout)을 받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출력전압과 랙바(100)의 위치간의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랙바의 절대 위치를 측정한다.
또한, 랙바(100)의 좌우 이동 정지 제한지점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이를 전자제어유닛(500)에 미리 저장한 후, 검출되는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랙바(100)의 좌우 이동정지 제한지점을 인식하여 랙바(100)의 좌우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 특히 Steer By Wire(SBW) 시스템에서 랙바의 절대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조향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랙바의 절대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조향휠 조작위치와 랙바의 절대 위치의 불일치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본복합튜브에 저항체와 동선을 도포하여 일체로 형성하므로 렉바 위치 검출장치의 제작이 수월하고, 그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여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조향각 측정 센서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랙바의 좌우 이동정지 제한지점을 인식하여 랙바의 좌우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Claims (7)

  1. 구동휠의 조향각을 조절하기 위한 랙바;
    상기 랙바가 삽입되어 있고, 좌우 왕복운동하는 상기 랙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원주면에 저항체, 제1 동선, 제2 동선이 형성되어 있는 카본복합튜브;
    상기 카본복합튜브를 감싸 고정하면서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랙바 하우징;
    상기 카본복합튜브에 형성된 저항체, 제1 동선 및 제2 동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검출단자;
    상기 랙바와 연동하도록 상기 랙바의 원주면에 고정 형성되되 상기 랙바와 상기 카본복합튜브가 접촉하는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저항체와 제1 동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 및
    상기 검출단자로부터 검출되는 출력전압과 랙바의 이동 위치와의 관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후 상기 검출단자로부터 측정되는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랙바의 위치를 측정하여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복합튜브의 저항체 및 제1 동선은 카본복합튜브의 내부 원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되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복합튜브의 저항체 및 제1 동선은 카본복합튜브의 외부 원주면에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카본복합튜브 내부 원주면에 형성된 저항체 및 제1 동선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카본복합튜브의 외부 원주면에 제2 동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 및 제 2 동선의 일단에는 각각 상기 검출단자를 통해 입력전압 및 접지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저항체 및 제 2 동선의 타단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저항체 및 제 1 동선은 랙바의 이동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접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동선에 의해 출력전압이 검출되어 상기 검출단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랙바의 좌우 이동 정지 제한지점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미리 저장한 후, 상기 검출단자로부터 검출되는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랙바의 좌우 이동정지 제한지점을 인식하여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7. 외부 원주면에 도포되어 형성되고, 내부 원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도포되어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저항체;
    외부 원주면에 상기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도포되어 형성되고, 내부 원주면에 상기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도포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제1 동선 및
    외부 원주면에 도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항체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동선으로 이루어진 카본복합튜브로 이루어진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KR1020040004701A 2004-01-26 2004-01-26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KR100565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01A KR100565376B1 (ko) 2004-01-26 2004-01-26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01A KR100565376B1 (ko) 2004-01-26 2004-01-26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094A KR20050077094A (ko) 2005-08-01
KR100565376B1 true KR100565376B1 (ko) 2006-03-30

Family

ID=3726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701A KR100565376B1 (ko) 2004-01-26 2004-01-26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96B1 (ko) * 2019-05-16 2020-11-04 주식회사 만도 조향 제어 장치와 그 방법, 및 조향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96B1 (ko) * 2019-05-16 2020-11-04 주식회사 만도 조향 제어 장치와 그 방법, 및 조향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094A (ko)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18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bsolute position using difference between detection signals of two detectors
KR102628961B1 (ko) 전자기계식 액추에이터 패키지
US7325646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P2019020A2 (en)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failure detection device for rotation angle sensors
US6957713B2 (en) Steering angle detection device for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8827031B2 (en) Motor vehicle steering system
US9828021B2 (en) Power steering apparatus
CN112758173A (zh) 电动动力转向系统
CN114007922A (zh) 用于使可转向车轮转弯的设备
JP201008969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65218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9487231B2 (en) Tie rod force sensing systems and methods
WO2018233849A1 (en) CABLE-DIRECTION STEERING SYSTEM WITH ABSOLUTE RACK POSITION SENSOR
JP5311102B2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0565376B1 (ko) 전동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KR100599485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랙바 위치 검출장치
US20200164912A1 (en) Apparatus for use in turning steerable vehicle wheels
JP364394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020013B2 (ja) 車両用操舵装置
JP2007218822A (ja) 絶対操舵位置検出装置
US20020195294A1 (en)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KR100599474B1 (ko) 전륜직진정렬스위치가 부착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JP2023117612A (ja) 操舵装置
KR100688453B1 (ko) 지게차의 조향각도 감지장치
JP7027985B2 (ja) 舵角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