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673A -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673A
KR20050116673A KR20040041816A KR20040041816A KR20050116673A KR 20050116673 A KR20050116673 A KR 20050116673A KR 20040041816 A KR20040041816 A KR 20040041816A KR 20040041816 A KR20040041816 A KR 20040041816A KR 20050116673 A KR20050116673 A KR 20050116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roviding
client terminal
cli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4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584B1 (ko
Inventor
국승표
백칠현
안태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4004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584B1/ko
Priority to PCT/KR2005/001649 priority patent/WO2005120092A1/en
Priority to JP2007514912A priority patent/JP4446047B2/ja
Priority to US11/569,899 priority patent/US8014799B2/en
Publication of KR2005011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584B1/ko
Priority to JP2009233340A priority patent/JP5213131B2/ja
Priority to US12/701,238 priority patent/US8965418B2/en
Priority to US12/701,218 priority patent/US8285262B2/en
Priority to US13/437,580 priority patent/US8942740B2/en

Links

Landscapes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공 및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고유 아이디(ID)를 각각 할당한 후, 할당한 고유 아이디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log)를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분석한다. 이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시한 후,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 로그 분석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update)한다. 이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별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제공 및 관리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및 관리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고급화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본연의 기능인 음성 호 처리 외에 단문 메시지 송수신에서부터 동영상 메일 송수신, 폰 북(phone book), 일정 관리, 계산기, 전화 번호부 및 동영상 게임 등과 같은 각종 부가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각 단말기의 사용 로그(log)를 분석하여 해당 클라이언트가 자주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이하 'URL' 이라 함)을 추천 및 제공하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URL 추천 기능은 초기 메뉴의 개인화 또는 추천 메뉴 제공, 클라이언트가 이용했던 사용 내역(history) 제공 등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시 그 한계성이 드러나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서비스 만족도 저하를 가져온다.
자세히 설명하면, 개인화 적용 범위는 우선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접속한 후, 브라우저나 플랫폼을 구동시킨 후에 제공되는 형태로서, 무선 인터넷을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에게만 제공되는 아주 제한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거나 능동적이지 못한 클라이언트의 경우, 새로운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기란 결코 쉽지가 않다.
즉,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다마구찌' 와 같은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다수의 URL에 일일이 접속하거나 검색하도록 하는 불편함을 준다. 이는 곧, 이용자로 하여금 시간과 비용 낭비를 유발시켜 서비스 만족도 저하라는 큰 문제를 가져온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단말기별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거나,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상호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고유 아이디(ID)를 각각 할당하여 관리하는 아이디 할당/관리부; 상기 할당한 고유 아이디를 통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log)를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분석하는 사용 로그 체크/통계부;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시하며, 상기 제시한 어플리케이션 중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 및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update)하는 어플리케이션 갱신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로부터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부; 상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과 일대일 대응하는 기능키를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서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기능키의 명칭을 변경하는 기능키 선택/변경부; 상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의 구동 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변경하는 구동화면 변경부; 및 상기 설정된 기능키가 클릭되면, 상기 클릭된 기능키와 일대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변경된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상호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고유 아이디(ID)를 각각 할당하여 관리하는 단계; b)상기 할당한 고유 아이디를 통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log)를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분석하는 단계; c)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시한 후, 상기 제시한 어플리케이션 중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d)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상호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고유 아이디(ID)를 각각 할당하여 관리하는 기능; b)상기 할당한 고유 아이디를 통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log)를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분석하는 기능; c)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시한 후, 상기 제시한 어플리케이션 중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능; 및 d)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update)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1~300n)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1~300n)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400)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한 구조를 이루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별로 고유 아이디(ID)를 각각 할당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별 고유 아이디 할당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전화 번호(phone number)를 고유 아이디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할당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성별, 직업 및 취미 등)에 따라 기본적인 어플리케이션(일종의 디폴트)을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이후, 클라이언트가 할당받은 고유 아이디로 유무선 통신망(200)에 접속하면,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단말기(300)의 사용 패턴(일종의 이벤트 로그)을 체크한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기(300)가 어느 URL에 접속하는지 또는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시키는지와 같은 사용 패턴을 일정 주기 동안 체크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체크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 제시하며, 클라이언트는 제시 받은 어플리케이션 중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신규 버전 또는 자신이 좋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받는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한 동작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어플리케이션을 갱신(update)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주기적으로 제공 및 갱신해 줌으로써, 그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온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40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과 일대일 대응하는 기능키를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단말기 상에서 선택하며, 선택한 기능키의 명칭 역시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수정한다.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400)는 클라이언트의 기능키 클릭에 따라, 클릭된 기능키와 일대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시키는데, 이때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 역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다른 구동 화면으로 변경한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친구의 사진이나 각종 아바타 등으로 구동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제공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일대일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선택한 기능키의 명칭 역시 클라이언트의 기호에 맞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역시 자신이 원하는 화면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특정 기능키에 매핑된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가 임의로 교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그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온다.
그러면, 상기한 구조를 이루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10)와 아이디(ID) 할당/관리부(120), 사용 로그 체크/통계부(130),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140), 어플리케이션 갱신부(150) 및 비용 정산/관리부(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400)는 네트워크 접속부(410)와 데이터 송수신부(420),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부(430), 기능키 선택/변경부(440), 구동화면 변경부(450) 및 인터페이스 제공부(460)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1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및 관리하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추가 개발하거나 업데이트하여 관리한다.
아이디 할당/관리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별로 고유 아이디(ID)를 할당하며, 할당한 고유 아이디를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전화 번호(phone number)를 고유 아이디로 각각 분류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사용 로그 체크/통계부(130)는 할당한 고유 아이디를 통해 네트워크(200)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 로그를 일정 기간 동안 체크하며, 체크 결과를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14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사용 로그를 체크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 제시하며,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갱신부(15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 체크 결과 또는 개인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기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신규 버전을 추가로 제공하거나 업데이트한다.
비용 정산/관리부(160)는 서비스 제공료, 즉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신규 또는 업데이트에 관한 어플리케이션별 일정 비용을 부과 및 정산한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400)의 네트워크 접속부(410)는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특정 URL에 접속한다.
데이터 송수신부(420)는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부(430)는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140)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며,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역시 어플리케이션 갱신부(150)로부터 다운로드한다.
기능키 선택/변경부(440)는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과 일대일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하며, 선택한 기능키의 명칭 역시 클라이언트의 기호에 맞게 변경한다. 이는, 특정 기능키에 매핑된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가 임의로 교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구동화면 변경부(450)는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나타나는 구동 화면을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다른 배경의 구동 화면으로 변경한다. 이때, 구동화면 변경부(450)는 미리보기 화면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며,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미리보기한 후, 다시 변경하거나 그대로 사용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제공부(460)는 클라이언트가 단말기상의 특정 기능키를 클릭하면, 클릭된 기능키와 일대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변경된 구동 화면 역시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단말기별 사용 로그를 주기적으로 체크 및 분석하여 그에 맞는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가 추천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바로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면, 상기한 구성을 이루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먼저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아이디 할당/관리부(1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고유 아이디(ID)를 할당(S301)하며,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140)는 할당시 개인 정보(예를 들어, 성별, 직업 및 취미 등)에 따라 기본적인 어플리케이션(일종의 default)을 제공한다(S302).
즉,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140)는 클라이언트의 성별 또는 직업 등에 따라 그에 맞는 기본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400) 내의 네트워크 접속부(410)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에게 주어진 전용 아이디를 토대로 유무선 통신망(200)에 접속(S303)하거나 단말기(300)에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 로그 체크/통계부(1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를 이미 할당한 고유 아이디별로 체크하는데, 체크 결과 역시 일정 기간별로 분석하여 통계치 자료화 한다(S304).
이후,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140)는 단말기별 사용 로그 분석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에게 맞는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제시하며, 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한다(S305).
그러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400)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부(430)는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S306).
이후, 어플리케이션 갱신부(150)는 상기한 동작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기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갱신(S307)하거나, 신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온다.
그리고, 비용 정산/관리부(160)는 서비스 제공료, 즉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제공한 신규 또는 업데이트 관련 어플리케이션 비용을 부과 및 정산한다(S308).
한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400)의 기능키 선택/변경부(440)는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과 일대일 대응하는 기능키를 선택하며, 선택한 기능키의 명칭 역시 클라이언트의 기호에 맞게 변경한다(S309).
이후, 구동화면 변경부(450)는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나타나는 구동 화면을 다른 배경의 구동 화면으로 변경한다(S310).
즉,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단말기(300)에 기 저장된 남자 친구의 얼굴 사진을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구동화면 변경부(450)는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사진 파일을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으로 변경한다.
이때, 구동화면 변경부(450)는 미리보기 화면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여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미리보기한 후, 구동 화면을 다시 변경하거나 그대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후, 인터페이스 제공부(460)는 클라이언트가 단말기상의 기능키를 클릭하면, 클릭된 기능키와 일대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제공(S311)하며, 변경된 구동 화면 역시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특정 기능키에 매핑된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가 임의로 교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거나,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주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그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온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단말기별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거나,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주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그로 인한 클라이언트별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기능키에 매핑된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가 임의로 교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7)

  1.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상호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고유 아이디(ID)를 각각 할당하여 관리하는 아이디 할당/관리부;
    상기 할당한 고유 아이디를 통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log)를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분석하는 사용 로그 체크/통계부;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시하며, 상기 제시한 어플리케이션 중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 및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update)하는 어플리케이션 갱신부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로부터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부;
    상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과 일대일 대응하는 기능키를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서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기능키의 명칭을 변경하는 기능키 선택/변경부;
    상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의 구동 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변경하는 구동화면 변경부; 및
    상기 설정된 기능키가 클릭되면, 상기 클릭된 기능키와 일대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변경된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고유 아이디를 할당함과 동시에 기본적인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한 고유 아이디(ID)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상호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고유 아이디(ID)를 각각 할당하여 관리하는 단계;
    b)상기 할당한 고유 아이디를 통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log)를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분석하는 단계;
    c)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시한 후, 상기 제시한 어플리케이션 중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d)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시/제공부로부터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 단계;
    상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과 일대일 대응하는 기능키를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서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기능키의 명칭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의 구동 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기능키가 클릭되면, 상기 클릭된 기능키와 일대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변경된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7.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상호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고유 아이디(ID)를 각각 할당하여 관리하는 기능;
    b)상기 할당한 고유 아이디를 통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별 사용 로그(log)를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분석하는 기능;
    c)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제시한 후, 상기 제시한 어플리케이션 중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능; 및
    d)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update)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40041816A 2004-06-02 2004-06-08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598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1816A KR100598584B1 (ko) 2004-06-08 2004-06-08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PCT/KR2005/001649 WO2005120092A1 (en) 2004-06-02 2005-06-02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and management service and modif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JP2007514912A JP4446047B2 (ja) 2004-06-02 2005-06-02 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管理サービスの提供、並びに使用者インターフェースの変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1/569,899 US8014799B2 (en) 2004-06-02 2005-06-02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and management service and modif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JP2009233340A JP5213131B2 (ja) 2004-06-02 2009-10-07 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管理サービスのシステムと方法、及び記憶媒体
US12/701,238 US8965418B2 (en) 2004-06-02 2010-02-05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and management service and modif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US12/701,218 US8285262B2 (en) 2004-06-02 2010-02-05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and management service and modif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US13/437,580 US8942740B2 (en) 2004-06-02 2012-04-02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and management service and modif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1816A KR100598584B1 (ko) 2004-06-08 2004-06-08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673A true KR20050116673A (ko) 2005-12-13
KR100598584B1 KR100598584B1 (ko) 2006-07-07

Family

ID=3729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41816A KR100598584B1 (ko) 2004-06-02 2004-06-08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5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361B1 (ko) * 2006-02-15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디지털 기기들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WO2007139349A1 (en) * 2006-05-30 2007-12-06 Sk Telecom Co., Ltd. Method for configurating keypad of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and the keypad capable of reconfiguration
KR101535194B1 (ko) * 2013-07-17 2015-07-09 전자부품연구원 IoT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위한 다운로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361B1 (ko) * 2006-02-15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디지털 기기들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WO2007139349A1 (en) * 2006-05-30 2007-12-06 Sk Telecom Co., Ltd. Method for configurating keypad of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and the keypad capable of reconfiguration
KR101535194B1 (ko) * 2013-07-17 2015-07-09 전자부품연구원 IoT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위한 다운로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584B1 (ko) 200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6047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管理サービスの提供、並びに使用者インターフェースの変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9503834B2 (en) Application catalog on an application server for wireless devices
US6356543B2 (en) Controlling mobile phone system user views from the world-wide web
JP5047238B2 (ja) 加入フィルタを広告アプリケーションにマッピ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50202805A1 (en) Terminal function setting method, terminal function setting system, terminal, and program
EP21564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ommunications via small data rate communication systems
CN101330674A (zh) 一种动态更新手机软件菜单的方法
JP2005532638A (ja) サーバアドレス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端末、およびサーバ
CN101069359B (zh) 移动通信终端及改变其待机画面模板类型的方法
US20100058168A1 (en) Multiple views for web applications across multiple endpoints
JP5220708B2 (ja) 広告目的のためのデータファサード加入フィルタを用い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031554B1 (ko) 코드값을 통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98584B1 (ko)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US200701302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s to mobile terminal
KR100616604B1 (ko) 개인화된 이동통신 단말기 배경화면 설정 및 자동 갱신 방법
JPWO2006075389A1 (ja) 通信端末装置
KR2006003922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랫폼 콜백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다운로드 방법
JP2008181532A (ja) ツールバー構成情報提供サーバでの処理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利用者端末
KR10072371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컨텐츠별 메뉴 리스트 동적 변경 방법 및시스템
KR2005004618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JP2005217527A (ja) ツールバー構成情報提供サーバ及びツールバー構成情報提供サーバでの処理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ツールバー構成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5332199A (ja) 携帯端末、コンテンツ閲覧方法、コンテンツ閲覧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閲覧システム。
KR100538597B1 (ko) 무선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의 팝업 메뉴 제공 방법
JP2002176516A (ja) 携帯電話における待ち受け画面用コンテンツの提供方法
KR20050088010A (ko) 모바일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