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182A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182A
KR20050046182A KR20030080202A KR20030080202A KR20050046182A KR 20050046182 A KR20050046182 A KR 20050046182A KR 20030080202 A KR20030080202 A KR 20030080202A KR 20030080202 A KR20030080202 A KR 20030080202A KR 20050046182 A KR20050046182 A KR 20050046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8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830B1 (ko
Inventor
안태효
김훈배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3008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83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830B1/ko

Links

Landscapes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에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토콜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프로토콜을 지원 받은 후, 신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한 정보를 공지 사항 형식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upgrade)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킨다.
이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어플리케이션을 일일이 검색하거나 열람할 필요 없이,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하게 다운로드 및 실행시킬 수 있으며,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편리한 홍보 및 그로 인한 엄청난 수익 증대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 DOWNLOADING AND EXECU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AME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고급화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본연의 기능인 음성 호 처리 외에 단문 메시지(SMS) 송수신에서부터 동영상 메일 송수신, 폰북(phone book), 일정 관리, 계산기, 전화 번호부 및 동영상 게임 등과 같은 각종 부가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인터넷의 각종 자원을 검색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인 모바일 브라우저(예를 들어,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무선 응용 통신 규약 등, 이하 'WAP'라 함)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신규 게임이나 증권 관련 프로그램 등)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킴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필요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방법은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센터나 매장을 방문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시키거나, 서비스 제공 업체가 지정한 메뉴들을 열람한 후, 그 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특정 기능란을 클릭하거나 선택해야만 한다. 이는 곧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로운 절차 수행으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방법은 각각의 서비스 제공 업체들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별 적용 프로토콜이나 플래폼(Platform)이 다르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확인 후, 그에 맞는 구동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형태를 사용자가 직접 인지해야만 한다. 그리고, 인지 결과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번거로운 절차들을 없애기 위한 관련 기술로는, 특허권자가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및 조정남인 [특허명칭 : 왑을 이용한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 공개번호 : 2002-9685호]의 특허가 있는데, 이는 WAP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하여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사전 인식한다. 그리고, 해당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 다운로드되는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를 자동으로 실행시켜, 실행 속도 향상과 사용자 만족을 동시에 꾀한다.
그러나,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은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성격에 상관없이 오직 WAP이라는 특정 프로토콜에 국한되어 한정된 응용 프로그램만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신의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공지 사항 수락 여부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또는 업그레이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로 하여금 자사에서 개발한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편리한 홍보 및 그로 인한 엄청난 수익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에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확인부;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값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 확인/관리부; 상기 확인한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제조회사와 다운로드당 가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공지사항 확인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한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실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확인/지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바로 이전에 실행하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 종료 후 상기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이전 어플리케이션으로 복귀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전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 개발 회사 및 어플리케이션 종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등록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상기 등록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유니크 키(Unique Key) 값을 포함하는 고유값을 각각 할당한 후, 상기 할당한 고유값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여 관리하는 고유값 할당/관리부;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조회사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와 다운로드당 가격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 상기 제공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프로토콜을 각각 지원하는 프로토콜 지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확인부; 상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고유값을 할당한 후,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 확인/관리부; 및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전송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에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값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c)상기 확인한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제조회사와 다운로드당 가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상기 디스플레이한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에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 b)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값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기능; c)상기 확인한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제조회사와 다운로드당 가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및 d)상기 디스플레이한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내지 제n 클라이언트 단말기(이동 통신 단말기, 201~200n)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와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이동통신 서비스 센터, 600)와도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600)로부터 자사에서 개발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신규 게임이나 증권 및 메일 관련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 등록 신청을 접수한다.
즉,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600)는 자사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에 등록시킴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1회 다운로드당 가격 및 어플리케이션 종류 등) 역시 함께 등록시킨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600)는 웹페이지 상의 정보 입력을 통해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방법(예를 들어, 메일 송신 또는 메시지 송수신 등)을 통해 신규 어플리케이션 등록을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는 등록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각각의 고유값을 할당한 후, 할당한 고유값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는 등록한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관련 프로토콜 역시 함께 분류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별 고유값이란 클래스 아이디(Class ID)와 같은 유니크 키 값과 어플리케이션 이름, 어플리케이션이 서버(400) 상에 위치에 있는 절대 주소나 번지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단말기(200) 내에 이미 내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메일, 메신저, 증권 또는 게임 등)을 실행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에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으면,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 후, 지원할 수 없으면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해당 프로토콜을 지원받는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증권이나 게임 관련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이하 'TCP/IP' 라 함)를 지원받는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에 신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내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 이미 내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면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공지 사항 관련 메시지를 무시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별 고유값에 따라 단말기(200) 내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한편, 확인 결과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신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한 정보를 공지 사항의 형식에 따라 단말기(200)의 창(Window)에 디스플레이 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공지 사항의 형식에 따라 해당 단말기(200) 창에 디스플레이 시키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방법(예를 들어, 전자 메일 또는 쪽지 등)을 통해 신규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이 필요로 하는 또는 자신에게 필요한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일일이 검색할 필요 없이, 단말기 창에 디스플레이되는 공지 사항을 따라 용이하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줌으로써,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그 선택 여부에 따라 단말기 내의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시, 그 종류와 무관하게 관련 프로토콜을 사전에 지원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시 적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무제한적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온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러한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내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역시 가능하게 한다. 즉, 클라이언트의 선택 여부에 따라, 업그레이드 관련 어플리케이션 역시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시, 지정한 메뉴들을 열람한 후, 그 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특정 기능란을 클릭하거나 선택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절차 없이,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가 실행시켜 놓은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증권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200) 상의 메모리(미도시)에 기록해 둠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선택 여부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 종료 후 이전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통해 알아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확인부(110)와 프로토콜 확인/지원부(120), 어플리케이션 확인/관리부(130), 공지사항 알림부(140),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실행부(150) 및 어플리케이션 전환부(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410)와 고유값 할당/관리부(420),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430), 프로토콜 지원부(440)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5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의 구성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 등록부(41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600)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접수받아 등록시킨다. 그리고, 등록시킨 신규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개발회사와 어플리케이션 종류 및 1회 다운로드당 가격 등) 역시 함께 접수받아 등록시킨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600)는 웹사이트 접속을 통한 웹페이지상의 정보란 입력 등을 통해 신규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정보 접수를 할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외 다른 방법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정보 접수를 할 수도 있다.
고유값 할당/관리부(420)는 등록시킨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고유값을 할당한 후, 할당한 고유값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여 관리한다.
이때, 고유값은 클래스 아이디(Class ID)와 같은 유니크 키 값과 어플리케이션 이름, 어플리케이션이 서버(400) 상에 위치에 있는 절대 주소나 번지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정보 등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430)는 고유값을 가지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을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내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알려주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제조 회사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 종류 및 가격 등을 포함하는 공지 사항 역시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내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알려준다.
프로토콜 지원부(440)는 공지 사항을 접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요청받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즉, 해당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필요한 관련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50)는 단말기(200) 사용자의 수락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요청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또는 업그레이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제공한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신규 어플리케이션 확인부(110)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300)에 접속하면,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에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프로토콜 확인/지원부(120)는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시 필요한 프로토콜을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토콜 확인/지원부(120)는 확인 결과 내부 프로토콜 또는 프로토콜 추가를 통해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가능하면 그에 따른 지원을 하는 반면, 가능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신규 프로토콜을 지원받는다.
어플리케이션 확인/관리부(13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받는 어플리케이션별 고유값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내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공지 사항을 무시한다.
공지사항 알림부(140)는 확인 결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공지 사항을 단말기(200) 창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그 외 별도의 공지 사항을 단말기(200) 창에 디스플레이 한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실행부(150)는 디스플레이한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선택 사항에 따라, 사전에 지원받거나 지원한 프로토콜을 통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신규 어플리케이션, 또는 업그레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구동시킨다.
어플리케이션 전환부(160)는 클라이언트가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바로 이전에 실행하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증권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200) 상의 메모리(미도시)에 기록하여 두어 클라이언트의 선택 여부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 종료 후 이전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시 복귀시킨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통해 알아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로서, 업그레이드 관련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제외한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먼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600)는 자사 또는 자신들이 개발(S301)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신규 어플리케이션들을 접수하기 위해 웹사이트 접속 후 웹페이지상의 정보 입력을 수행하며, 어플리케이션 등록부(410)는 입력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정보(개발회사와 어플리케이션 종류 및 1회 다운로드당 가격 등)를 함께 등록시킨다(S302).
이후, 고유값 할당/관리부(420)는 등록시킨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고유값을 할당(S303)한 후, 할당한 고유값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여 관리한다.
이때, 고유값은 클래스 아이디(Class ID)와 같은 유니크 키 값과 어플리케이션 이름, 어플리케이션이 서버(400) 상에 위치에 있는 절대 주소나 번지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430)는 등록시킨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필요한 관련 프로토콜을 공지한다(S304).
한편,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300)에 접속하면, 신규 어플리케이션 확인부(11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에 새롭게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 확인한다(S305).
이후,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토콜 확인/지원부(120)는 새롭게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시 필요한 프로토콜을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확인한다(S306).
이후, 프로토콜 확인/지원부(120)는 확인 결과 내부 프로토콜 또는 프로토콜 추가를 통해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가능한지를 확인(S307)하여, 확인 결과 가능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의 프로토콜 지원부(440)로부터 신규 프로토콜을 지원받는다(S308).
반면, 확인 결과 프로토콜 지원이 가능하면, 단말기(200) 내부의 프로토콜(예를 들어, UDP, HTTP, TELNET, SMTP 또는 POP3 등) 또는 프로토콜 추가를 통해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지원한다(S309).
예를 들어, TCP/IP 기반의 네트워크형 게임을 신규로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경우, 프로토콜 확인/지원부(120)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프로토콜을 추가시킨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확인/관리부(13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430)로부터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별 고유값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내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10).
확인 결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어플리케이션 확인/관리부(13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공지 사항을 무시한다 (S311).
반면, 확인 결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공지사항 알림부 (14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430)로부터 수신하는 공지 사항을 단말기(200) 창에 디스플레이한다(S312).
이후, 디스플레이한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선택 여부에 따라, 사전에 지원받거나 지원 가능한 프로토콜에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400)의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5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킨다(S313).
이후, 어플리케이션 전환부(160)는 클라이언트의 선택 사항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 종료 후,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바로 이전에 실행하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증권 관련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시 복귀시킨다(S314).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추가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S315)하여, 추가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앞서 언급한 동작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 확인 결과 추가 서비스 요청이 없으면 해당 동작 과정을 종료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이 찾는 어플리케이션을 일일이 검색하거나 열람할 필요 없이,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공지 사항 수락 여부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또는 업그레이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그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600)로 하여금 자사에서 개발한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편리한 홍보 및 그로 인한 엄청난 수익 증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해 알아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제1 내지 제n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와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600)와도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400)의 구성 및 동작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확인부(410)와 어플리케이션 확인/관리부(420), 인터페이스부(430)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프로토콜 확인/지원부(110)와 공지사항 알림부(120),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실행부(130) 및 어플리케이션 전환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400)의 신규 어플리케이션 확인부(41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600)로부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어플리케이션 확인/관리부(420)는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고유값을 할당한 후, 할당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고유값은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어플리케이션의 존재 위치인 절대 주소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한다.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값을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또는 서비스 제공자(600)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인터페이스부(43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내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500) 및 서비스 제공자(60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40)는 신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존재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40)는 전송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고유값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프로토콜 확인/지원부(11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40)로부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서 지원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확인한 결과에 따라 해당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공지사항 알림부(12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40)로부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제조회사와 다운로드당 가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창에 디스플레이한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실행부(130)는 디스플레이한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제공부(44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킨다.
어플리케이션 전환부(140)는 실행시킨 신규 어플리케이션 바로 이전에 실행시켰던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메모리에 기록한 후,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 종료 후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이전 어플리케이션으로 복귀시킨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이 찾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일일이 검색하거나 열람할 필요 없이,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공지 사항 수락 여부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또는 업그레이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하게 다운로드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및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자사에서 개발한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편리한 홍보 및 그로 인한 엄청난 수익 증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2)

  1.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에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확인부;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값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 확인/관리부;
    상기 확인한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제조회사와 다운로드당 가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공지사항 확인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한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실행부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확인/지원부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바로 이전에 실행하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 종료 후 상기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이전 어플리케이션으로 복귀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전환부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값은,
    클래스 아이디(Class ID)를 포함하는 유니크 키(Unique Key) 값과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존재 위치인 절대 주소 및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확인/지원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프로토콜이나 상기 내부 프로토콜에 다른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확인/지원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없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추가 프로토콜을 지원받아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시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실행부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
  8.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 개발 회사 및 어플리케이션 종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등록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상기 등록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유니크 키(Unique Key) 값을 포함하는 고유값을 각각 할당한 후, 상기 할당한 고유값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여 관리하는 고유값 할당/관리부;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조회사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와 다운로드당 가격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부;
    상기 제공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프로토콜을 각각 지원하는 프로토콜 지원부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한 고유값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존재 위치인 절대 주소,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부는,
    이미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련 정보와 함께 등록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
  12.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확인부;
    상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고유값을 할당한 후,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 확인/관리부; 및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전송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로부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제조회사와 다운로드당 가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공지사항 알림부;
    상기 디스플레이한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실행부; 및
    상기 실행시킨 신규 어플리케이션 바로 이전에 실행시켰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 종료 후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이전 어플리케이션을 복귀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전환부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로부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확인/지원부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장치.
  15.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에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값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c)상기 확인한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제조회사와 다운로드당 가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상기 디스플레이한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e)상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f)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바로 이전에 실행하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신규 어플리케이션 종료 후 상기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이전 어플리케이션으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단계;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내부 프로토콜에 다른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지원할 수 없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추가 프로토콜을 지원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
  20.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상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고유값을 할당한 후,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c)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d)상기 전송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
  21.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에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
    b)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값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기능;
    c)상기 확인한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제조회사와 다운로드당 가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및
    d)상기 디스플레이한 공지 사항을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2.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상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
    b)상기 등록된 신규 어플리케이션에 고유값을 할당한 후, 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기능;
    c)상기 할당한 고유값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 및
    d)상기 전송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접한 클라이언트의 수락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한 개 이상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30080202A 2003-11-13 2003-11-1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KR100580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0202A KR100580830B1 (ko) 2003-11-13 2003-11-1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0202A KR100580830B1 (ko) 2003-11-13 2003-11-1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182A true KR20050046182A (ko) 2005-05-18
KR100580830B1 KR100580830B1 (ko) 2006-05-16

Family

ID=3724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80202A KR100580830B1 (ko) 2003-11-13 2003-11-1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8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143B1 (ko) * 2004-06-02 2006-08-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983240B1 (ko) * 2010-04-30 2010-09-20 박종한 무선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8527642B2 (en) 2008-12-19 2013-09-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service in personalized manner in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143B1 (ko) * 2004-06-02 2006-08-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 시스템및 그 방법
US8527642B2 (en) 2008-12-19 2013-09-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service in personalized manner in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KR100983240B1 (ko) * 2010-04-30 2010-09-20 박종한 무선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830B1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6768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м контента, терминал, программа и система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содержимого
KR100593516B1 (ko) 애플리케이션 서버상의 애플리케이션 카탈로그를무선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130668B2 (en) Managing differences in user devices wh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JP4246236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上での顧客セルフサポートなどのための電話傍受方法
JP5378267B2 (ja) サーバに接続する無線装置のためのメッセージを提供するサーバ処理
JP6270066B2 (ja) ブランドの自己識別、およびジェネリック電子デバイスにおけるブランディング済ファームウェアのインストール
RU2422882C2 (ru)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инамической настройки и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приложений
CN101568104B (zh) 用于在无线设备和服务器之间握手的系统和方法
EP2110752A1 (en) Content distribution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program,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EP26185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Screen on a Wireless Device Interacting with a Server
MX2007013141A (es) Un generador de acceso directo para servicios accesibles a traves de un sistema de servicio de mensajes.
CN104965848A (zh) 一种前端资源加载方法及装置
EP109845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808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실행서비스 제공 장치와 그 방법
KR20000050071A (ko) 무선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CN103733596A (zh) 用于管理对由电子设备提供的资源组的访问的方法
KR101614690B1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휴대단말 및 서비스서버
KR100612143B1 (ko)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 시스템및 그 방법
JP2005293078A (ja) 携帯電話機を利用した自動文字コード認識、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21013B1 (ko)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003116A (ko) 위젯 단말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20050116673A (ko) 어플리케이션 제공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00072755A (ko) 네트워크상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32326B1 (ko) 콜백 유알엘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방법
JP2014089742A (ja) 携帯端末へ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