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143A -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 Google Patents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143A
KR20050116143A KR1020057017148A KR20057017148A KR20050116143A KR 20050116143 A KR20050116143 A KR 20050116143A KR 1020057017148 A KR1020057017148 A KR 1020057017148A KR 20057017148 A KR20057017148 A KR 20057017148A KR 20050116143 A KR20050116143 A KR 20050116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solid state
region
state energy
energy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059B1 (ko
Inventor
얀 알. 쿠체로브
피터 엘. 하겔스타인
Original Assignee
에네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네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네코,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11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 또는 반도체-금속 구현을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는 전기 에너지로의 열 에너지의 변환 또는 냉동으로의 전기 에너지 변환용으로 제공된다. n-타입 열-대-전기 실시예에서는, 금속 또는 반도체 재료로 제조된 고 도프 도료 n*이미터 영역은 캐리어를 n-타입 갭 영역에 인젝션 한다. p-타입 레이어는 이미터 영역과 갭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대응 페르미-레벨의 불연속성을 허용하고 퍼텐셜 장벽을 형성하여 에너지에 의한 전자를 분류한다. 부가의 p-타입 레이어는 선택적으로 컨버터의 컬렉터 측에 형성된다. 보다 높은 캐리어 집중(p*)을 가진 일 타입의 레이어는 컨버터의 콜드 측에 블록킹 레이어로서 역활을 하고 그리고 갭에 근접하여 있는 캐리어 집중을 가진 다른 레이어(p**)는 열전기 역류 성분을 감소한다. 상기 장치의 양쪽 측에 옴 접촉은 외부 로드를 통한 전기회로를 폐쇄하여 열을 전기로 변환한다. 냉동기의 경우에, 외부 로드는 외부 파워 서플라이로 대체된다.

Description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SOLID STATE ENERGY CONVERTER}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에 대한 열 에너지 변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다이오드 구현에 사용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열전자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열전자 에너지 변환은 열전자 방출(thermionic emission)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직접 열 에너지를 변환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공정에서는, 전자가 금속으로부터 탈출하도록 금속 표면에 방해 힘(retarding forces)을 물리치게, 금속에 열을 가하여 전자에 충분한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서 금속 표면으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게 한다.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다른 종래 방법과의 상이함은 열전자 변환이, 열을 전기로 변경하는데, 전기전하 이외에 중간 생성물 형태의 에너지 또는 작업유체의 어느 하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그 가장 기본적인 형태에서, 종래 열전자 에너지 컨버터는 열원, 열 싱크에 연결되고 중간개재 공간에 의해 제1전극과 분리된 제2전극, 전기 로드(load)에 전극을 연결하는 리드(lead), 및 포위체(enclosure)를 구비한다. 포위체 내의 공간은 세슘(cesium)과 같은 적절히 희박한 증기로 많이 비워지거나 채워지게 된다.
종래 열전자 컨버터에서의 기본 공정은 다음과 같다. 열원은 충분히 높은 온도로 열을 일 전극인 이미터(emitter)로 공급하고, 그로부터 전자가 진공 또는 희박하게 증기-충전된 전극간 공간(evacuated or rarefied vapor-filled interelectrode space) 안으로 열전자가 기화된다. 전자는 이러한 공간을 통해서, 열 싱크 온도 근처에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타 전극인 컬렉터(collector)쪽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전자는 농축되고, 이미터와 컬렉터 사이에 연결된 전기 로드와 외부 전기 리드를 경유하여 고온 전극으로 반송된다. 전기 로드를 통한 전자의 흐름은 전극 사이에 온도차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전기 일(electrical work)이 로드로 전달된다.
열전자 에너지 변환은, 열원과 접촉하는 로우 전자 일 함수 캐소드(low electron work function cathode)가 전자를 방출한다는 개념에 기본한다. 상기 전자는 콜드(cold), 하이 일 함수 애노드에 의해 흡수되며, 이들은 유용한 일(useful work)을 실행하는 외부 로드를 통해 캐소드로 역류할 수 있다. 실제의 열전자 발생기는 캐소드에 사용되는 활용가능한 금속 또는 다른 물질의 일 함수(work function)에 의해 제약을 받게 된다.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공간에 있는 충전 전자는 열전자 전류를 감소시키는 특정한 퍼텐셜 장벽을 창출할 것이다. 이러한 제약 조건은 최대 전류 농도에 해롭게 작용하여, 대형 열전자 컨버터를 개발하는데 주요한 문제로 등장한다.
종래 열전자 컨버터는 일반적으로 진공 컨버터 또는 가스-충전식 컨버터로 분류된다. 진공 컨버터는 전극 사이에 진공 매체를 가진다. 이러한 컨버터는 실질적인 적용을 하는데 제약을 받는 것이다.
제1분류 가스-충전 컨버터의 실시예에는 양이온을 발생하는 전극간 공간에 기화물질이 주어진다. 이러한 기화물질은 일반적으로 세슘, 칼륨 및 루비듐과 같은 기화성 알칼리 금속이다. 상기와 같은 양이온이 제공되기 때문에, 발산된 전자가 이미터에서 콜렉터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종래 장치에서의 이미터 온도는 양이온을 발생하는 물질의 기화온도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이미터 온도는, 만일 유효한 이온 산출이 상기 종래 장치에서 달성된다면, 양이온 발생 물질 저장소 온도의 적어도 3.5배가 되어야 한다.
제2분류 가스-충전 컨버터의 실시예에는 제3전극이 주어져 이온을 발생하고, 상기 종래 장치의 전극간 공간 내의 가스는 네온, 아르곤, 또한 크세논과 같은 불활성 가스이다. 상기 컨버터는 약 1500K와 같은 저온에서 동작할 수 있지만, 이들은 상당히 복잡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 열전자 이미터는 약 1400K 내지 약 2200K 범위의 온도에서 동작되며, 열전자 컬렉터는 약 500K 내지 약 1200K 범위의 온도에서 동작 된다. 전체 효율의 에너지 변환 범위가 5% 내지 40%인, 최적한 동작 조건 하에서, 전력농도는 1 내지 100watts/㎠정도 이고 그리고, 전류농도는 5 내지 100A/㎠ 정도 이다. 일반적으로, 이미터 온도가 높을수록, 방사 손실을 고려하여 설계된 전력과 전류농도의 효율이 높아진다. 전력이 일반적인 컨버터로 이루어진 일 유닛에서 전달된 전압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전해전지의 전압과 대략 동일한 전압인, 0.3 내지 1.2volts이다. 흔히, 높은 전력비를 가진 열전자 시스템은 전기적으로 일렬로 연결된 많은 열전자 컨버터 유닛을 구비한다. 각각의 열전자 컨버터 유닛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500watts 로 판단된다.
열전자 컨버터의 고온 특성은 일반적인 적용 시에는 유익한 것이지만, 소망 이미터 온도가 대체로 많은 종래 열원이 가진 실제 능력을 넘어서기 때문에 그외의 것에는 제약 요소가 된다. 대조적으로, 통상의 열전기 컨버터는 약 500K 내지 약 1500K 범위의 열원 온도에서 동작 가능하다. 그런데, 전체 효율의 열전기 에너지 변환기가 3% 내지 10% 범위 내에만 있는, 최적한 조건 하에 있을지라도, 전력농도는 수(a few)watts/㎠ 보다 작고 그리고, 전류농도는 1 내지 100A/㎠ 정도이다.
물리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에, 열전기 장치(thermoelectric devices)는 열전자 장치(thermionic devices)와 유사하다. 양쪽 경우에서, 온도 기울기가 금속 또는 반도체에 있으며, 그리고 양쪽 경우는 전자동작이 전기인 개념에 기본한다. 그리고, 전자동작은 또한 에너지를 갖고 있다. 강제 전류(forced current)는 열전자와 열전기 장치 양쪽을 위한 에너지를 전도(transport)한다. 열전기와 열전자 장치 사이에 주요한 차이는 전도 메카니즘, 즉 열전자의 탄도성 전도(ballistic transport)와 열전기의 저항성 전도(ohmic transport)에 있다. 저항성 흐름은 거시적 확산이지 미시적 확산이 아니다. 구별되는 특징은 과도한 캐리어가 제공되는지의 여부이다. 열전기에서, 전류는 일반적으로 주어진 캐리어로 초래된다. 열전자에서는 전류가 갭에 과도한 캐리어를 놓음으로 인해 초래된다. 열전자 장치는, 만일 전자가 갭을 탄도적으로 위로 횡단하여 진행하는 경우에 상당히 높은 효율성을 가진다. 열전자 장치용으로, 모든 운동 에너지는 일 전극에서 타 전극으로 통한다. 열전기 장치에 전자 동작은 준-평형 및 저항성이며, 평형 매개변수인 제베크(Seebeck) 계수로 기술될 수 있다.
협폭 장벽을 가진 구조에서, 전자는 이들이 장벽을 횡단하여 충돌을 할 만큼 충분한 원거리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열전자 방출 이론의 탄도 버젼은 보다 정확한 전류 전도를 나타낸다.
상술된 문제에 대한 해결은 진공 컨버터 또는 가스-충전 컨버터 사용에 의한 당기술의 현재 상태에 따른 연구로 이루어져 왔다. 진공 컨버터가 갖는 공간-챠지 영향을 감소시키려는 연구에는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전극간 분리 감소가 포함되어져 있었다. 가스-충전식 컨버터가 갖는 동일한 영향을 감소시키려는 연구도, 이미터 전방에 전자 구름대 내로 양이온의 도입을 이루게 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래 장치는 여전히 제한된 최대 전류 농도와 온도 상태와 상관된 결함을 가진 것이다.
결과적으로, 당 기술분야에서는 고효율과 높은 파워 농도를 가진 저온 상태에 전기 에너지로 열 에너지를 변환하여 보다 만족스러운 해결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1은 현재 반도체 장치의 열전기 성능을 향상시킨 본 발명의 서멀 다이오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이온 억셉터 집중(좌)과 이온 도너 집중(우)의 함수로서 전도대의 하부와 상관된 InSb의 페르미 레벨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3A와 도3B는 He-4구현을 위해 연산된 캐리어 집중 불순물 프로필과 대응 장벽 형태의 도표이다.
도4는 이미터 장벽 높이의 함수로서 상관 전기 출력의 도표이다.
도5는 p-타입 장벽과 1018cm-3Te도핑을 가진 InSb갭 영역의 전도대의 하부와 페르미-레벨의 이상적 연산 위치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6은 컬렉터 장벽 높이의 함수로서 열전기 성능으로 표준화된 상관 전기 출력의 도표이다.
도7은 다른 인젝션 장벽과 결합된 이미터 장벽을 가진 본 발명의 최적한 컨버터용 연산 에너지 레벨의 도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블록킹 레이어와 결합된 이미터 장벽을 가진 본 발명의 최적한 컨버터용 연산 에너지 레벨의 도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다른 인젝션 장벽과 블록킹 레이어 양쪽과 결합된 이미터 장벽을 가진 본 발명의 최적한 컨버터용 연산 에너지 레벨의 도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0A는 이미터 인젝션 장벽 만의 스택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서멀 다이오드 컨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0B는 이미터 인젝션 장벽 플러스 보상 레이어 스택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부가의 서멀 다이오드 컨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0C는 이미터 인젝션 장벽 컬렉터 인젝션 장벽 스택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서멀 다이오드 컨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로의 열 에너지의 변환 또는 냉동(refrigeration)으로의 전기 에너지의 변환을 시키기 위한 반도체 또는 반도체-금속 구현을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n-타입 열-대-전기 실시예에서는, 금속 또는 반도체 재료로 제조된 하이 도프 도료 n*이미터 영역은 캐리어를 n-타입 갭 영역에 인젝션 한다. p-타입 레이어는 이미터 영역과 갭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대응 페르미-레벨의 불연속을 허용하고 퍼텐셜 장벽을 형성하여 에너지에 의해 전자를 분류한다.
부가의 p-타입 레이어는 선택적으로 갭 영역의 컬렉터 측에 형성된다. 보다 높은 캐리어 집중(p*)을 가진 일 타입의 레이어는 장치의 콜드 측에 블록킹 레이어로서 역활을 하고 그리고 상기 갭의 n-타입 집중에 가까운 캐리어 집중을 가진 다른 타입의 레이어(p**)는 열전기 역류 성분을 감소한다. 상기 p-타입 레이어는 컬렉터 측 만으로 또는 컬렉터와 함께 사용된다. 상기 장치의 양쪽 측에 옴 접촉은 외부 로드를 통한 전기회로를 연결한다. 냉동기의 경우에, 외부 로드는 외부 파워 서플라이로 대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p-타입 컨버터는 서멀 다이오드 스택에 더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자만이 아니라 홀(hole)용으로도 유효하게 작용한다. 열역학적 한계에 접근하는 효과적인 작용들이 본 발명의 장치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그외 다른 특징들을 이하에 설명 및 첨부 청구범위를 통해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기술한다. 이하에 기술되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할 목적으로 기술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변경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로의 열 에너지의 변환 또는 냉동으로의 전기 에너지의 변환용 반도체 또는 반도체-금속 구현을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용과 마찬가지로 홀용으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열역학적 한계에 접근하는 효과적인 작용들이 본 발명의 장치로 달성된다.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도1은 현재 반도체 장치의 열전기 성능을 향상시킨 서멀 다이오드(10) 형태의 본 발명의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멀 다이오드(10)는 n-타입 전도성을 가지며, 고온 열교환면(14)과 열 소통상태로 있는 이미터 영역(12)을 구비한다. 이미터 영역(12)은 전자 방출용 도너 집중부(n*)를 가진 n-타입 영역(16)을 포함한다. 도너 도핑부를 가진 반도체 갭 영역(18)은 이미터 영역(12)과 전기 및 열 소통 상태에 있다. 억셉터 집중부(p*)를 가진 p-타입 장벽 레이어(20)는 이미터 영역(12)과 갭 영역(18) 사이에 개재된다. 장벽 레이어(20)는 이미터 영역(12)과 갭 영역(18)과의 사이에 불연속 퍼텐셜 장벽과 페르미 레벨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1에 부가로 도시된 바로서, 서멀 다이오드(10)는 선택적으로 콜드 열교환면(24)과 열 소통 상태로 있는 컬렉터 영역(22)을 구비한다. 상기 갭 영역(18)은, 이러한 상태에서는, 컬렉터 영역(22)과 전기 및 열 소통 상태로 있다. 제1옴 접촉(26)은 이미터 영역(12)과 전기 소통 상태로 있으며, 제2옴 접촉(28)은 컬렉터 영역(22)과 전기 소통 상태로 있다. 제1 및 제2옴 접촉(26, 28)은 전기로의 열 변환을 위해 외부 로드(RL)를 통해 전기회로(30)와 통한다. 다르게는, 제1 및 제2옴 접촉(26, 28)은 냉동으로의 전기 변환을 위해 외부 로드 대신에 외부 파워원(PS: power source)을 통해 전기회로(30)와 통한다.
컬렉터 영역(22)은 열전기 역류 성분이 저하되도록 갭 영역(18)에 인접하여 있는 캐리어 집중부(p**)를 가진 추가의 인젝션 장벽 레이어(PI)를 구비한다. 또한, 컬렉터 영역(22)은 추가의 보상 레이어(PC)를 구비하며, 갭 영역(18)에 도너 집중부와 동일하게 있으며 컨버터의 콜드 측에 블록킹 레이어로서 역활을 하는 억셉터 집중부(p*)를 가진다.
또한, 컬렉터 영역(22)은 추가 인젝션 레이어(PI)와 추가 보상 레이어(PC)인 양측의 P-타입 레이어를 구비하며, 갭 영역과 보상 레이어 사이에 배치된 인젝션 레이어를 갖는다.
이미터 영역(12)과 갭 영역(18)은 서멀 다이오드(10)의 열전기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하였으며, 상기 장치는 컬렉터 영역(22) 없이도 실행 가능한 것이다.
이미터 영역(12)은 금속, 금속합금, 반도체, 또는 도프된 반도체와 같은 전기적 및 열적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 또한, 이미터는 물질에 전기적 및 열적 전도성 재료를 함유한다. 이미터 영역에서 제약을 받지 않는 적절한 재료의 예로는, Hg1-xCdxTe, Cd3As2, CdSnAs2, SiGe합금, TAGS, InAs1 -x, Sbx, GaxIn1 - xAsySb1 -y, PbTe, PbSe, PbS, Ge1 - xSnx 등을 구비한다. 이미터 영역(12)은 약 1㎛보다 상당히 더 큰 두께를 갖거나 또는 대략 2캐리어 산란 길이보다 상당히 더 큰 두께를 갖는다.
갭 영역(18)은 InSb, HgCdTe, Cd3As2, CdSnAs2, Ge1 - xSnx, CdGeAs2, InGaSbAs, PbTe, PbSe, PbS 등과 같은 반도체 재료로 형성된다. 갭 영역에 사용된 반도체 재료는 텔루르와 같은 n-타입 불순물로 도프된 웨이퍼 형태이다. 갭 영역(18)은 분할되어, 반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제1레이어와, 금속 또는 다른 높게 n-도프된 반도체 재료로 만들어진 열흐름(heat flow) 농도를 감소하는 제2레이어를 구비한다.
갭 영역(18)에 있는 반도체 갭(제1레이어)은 1개 이상의 캐리어 산란 길이 만큼 얇아서 퍼텐셜 장벽 구조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반도체 갭은 적어도 1캐리어 산란 길이의 폭이고, 양호하게는 적어도 5캐리어 산란 길이의 폭이다. 갭 영역은 약 1mm에 이르는 총 두께로 이루어진다. 갭 영역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재료는 Mo, 강(steel), 및 그와 같은 성분을 포함한다.
p-타입 장벽 레이어(20)는 약 1㎛에 이르는 두께를 가지고, p-타입 불순물(예, Co, Zn, Ge, Mn, Mg, Fe, Cu, Ag, Cr, 등)로 도프된 InSb와 같은 반도체의 디포짓으로 형성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p-타입 레이어의 p*도핑 집중은 pi>ni(m*p/m*n)으로 갭 영역의 n도핑 집중과 상관하고, 여기서 m*p는 홀의 유효 질량이고, m*n은 전자의 유효 질량이고, 그리고 아래첨자(i)는 주어진 온도에서의 캐리어의 이온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1의 서멀 다이오드(10)는 p-타입 전도성으로 형성된다. 그러한 실시예는 고온 열교환면과 열소통 상태의 이미터 영역(12)을 구비하며, 홀 방출용 억셉터 집중(p*)을 가진 p-타입 영역을 함유하는 이미터 영역이 있다. 도너 도핑(p)을 가진 반도체 갭 영역(18)은 이미터 영역(12)과 전기 및 열 소통 상태로 있다. 도너 집중(n*)이 있는 n-타입 장벽 레이어(20)는 이미터 영역(12)과 갭 영역(18)과의 사이에 개재된다. p-타입 서멀 다이오드는 선택적으로 콜드 열교환 면과 열 소통 상태로 있는 컬렉터 영역(22)을 구비한다. 제1옴 접촉은 이미터 영역(12)과 전기 소통 상태로 있으며 그리고 제2옴 접촉은 컬렉터 영역(22)과 전기 소통 상태로 있다.
본 발명의 컨버터 장치는 당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금속 및 반도체 레이어를 형성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디포짓 기술로 형성된다.
예: 다음의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1- 이미터와 컨버터 설계
본 발명에서는 InSb(인듐 안티몬)가 그 상용 활용성으로 인하여 모델 반도체 재료로서 사용된다. InSb는 최고 공지된 전자 이동도와 최대 산란 길이(실온에서 0.8미크론)의 하나를 가진다. 다른 한 편에서, InSb의 열 전도성은 상당히 높고, 이하의 평균 열전기의 양호한 수치(최적 조건에서, ZT=0.2)를 초래한다. InSb용으로 실험적으로 달성된 대부분의 결과는 그 특성에 적합하게 정정된 다른 반도체의 변수에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접근방식이 일을 하지 않는 2개 극단적인 경우는 밴드갭이 너무 작거나(kBT보다 작고, 여기서 kB는 볼츠만 상수이고 T는 절대온도) 또는 너무 클 때이어서, 10kBT보다 작은 경우와 같이 정당한 장벽 높이 내에서 페르미-레벨의 불연속으로 유도된 열전류를 생성하기 어렵다.
텔루르(n-타입)로 도프된 웨이퍼(갭)를 현재 설계에 사용한다. 도핑 레벨은 입방 센티미터 당 약 1018원자(atoms/㎤)이다. n-타입 컨버터의 기본 설계는 n*/p/n이며, 여기서 n*은 이미터(금속 또는 반도체의 어느 하나)이며, p는 장벽 레이어이며, 그리고 n은 갭 재료이다. 대응 p-타입 컨버터 레이아웃은 p*/n/p 이며, 여기서 p*는 이미터이고, n은 장벽 레이어이고, 그리고 p는 갭 재료이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p-타입 컨버터 실시예는, 포함된 물리적 성질이 동일하며 설계 변경은 명백하다는 사실을 이해한다고 하고, 부가의 설명을 기재하지 않는다. 컨버터의 컬렉터 측에, p-타입 보상 레이어의 추가는 장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하에 기술되는 추가 전류 인젝션의 효과는 상당히 더 높은 장치 성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컨버터의 형성에서, n*영역을 가진 이미터 레이어는 텔루드로 고 도프된 InSb를 디포짓하거나 또는 In, Mo,또는 In-Ga 공정(共晶)의 형태로 금속 레이어를 디포짓 하여 형성된다. p-타입 레이어가 고온 전자 인젝션용 퍼텐셜 장벽을 생성하도록 형성되어, 페르미 레벨의 불연속성을 제공하고, 따라서 이미터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한다. n-타입 갭에 p-타입 레이어의 추가는 퍼텐셜 장벽을 생성하지만, p-타입 캐리어의 상당히 충분한 집중 만이 페르미 레벨의 불연속성을 보장한다. 즉, p-타입 레이어가 분리기로서 역활을 한다. 케인의 다이어그램은 도너와 억셉터 집중의 함수로서 전도대의 하부와 상관된 페르미 레벨의 위치설정을 나타낸다. 도2는 InSb의 케인의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이고, 여기서는 이온 억셉터 집중(좌)과 이온 도너 집중(우)의 함수로서의 페르미 레벨(meV)의 도표를 나타낸다. 도2는 온도 300K, 350K, 400K, 450K, 500K, 550K, 및 600K의 결과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p-타입 레이어는 Te(50meV)와 동일한 이온화 에너지를 가진 p-타입 불순물을 InSb의 빈 공간(vacancy)이 형성한다는 사실에 기본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사실은 적절하게 n-타입과 p-타입 불순물의 상관 집중이 전체 온도 변경범위에 걸쳐 동일하게 체류하는 것을 감지하게 한다. 불활성 가스 주입(implantation)으로 유도된 빈 공간 집중(vacancy concentration)은 TRIM-91소프트웨어(1991년, IBM의 지글러(Ziegler)와 비어색(Biersack))로 형성된다. 도3A는 1x1018cm-3으로 Te로 도프된 InSb에 20-350keV4He이식 후에 연산된 캐리어 집중 불순물 프로필의 도표이고 그리고 도3B는 실온에서 주입에 적당한 대응 연산된 장벽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특정한 불순물 프로필과 그외 다른 것들은 상용 주입기(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니밸에 소재하는 코어 시스템 인코포레이티드)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주입된 InSb웨이퍼는 작은 피스로 예를 들면 수 평방 밀리미터로 절결되고, 기술된 임의 장소에서 시험 장비로 시험을 받게된다.(예를 들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기술된 G.S.Nolas에서 권691, 319-324쪽으로 편집된, 미국 매샤추세츠주 보스톤에서의 2001년 가을 재료조사회 회의의 회보(Materials Research Society Conference)에서 P. Hagelstein과 Y. Kucherov가 발표한 내용을 참고) 이온 주입된 레이어를 갖지 않은 동일한 웨이퍼의 피스가 열전기 참고물로 제공된다. 누적 시험결과를 도4에 나타내었으며, 다른 이미터 장벽 높이와 온도에 맞는 열전기 성능을 배수로 하여 상관 전기 출력을 0.5mm두께 웨이퍼의 도표로 나타낸다.
장벽 너비는 도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최고 성능점은 대략 1kBT 너비이다.(kB는 볼츠만의 상수이고 그리고 T는 절대온도이다.) 313K에서, 장벽 높이는 대략 4kBT에 도달할 때까지 열전기 성능과 상관하여 변화가 없다. 최적한 장벽 높이는 온도가 상승하여 낮아진다. 관측된 열전기 출력은 6배에 이른다.
전자의 유효질량은 m*n=mn/mo=0.0136(mo는 자유전자질량)이고, 그리고 홀용 유효질량 m*p=mp/mo은 0.2이다.(CRC출판사, 1995년 G. Slack의 열전기의 CRC핸드북, 420쪽을 참고) 비율이 14.7이고 그리고 실험적 최고 성능은 홀 집중이 전자 집중에 비해 약 14.5-15.5배 더 높으면 발생한다. 즉, 페르미 레벨의 불연속 및 이러한 특별한 경우에 적합한 최대 출력은 지역이동한(delocalized) 보상 레이어에 있을 때에 발생한다. 상기 갭의 낮은 도핑 레벨에서, 최대 성능은 보상 레벨보다 더 높은 장벽 도핑 레벨로 되어 더욱 높은 장벽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주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상 조건은 충분하다. 미국특허 US 6,396,191호에는, 본원에 참고로 개시된, p-타입과 n-타입 불순물이 동일할 때에 지역 보상점(localized compensation point)에서의 최대 컬렉터 성능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 지역 보상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 반도체용으로 기재된다.
pi = ni (1)
여기서, pi는 이온화된 억셉터 불순물 집중도 이고 그리고 ni는 이온화된 도너 불순물 집중도를 나타낸다. 불순물의 이온화된 부분은 pi=p/(1+g exp-{EF-Ei/kBT}로 정의(예로서 억셉터 용)되며, 여기서 Ei는 현재 불순물용 이온화 에너지이고, EF는 페르미 레벨이고, g는 InSb경우에는 4가 되는 감쇠 인수(degeneration factor)이며, kB는 볼츠만 상수이고, 그리고 T는 절대 온도이다. 지역이동한 보상용으로, 최대 이미터 성능에 대한 대응은:
pi>ni(m*p/m*n) (2)
(2)식은 반도체가 InSb의 이미터 측과 기타 다른 반도체를 최적하게 한다. 열전기 성능의 6배 증가는 InSb를 상당히 양호한 열전기 상태로 향상시킨다. 도5의 도표는 p-타입 장벽과 1018cm-3Te도핑을 가진 InSb갭의 전도대의 하부와 페르미-레벨의 이상적 연산 위치를 나타낸다.
산란길이보다 더 두터운 두께를 가진 진성재료(intrinsic material)로 이루어진 레이어는 국부적 보상 레이어와 동일하게 함수식으로 나타나서 제조를 위한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n-타입 컨버터는 n*/i/n/i*처럼 나타날 것이고, 여기서 n*은 이미터이고, i는 이미터 진성 레이어이고, n은 갭 재료이고, 그리고 i*는 컬렉터 진성 레이어이다. 임의 경우에서는 지역 및 지역이동한 장벽 양쪽의 조합이 양호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만일 보다 유효한 재료로 예를 들면, Hg1-xCdxTe, Cd3As2, CdSnAs2, SiGe합금, TAGS, InAs1-x Sbx, GaxIn1-x AsySb1-y, 등과 같은 재료로 개시되면, 열역학적 한계에 접근하는 효과적인 작용들을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다. 40%의 이상적 카르노 사이클은 In-도프된 이미터를 가진 Hg0.86Cd0.14Te가 실험에 의해 관측되지만, 이러한 수 조차도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고온도 작동용의 실질 장치는 이미터 계면에서, 장벽 재료의 캐리어의 터넬링 길이보다 더 얇은, 얇은 확산 장벽 레이어를 소망하여, 집중 프로필의 유실을 막는다. 공지된 확산 장벽은 일반적으로 TiN, ZrN, HfN, TaN, W 등과 같은 내화재료로 만들어진다. HgCdTe의 경우에는, 알려진 확산 장벽 재료는 Yb(이테르븀 옥사이드)이다.
예2-컬렉터 설계
동일한 구현 방법이 컨버터의 컬렉터 측에 장벽 높이의 작용을 연구하는데 사용된다. 실험 결과는 컬렉터 장벽 높이의 함수로서 열전기 성능으로 정상화된 전기 출력의 형태로, 도6의 도표로 나타내었다. 컬렉터 온도(Tc)는 실온에 가깝다. 2개 분리 작용이 관측된다. 낮은 장벽 높이에서, 일 피크는 p-타입 불순물이 n-타입 불순물 집중도와 동일한 지역 보상부(localized compensation) 근처에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너와 억셉터용의 이온화 에너지는 동일하다. 보다 높은 장벽 높이에서, 제2피크 위치는, 갭으로부터 컬렉터 접촉부로 향하는 전류 인젝션을 연상하는, 대응 온도와 맞게, 도4에서와 같이 동일하다. 재고하여 보면, 이러한 피크는 지역이동 보상(delocalized compensation) 레이어에 대응한다. 이미터와 컬렉터는 반도체 레이어에 의해 분리되고, 반도체 레이어는 이미터와 컬렉터 레이어 두께보다 수배 더 두껍다. 그 결과, 적어도 컨버터를 횡단하는 개방 회로전압이 양쪽 장벽 높이보다 더 작은 제한 범위내에서는, 넓은 범위로 독립적으로, 이미터와 컬렉터 측이 일을 한다. 이러한 사실은 이미터 장벽이 다른 인젝션 장벽과 결합하거나, 블록킹 레이어와 결합하거나, 또는 그 양쪽과 결합할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7은 다른 인젝션 장벽과 결합된 이미터 장벽(0.5mm의 두께와 1018cm-3Te도핑을 가진 InSb갭 영역)을 가진 최적한 컨버터의 연산 에너지 레벨의 도표를 나타탠 도면이다. 이미터 고온 측 온도는 Thot=300℃이고, 컬렉터 콜드 측 온도는 Tcold=10℃이다. 도8은 블록킹 레이어와 결합된 이미터 장벽(0.5mm의 두께와 1018cm-3Te도핑을 가진 InSb갭 영역)을 가진 최적한 컨버터용 연산 에너지 레벨의 도표이다. 이미터 고온측 온도는 Thot=300℃이고, 컬렉터 콜드 측 온도는 Tcold=10℃이다. 도9는 다른 인젝션 장벽과 블록킹 레이어가 결합된 이미터 장벽(0.5mm의 두께와 1018cm-3Te도핑을 가진 InSb갭 영역)을 가진 최적한 컨버터용 연산 에너지 레벨의 도표이다. 이미터 고온 측 온도는 Thot=300℃이고, 컬렉터 콜드 측 온도는 Tcold=10℃이다.
장벽 높이는 도4와 도6에 실험결과 그래프에서 구해진다. 상기 장벽 높이는 또한 컬렉터 블록킹 레이어용 (1)식과 이미터와 컬렉터 인젝션 레이어용 (2)식을 가진 케인의 다이어그램(도1 참고)을 사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개방 회로전압이 대응 장벽 높이 아래에 있는 제한 범위 내에서, 대응 열전기 성능의 증진은, 레이어 모두가 주어지면, 컬렉터 인젝션 레이어의 경우에는 약 9, 블록킹 레이어의 경우에는 약 8 또는, 약14와 같이 높은 수가 된다.
얇은 평판용으로, 열전기 성능의 증진은, 열전기 개방회로 전압이 낮아서 컬렉터 장벽(들)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게 된다. 0.5mm두께 평판(갭)용의 모든 성능 증진은 갭 자체보다 300배 더 얇은 결합 두께의 2개 얇은 레이어로 이루어진다. 고온 캐리어가 장벽을 횡단한 후에, 갭과 산란부에 전해진다. 거친 5-10 산개동작 후에, 고온 캐리어는 완전하게 열적으로 되고, 갭에 캐리어 분포가 평온한 페르미-분포(unperturbed Fermi-distribution)로 복귀한다. InSb용으로, 산란 길이는 실온에서 대략 0.8미크론이며, 4-8미크론 후에, 상기 갭은 장치 성능에 크게 기여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복합 장치의 스택이 만들어지고 그리고 접촉 저항이 추가 장치에서 게인을 초과하지 않는 다면, 5-10산란 길이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더 많은 장치에 더하여 효과적인 작용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분리 장치를 가진 미국특허 6,396,19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상적으로는, 각각의 장치에 있는 장벽 또는 적어도 장치의 블록이 (2)식과 부합하는 작동온도로 조정된다. 일련의 복합 장치는 이미터 인젝션 장벽 만으로, 이미터와 컬렉터 인젝션 장벽으로, 이미터와 컬렉터 블록킹 장벽으로, 또는 모두 3개 장벽으로 동시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10A는 고온측(TH)에 n*/p/n의 설계 구조를 가진 제1다이오드(110)와, n*레이어를 가진 콜드 측(Tc)에 이어지는 제1다이오드(110)와 동일한 구조의 복수의 반복 N다이오드(120)를 구비한 이미터 인젝션 장벽 만의 스택(1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서멀 다이오드 컨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0B는 이미터 장벽 플러스 보상 레이어(컬렉터 블록킹 장벽) 스택(200)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서멀 다이오드 컨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스택(200)은 고온 측(TH)에 n*/p/n/pc의 설계 구조를 가진 제1다이오드(210)와, n*레이어를 가진 콜드 측(Tc)에서 마감되는 동일 구조의 반복 N다이오드(220)를 구비한다. 도10C는 이미터 장벽 플러스 컬렉터 인젝션 장벽 스택(300)을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서멀 다이오드 컨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스택(300)은 고온 측(TH)에 n*/p/n/pi의 설계 구조를 가진 제1다이오드(310)와, n*레이어를 가진 콜드 측(TC)에서 마감되는 동일 구조의 반복 N다이오드(32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멀 다이오드 컨버터는 이미터 장벽 플러스 보상 레이어와 컬렉터 인젝션 장벽 스택을 구비한다. 이러한 스택은 도1에 도시된 다이오드와 유사한 n*/p/n/pi/pc의 설계 구조를 가진 제1다이오드와, 도10A-도1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n*레이어에서 마감되는 제1다이오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반복 N다이오드를 구비한다.
인젝션 장벽을 나타내는 수개의 방식이 있다. 그 하나는 장벽 높이보다 낮게 에너지를 가진 모든 캐리어를 퍼텐셜 장벽이 정지하는 것이다. 장벽을 넘어 가는 캐리어는 대부분의 전진방향 이동 캐리어를 구성하고 그리고 장벽으로부터의 일정 산란 길이 거리에서, 유효 캐리어 운동이 장벽 높이 보다 더 높은 것이다. 100meV 장벽용으로는, 개략적으로 이러한 레이어에 페르미-분포(Fermi-distribution)에서의 임의 희석 상태에서 1200K 이다. 모든 면에서의 리니어 장치의 작용을 고려하면, 상기 장벽은, 실온에 비해 4배 더 높은 제베크 계수를 가지면서 동일 재료로 이루어진 열전기 레이어 또는, 장벽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레이어와 대비되는 16배 더 높은 감도지수(figure of merit)로서 판단된다.
소수(a few) 산란 길이 후에, 캐리어는 다시 열평형 상태에 있으며, 그리고 장벽 인젝션은 반복된다. 2개 열전기 평판의 스택과 다르게, 일련의 다음 장치는, 계면 온도에 비해 더 높은 장벽 높이의 함수이며 제1장치에 근접하는 평형 제베크 계수를 제공한다. 여기서, 2개 장치의 스택은 제베크 계수의 거의 2배를 갖고 그리고 열 및 전기 저항의 2배를 가지지만, 감도지수가 제곱의 제베크 계수와 같이 상승하기 때문에, 평형 감도지수는 상승한다.
0.5mm두께 장치에는, 약 50-60장벽 구조가 수용된다. 실질적으로, 각 계면에 접촉저항은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열 흐름을 감소하며 그리고 인젝션 전류는 총 열 흐름의 일부이어서, 열전기 작용에 대한 효과 등급은 하강한다. 단순 제조되는, 온도 상에 개방 회로전압에 선형 종속성은, 접촉 열 저항에 포논(phonon) 오정합 성분 만을 제공하는 이상적 접촉을 가진 상태에서, 최적한 계면의 수는 감도지수에서 25배 게인을 가진 약 20임을 나타낸다. 약 100 계면 후에 게인은 없다. 보다 복잡한 스택은 온도 조정된 장벽과 그와 같은 것을 구비한다.
도10A 내지 도10C에 도시된 설계는 평형 펠티에 계수가 분리 장벽 높이의 합에 비례하기 때문에 냉동 적용에 매우 유용한 것이다. 성능 계수는 펠티에 계수의 곱에 비례하고 그리고 소수 장벽은 매우 양호한 냉동 성능을 초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 5-10 산란 길이 뒤에, 갭은 장치 능률에는 크게 기여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은 대부분의 반도체 재료의 두꺼운 두께가 금속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금속 레이어는 특정 열 흐름을 감소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장치는 금속 평판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터와 컬렉터 반도체 구조를 디포짓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금속은 열팽창 계수의 관점에서 반도체와 대응되어야 한다. 임의 경우에서, 반도체의 얇은 층간 생성물 무정형 레이어는 금속과 이미터와 컬렉터 구조 사이에 필연적으로 있게 된다. p-타입 컨버터용으로, 금속 갭은 신뢰성 있는 옴 접촉이 요망되기 때문에 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기본 특징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설명 만을 목적으로 고려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내용보다는 첨부 청구범위로 한정되는 것이며, 첨부 청구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경 및 개조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36)

  1. n-타입 전도성을 가진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전자 방출용 도너 집중 n*을 가진 n-타입 영역을 함유하는, 고온 열교환면과 열 소통하는 이미터 영역과;
    이미터 영역과 전기 및 열 소통하는, 도너 도핑(n)이 있는 반도체 갭 영역 및;
    이미터 영역과 갭 영역 사이에 개재된 억셉터 집중(p*)을 가진 p-타입 장벽 레이어를 포함하며;
    p-타입 장벽 레이어는 이미터 영역과 갭 영역과의 사이에 퍼텐셜 장벽과 페르미-레벨의 불연속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콜드 열교환면과 열 소통 상태에 있는 컬렉터 영역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갭 영역은 컬렉터 영역과 전기 및 열 소통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4. 제2항에 있어서, 이미터 영역과 전기 소통 상태에 있는 제1옴 접촉부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5. 제4항에 있어서, 컬렉터 영역과 전기 소통 상태에 있는 제2옴 접촉부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옴 접촉은 열을 전기 변환하기 위해 외부 로드를 통하는 전기회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7. 제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옴 접촉은 전기를 냉동 변환하기 위해 외부 파워원을 통하는 전기회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8. 제1항에 있어서, 이미터 영역은 금속 또는 고 도프된 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9. 제1항에 있어서, 갭 영역은 적어도 1캐리어 산란 길이 너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10. 제1항에 있어서, 갭 영역은 적어도 5캐리어 산란 길이 너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11. 제1항에 있어서, 갭 영역은 분할되고 그리고 반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제1레이어와 금속 또는 다른 반도체 재료로 이루어진 제2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12. 제1항에 있어서, p타입 장벽 레이어의 p*도핑 집중은 pi>ni(m*p/m*n)으로 갭 영역의 n도핑 집중에 관련하고, 여기서 m*p는 홀의 유효질량이고, m*n은 전자의 유효질량이고, 그리고 아래첨자 i는 현재 온도에서의 캐리어의 이온 부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13. 제2항에 있어서, 컬렉터 영역은 열전기 역류성분을 감소하도록 갭 영역에 인접하여 있는 캐리어 집중(p**)을 가진 추가 인젝션 장벽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14. 제2항에 있어서, 컬렉터 영역은 컨버터의 콜드 측에 블록킹 레이어로서 역활을 하는 억셉터 집중(p*)을 가진 추가 보상 레이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억셉터 집중은 갭 영역에 도너 집중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15. 제2항에 있어서, 컬렉터 영역은, 컨버터의 콜드 측에 블록킹 레이어로서 역활을 하는 캐리어 집중(p*)을 가진 일 레이어와, 추가 인젝션 장벽 레이어로서 역활을 하고 열전기 역류성분을 감소하도록 갭 영역에 인접하여 있는 캐리어 집중(p**)을 가진 다른 일 레이어인, 2개 p-타입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추가 인젝션 장벽 레이어의 p**도핑 집중은 pi>ni(m*p/m*n)으로 갭 영역의 n도핑 집중에 관련하고, 여기서 m*p는 홀의 유효질량이고, m*n은 전자의 유효질량이고, 그리고 아래첨자 i는 현재 온도에서의 캐리어의 이온 부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17. n-타입 전도성을 가진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전자 방출용 도너 집중 n*을 가진 n-타입 영역을 함유하는, 고온 열교환면과 열 소통하는 이미터 영역과;
    이미터 영역에 인접하여 있는 억셉터 집중(p*)을 가지고, 퍼텐셜 장벽과 페르미-레벨의 불연속을 제공하도록 구조된 p-타입 장벽 레이어 및;
    반도체 재료의 제1레이어와, 금속 또는 다른 높게 n-도프된 반도체 재료로 이루어지고 열 흐름 농도를 감소하는 제2레이어를 구비하고 p-타입 장벽 레이어에 인접하여 있는 분할된 갭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이미터 영역과 전기 소통 상태에 있는 제1옴 접촉부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19. 제17항에 있어서, 갭 영역과 전기 소통 상태에 있는 제2옴 접촉부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0. 제17항에 있어서, 제1레이어는 적어도 1전자 산란 길이 너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1. 제17항에 있어서, 제1레이어는 적어도 5전자 산란 길이 너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2. p-타입 전도성을 가진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홀 방출용 억셉터 집중 p*를 가진 p-타입 영역을 함유하는, 고온 열교환면과 열 소통하는 이미터 영역과;
    이미터 영역과 전기 및 열 소통 상태로 있으며, 도너 도핑(p)을 가진 반도체 갭 영역 및;
    이미터 영역과 갭 영역과의 사이에 퍼텐셜 장벽과 페르미-레벨 불연속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미터 영역과 갭 영역 사이에 개재된 도너 집중(n*)을 가진 n-타입 장벽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콜드 열교환면과 열 소통 상태에 있는 컬렉터 영역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갭 영역은 컬렉터 영역과 전기 및 열 소통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5. 제23항에 있어서, 이미터 영역과 전기 소통 상태에 있는 제1옴 접촉부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6. 제25항에 있어서, 컬렉터 영역과 전기 소통 상태에 있는 제2옴 접촉부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7. 제2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옴 접촉은 열을 전기 변환하기 위해 외부 로드를 통하는 전기회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8. 제2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옴 접촉은 전기를 냉동 변환하기 위해 외부 파워원을 통하는 전기회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29. 제22항에 있어서, 갭 영역은 적어도 1캐리어 산란 길이 너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30. 제22항에 있어서, 갭 영역은 적어도 5캐리어 산란 길이 너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31.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컨버터의 고온 측에 n*/p/n의 설계 구조를 가진 제1다이오드 및;
    n*레이어를 가지고 컨버터의 콜드 측까지 이어지는 제1다이오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서멀 다이오드 스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32.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컨버터의 고온 측에 n*/p/n/pc의 설계 구조를 가진 제1다이오드 및;
    n*레이어를 가지고 컨버터의 콜드 측까지 이어지는 제1다이오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서멀 다이오드 스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33.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컨버터의 고온 측에 n*/p/n/pi의 설계 구조를 가진 제1다이오드 및;
    n*레이어를 가지고 컨버터의 콜드 측까지 이어지는 제1다이오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서멀 다이오드 스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34.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컨버터의 고온 측에 n*/p/n/pi/pc의 설계 구조를 가진 제1다이오드 및;
    n*레이어를 가지고 컨버터의 콜드 측까지 이어지는 제1다이오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서멀 다이오드 스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35.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냉동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미터 영역과 갭 영역과의 사이에 위치한 p-타입 장벽 레이어를 통하는 고 도프된 n*이미터 영역으로부터 n-타입 갭 영역 내로 캐리어를 인젝션하는 단계와:
    대응 페르미-레벨의 불연속을 허용하는 단계 및;
    에너지에 의해 전자를 분류하도록 퍼텐셜 장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방법.
  36.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냉동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미터 영역과 갭 영역과의 사이에 위치한 n-타입 장벽 레이어를 통하는 고 도프된 p*이미터 영역으로부터 p-타입 갭 영역 내로 캐리어를 인젝션하는 단계와:
    대응 페르미-레벨의 불연속을 허용하는 단계 및;
    에너지에 의해 전자를 분류하도록 퍼텐셜 장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방법.
KR1020057017148A 2003-03-13 2004-03-15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KR101003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451103P 2003-03-13 2003-03-13
US60/454,511 2003-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143A true KR20050116143A (ko) 2005-12-09
KR101003059B1 KR101003059B1 (ko) 2010-12-22

Family

ID=3302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148A KR101003059B1 (ko) 2003-03-13 2004-03-15 솔리드 스테이트 에너지 컨버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611617B1 (ko)
JP (1) JP4939928B2 (ko)
KR (1) KR101003059B1 (ko)
CN (1) CN100539197C (ko)
AU (1) AU2004220800B2 (ko)
CA (1) CA2518177C (ko)
IL (1) IL170684A (ko)
RU (1) RU2336598C2 (ko)
WO (1) WO2004084272A2 (ko)
ZA (1) ZA2005070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9408B2 (en) 1999-03-11 2006-09-19 Eneco, Inc. Solid state energy converter
JP4830383B2 (ja) * 2005-07-19 2011-1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コアシェル型ナノ粒子および熱電変換材料
US8053947B2 (en) 2005-12-14 2011-11-08 Kriisa Research, Inc. Device for converting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JP4817243B2 (ja) * 2006-05-17 2011-11-16 学校法人神奈川大学 ペルチェ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7663053B2 (en) * 2007-01-05 2010-02-16 Neokismet, Ll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re-equilibrium ballistic charge carrier refraction
RU2456698C1 (ru) * 2011-04-04 2012-07-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Курчат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со щелочным металлом
RU2456699C1 (ru) * 2011-04-04 2012-07-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Курчат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Блок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й со щелочным металлом
CA2840059C (en) * 2011-07-20 2020-04-21 Hiroaki Nakaya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power generation device
US9847407B2 (en) 2011-11-16 2017-12-19 Skyworks Solutions, Inc.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a gallium arsenide Schottky diode having low turn-on voltage
US20130137199A1 (en) * 2011-11-16 2013-05-30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processes
US9190595B2 (en) 2012-07-20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energy in an electronic device
US10510914B2 (en) 2013-03-21 2019-12-17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Transparent energy-harvesting devices
KR102534142B1 (ko) * 2015-04-27 2023-05-18 보드 오브 트러스티즈 오브 미시건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고전압 유기 투명 태양전지용 유기 염
EA029915B1 (ru) * 2016-08-26 2018-05-3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нстанта"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тепловой энергии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в электрическую энергию
FR3073918B1 (fr) 2017-11-21 2019-11-01 Zodiac Aerotechnics Dispositif anti-retour de fluide monobloc dans un aeronef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9405A (en) * 1984-04-10 1987-03-10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Electron ballistic injection and extraction for very high efficiency, high frequency transferred electron devices
JP3582233B2 (ja) * 1996-06-11 2004-10-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電変換素子
US5955772A (en) * 1996-12-17 1999-09-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eterostructure thermionic coolers
JP3186659B2 (ja) * 1997-09-03 2001-07-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電変換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熱電変換材料
JP4167761B2 (ja) * 1998-08-14 2008-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熱電変換素子及び熱電変換モジュール
US6403874B1 (en) * 1998-11-20 2002-06-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igh-efficiency heterostructure thermionic coolers
KR100666157B1 (ko) * 1999-03-11 2007-01-09 에네코, 인코포레이티드 혼성 열전자 에너지 변환기 및 방법
US6396191B1 (en) * 1999-03-11 2002-05-28 Eneco, Inc. Thermal diode for energy conversion
JP2001217469A (ja) * 2000-02-04 2001-08-10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熱電変換素子とその製造方法
RU2275713C2 (ru) * 2000-06-22 2006-04-27 Инеко, Инк.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и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тепловой энергии
US6779347B2 (en) * 2001-05-21 2004-08-24 C.P. Baker Securities, Inc. Solid-state thermionic refrigeration
US6946596B2 (en) * 2002-09-13 2005-09-20 Kucherov Yan R Tunneling-effect energy conver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8432A (zh) 2006-05-03
EP1611617A2 (en) 2006-01-04
ZA200507090B (en) 2006-06-28
JP4939928B2 (ja) 2012-05-30
WO2004084272A3 (en) 2004-12-16
JP2006521698A (ja) 2006-09-21
WO2004084272A2 (en) 2004-09-30
CN100539197C (zh) 2009-09-09
CA2518177A1 (en) 2004-09-30
AU2004220800A1 (en) 2004-09-30
KR101003059B1 (ko) 2010-12-22
AU2004220800B2 (en) 2009-06-11
RU2336598C2 (ru) 2008-10-20
EP1611617A4 (en) 2008-10-29
EP1611617B1 (en) 2015-05-06
RU2005131609A (ru) 2006-02-20
IL170684A (en) 2011-01-31
CA2518177C (en)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9763B2 (en) Solid state energy converter
IL170684A (en) Solid state energy converter
EP1282935B1 (en) Thermal diode for energy conversion
Shakouri et al. Enhanced thermionic emission cooling in high barrier superlattice heterostructures
Hishinuma et al. Refrigeration by combined tunneling and thermionic emission in vacuum: Use of nanometer scale design
US20050016575A1 (en) Field emission based thermoelectric device
EP22357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d state cooling system
AU2001268030A1 (en) Thermal diode for energy conversion
US20070137687A1 (en) Thermoelectric tunnelling device
Wu et al. Bilayer excitons in two-dimensional nanostructures for greatly enhanced thermoelectric efficiency
Zeng Thermionic-tunneling multilayer nanostructures for power generation
Nolas et al. A comparison of projected thermoelectric and thermionic refrigerators
Chung et al. Theoretical analysis of a field emission enhanced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cooler
Fisher et al. Design of a novel on-chip electronic refrigerator based on a normal-insulator-superconductor tunnel junction
O'Dwyer et al. Low thermal conductivity short-period superlattice thermionic devices
Rosul et al. Thermionic energy conversion
US20070057277A1 (en) Tunneling gap diodes
Goldsmid Solid-state and vacuum thermoelements
Goldsmid et al. Thermionic Energy Conversion
Kucherov et al. Heat to Electricity Conversion with Thermal Diodes
JP2006073899A (ja) 電子熱電素子
WO2005031780A2 (en) Tunneling gap di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