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103A -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103A
KR20050115103A KR1020040040393A KR20040040393A KR20050115103A KR 20050115103 A KR20050115103 A KR 20050115103A KR 1020040040393 A KR1020040040393 A KR 1020040040393A KR 20040040393 A KR20040040393 A KR 20040040393A KR 20050115103 A KR20050115103 A KR 20050115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car wash
reservoirs
bas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9828B1 (ko
Inventor
김연하
Original Assignee
페트라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트라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트라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828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for separation of magnetic materials, e.g. magnetic flocc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vehicle washing facil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8Devices for applying magnetic or electric fiel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세차장 등에서 사용되는 물을 재활용하여 다시 세차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재처리할 수 있는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며, 배출구의 높이 차이에 의하여 폐수가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정화하려는 폐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조; 상기 저장조들 사이에 제공되어 폐수가 통과되면서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는 다수의 필터; 상기 저장조 중의 하나에 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는 제1 펌프; 상기 저장조 중에서 필터를 통하여 정화된 저장조의 물의 인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는 제2 펌프; 상기 저장조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폐수 속에 혼합되어 있는 쇳가루를 분리하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차용수를 재활용하여 반복하여 사용하여도 쇳가루로 인하여 차량의 표면에 잔기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차장에서 다량으로 사용되는 세차용수를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서 물의 소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A wastewater re-disposal plant for a car wash}
본 발명은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차장 등에서 사용되는 물을 재활용하여 다시 세차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재처리할 수 있는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차용수의 재활용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3325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는 세차수 수집조, 오일 흡착조, 필터조 등을 구비하여 세차에 사용된 폐수를 침전, 오일제거, 여과, 제거 과정을 거쳐 정화하여 재활용하여 폐수에 의한 수질 오염을 막아 자연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의 공보에 개시된 기술로는 세차용수에 떠다니는 미세한 쇳가루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세차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재처리하여 세차용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완전히 걸러지지 않은 쇳가루가 포함된 세차용수로 인하여 차량의 외부에 긁힘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차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쇳가루를 제거하여 재차 세차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차장에서 사용된 물의 냄새를 제거함은 물론 연수로 만들어 재사용이 가능한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며, 높이 차이에 의하여 폐수가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정화하려는 폐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조; 상기 저장조들 사이에 제공되어 폐수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다수의 필터; 상기 저장조 중의 하나에 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는 제1 펌프; 상기 저장조 중에서 필터를 통하여 정화된 저장조의 물의 인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는 제2 펌프; 상기 저장조 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폐수 속에 혼합되어 있는 쇳가루를 분리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컨트롤러가 제1 펌프를 구동시키고, 제1 펌프의 구동에 의하여 통하여 이미 사용된 세차장의 폐수를 첫번째 배치되는 저장조에 유입시킨다. 상기 다수의 저장조들은 폐수가 순차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배출구의 높이 차이에 의하여 배치되며, 폐수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필터들을 통하여 정화가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정화된 물은 정화조들에 배치되어 있는 자성체에 의하여 쇳가루가 분리되고, 최종의 저장조에 모인다. 상기 최종의 저장조에 모인 물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제2 펌프가 구동되어 세차용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최종의 저장조에서 별도의 저장탱크로 이동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설명을 위한 블럭도로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1), 상기 베이스(1)에 설치되는 제1, 2, 3, 4, 5, 6 저장조(3, 5, 7, 9, 11, 13), 상기 저장조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마그네틱 베이스(15), 상기 제1 저장도(3)에 세차 후에 버려지는 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 펌프(17), 상기 제6 저장조(13)에서 정화된 세차 용수를 별도의 탱크(도시생략)에 저장하기 위한 제2 펌프(19)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1)는 프레임이 결합되어 틀을 이루는 것으로 상술한 저장조들 및 펌프들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저장조(3)는 상기 베이스(1)에 설치되며, 세차에 사용된 폐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며, 호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개폐 밸브(도시생략)가 제공된다. 상기 제2 저장조(5)는 상기 제1 저장조(3)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저장조(3)에 수용된 폐수가 자연적으로 흘러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2 저장조(3, 5) 사이에는 제1 연결통로(21)가 배치되어 제1 저장조(3)의 폐수가 제2 저장조(5)로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제1 연결통로(21)는 제1 저장조(3) 측에 연결되는 부분이 제2 저장조(5)에 연결되는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저장조(3)에 수용된 폐수가 제2 저장조(5) 측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연결통로(21)에는 제1 저장조(3)의 폐수가 제2 저장조(5)로 이동되면서 이물질 등을 걸러줄 수 있는 필터(F1)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F1)는 통상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4, 5, 6 저장조(7, 9, 11, 13)는 상기 제1, 2 저장조(3, 5)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폐수가 순차적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제2, 3, 4, 5 연결통로(23, 25, 27, 29)가 각각의 저장조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3, 4, 5 연결통로(23, 25, 27, 29)들은 제1 연결통로(21)와 마찬가지로 각각 연결되는 저장조들 사이에 배치되는데, 폐수가 자연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2, 3, 4, 5 연결통로(21, 23, 25, 27, 29)들은 폐수가 배출되는 부분 측이 인입되는 부분 측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자연적으로 폐수가 각각의 저장조들을 순서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3, 4, 5 연결통로(23, 25, 27, 29)들에는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통상의 필터(F2, F3, F4, F5)들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3, 4, 5, 6 저장조(7, 9, 11, 13)들의 하단에는 하부에 모이는 슬러지 등을 배출할 수 있는 개폐밸브(V)들이 제공된다. 상기한 저장조들은 설계 또는 처리 용량에 따라 그 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폐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쇳가루를 분리할 수 있는 자성체가 배치된다. 상기 자성체는 온, 오프 스위치(16, 도 2에 도시하고 있음) 조작에 의하여 자력이 발생하거나 제거되는 마그네틱 베이스(15, 도 2에 도시하고 있으며, 일본 카네텍의 상품명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자성체는 상기 저장조들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특정한 저장조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1)에는 세차용수로 사용된 폐수를 제1 저장조(3)에 유입시킬 수 있는 제1 펌프(17) 및 제6 저장조(13)에서 정화된 세차용수를 별도의 세차용수 저장탱크(도시생략)에 공급하기 위한 제2 펌프(19)가 제공된다. 즉, 제1 펌프(17)는 세차 후에 버려지는 폐수를 모아 파이프(P1)를 통하여 제1 저장조(3)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제2 펌프(19)는 상기 저장조들을 순환하며 필터(F1, F2, F3, F4, F5) 등에 걸러진 세차용수가 다시 사용되도록 물탱크(도시생략) 등에 저장하기 위하여 또 다른 파이프(P2)를 통하여 제6 저장조(13)에서 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2 펌프(17, 19)는 스위치(S)의 온, 오프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러(C)의 제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도 3에 도시하고 있음).
또한, 상기 베이스(1)에는 저면에 상기 제1, 2, 3, 4, 5, 6 저장조(3, 5, 7, 9, 11, 13)의 하단에 배치되는 배출밸브(V)를 통하여 배출된 슬러지 등을 모아 임시로 저장하는 하부 저장조(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2, 3, 4, 5, 6 저장조(3, 5, 7, 9, 11, 13)에는 내부에 다수의 세라믹 구상체(31)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구상체(31)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서로 마찰에 의하여 라디칼을 생성시켜 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 구상체(7)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 2001-0093378호에 기재된 유지처리용 세라믹 구상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세라믹 구상체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세라믹 구상체(7)는 맥반석과 철, 망간, 티타늄,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소 등의 5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세라믹 구상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원적외선 발생이 가능하거나, 물을 연수로 바꿀 수 있으며, 살균효과를 가지는 통상의 세라믹 구상체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세차용수를 재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위치(S)를 작동시키면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하여 제1 펌프(17)가 작동하여 이미 세차용수로 사용된 폐수가 제1 저장조(3)로 파이프(P1)를 통하여 이동된다. 그러면 제1, 2, 3, 4, 5, 6 저장조(3, 5, 7, 9, 11, 13)를 순차적으로 제1, 2, 3, 4, 5 연결통로(21, 23, 25, 27, 29)를 통하여 폐수가 높이 차이에 의하여 흐르면서 필터(F1, F2, F3, F4, F5)에 의하여 이물질 등이 걸러진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제를 상기 저장조들에 투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조들을 거치면서 세라믹 구상체(31)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세라믹 구상체(31)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된다. 이러한 폐수의 흐름을 통하여 세라믹 구상체(7)가 서로 부딪쳐 자유 라디칼이 형성되고, 이러한 라디칼은 산화억제 작용을 통하여 물과 반응하여 폐수가 연수로 변하게 되며, 살균 및 탈취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라믹 구상체(31)가 물(폐수)에 작용하는 과정은 상술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93378호의 작용설명으로 상세한 설명을 대치한다. 상기 공보에는 유지에 대하여 반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나, 물에 대하여도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6 저장조(13)에 설치된 마그네틱 베이스(15)를 온으로 작동시켜 놓으면, 자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6 저장조(13)에 포함되어 있는 쇳가루가 자력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15)에 붙는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15)를 오프로 작동시켜 쇳가루를 제거한다.
계속해서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 펌프(19)가 작동하여 제6 저장조(13)에 수용된 정화된 물을 파이프(P2)를 통하여 별도의 물탱크 등으로 이동시켜 세차 용수로 다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재 사용되는 세차용수는 쇳가루가 모두 제거된 상태의 세차용수가 고압으로 분사되어도 차량의 외관에 잔기스 또는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조들을 이동하는 폐수가 필터들을 통하여 정화가 이루어지고, 자성체가 저장조에 제공되어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쇳가루가 분리되는 기술을 통하여 세차용수를 반복하여 사용하여도 쇳가루로 인하여 차량의 표면에 잔기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차장에서 다량으로 사용되는 세차용수를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서 물의 소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설명을 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Claims (4)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며, 배출구의 높이 차이에 의하여 폐수가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정화하려는 폐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조;
    상기 저장조들 사이에 제공되어 폐수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다수의 필터;
    상기 저장조 중의 하나에 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는 제1 펌프;
    상기 저장조 중에서 필터를 통하여 정화된 저장조의 물의 인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는 제2 펌프;
    상기 저장조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폐수 속에 혼합되어 있는 쇳가루를 분리하는 자성체;
    를 포함하는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온, 오프 조작에 의하여 자력이 발생하거나 또는 자력을 상실하는 마그네틱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들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폐수에 원적외선이 조사되며, 서로 접촉에 의하여 자유 라디칼을 형성시키는 다수의 세라믹 구상체를 구비한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구상체는 맥반석, 철, 망간, 티타늄,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소 등의 금속물질 중에서 적어도 5종 이상을 혼합시켜 이루어지는 세차장 폐수 재처리 장치.
KR1020040040393A 2004-06-03 2004-06-03 폐수 재처리 장치 KR100569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393A KR100569828B1 (ko) 2004-06-03 2004-06-03 폐수 재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393A KR100569828B1 (ko) 2004-06-03 2004-06-03 폐수 재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103A true KR20050115103A (ko) 2005-12-07
KR100569828B1 KR100569828B1 (ko) 2006-04-11

Family

ID=3728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393A KR100569828B1 (ko) 2004-06-03 2004-06-03 폐수 재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713B1 (ko) * 2006-05-30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세척설비용 철분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73B1 (ko) 2008-12-01 2009-09-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석과 막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CN109231653A (zh) * 2018-11-27 2019-01-18 安徽省绿巨人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高含铁采矿废水处理工艺
WO2020160425A1 (en) 2019-01-31 2020-08-06 Ecolab Usa Inc. Controlling water levels and detergent concentration in a wash cycle
CA3128363A1 (en) 2019-01-31 2020-08-06 Ecolab Usa Inc. Laundry machine kit to enable control of water levels, recirculation, and spray of chemistry
MX2021009283A (es) 2019-01-31 2021-09-08 Ecolab Usa Inc Controlador para un sistema de reutilizacion de agua de enjuague y metodos de us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474Y1 (ko) * 1991-01-23 1994-01-26 주식회사 송설기업 세차장용 용수 자화처리기
JPH10314796A (ja) * 1997-05-15 1998-12-02 Morita Econos Ltd 洗車水リサイクル装置
KR100232835B1 (ko) * 1997-10-24 1999-12-01 정북천 세차용수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713B1 (ko) * 2006-05-30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세척설비용 철분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828B1 (ko)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404933B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abwasser
US20080190868A1 (en) Water Filtration and Recycling for Stone Fabrication Equipment
US6077446A (en) Sand filtration filtering system using ozone
JP2007098538A (ja) 個液分離システム
KR100569828B1 (ko) 폐수 재처리 장치
HRP92142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s from metallworking of ferromagnetic materials
KR101640162B1 (ko)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정수처리장치
US6896818B2 (en) Water filtration and recycling for stone fabrication equipment
KR100538347B1 (ko) 오폐수처리장치
US20050184011A1 (en) Car wash water reclamation system
DE69919035D1 (de) Behälter zur behandlung von abwasser aus autowaschanlagen
JPH10337429A (ja) 圧縮洗浄による池水ろ過方法及び装置
JP5756578B1 (ja) 切削液浄化装置
SE512475C2 (sv) Förfarande för rening och återanvändning av avloppsvatten
KR101526330B1 (ko) 여과형 수 순환장치
JP2606248Y2 (ja) 汚水処理装置
JPS6331511A (ja) 廃水等の濾過装置
CN220597112U (zh) 一种节能型矿山用废水处理装置
JP7466967B1 (ja) 洗浄汚水処理装置及び仮設機材洗浄装置
JP2008114132A (ja) スラッジの分離装置
DE4142612A1 (de) Verfahren und filteranlage zur behandlung von verunreinigten fluessigkeiten
JP2500603Y2 (ja) 浄化噴水装置
KR100227995B1 (ko) 오폐수 생분해 순간자동정화장치
JP2004255346A (ja) 配管のフラッシング方法およびフラッシングシステム
JP2001321614A (ja) スクリーン式固液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