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4983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흡수율 알림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흡수율 알림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4983A
KR20050114983A KR1020040040120A KR20040040120A KR20050114983A KR 20050114983 A KR20050114983 A KR 20050114983A KR 1020040040120 A KR1020040040120 A KR 1020040040120A KR 20040040120 A KR20040040120 A KR 20040040120A KR 20050114983 A KR20050114983 A KR 20050114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terminal
absorption rate
electromagnetic wav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865B1 (ko
Inventor
이하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86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시 안테나 급전 위치(Feeding Point)와, 얼굴과의 거리에 따른 두부(頭部)에서의 전자파 흡수율을 유사인체 모델(phantom)을 통해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 후, 실제 전화 통화 시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를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해 사용자가 전자파로부터 안정한 거리에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 시 단말기와 사용자의 얼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와;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 신호를 중앙 처리부에서 처리하기 용이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에이디 컨버터와; 유사인체 모델(phantom)을 통해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을 미리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 메모리부와; 상기 에이디 컨버터를 통해 입력된 거리에 대응하는 전자파 흡수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전자파 흡수율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인가되는 전자파 흡수율을 문자나 그래픽 형태로 엘시디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전화 통화를 위해 단말기의 폴더를 열었을 경우, 상기 거리 센서를 구동하여 통화 중 상태의 단말기와 사용자 얼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SAR)을 검색하여 통화 안전 거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거리가 지정된 통화 안전 거리보다 가까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좀 더 멀리 위치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거리가 지정된 통화 안전 거리가 되었을 경우, 경고음 출력을 중단하여 전자파로부터 안전한 거리가 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와 방법{SPECIFIC ABSORPTION RATE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USING CONVERSATION DISTANCE DETEC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시 안테나 급전 위치(Feeding Point)와, 얼굴과의 거리에 따른 두부(頭部)에서의 전자파 흡수율을 유사인체 모델(phantom)을 통해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 후, 실제 전화 통화 시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를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해 사용자가 전자파로부터 안정한 거리에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특히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대한 인체 흡수율 지표인 SAR(Specific Absorption Rate) 값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파로부터 안정적으로 통화하기 위한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 흡수율(SAR : Specific Absorption Rate)이란, 인체조직의 단위 질량에 흡수된 에너지(W/kg)를 의미한다. SAR의 기준은 직접적으로 인체에 대한 전자파 사용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지만, 실제로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은 어렵기 때문에 유사 인체모델(Phantom)을 이용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최대 송신출력상태로 동작시켜, 유사 인체모델 내의 최대 SAR 값을 실험적으로 구하여, 인체내의 SAR를 추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각 나라의 SAR 규격을 살펴보면 미국, 캐나다, 호주, 대한민국은 1g당 1.6W/kg 이고 유럽 및 일본은 10g 당 2.0W/kg 이다. SAR 측정은 휴대폰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인체 두부(頭部)에 흡수되는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측정을 위한 환경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치 조건, 측정절차에 대한 방법 등이 표준화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통화할 때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측정된 SAR 값과 실제의 SAR 값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의 사용 설명서에 표시되어 있는 SAR 값은 이해가 부족한 사용자들에게는 의미가 없었다.
즉, 종래의 경우 상기 SAR의 측정은 단지 단말기의 출시 전 사용 설명서에 첨부하거나, 법적인 허가 절차상의 필요에 의한 테스트만 있었을 뿐, 사용자가 그에 대한 정보를 알고 영향을 덜 받도록 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시 안테나 급전 위치(Feeding Point)와, 얼굴과의 거리에 따른 두부(頭部)에서의 전자파 흡수율을 유사인체 모델(phantom)을 통해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 후, 실제 전화 통화 시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를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해 사용자가 전자파로부터 안정한 거리에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와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화 시 단말기와 사용자의 얼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와;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 신호를 중앙 처리부에서 처리하기 용이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에이디 컨버터와; 유사인체 모델(phantom)을 통해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을 미리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 메모리부와; 상기 에이디 컨버터를 통해 입력된 거리에 대응하는 전자파 흡수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전자파 흡수율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인가되는 전자파 흡수율을 문자나 그래픽 형태로 엘시디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리 센서를 구비하고 단말기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을 알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화 통화를 위해 단말기의 폴더를 열었을 경우, 상기 거리 센서를 구동하여 통화 중 상태의 단말기와 사용자 얼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SAR)을 검색하여 통화 안전 거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거리가 지정된 통화 안전 거리보다 가까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좀 더 멀리 위치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거리가 지정된 통화 안전 거리가 되었을 경우, 경고음 출력을 중단하여 전자파로부터 안전한 거리가 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안테나의 급전 위치(Feeding Point)와 가장 근접한 곳에 거리 센서를 구비하고, 통화 시 그 곳(Feeding Point)으로부터 사용자의 두부(頭部) 거리를 측정하여, 전자파 흡수율(SAR)이 가장 낮은 안전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 중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전자파로부터 안전한 거리만큼 두부에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장치와 방법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
이때, 상기 두부(頭部), 특히 얼굴 측면과 단말기의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SAR)은, 유사인체 모델(phantom)을 통해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 후,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따라서, 단말기에서는 실제 통화 시 얼굴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의 전자파 흡수율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알 수 있으며, 전자파 흡수율이 낮은 적정 위치를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전자파로부터 안전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얼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의 실장 위치는, 안테나의 급전 위치(Feeding Point)와 가장 근접한 곳에서 본체의 내측과 얼굴이 맞닿는 면에 실장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시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 측정을 위한 거리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인 예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폴더형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통화 시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 측정을 위한 센서가 본체의 내측과 얼굴이 맞닿는 면에서 안테나의 급전 위치(Feeding Point)에 가장 근접한 곳에 실장한다. 예컨대, 폴더의 접히는 부분(힌지 부분)이 가장 바람직하며, 거리 센서의 크기가 폴더의 여닫음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와 같이 매우 작으므로, 실장에 어려움이 없고 단말기의 디자인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통화 시 단말기와 사용자의 얼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Proximity sensor, 101)와, 상기 거리 센서(101)를 통해 측정된 거리 신호를 중앙 처리부(CPU)에서 처리하기 용이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에이디 컨버터(102)와, 유사인체 모델(phantom)을 통해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을 미리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 메모리부(103)와, 상기 에이디 컨버터(102)를 통해 입력된 거리에 대응하는 전자파 흡수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전자파 흡수율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104)와, 상기 중앙 처리부(104)에서 인가되는 전자파 흡수율을 문자나 그래픽 형태로 엘시디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출력부(10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03)는 전자파 흡수율(SAR)이 안테나의 급전 위치(Feeding Point)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유사 인체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통화할 때 단말기가 위치할 수 있는 상태에서의 얼굴과 단말기와의 거리를 미리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해 두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104)는 거리 센서(101)를 통해 통화 시 단말기와 사용자와의 실제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전자파 흡수율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SAR 값을 검색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SAR 표시 모드에 따라 현재의 SAR 값을 음성으로 알려주거나, "현재 단말기는 전자파에 대한 안전 거리에 있습니다" 라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즉, 상기 메시지 출력부(105)는 단말기에 구비된 엘시디 또는 스피커를 통해 문자(그래픽) 혹은 음성으로, 상기 중앙 처리부(104)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통화 시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전화 송/수신을 위해 사용자가 폴더를 열었을 경우, 중앙 처리부는 거리 센서를 구동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중 상태에서 단말기와 얼굴과의 실제 거리를 측정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가 측정되면, 중앙 처리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SAR 데이터베이스에서, 거리에 따른 SAR 값을 인출하여 통화 안전 거리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측정된 거리가 지정된 통화 안전 거리보다 가까울 경우, 경고음 또는 단말기를 좀 더 멀리 위치시키라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좀 더 멀리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지정된 통화 안전 거리가 되었을 경우, 경고음 출력을 중단하거나 전자파로부터 안전한 거리가 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음성에 의한 SAR 값이나 안내 메시지의 출력 이외에도, 엘시디를 통한 실제 거리에 따른 SAR 값을 그래프 또는 숫자로 표시하거나 저장해 두어 사용자가 추후 참조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와 방법은 전화 통화 시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전자파로부터 안정한 거리에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 흡수율을 표시하는 부가 기능을 단말기에 더 부가함으로써, 단말기의 부가가치를 높여 단말기의 수요를 더욱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시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 측정을 위한 거리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에 따라 통화 중 실제 거리 측정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거리 센서 102 : 에이디 컨버터
103 : 메모리부 104 : 중앙 처리부
105 : 메시지 출력부

Claims (8)

  1. 통화 시 단말기와 사용자의 얼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와;
    상기 거리 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 신호를 중앙 처리부에서 처리하기 용이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에이디 컨버터와;
    유사인체 모델(phantom)을 통해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을 미리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 메모리부와;
    상기 에이디 컨버터를 통해 입력된 거리에 대응하는 전자파 흡수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전자파 흡수율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인가되는 전자파 흡수율을 문자나 그래픽 형태로 엘시디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는 본체의 내측과 얼굴이 맞닿는 면에서 안테나의 급전 위치(Feeding Point)에 가장 근접한 곳에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유사 인체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통화할 때 단말기가 위치할 수 있는 상태에서의 얼굴과 단말기와의 거리를 미리 측정하여 그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SAR)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통화 시 단말기와 사용자와의 실제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을 검색하고, 설정 모드에 따라 현재의 SAR 값을 문자나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통화 시 측정된 단말기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지정된 전자파 흡수율(SAR) 이하가 되도록 통화 안전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장치.
  6. 거리 센서를 구비하고 단말기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을 알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화 통화를 위해 단말기의 폴더를 열었을 경우, 상기 거리 센서를 구동하여 통화 중 상태의 단말기와 사용자 얼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SAR)을 검색하여 통화 안전 거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거리가 지정된 통화 안전 거리보다 가까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좀 더 멀리 위치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거리가 지정된 통화 안전 거리가 되었을 경우, 경고음 출력을 중단하여 전자파로부터 안전한 거리가 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화 안전 거리 이상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고음은 음성에 의한 안내 메시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은 그래프 또는 숫자로 표시하거나 저장해 두어 사용자가 추후 참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거리 검출을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알림 방법.
KR1020040040120A 2004-06-02 2004-06-02 전자파 흡수율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19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120A KR100619865B1 (ko) 2004-06-02 2004-06-02 전자파 흡수율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120A KR100619865B1 (ko) 2004-06-02 2004-06-02 전자파 흡수율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983A true KR20050114983A (ko) 2005-12-07
KR100619865B1 KR100619865B1 (ko) 2006-09-14

Family

ID=3728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120A KR100619865B1 (ko) 2004-06-02 2004-06-02 전자파 흡수율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8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71A2 (ko) * 2009-05-15 2010-11-18 주식회사 씨모텍 외장형 무선 모뎀에서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32236A (ko) * 2010-09-28 201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신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71A2 (ko) * 2009-05-15 2010-11-18 주식회사 씨모텍 외장형 무선 모뎀에서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0131871A3 (ko) * 2009-05-15 2011-01-27 주식회사 씨모텍 외장형 무선 모뎀에서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32236A (ko) * 2010-09-28 201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신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9603105B2 (en) 2010-09-28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865B1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9891B2 (en) Wireless telephony device with breath analysis senso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160227046A1 (en) Alert signal control using message priority
MXPA05008658A (es) Metodo, aparato y medio legible en computadora para proveer un indicador de disponibilidad de servicio de ubicacion y la calidad de los servicios de ubicacion disponibles.
KR20010093266A (ko) 휴대용 다중 대역 통신 장치 및, 그 전하 소비량 결정방법
KR100619865B1 (ko) 전자파 흡수율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0341375A5 (ko)
CN108320450A (zh) 一种儿童智能手表安全监控方法及装置
JP2009302949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状況推定システム
KR100286129B1 (ko) 음주측정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CN111954174A (zh) 一种提示呼叫的方法
KR100553424B1 (ko) 표시장치 파손 경고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KR1009710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4898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통화상태표시장치
KR2006003095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표시방법
KR100539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경고 방법
KR19990041501A (ko) 디지탈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티티에스 방법
JP2004032490A (ja) 携帯電話機
KR20060031041A (ko) 체온 측정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8692864A (zh) 停车空间封闭度检测方法、系统、停车预警方法及车辆
KR20070006492A (ko) 고도에 따른 전원 오프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KR20050034189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98873A (ja) 通信端末の呼出し音量制御装置
KR20000044255A (ko)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운영 방법
KR2002000616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주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1572964A (zh) 移动通信语音评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