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4055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4055A
KR20050114055A KR1020040039253A KR20040039253A KR20050114055A KR 20050114055 A KR20050114055 A KR 20050114055A KR 1020040039253 A KR1020040039253 A KR 1020040039253A KR 20040039253 A KR20040039253 A KR 20040039253A KR 20050114055 A KR20050114055 A KR 20050114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change
vertical synchronization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4055A/ko
Publication of KR20050114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12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 H04N11/14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 H04N11/1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the chrominance signal alternating in phase, e.g. PAL-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영상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되는 경우 과도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내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제어부를 구비하여 구동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영상처리부는, 외부에서 입력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를 검출하고, 변화가 검출되면, 영상처리부의 내부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를 변경하여 내부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내부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되는 시점에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논리제어부는,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에 의해 논리제어부의 내부 수직 동기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부영상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 변경시 과도현상을 방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3-전극 면 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면 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앞쪽 및 뒤쪽 글라스 기판들(100, 106) 사이에는,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 Am), 유전층(102, 110), Y 전극 라인들(Y1, ... , Yn), X 전극 라인들(X1 , ... , Xn), 형광층(112), 격벽(114) 및 보호층으로서 예컨대 일산화마그네슘(MgO)층(104)이 마련되어 있다.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m)은 뒤쪽 글라스 기판(106)의 앞쪽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아래쪽 유전층(110)은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 2, ... , Am)의 앞쪽에 도포된다. 아래쪽 유전층(110)의 앞쪽에는 격벽(114)들이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m)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격벽(114)들은 각 디스플레이 셀의 방정 영역을 구획하고, 각 디스플레이 셀 사이의 광학적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형광층(112)은, 격벽(114)들 사이에서 형성된다.
X 전극 라인들(X1, ... , Xn)과 Y 전극 라인들(Y1, ... , Yn )은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m)과 직교되도록 앞쪽 글라스 기판(100)의 뒤쪽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각 교차점은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셀을 설정한다. 각 X전극 라인(X1, ... , Xn)과 각 Y 전극 라인(Y1, ... , Yn)은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의 투명 전극 라인(Xna, Yna)과 전도도를 높이기 위한 금속 전극 라인(Xnb, Ynb)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앞쪽 유전층(102)은 X 전극 라인들(X1, ... , Xn)과 Y 전극 라인들(Y1, ... , Yn)의 뒤쪽에 전면(全面) 도포되어 형성된다. 강한 전계로부터 패널(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104) 예를 들어, 일산화마그네슘(MgO)층은 앞쪽 유전층(102)의 뒤쪽에 전면 도포되어 형성된다. 방전 공간(108)에는 플라즈마 형성용 가스가 밀봉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구동 방식은, 초기화, 어드레스 및 디스플레이 유지 단계가 단위 서브-필드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되게 하는 방식이다. 초기화 단계에서는 구동될 디스플레이 셀들의 전하상태가 균일하게 된다. 어드레스 단계에서는, 선택될 디스플레이 셀들의 전하 상태와 선택되지 않을 디스플레이 셀들의 전하 상태가 설정된다. 디스플레이 유지 단계에서는, 선택될 디스플레이 셀들의 전하 상태가 설정된다. 디스플레이 유지 단계에서는, 선택될 디스플레이 셀들에서 디스플레이 방전이 수행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방전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셀들의 플라즈마 형성용 가스로부터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이 플라즈마로부터의 자외선 방사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셀들의 형광층(112)이 여기되어 빛이 발생된다.
도 2는 도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반적인 구동 장치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통상적인 구동 장치는 영상 처리부(200), 제어부(202), 어드레스 구동부(206), X 구동부(208) 및 Y 구동부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200)는 외부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내부 영상 신호 예를 들어, 각각 8비트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영상 데이터, 클럭 신호,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어드레스 구동부(206)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어드레스 신호(SA)를 처리하여 표시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표시 데이터 신호를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X 구동부(208)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X 구동 제어 신호(SX)를 처리하여 X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Y 구동부(204)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SY,SX)중에서 Y 구동 제어 신호(SY)를 처리하여 Y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구동방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 구동방법이 미국특허 제 554161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의 일예로서 Y 전극 라인들에 대한 통상적인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Address-Display Separation) 구동 방법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위 프레임은 시분할 계조 표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정개수 예컨대 8개의 서브필드들(SF1, ..., SF8)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필드(SF1, ...SF8)는 리셋구간(미도시)과, 어드레스 구간(A1, ..., A8)및, 유지방전 구간(S1, ..., S8)로 분할된다.
각 어드레스 구간(A1, ..., A8)에서는,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에 표시데이터 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각 Y 전극 라인(Y1, ..., Yn)에 상응하는 주사 펄스가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각 유지방전 구간(S1, ...,S8)에서는, Y 전극 라인들(Y1, ..., Yn)과 X 전극 라인들(X1, ..., Xn)에 디스플레이 방전용 펄스가 교호하게 인가되어, 어드레스 구간(A1, ..., A8)에서 벽전하들이 형성된 방전셀들에서 표시방전을 일으킨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는 단위 프레임에서 차지하는 유지방전 구간(S1, ..., S8)내의 유지방전 펄스 개수에 비례한다. 1화상을 형성하는 하나의 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와 256계조로 표현되는 경우에, 각 서브필드에는 차례대로 1, 2, 4, 8, 16, 32, 64, 128의 비율로 서로 다른 유지펄스의 수가 할당될 수 있다. 만일 133계조의 휘도를 얻기 위해서는, 서브필드1 기간, 서브필드3 기간 및 서브필드8 기간 동안 셀들을 어드레싱하여 유지방전하면 된다.
각 서브필드에 할당되는 유지방전 수는, APC(Automatic Power Control)단계에 따른 서브필드들의 가중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필드에 할당되는 유지방전 수는 감마특성이나 패널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서브필드 4에 할당된 계조도를 8에서 6으로 낮추고, 서브필드6에 할당된 계조도를 32에서 34로 높일 수 있다. 또한,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서브필드의 수도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널의 구동 신호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AC PDP의 ADS(Address Display Separation) 구동방식에서 한 서브필드(SF)내에 어드레스 전극(A), 공통전극(X) 및 주사전극(Y1~Yn)에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필드(SF)는 리셋기간(PR), 어드레스 기간(PA) 및 유지방전기간(PS)를 구비한다.
리셋기간(PR)은 모든 그룹의 주사라인에 대해 리셋펄스를 인가하여, 강제로 기입방전을 수행함으로써, 전체 셀의 벽전하 상태를 초기화한다. 어드레스기간(PA)에 들어가기 전에 리셋기간(PR)이 수행되며, 이는 전 화면에 걸쳐 수행하므로, 상당히 고르면서도 원하는 분포의 벽전하 배치를 만들 수 있다. 리셋기간(PR)에 의해 초기화된 셀들은, 셀 내부의 벽전하 조건이 모두 비슷하게 형성된다. 리셋기간(PR)이 수행된 후에 어드레스 기간(PA)이 수행된다. 이 때 어드레스 기간(PA)에는, 공통전극(X)에 바이어스 전압(Ve)이 인가되고, 표시되어야 할 셀 위치에서 주사전극(Y1~Yn)과 어드레스 전극(A1~Am)을 동시에 턴온시킴으로써 표시 셀을 선택한다. 어드레스 기간(PA)이 수행된 후에, 공통전극(X)과 주사전극(Y1~Yn)에 유지펄스(Vs)를 교대로 인가하여, 유지방전 기간(PS)이 수행된다. 유지방전 기간(PS)중에 어드레스 전극(A1~Am)에는 로우레벨의 전압(VG)이 인가된다. PDP에서 휘도는 유지방전 펄스 수에 의하여 조정된다. 하나의 서브필드 또는 하나의 TV 필드에서의 유지방전 펄스수가 많으면 휘도가 증가한다.
도 5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50Hz에서 60HZ로 변화되는 경우의 각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영상 신호(So)가 PAL(Phase Alternating by Line) 방식의 50Hz에서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 Committee) 방식의 60Hz로 (a)시점에서 변경된다면, 영상처리부(200)내에서는 (b)시점에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되었음을 판단한다. 따라서 (a)에서 (b)까지의 시간은 영상처리부(200)내에서 과도기간이 된다. 또한 논리제어부(202)는 3 프레임 이상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되는 경우인 (c)시점에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한다. 논리제어부(202)에서 과도기간은 (b)에서 (c)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 영상처리부(200)의 내부영상 신호(Si)와 논리제어부내(202)의 구동 제어신호(Sd)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 기간동안 내부영상 신호(Si)를 블랙(black)으로 처리하였으나,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화면 번쩍임 또는 채널 정보 등을 알리는 OSD(On Screen Display)가 하부로 처지거나 떨리는 과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외부영상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 변경시 과도현상을 방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내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영상처리부는, 외부에서 입력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를 검출하고, 변화가 검출되면, 영상처리부의 내부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를 변경하여 내부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내부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되는 시점에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논리제어부는,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에 의해 논리제어부의 내부 수직 동기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 동기신호 주파수의 변화는, PAL 방식의 50Hz와 NTSC 방식의 60Hz간의 변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수직 동기신호 주파수의 변화는, NTSC 방식의 60Hz와 PAL 방식의 50Hz간의 변화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외부영상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 변경시 과도 현상을 방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외부영상 신호(So)가 영상처리부(600)에 입력된다. 영상처리부(600)는 입력 받은 외부영상 신호(So)를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하여 내부영상 신호(Si)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외부영상 신호(So)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를 검출하며,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가 검출되면, 영상처리부(600)내의 내부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를 변경한다. 또한 내부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되는 시점에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Sc)를 출력한다.
논리제어부(602)는 영상처리부(600)로부터 내부영상 신호(Si)와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Sc)를 입력받는다. 외부영상 신호(So)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되지 않는다면, 논리제어부(602)는 상기 내부영상 신호(Si)를 입력받아 감마보정, 오차 확산, APC를 거쳐 구동 제어신호(Sd)를 출력한다. 외부영상 신호(So)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된다면, 논리 제어부(602)는 입력된 내부영상 신호(Si)의 수직 신호 주파수 변경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영상처리부(600)로부터 입력 받은 주파수 변경 신호에 의해 바로 논리 제어부(602) 내부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를 변경하여 구동 제어신호(Sd)를 출력한다.
구동부(607)는 영상처리부(600)로부터 입력받은 구동 제어신호(Sd)에 의해서 패널(6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Sr)를 출력한다.
도 7은 도 6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50Hz에서 60HZ로 변화되는 경우의 각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처리부(600)에 입력되는 외부영상 신호(So)가 (d)시점에서 PAL방식의 50Hz에서 NTSC방식의 60Hz로 변한다면, 먼저 영상처리부(600)에서는 외부영상 신호(So)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를 검출하기 시작한다.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를 계속 카운트하여 상기 변화가 일정한 수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일어난다면,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화하였다고 판단한다.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 변화를 검출하는 시기는 (d)에서 (e)까지의 기간이 소요된다. 변화가 검출되면, 영상처리부(600)는 (e)시점에서 내부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를 PAL 방식의 50Hz에서 NTSC 방식의 60Hz로 변경하며, 논리제어부(602)로 이에 따른 내부영상 신호(Si)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e)시점에서 논리제어부(602)로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Sc)를 출력한다. 한편 (d)시점에서 (e)시점까지는 외부영상 신호(So)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이미 NTSC 방식의 60Hz로 변경되었으므로 영상처리부(600)내에서는 (d)에서 (e)까지의 기간이 과도기간이 된다.
논리제어부(602)는 영상처리부(600)로부터 내부영상 신호(Si)를 계속 입력받고 있다가 (e)시점에서 영상처리부(600)로부터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논리제어부(602)내에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즉시 논리제어부(602)내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를 NTSC 방식의 60Hz로 변경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영상 신호(So)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가 발생하여도 과도기간은 (d)에서 (e)까지일 뿐이므로, 과도현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6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60Hz에서 50HZ로 변화되는 경우의 각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처리부(600)에 입력되는 외부영상 신호(So)가 (f)시점에서 NTSC 방식의 60Hz에서 PAL 방식의 50Hz로 변한다면, 먼저 영상처리부(600)에서는 외부영상 신호(So)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를 검출하기 시작한다.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를 계속 카운트하여 상기 변화가 일정한 수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일어난다면,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화하였다고 판단한다.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 변화를 검출하는 시기는 (f)에서 (g)까지의 기간이 소요된다. 변화가 검출되면, 영상 처리부(600)는 (g)시점에서 내부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를 NTSC 방식의 60Hz에서 PAL 방식의 50Hz로 변경하며, 논리제어부(602)로 이에 따른 내부영상 신호(Si)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g)시점에서 논리제어부(602)로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Sc)를 출력한다. 한편 (f)시점에서 (g)시점까지는 외부영상 신호(So)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이미 PAL 방식의 50Hz로 변경되었으므로 영상처리부(600)내에서는 (f)에서 (g)까지의 기간이 과도기간이 된다.
논리제어부(602)는 영상처리부(600)로부터 내부영상 신호(Si)를 계속 입력받고 있다가 (e)시점에서 영상처리부(600)로부터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Sc)를 입력받으면, 논리제어부(602)내에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즉시 논리제어부(602)내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를 PAL 방식의 50Hz로 변경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영상 신호(So)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가 발생하여도 과도기간은 (f)에서 (g)까지일 뿐이므로, 과도현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외부영상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되어도 영상처리부와 논리제어부 내부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거의 동시에 변하므로 과도현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화면 번쩍임 또는 OSD가 하부로 처지거나 떨리는 현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3-전극 면 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통상적인 구동 장치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의 일예로서 Y 전극 라인들에 대한 통상적인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 구동방법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널의 구동 신호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50Hz에서 60HZ로 변화되는 경우의 각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외부영상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 변경시 과도 현상을 방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50Hz에서 60HZ로 변화되는 경우의 각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60Hz에서 50HZ로 변화되는 경우의 각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o...외부영상 신호
Si...내부영상 신호
Sc...주파수 변경 제어신호
Sd...구동 제어신호
Sr...구동 신호

Claims (3)

  1. 외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내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외부에서 입력된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의 변화를 검출하고, 변화가 검출되면, 영상처리부의 내부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를 변경하여 내부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 수직 동기 신호 주파수가 변경되는 시점에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논리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변경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논리제어부의 내부 수직 동기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신호 주파수의 변화는
    PAL(Phase Alternating by Line)방식의 50Hz와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 Committee)방식의 60Hz간의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신호 주파수의 변화는
    NTSC 방식의 60Hz와 PAL 방식의 50Hz간의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039253A 2004-05-31 2004-05-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4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253A KR20050114055A (ko) 2004-05-31 2004-05-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253A KR20050114055A (ko) 2004-05-31 2004-05-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055A true KR20050114055A (ko) 2005-12-05

Family

ID=3728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253A KR20050114055A (ko) 2004-05-31 2004-05-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40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766B1 (ko) 2006-11-27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859686B1 (ko) 2005-12-29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클록 생성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686B1 (ko) 2005-12-29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클록 생성 방법
KR100833766B1 (ko) 2006-11-27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119B1 (ko) 패널구동장치
KR100560489B1 (ko) 플라즈마 패널의 잔상 방지 방법과 장치, 그 장치를 갖는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5731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장치
KR2005011405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981B1 (ko) 패널구동방법 및 장치
KR1006371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잔상 발생 방지 방법 및 장치
JP4208859B2 (ja) 外圧によって輝度が調整される放電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836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5818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521467B1 (ko) 플라즈마 패널의 잔상 방지 방법과 장치, 그 장치를 갖는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581884B1 (ko) 패널구동장치
KR10058187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KR10058187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424264B1 (ko) 초기 상태의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구동 방법
KR10062608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47775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5818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62608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6033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KR2006000137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KR20050112573A (ko) 고장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0005148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
KR2005011405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50044091A (ko) 개선된 동작 시퀀스를 가진 방전 표시 장치
KR20050121854A (ko) 2개의 구동부들만을 사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