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068A -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068A
KR20050113068A KR1020040038560A KR20040038560A KR20050113068A KR 20050113068 A KR20050113068 A KR 20050113068A KR 1020040038560 A KR1020040038560 A KR 1020040038560A KR 20040038560 A KR20040038560 A KR 20040038560A KR 20050113068 A KR20050113068 A KR 20050113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signal
outgoing communication
outgoing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792B1 (ko
Inventor
최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79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3Line monitoring circuits for detecting caller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피호출하는 발신통신망을 구분하고 각각 상이한 빛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피호출 상대방이 가입 등록한 발신통신망 구별신호를 검출하고 해당 착신발광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착신측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고 호출자의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착신측 기지국; 기지국과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발신통신망 식별정보와 발신자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착신측 이동교환국; 이동교환국과 접속하고 다른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공중망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되고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 무선부와 접속되고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발신통신망별 상이한 착신발광신호와 발신자 번호를 출력 표시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발신통신망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자가 가입 등록한 이동통신망을 식별 출력하는 망검출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발신자 번호를 분석하여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검출 출력하는 발신자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발신통신망별 상이한 착신발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 구성을 특징 등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PPARATUS OF CLASSIFICATION CALLER NETWORK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피호출되는 경우 호출한 발신통신망을 구분하고 해당 착신발광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특히, 호출하는 이동통신 사업자를 구분하고 각각 상이한 색상의 빛이 발생하도록 하므로, 번호이동성에 의하여 발신자 번호만으로 사업자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을 착신 빛 신호로 구별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망(NETWORK)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현재, 국내에는 다수 이동통신 사업자가 각각 고유의 호출번호를 할당받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공중망을 통하여 다른 이동통신망에 가입된 상대방 휴대단말기(UE)를 호출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UE)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개인 통신장비는, 실제 통신에 운용되는 시간이 적고, 대부분 시간을 대기상태로 운용하므로 이용률이 낮으며, 상기와 같이 낮은 이용률을 높이는 동시에 실생활의 응용성 및 편리성을 높이고, 통신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는, 크게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과 휴대단말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내장상태로 제공하는 것이 있으며, 일 예로,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에는, 카메라,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등등이 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발신자 확인 등이 있고,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상기 이동교환국이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중, 발신자 확인 서비스(CID: CALLER ID)는, 호출자(CALLER) 또는 발신자(이하 발신자)의 신상정보를 발신 통신망이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발신자의 고유번호(ID)와 이름 등의 정보를 제공하므로, 착신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번호 이동성 서비스는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에 가입 등록되어 사용되던 고유의 호출번호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에 가입 등록되어 사용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발신자 확인 서비스(CID)에 의하여 발신자 고유번호를 확인하면, 발신통신망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번호 이동성 서비스에 의하여 발신자 고유번호 만으로는 발신자가 가입한 이동통신망을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피호출된 휴대단말기가, 발신자의 가입된 이동통신망을 구분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발신자 이동통신망 구별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발신자 이동통신망 구별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UE)(10)는 기지국(RAN)(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신하거나 또는, 상대방 피호출에 응답하여 통신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10)가 상대방 호출 또는 피호출에 의하여 통신경로가 설정되고 통신하는 것은, 상기 기지국(20)에 접속된 이동교환국(MSC)(30)의 해당 분석 및 스위칭 처리에 의한 것으로, 피호출 상태에서는 상대방의 발신자 번호 정보를 휴대단말기(10)에 전송하고, 호출상태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되어 착신되는 경우, 착신상태를 표시하는 램프(LAMP)를 발광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동시에, 설정된 착신벨 소리 신호를 출력하여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발신자가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통신망을 구별하지 못하고, 발신자 번호 확인 서비스에 의하여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확인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발신자 이동통신망 구별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되는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피호출 되는 경우, 수신되는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여 표시하고(S20), 피호출을 표시하는 착신램프 신호와 경고신호를 출력한다(S30).
상기 휴대단말기(10)에 표시되고 출력되는 발신자 번호와 착신램프와 경고신호에 의하여 피호출에 의한 착신상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발신자 신원을 확인하고(S40), 상기 피호출 상대방과 통신 할 것인지 판단한다(S50).
상기 판단(S50)에서 신원이 확인된 상대방과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는 호출에 응답하므로 통신을 진행하고 종료한다(S60).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에 의한 착신상태를 착신램프와 착신경고신호에 의하여 확인하고, 해당 표시부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발신자 고유정보에 의하여 발신자 신원을 확인한다.
그러나, 발신자가 가입 등록한 발신통신망을 구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번호이동성 서비스에 의하여 확인되는 발신자 고유번호 만으로는 발신통신망을 구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 예로, 동일한 이동통신망에 가입된 경우, 무료로 제공되는 문자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발신자의 가입 등록된 발신망 정보를 검출 확인하고 설정된 방식의 착신발광신호를 출력하여 표시하므로 발신자의 이동통신망을 빛신호로 확인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피호출 상대방이 가입 등록한 발신통신망 구별신호를 검출하고 해당 착신발광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착신측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서비스 영역에서 무선접속하고 호출자의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착신측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발신통신망으로부터 인가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와 발신자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착신측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과 접속하고 다른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공중망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되고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무선부와 접속되고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발신통신망별 상이한 착신발광신호와 발신자 번호를 출력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발신통신망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자가 가입 등록한 이동통신망을 식별 출력하는 망검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발신자 번호를 분석하여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검출 출력하는 발신자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발신통신망별 상이한 착신발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되는 경우 발신통신망과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검출된 발신통신망별 해당 착신발광신호와 발신자 번호와 착신벨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착신과정과; 상기 과정의 피호출 상대방과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 호출에 응답하고 통신을 진행하는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발신통신망 구별 시스템 장치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발신통신망 구별 시스템 장치 구성을 설명하면, 피호출 상대방이 가입 등록한 발신통신망 구별신호를 검출하고 해당 착신발광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120)으로부터 출력되어 전송되는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 정보를 검출 분석하고 발신통신망 별로 상이한 착신 발광신호와 발신자 번호를 출력 표시하는 착신측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서비스 영역 안에서 무선접속하고 이동교환국(120)으로부터 인가되는 호출자의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착신측 기지국(110)과,
상기 기지국(110)과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발신통신망으로부터 인가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와 발신자 정보를 휴대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것으로, 공중망(130)을 통하여 인가되는 상대방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고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호접속 요청신호와 함께 인가되는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로 전송하는 착신측 이동교환국(120)과,
상기 이동교환국(120)과 접속하고 다른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 경로(PATH)를 제공하는 공중망(130)과,
상기 공중망(130)에 접속하고 상대방 휴대단말기를 호출하는 호접속 요청신호와 발신자 정보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발신측 이동교환국(125)과,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125)에 접속하고 발신측 휴대단말기(105)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발신측 기지국(115)과,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125)에 가입 등록되고 상기 기지국(115)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무선접속하여 상대방과 호접속 요청하는 호출신호를 출력하고 통신하는 발신측 휴대단말기(10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 시스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대방 휴대단말기(105)로부터 피호출 되는 경우, 기지국을 통하여 호출신호와 발신자 번호 정보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함께 인가 받는다.
상기 상대방 휴대단말기(105)는 호접속 요청 신호인 호출신호를 무선접속된 기지국(115)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115)은 이동교환국(125)에 인가하며, 상기 이동교환국(125)은 해당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휴대단말기(105)를 확인하는 발신자 정보와 상기 휴대단말기(105)가 가입되고 등록된 이동교환국(125)을 발신통신망을 구분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함께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25)이 설정한 통신경로는, 공중망(130)을 통하여 수신측 이동교환국(120)에 인가되는 것으로,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발신측 휴대단말기(105)를 구분 확인하는 해당 신상정보와 발신측 이동교환국(125)의 발신통신망을 확인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가 상기 이동교환국(125)에 의하여 출력되고 공중망(130)을 통하여 수신측 이동교환국(120)에 전송된다.
상기 수신측 이동교환국(120)은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고 해당 위치추적 등을 통하여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고, 스위칭 처리하여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동시에, 피호출에 의한 착신벨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신측 휴대단말기(105)의 발신자 정보와, 상기 발신측 휴대단말기(105)가 가입되고 등록된 발신측 이동교환국(125)을 식별하는 것으로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함께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출력된 신호는 기지국(110)을 통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100)로 무선송신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무선수신된 착신벨 신호에 의하여 피호출 상태의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신자 정보를 검출 분석하여 발신자의 고유전화번호를 확인 및 출력 표시하며, 상기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검출 분석하여 발신측 이동통신망을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발신측 이동통신망을 구분 표시하도록 설정된 착신발광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착신발광신호는, 이동통신 사업자마다 상이하게 설정된 것으로, 일 예로, 엘지 텔레콤의 경우는 빨간색 또는 연속 발광되는 빛 신호, 케이티에프의 경우는 파란색 또는 짧게 연속 점멸되는 빛 신호, 에스케이 텔레콤의 경우는 노란색 또는 길게 연속 점멸되는 빛 신호 등으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착신발광신호에 의하여 발신측 휴대단말기(105)가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망의 해당 불빛이 발생되므로,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에서 상기 불빛 확인만으로 발신측 휴대단말기(105)의 가입된 이동통신 사업자를 확인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를 설명한다.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되고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200)와,
상기 무선부(200)와 접속되고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발신통신망별 상이한 착신발광신호와 발신자 번호를 출력 표시하는 것으로, 무선부(200)로부터 호접속 신호가 수신되어 인가되면 함께 수신되는 발신통신망 식별 정보를 분리하여 망검출부(260)에 인가하고, 망검출부(260)로부터 발신통신망을 구별한 신호가 인가되면 메모리부(220)로부터 검색된 발신자별 착신발광신호를 상기 발광부(230)에 인가하며; 무선부(200)로부터 수신되어 인가되는 발신자 번호를 분리하여 발신자부(250)에 인가하므로 발신자 고유번호 정보를 검출하고, 입출력부(240)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제어부(210)와,
상기 제어부(210)에 접속하고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220)와,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발신통신망별 상이한 착신발광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신호에 의하여 발신 사업자를 구분하는 빛 신호를 색상변화로 표시하거나 점멸 주기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발광부(230)와,
상기 제어부(210)에 접속하고, 음성급신호와 문자급 신호와 영상급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신호를 입출력하며 상대방을 호출하는 다이얼링(DIALING) 신호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부(240)와,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무선부(200)가 수신하고 입력되는 발신자 번호를 분석하여 발신자의 해당 고유번호(ID)를 검출 및 출력하는 발신자부(250)와,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발신통신망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자가 가입 등록한 이동통신망을 식별 출력하는 것으로, 무선부(200)가 수신하고 제어부(210) 제어로 입력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분석하며 상대방 호출 휴대단말기가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망을 식별하고, 상기 발신통신망을 식별한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망검출부(260)로 이루어지는 장치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는, 무선부를 통하여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각종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일 예로, 상대방 휴대단말기로부터 피호출된 경우,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벨 신호와 발신자 번호 신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가 수신된다.
상기와 같이 무선부(20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210)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210)는 착신벨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입출력부(240)에 출력하므로 피호출 되었음을 청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하고, 분리된 발신자 번호 신호는, 상기 발신자부(250)에 인가하여 발신자의 고유한 번호(ID)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검출된 발신자 번호는, 상기 입출력부(240)의 해당 표시부에 인가하므로 시각적으로 발신자의 고유한 번호를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무선부(200)가 수신하여 인가한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분리하고 망검출부(260)에 인가하며, 상기 망검출부(260)는 입력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분석하므로, 발신측 이동교환국이 어느 이동통신 사업자의 통신망에 가입 등록되었는지를 구별하며, 상기와 같이 구별된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는 제어부(210)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부(210)는, 분석되어 입력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부(220)의 데이터베이스를 대비하므로 해당 사업자에게 설정된 착신발광신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업자별 착신발광신호는 발광부(230)에 인가되어 빛신호로 발광된다.
상기 발광부(230)에서 사업자 별로 발광되는 빛 신호는, 일 예로, 색깔을 사용하는 경우, 엘지 텔레콤의 경우는 빨간색, 케이티에프의 경우는 파란색, 에스케이 텔레콤의 경우는 노란색 등으로 설정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업자별 색상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는, 일 예로, 엘지 텔레콤의 경우 연속 발광되는 빛 신호, 케이티에프의 경우는 짧게 연속 점멸되는 빛 신호, 에스케이 텔레콤의 경우는 길게 연속 점멸되는 빛 신호 등으로 설정되어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빛 신호로 표시되는 착신신호에 의하여 상대방 호출자가 어느 이동통신 사업자에 가입 등록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되는 경우 발신통신망과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는 기지국을 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되는 호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로부터 발신통신망 식별정보와 발신자 번호 신호를 분리검출하고 분석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검출된 발신통신망별 해당 착신발광신호와 발신자 번호와 착신벨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확인과정에서 검출되고 분석된 이동통신 발신통신망별 설정된 소정의 착신발광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검출되고 분석된 발신자 번호와 착신벨 경고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착신과정과,
상기 착신과정의 피호출 상대방과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 호출에 응답하고 통신을 진행하는 것으로, 상기 과정의 확인된 피호출 상대방과 통신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상대방과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는, 호출응답신호를 입력하고 호접속된 상대방과 통신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통신과정으로 구성되는 방법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단말기는 상대방으로부터 호접속 요청에 의하여 피호출 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된 경우, 착신벨 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와 발신자 번호 정보를 분리검출하여 분석처리한다(S110).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분리검출하고 분석된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이 확인된 이동통신망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착신발광신호에 의하여 해당 빛 신호를 출력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한다(S120).
상기 빛 신호는, 각 이동통신 사업자를 구분하도록 색깔을 달리 하거나 또는 점멸 상태를 달리 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분리검출되고 분석된 발신자 번호를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여 시각적으로 표시 및 확인하도록 하며, 착신벨 소리 신호를 발생하여 청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한다(S130).
상기 휴대단말기의 피호출에 의하여 표시되는 착신벨, 발신자 번호, 발신통신망 식별 빛 정보를 확인하고, 호출한 상대방과 통신할 것인지 판단하며(S140), 상기 판단(S140)에서 호출한 상대방과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는, 호출응답신호를 발생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상대방과 통신을 진행한다(S150).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발신측 휴대단말기가 가입되고 등록된 통신망을 발신통신망에서 전송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분석하고, 각각의 이동통신 사업자 별로 설정된 빛 색상 또는 빛 점멸 상태에 의하여 용이하게 확인한다.
따라서, 번호이동성에 의하여 발신자 번호로는, 발신자가 가입된 이동통신 사업자를 구별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이동교환국에서 수신측에 통보하는 발신통신망 신호를 분리 검출 분석하여 발신측 통신망을 구별하고, 각 이동통신 사업자에 설정된 해당 착신발광 신호를 발생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번호이동성에 의하여 검출되고 확인되는 발신자 번호만으로 구별할 수 없었던, 발신측 휴대단말기의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사업자 통신망을 착신발광 신호에 의하여 용이하게 구별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신측 휴대단말기가 가입되고 등록된 이동통신 사업자를 발광되는 색상 또는 점멸되는 빛의 상태 구분으로 명확하게 확인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휴대단말기의 발신자 이동통신망 구별 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 발신통신망 구별 시스템 장치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기능 구성도,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105 : 휴대단말기 110, 115 : 기지국
120, 125 : 이동교환국 130 : 공중망
200 : 무선부 210 : 제어부
220 : 메모리부 230 : 발광부
240 : 입출력부 250 : 발신자부
260 : 망검출부

Claims (13)

  1. 피호출 상대방이 가입 등록한 발신통신망 구별신호를 검출하고 해당 착신발광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착신측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서비스 영역에서 무선접속하고 호출자의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착신측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발신통신망으로부터 인가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와 발신자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착신측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과 접속하고 다른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공중망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발신통신망 구별 시스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망에 접속하고 상대방 휴대단말기를 호출하며 발신자 정보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발신측 이동교환국과,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발신측 이동교환국에 가입 등록되고 상기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무선접속하여 상대방과 호접속 요청의 호출신호를 출력하고 통신하는 발신측 휴대단말기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발신통신망 구별 시스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출력되는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 정보를 검출 분석하고 발신통신망 별로 상이한 착신 발광신호와 발신자 번호를 출력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발신통신망 구별 시스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환국은,
    상기 공중망을 통하여 인가되는 상대방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고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호접속 요청신호와 함께 인가되는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 정보를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발신통신망 구별 시스템장치.
  5.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되고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무선부와 접속되고 발신자 번호와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발신통신망별 상이한 착신발광신호와 발신자 번호를 출력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발신통신망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자가 가입 등록한 이동통신망을 식별 출력하는 망검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발신자 번호를 분석하여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검출 출력하는 발신자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발신통신망별 상이한 착신발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며 상대방을 호출하는 다이얼링 신호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망검출부는,
    상기 무선부가 수신하고 제어부 제어로 입력되는 발신통신망 식별정보를 분석하며 상대방 호출 휴대단말기가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망을 식별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부로부터 호접속 신호가 수신되어 인가되면 함께 수신되는 발신통신망 식별 정보를 분리하여 상기 망검출부에 인가하고, 상기 망검출부로부터 발신통신망을 구별한 신호가 인가되면 메모리부로부터 검색된 발신자별 착신발광신호를 상기 발광부에 인가하며,
    상기 무선부로부터 수신되어 인가되는 발신자 번호를 분리하여 상기 발신자부에 인가하므로 발신자 고유번호 정보를 검출하고, 입출력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발신 사업자를 구분하는 빛 신호를 색상변화로 표시하거나 점멸 주기를 변화시켜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장치.
  10.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되는 경우 발신통신망과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검출된 발신통신망별 해당 착신발광신호와 발신자 번호와 착신벨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착신과정과,
    상기 과정의 피호출 상대방과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 호출에 응답하고 통신을 진행하는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은,
    휴대단말기는 기지국을 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되는 호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로부터 발신통신망 식별정보와 발신자 번호 신호를 분리검출하고 분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과정은,
    상기 과정에서 검출되고 분석된 이동통신 발신통신망별 설정된 소정의 착신발광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검출되고 분석된 발신자 번호와 착신벨 경고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과정은,
    상기 과정의 확인된 피호출 상대방과 통신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상대방과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는, 호출응답신호를 입력하고 호접속된 상대방과 통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구별방법.
KR1020040038560A 2004-05-28 2004-05-28 발신통신망 식별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식별 방법 KR10060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560A KR100608792B1 (ko) 2004-05-28 2004-05-28 발신통신망 식별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식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560A KR100608792B1 (ko) 2004-05-28 2004-05-28 발신통신망 식별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식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68A true KR20050113068A (ko) 2005-12-01
KR100608792B1 KR100608792B1 (ko) 2006-08-08

Family

ID=3728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560A KR100608792B1 (ko) 2004-05-28 2004-05-28 발신통신망 식별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697B1 (ko) * 2007-09-25 2010-05-31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6827A (ja) 1996-10-18 1998-05-15 Oki Tsushin Syst Kk 無線呼出受信装置
KR20030023671A (ko) * 2003-02-28 2003-03-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연결 대기중 유무선통신 사업자 알림방법
KR100562265B1 (ko) * 2003-02-28 2006-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연결 대기 상태에서 발신 가입자에게 서비스 제공자지정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1002284B1 (ko) * 2003-08-28 2010-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26684B1 (ko) * 2003-12-26 2005-11-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번호 이동성 서비스에서 사업자 정보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697B1 (ko) * 2007-09-25 2010-05-31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792B1 (ko)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0352B1 (en) A mobile st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station in conferencing mod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263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캐릭터 이미지 송수신 방법
KR1007035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KR20060117163A (ko)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61982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발신자 정보 확인장치 및 방법
KR100619891B1 (ko) 착신모드 지정이 가능한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8792B1 (ko) 발신통신망 식별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식별 방법
KR20020014945A (ko) 휴대단말기의 엘이디를 이용한 호출자 표시장치
KR100601930B1 (ko) 휴대 전화 단말기의 상태 정보 처리 장치
KR100569789B1 (ko)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50023853A (ko) 타인의 단말을 이용한 지정번호 표시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5517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피호출자 신원확인 장치 및 방법
KR100430308B1 (ko)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선별 착신 방법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399486B1 (ko) 전화 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JPH06189359A (ja) 位置通知電話システム
KR100451195B1 (ko)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89915A (ko) 단문메시지 발신자 자동 호출장치 및 방법
KR2002007896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자 아이디를 이용한 발신자 확인방법
KR100672397B1 (ko) 이동 단말기의 자동 메시지 송출장치 및 방법
KR2007004454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자 감정상태 알림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1004740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전화 수신 방법
KR20040006172A (ko) 원격지로 데이터 다운로드 가능한 전화기와 그 방법
JP2000151800A (ja) 情報端末装置及び通話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