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048A -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048A
KR20050113048A KR1020040038537A KR20040038537A KR20050113048A KR 20050113048 A KR20050113048 A KR 20050113048A KR 1020040038537 A KR1020040038537 A KR 1020040038537A KR 20040038537 A KR20040038537 A KR 20040038537A KR 20050113048 A KR20050113048 A KR 20050113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weight
floor
nois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847B1 (ko
Inventor
김경모
서정애
Original Assignee
김경모
서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모, 서정애 filed Critical 김경모
Priority to KR20040038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84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간의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공성 광물질, 폐타이어, 폐스티로폼, 폐종이, 시멘트 및 석고, 기포제, 유기바인더 등을 혼합하여 층간 고음의 완충효과는 물론이고, 환경친화적이고, 폐자원을 재생하여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공성 광물질 1 내지 10중량%, 수성 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 vinyl acetate),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바인더 1 내지 50중량%, 지류 분쇄물 0.5 내지 25중량% 및 타이어 분쇄물, 스티로폼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분쇄물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혼합물이 기포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Shock absorbing composition for inter layer noise proofing of a construction and floor forming method for inter layer noise proofing of a construction using the shock absorb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아파트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간의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공성 광물질, 폐타이어, 폐스티로폼, 폐종이, 시멘트 및 석고, 기포제, 유기바인더 등을 혼합하여 층간 소음의 완충효과는 물론이고, 환경친화적이고, 폐자원을 재생하여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닥충격음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상층바닥에서 사람의 보행,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질 때, 바닥 슬래브, 천장 또는 벽체를 통하여 하층 세대 내로 방사되는 음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는 공기 전파음을 잘 차단하기 때문에 좋은 차음재라 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구조에 충격이나 진동을 직접 가하게 되면 고체전파음으로 변하여 거의 감쇠되지 않고 인접한 다른 세대로 전달되어 음(소음)으로 방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바닥충격음은 크게 그릇이나 골프공 등의 낙하음, 의자 이동음 등과 같이 고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경량충격음과, 성인보행, 어린이들의 뜀뛰기 등과 같이 저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중량충격음으로 구분되고 있다.
구미의 주택의 경우, 바닥충격음은 주로 사람이 구두를 신고 보행하는 소리, 즉 여성의 하이힐에 의한 충격음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로 중량충격음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야 하고, 한국이나 일본 주택의 경우, 생활습관이 좌식생활을 하기 때문에 상기 중량충격음 외에 경량충격음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공동 주택 즉, 아파트나 연립 주택 등에서 아래, 위층간의 진동, 소음 등으로 분쟁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웃 간의 법정 싸움으로까지 번지는 일이 비일비재한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이의 해결방안으로, 각 건설회사에서는 슬래브 위에 충격흡수용 패드를 깔고 그 위에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위에 다시 몰탈을 시공하여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 방법은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인건비 상승의 요인이 되어 분양가 상승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시공 방법은 바닥만 충격 흡수재 등으로 시공하여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 모두를 흡수하지 못하고 벽을 타고 아래층으로 바로 전달되어 아래층은 물론 그 아래층까지도 소음과 진동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벽이 하고 있으므로 실제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KS F 2810 1,2의 방법으로 시료를 만들어 시험하여 1급의 성능을 받았더라도 실제의 공동 주택에서는 1급이 나오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시험은 바닥만 시험받게 되어 있어 벽이 미치는 영향은 고려하지 않은 시험이기 때문에 시험과 실제의 경우가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입주자의 요청 등으로 인하여 공동주택의 바닥, 특히 거실의 바닥의 표면마감재로서 원목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바닥표면마감재로서 원목을 사용하는 종래의 바닥구조는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단열을 위한 경량기포콘크리트,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위에 도포되며 난방배관이 설치되는 마감 모르타르, 그리고 상기 마감 모르타르 위에 접착제에 의하여 표면마감재로서 부착되는 원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표면마감재로서 원목을 사용하는 바닥구조는 원목자체가 어느 정도 차음기능을 수행하여 별도로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표면마감재로서 원목을 사용하지 않고 모노륨을 사용하는 경우의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기포콘크리트사이에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완충재를 구성하여 바닥충격음을 차단하고 있으나 완충재가 바닥표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바닥충격음을 일차적으로 직접 차단하기 못하고 기포경량콘크리트까지 전달된 후에 차음하기 때문에 차음효율은 물론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공법들은 슬라브 위에 자갈 등을 깔고 그 위에 시멘트를 타설하는 등 4 내지 5단계의 공정을 거쳐 시멘트를 경화시키고, 그 위에 완충재 등 층간 소음을 줄이기 위해 별도의 탄성매트 등을 시공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역시 많은 공정 등을 거치는 관계로 시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그에 따라 인건비 등이 추가되어 시공비가 많이 들어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간의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공성 광물질, 폐타이어, 폐스티로폼, 폐종이, 시멘트 및 석고, 기포제, 유기바인더 등을 혼합하여 층간 소음의 완충효과는 물론이고, 환경친화적이고, 폐자원을 재생하여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은, 다공성 광물질 1 내지 10중량%, 수성 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 vinyl acetate),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바인더 1 내지 50중량%, 지류 분쇄물 0.5 내지 25중량% 및 타이어 분쇄물, 스티로폼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분쇄물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혼합물이 기포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다공성 광물질은 응회암, 화산암, 부석, 경석, 펄라이트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완충조성물에는 석고 또는 폐석고를 상기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조성물에는 방부제를 상기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 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은, 건물의 골조로서의 슬라브 등 골조 상에 바닥을 형성함에 있어서, (1) 다공성 광물질 1 내지 10중량%, 수성 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 vinyl acetate),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바인더 1 내지 50중량%, 지류 분쇄물 0.5 내지 25중량% 및 타이어 분쇄물, 스티로폼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분쇄물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혼합물이 기포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사용하되, 상기 완충조성물 중의 다공성 광물질, 지류 분쇄물, 유기 바인더 및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기포 형성을 위한 기포제를 먼저 혼합, 교반하여 1차혼합물을 준비하는 제1혼합단계; (2) 상기 제1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제1혼합물에 상기 완충조성물 중의 완충분쇄물과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시멘트를 혼합, 교반하여 2차혼합물을 준비하는 제2혼합단계; (3) 층간소음방지 시공을 하고자 하는 건물의 슬래브 상에 별도로 완충분쇄물을 1 내지 5㎝의 두께로 적층하여 완충분쇄물층을 형성하는 완충분쇄물층 형성단계; 및 (4) 상기 제2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2차혼합물을 상기 완충분쇄물 상에 도포하는 도포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3)의 완충분쇄물층 형성단계 이후 완충분쇄물층 상에 부직포 또는 비닐을 더 덮어주는 부직포(비닐) 피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은, 다공성 광물질 1 내지 10중량%, 수성 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 vinyl acetate),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바인더 1 내지 50중량%, 지류 분쇄물 0.5 내지 25중량% 및 타이어 분쇄물, 스티로폼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분쇄물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혼합물이 기포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광물질은 그 자체에 포함되는 다수의 기공들로 인해 소음을 흡수, 분산시키고, 충격을 흡수,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은 단열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다공성 광물질은 응회암, 화산암, 부석, 경석, 펄라이트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에게는 상기한 다공성 광물질들 이외에 다른 공지의 또는 새로이 개발될 수 있는 다른 다공성 광물질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이 상기한 다공성 광물질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공성 광물질이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단열성이 저하되고, 소음저감효과 및 충격저감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다른 성분들, 특히 유기 바인더의 함량을 감소시켜 결합력을 저하시키고, 또한 완충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광물질은 1 내지 10㎜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기 바인더는 수성 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 vinyl acetate),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는 유기바인더는 시멘트와 지류 분쇄물 등 다른 성분들을 서로 결합시키고, 형성되는 바닥의 기계적물성을 향상시키고, 수밀성을 증대시키는 등의 기능을 한다. 상기 유기 바인더가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결합력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5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특별한 개선된 효과 없이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기 바인더로는 상기한 것들 이외에 탄성을 갖는 다른 수성 유기 바인더를 포함하여 결합기능을 갖는 통상의 다른 상용화된 결합제 및 접착제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류 분쇄물은 펄프 및 통상의 종이, 특히 자원의 절약 및 폐자원의 재활용의 면에서 볼 때, 폐지류의 분쇄물, 폐지를 물에 해리시킨 것, 제지공장에서의 종이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슬러지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류 분쇄물은 기본 섬유질 상의 물질로서, 경량이면서도 단열성이 우수하고, 특히 응고된 조성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며, 그에 의해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류 분쇄물이 0.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형성되는 바닥의 수평항력의 향상 및 내충격성의 향상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25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다른 성분들, 특히 유기 바인더 등의 함량을 감소시켜 기계적물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점도를 지나치게 높게 만들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유기 바인더와 지류 분쇄물 등은 스치로폼이 표면에 뜨지 않고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며, 경화 후의 콘크리트의 표면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에서 완충분쇄물은 타이어 분쇄물, 스티로폼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서, 이들은 특히 충격흡수에 의한 내충격성의 부여 및 충격흡수에 의한 진동의 감쇄 및 이차 소음의 발생의 억제를 통한 소음억제 등의 효과를 부여한다. 특히, 상기 완충분쇄물은 폐타이어 및 폐스티로폼 등의 폐재 등을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분쇄물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평균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폐타이어의 재활용은 대량으로 발생하는 폐타이어를 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폐자원을 재활용하므로 경제적이며, 완충재로서도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 또한, 폐스티로폼 역시 경량이면서도 단열성 및 충격흡수능이 우수하여 완충재로서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 상기한 바의 완충분쇄물은 상기한 스티로폼이나 폐타이어는 물론 신발제조공장에서 스크랩으로 나오는 발포된 EVA 스크랩이나 스티로폼 제조공장에서 발포되어 판상으로 성형되고 난 후, 잔류하는 구형의 스티로폼발포체 등 완충효과를 나타내는 모든 종류의 발포체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시멘트는 실질적으로 바닥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 물과의 혼합에 의해 수경되어 기계적으로 단단한 바닥을 형성한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고, 물 및 기타 부재료들과의 혼합에 의해 슬러리로 형성되어 원하는 형상대로 성형될 수 있으며, 성형된 대로 경화하여 단단한 구조체를 형성하며, 건물의 건축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통상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포틀랜드 시멘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은 상기 수용성 유기바인더를 충분히 용해시키고, 또한 상기 고체혼합물 등과 혼합되어 통상의 시멘트 슬러리처럼 타설이 가능한 정도의 점성을 갖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이론적으로 또는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또는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완충조성물에는 석고 또는 폐석고를 상기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석고는 바람직하게는 비료공장이나 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폐석고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폐석고의 활용은 환경오염의 방지는 물론이며,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이익이 될 수 있다. 비료공장이나 발전소의 슬러지로 발생하는 석고는 2수석고의 상태로서, 로타리킬른과 같은 통상의 설비를 사용하여 반수석고 혹은 무수석고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폐석고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시멘트와 1 : 1 또는 1 : 2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석고는 차음의 효과가 높으며, 시멘트를 대신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유기 바인더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내수성 등에도 문제가 없으나, 유기 바인더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경우 내수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석고가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차음효과의 개선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25중량%를 초과하여도 무방하나, 기계적 물성의 면에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완충조성물에는 방부제를 상기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부제는 유기 바인더 및 지류 분쇄물 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성분들을 보호하여 장기간 저장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유기물들의 방부의 목적으로 적절히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 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은, 건물의 골조로서의 슬라브 등 골조 상에 바닥을 형성함에 있어서, (1) 다공성 광물질 1 내지 10중량%, 수성 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 vinyl acetate),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바인더 1 내지 50중량%, 지류 분쇄물 0.5 내지 25중량% 및 타이어 분쇄물, 스티로폼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분쇄물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혼합물이 기포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사용하되, 상기 완충조성물 중의 다공성 광물질, 지류 분쇄물, 유기 바인더 및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기포 형성을 위한 기포제를 먼저 혼합, 교반하여 1차혼합물을 준비하는 제1혼합단계; (2) 상기 제1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제1혼합물에 상기 완충조성물 중의 완충분쇄물과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시멘트를 혼합, 교반하여 2차혼합물을 준비하는 제2혼합단계; (3) 층간소음방지 시공을 하고자 하는 건물의 슬래브 상에 별도로 완충분쇄물을 1 내지 5㎝의 두께로 적층하여 완충분쇄물층을 형성하는 완충분쇄물층 형성단계; 및 (4) 상기 제2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2차혼합물을 상기 완충분쇄물 상에 도포하는 도포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제1혼합단계는 다공성 광물질 1 내지 10중량%, 수성 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 vinyl acetate),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바인더 1 내지 50중량%, 지류 분쇄물 0.5 내지 25중량% 및 타이어 분쇄물, 스티로폼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분쇄물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혼합물이 기포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사용하되, 상기 완충조성물 중의 다공성 광물질, 지류 분쇄물, 유기 바인더 및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기포 형성을 위한 기포제를 먼저 혼합, 교반하여 1차혼합물을 준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조성물 중의 일부를 먼저 혼합하여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며, 동시에 충분히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여 이후 (2)의 제2혼합단계에서 가해지는 완충분쇄물과 시멘트와 보다 고르게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3)의 완충분쇄물층 형성단계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 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에서 특징적인 것으로서, 후에 경화되는 경량 콘크리트와 슬래브 사이에 완충지대를 형성하되, 이 완충지대를 특히 폐타이어를 분쇄한 폐타이어 분쇄물을 사용하여 이를 층간소음방지 시공을 하고자 하는 건물의 슬래브 상에 별도로 완충분쇄물을 1 내지 5㎝의 두께로 적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분쇄물층이 1㎝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한 완충효과가 충분치 못하여 층간소음방지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5㎝를 초과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바닥높이가 높아져 층간 높이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4)의 도포단계는 상기 제2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2차혼합물을 상기 완충분쇄물 상에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 도포단계에 의해 상기한 바의 콘크리트층이 상기 완충분쇄물층 상에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건물의 슬래브의 표면 상에 바닥층을 형성하게 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건물의 층간 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 (3)의 완충분쇄물층 형성단계 이후 완충분쇄물층 상에 부직포 또는 비닐을 더 덮어주는 부직포(비닐) 피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부직포 또는 비닐의 피복에 의해 단열, 완충 및 바닥층의 내충격성의 강화 등이 더 보강되게 된다. 상기 부직포로는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 된 통상의 부직포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직포 및 비닐은 당업자에게는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로부터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조성물 및 바닥형성방법에 의해 차음 성능, 단열 성능, 구조적 안정성, 경제성 및 시공성 등을 모두 만족하는 우수한 공동 주택을 지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반 건축물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물 300g, 지류 분쇄물 5g, 다공성 광물질로서 펄라이트 7g, 기포제 1g, 유기 바인더로서 폴리비닐알콜 1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완충분쇄물로서 스티로폼 분쇄물 2g과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300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물 300g, 지류 슬러지 15g, 다공성 광물질로서 펄라이트 5g, 기포제 1g, 유기 바인더로서 에틸비닐아세테이트 50g, 방부제 0.5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완충분쇄물로서 스티로폼 분쇄물 2g과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300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3
물 300g, 지류 분쇄물 5g, 다공성 광물질로서 펄라이트 5g, 기포제 1g, 유기 바인더로서 에틸비닐알콜 50g, 방부제 0.5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완충분쇄물로서 스티로폼 분쇄물 2g과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150g과 석고 150g을 첨가한 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4
물 300g, 지류 슬러지15g, 다공성 광물질로서 펄라이트 5g, 기포제 1g, 유기 바인더로서 EVA 50g, 방부제 0.5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완충분쇄물로서 스티로폼 분쇄물 1g과 약 3㎜ 지름의 폐타이어 분쇄물 15g과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300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5
물 300g, 지류 분쇄물 5g, 다공성 광물질로서 펄라이트 5g, 기포제 1g, 유기 바인더로서 EVA 50g, 방부제 0.5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완충분쇄물로서 스티로폼 분쇄물 1g과 약 3㎜ 지름의 폐타이어 분쇄물 15g과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150g 석고 및 폐 석고 150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6
물 300g, 지류 분쇄물 0.5g, 다공성 광물질로서 펄라이트 5g, 기포제 1g, 유기 바인더로서 EVA 50g, 방부제 0.5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석고 300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7
물 300g, 지류 분쇄물 0.5g, 다공성 광물질로서 펄라이트 5g, 기포제 1g, 유기 바인더로서 EVA 50g, 방부제 0.5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완충분쇄물로서 스티로폼 분쇄물 1g과 약 3㎜ 지름의 폐타이어 분쇄물 15g과 석고 및 폐 석고 400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1
가로 15㎝, 세로 15㎝ 및 높이 10㎝의 용기의 바닥에 높이 약 3㎝로 폐타이어 분쇄물을 적층하고, 그 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7로부터 수득된 완충조성물을 부어넣고, 방치하여 경화시켰다. 이후, 용기로부터 상기 완충조성물의 경화물을 인출하여 물리적인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스티로폼 분쇄물과 폐타이어 분쇄물이 상기 완충조성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중에 고르게 분포하여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상의 콘크리트처럼 단단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충격에 대해 완충역할을 하는 물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스티로폼 분쇄물은 지류 분쇄물과 유기 바인더의 존재로 인해 표면으로 뜨지 않고, 상기 콘크리트 중에 고르게 분포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폐타이어는 원래부터 저면에 층을 형성한 후 완충조성물로 도포하여 주로 콘크리트의 하방에 위치하며,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위로 뜨지 않고 하방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스티로폼 분쇄물에 의한 1차완충과 폐타이어 분쇄물에 의한 2차완충을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실험예 2
가로 15㎝, 세로 15㎝ 및 높이 10㎝의 용기의 바닥에 높이 약 3㎝로 폐타이어 분쇄물을 적층하고, 그 위에 상용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건축용 부직포를 덮은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7로부터 수득된 완충조성물을 부어넣고, 방치하여 경화시켰다. 이후, 용기로부터 상기 완충조성물의 경화물을 인출하여 물리적인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스티로폼 분쇄물과 폐타이어 분쇄물이 상기 완충조성물을 구성하는 시멘트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중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상의 콘크리트처럼 단단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충격에 대해 완충역할을 하는 물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스티로폼 분쇄물은 지류 분쇄물과 유기 바인더의 존재로 인해 표면으로 뜨지 않고, 상기 콘크리트 중에 고르게 분포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폐타이어는 원래부터 저면에 층을 형성한 후 완충조성물로 도포하여 주로 콘크리트의 하방에 위치하며, 그 위에 존재하는 부직포로 인해 완전히 구분되어 있으며, 실시예 1 내지 7로부터 수득된 완충조성물과 폐타이어 분쇄물이 분리되어 있어서, 독립적인 하나의 층을 형성하고 있어 단열 효과는 물론이고 완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스티로폼 분쇄물에 의한 1차완충과 폐타이어 분쇄물에 의한 2차완충을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바닥형성방법에 의해 형성된 바닥은 다공성 광물질 및 기포 등에 의해 그 내부에 다수의 공극(기포)들이 형성되어 있어 충격 등에 의한 소음의 흡수 및 난반사에 의해 소음을 차단하고, 또한 충격을 분산, 완화시켜 층간소음 차단 및 내구성의 향상 등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아파트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간의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형성을 현장에서 현장의 실정에 맞게 즉시로 간편하게 바닥을 형성할 수 있는 바닥형성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바닥형성을 현장에서 직접 단 한번에 시공하여 완료할 수 있어 시간 및 인건비 등을 절약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건축비를 절감하는 등의 효과를 얻으면서 또한 건물에서 층간 소음을 차단하여 정숙한 실내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충격에 대한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다공성 광물질 1 내지 10중량%, 수성 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 vinyl acetate),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바인더 1 내지 50중량%, 지류 분쇄물 0.5 내지 25중량% 및 타이어 분쇄물, 스티로폼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분쇄물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혼합물이 기포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다공성 광물질이 응회암, 화산암, 부석, 경석, 펄라이트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조성물에 석고 또는 폐석고가 상기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조성물에 방부제가 상기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5. 건물의 골조로서의 슬라브 등 골조 상에 바닥을 형성함에 있어서,
    (1) 다공성 광물질 1 내지 10중량%, 수성 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 vinyl acetate),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바인더 1 내지 50중량%, 지류 분쇄물 0.5 내지 25중량% 및 타이어 분쇄물, 스티로폼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분쇄물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혼합물이 기포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사용하되, 상기 완충조성물 중의 다공성 광물질, 지류 분쇄물, 유기 바인더 및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기포 형성을 위한 기포제를 먼저 혼합, 교반하여 1차혼합물을 준비하는 제1혼합단계;
    (2) 상기 제1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제1혼합물에 상기 완충조성물 중의 완충분쇄물과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시멘트를 혼합, 교반하여 2차혼합물을 준비하는 제2혼합단계;
    (3) 층간소음방지 시공을 하고자 하는 건물의 슬래브 상에 별도로 완충분쇄물을 1 내지 5㎝의 두께로 적층하여 완충분쇄물층을 형성하는 완충분쇄물층 형성단계; 및
    (4) 상기 제2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2차혼합물을 상기 완충분쇄물 상에 도포하는 도포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 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3)의 완충분쇄물층 형성단계 이후 완충분쇄물층 상에 부직포를 더 덮어주는 부직포 피복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 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KR20040038537A 2004-05-28 2004-05-28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KR100583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8537A KR100583847B1 (ko) 2004-05-28 2004-05-28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8537A KR100583847B1 (ko) 2004-05-28 2004-05-28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48A true KR20050113048A (ko) 2005-12-01
KR100583847B1 KR100583847B1 (ko) 2006-05-26

Family

ID=3728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8537A KR100583847B1 (ko) 2004-05-28 2004-05-28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8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82B1 (ko) * 2006-02-20 2007-06-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닥충격음 저감용 시멘트 조성물
KR100914252B1 (ko) * 2008-03-27 2009-08-27 영길 김 층간 소음차단용 완충조성물
KR100925355B1 (ko) * 2007-06-01 2009-11-09 (주) 에스와이씨 나노기공 제어형 조습기능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의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684B1 (ko) 2009-08-31 2009-12-23 (주)준코퍼레이션 건설용 재생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내장보드
KR101242123B1 (ko) 2010-12-10 2013-03-11 주식회사 송이산업 조릿대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제조성물
KR101615530B1 (ko) 2014-05-07 2016-04-26 왕수민 층간소음 방지용 모르타르 제조 및 시공방법
KR102577733B1 (ko) 2021-04-29 2023-09-1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층간소음방지 모르타르 조성물, 모르타르층,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방지 바닥구조
KR102405842B1 (ko) 2021-06-07 2022-06-08 송봉규 아스팔트 포장용 채움재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아스팔트 포장용 채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82B1 (ko) * 2006-02-20 2007-06-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닥충격음 저감용 시멘트 조성물
KR100925355B1 (ko) * 2007-06-01 2009-11-09 (주) 에스와이씨 나노기공 제어형 조습기능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의제조방법
KR100914252B1 (ko) * 2008-03-27 2009-08-27 영길 김 층간 소음차단용 완충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847B1 (ko)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7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060091214A (ko) 단열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단열 패널과 그제조방법 및 건축물의 층간구조
KR100954827B1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N104213649B (zh) 聚氨酯复合保温板及其制备方法
MX2012006015A (es) Concreto aislante termico de peso ligero flexible, permeable al aire, resitente al agua, a prueba de fuego.
CN102245529A (zh) 利用灰泥建造的轻质房屋结构及其生产方法
KR100811747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83847B1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JP2000314191A (ja) プラステイック材料を用いた改良した建築材料、前記材料から製造した改良した建築構成部分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10104999A (zh) 隔声砂浆、隔声楼板以及建筑施工方法
KR100773106B1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재,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바닥층 형성방법
KR200287084Y1 (ko) 공동주택의 층간 단열 및 소음방지 뜬바닥구조
KR20070055178A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
KR100799243B1 (ko)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 층간바닥구조체의제조방법 및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측벽구조체의 제조방법
KR200391797Y1 (ko) 단열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층간구조
KR200284537Y1 (ko) 단열 방진용 단열재
KR20050030494A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31998B1 (ko)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충격음 저감 바닥 구조
KR100799244B1 (ko)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 층간바닥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 측벽구조체의 제조방법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090113031A (ko) 코르크 탄성층을 포함하는 층간 구조
KR20180021308A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CN201531106U (zh) 一种楼板隔声垫板
KR100732469B1 (ko)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02041B1 (ko) 단열방진 경량콘크리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